KR200365516Y1 -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516Y1
KR200365516Y1 KR20-2004-0022504U KR20040022504U KR200365516Y1 KR 200365516 Y1 KR200365516 Y1 KR 200365516Y1 KR 20040022504 U KR20040022504 U KR 20040022504U KR 200365516 Y1 KR200365516 Y1 KR 200365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land
removal system
gravel layer
coll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환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이상우
권오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우, 권오환 filed Critical 이상우
Priority to KR20-2004-0022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5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5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은 우수로 바닥면에 떨어진 각종 오물질을 수집/제거할 수 있도록 우수로 바닥면에 수집채를 설치하고, 우수관을 통해서 유입된 우수가 자갈층을 통해서 지하수로 스스히 스며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타이어에서 마모되는 부유물질과 국민들의 일상생활에서 버려지는 비닐, 종이, 담배꽁초 및 자연의 이치로 발생되는 각종 수목들의 낙엽 등의 오물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으며, 우리 나라 강수의 특성상 하절기에 집중되어 있고, 상수원수 수질 악화로 상수도를 기피하고 지하수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갈수록 부족한 지하 수량을 확보하여 국민들에게 질 좋은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폭우로 인해 도로 및 하천의 범람을 예방하여 재난에 대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A SYSTEM FOR REMOVING THE WASTE ON THE GROUND}
본 고안은 육상 오염 물질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를 따라 주변에 형성된 우수로에 버려지는 담배꽁초, 낙엽 등의 육상 오물이 강이나 하천에 유입되기 전에 이를 제거하기 위한 육상 오염 물질 제거 시스템이다.
산업의 발달 및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국토가 도시화되고 도시화의 인구집중과 생활의 편리성 또는 운송수단인 자동차가 날로 증가 추세에 있어 전국토 도로망은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화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나라의 강수는 하절기에 집중되는 데, 일반 도로변을 따라 우수가 원활히 하천이나 바다로 배출될 수 있도록 도로변 주위에는 우수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강수는 하절기의 단시간에 집중됨으로 하절기의 폭우로 인하여 우수로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로의 범람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도로변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염 물질, 즉 타이어에서 마모되는 부유물질과 국민들의 일상생활에서 버려지는 비닐, 종이, 담배꽁초 및 자연의 이치로 발생되는 각종 수목들의 낙엽 등의 오물이 우수로를 덮고 있는 맨홀 덮개 사이의 틈이나 구멍을 통해서 우수로에 유입되어 도로를 범람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것이 우수시 아무른 여과없이 강이나 하천으로 유입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육상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염 물질 즉, 담배꽁초, 비닐, 낙엽, 마모된 타이어 등의 폐기물을 제거하여 하천 및 바다의 오염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우수를 하천으로 바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지하수로 유입하도록 하여 우수를 지하수로 보충하며, 짧은 시간에 폭우시 일정량이 지하로 배출되도록 하여 도로가 범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의 우수로 및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집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집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맨홀 뚜껑 12: 구멍
14 : 우수로 16: 쓰레기
20: 수집채 20a: 테두리
20b: 내부망 20c: 외부망
20d: 걸림부 20f: 구멍
22: 우수관 24: 토류판
26: 자갈층 28: 커버 망
30: 토사층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육상의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은 우수가 배출되는 우수로의 하부 바닥부에 우수관을 형성하고, 상기 우수관의 입구에는 맨홀 뚜껑의 틈이나 구멍을 통해서 유입된 쓰레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수집채가 설치되어 우수로를 통해서 강이나 하천으로 배출되던 쓰레기를 수집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집채는 안쪽에 내부망이 형성되고 바깥쪽에는 상기 내부망을 감싸는 외부망이 형성된 2중 구조를 가지는 데, 쓰레기는 상기 내부망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외부망으로 포집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수관을 통해서 유입된 우수가 지하수로 유입될 수 있도록, 우수관의 출구에는 자갈층을 형성하고, 상기 자갈층의 주위에는 주위의 흙이 자갈층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토류판을 설치하고, 자갈층의 상부에는 커버 망을 형성하고, 커버 망의 상부에는 토사층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변의 우수로 및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이며, 도 2는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주변에는 폭우시에 우수의 배출통로가 되는 우수로(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우수로(14)를 맨홀 뚜껑(10) 등이 덮고 있는 데, 상기 맨홀 뚜껑(10) 사이의 틈이나 구멍을 통해서 우수 뿐만 아니라 담배꽁초, 쓰레기, 낙엽 등의 각종 오물질이 우수로(10)로 유입된다. 현재, 이 오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우수시에 우수에 쓸려 이 오물질은 아무른 여과 없이 강이나 하천으로 유입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오물질을 수집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우수로(14)의 바닥면에 수집채(20)를 설치한다.
먼저, 수집채를 설치할 수 있도록, 우수가 배출되는 우수로(14)의 하부 바닥부에 우수관(2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우수관(22)의 입구부에 맨홀 뚜껑(10)의 틈이나 구멍을 통해서 유입된 쓰레기를 포집/제거할 수 있도록 우수로(14)의 바닥면에 수집채(20)를 설치한다.
한편, 우수관(22)의 출구에는 자갈층(26)이 형성된다. 우수관(22)을 통해서 유입된 우수는 자갈층으로 유입되게 되며, 자갈층은 높은 공극율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우수의 배수가 용이하며, 이에 딸라 우수는 지하수로 스스히 스며들게 된다. 이렇게 우수관을 통해서 유입된 우수가 지하수로 유입되기 때문에, 빗물을 지하수로 보충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부족한 지하수량을 확보하여 국민들에게 질 좋은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에 폭우가 내려 우수관의 용량을 초과할 경우에도 우수관을 통해서 다량의 우수가 유입배출되기 때문에 도로의 범람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자갈층(26)의 주위에는 주위의 흙이 자갈층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토류판(24)을 설치한다. 또한 자갈층의 상부에는 커버 망(28)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부의 토사층(30)의 흙이 자갈층(26) 내부로 유입되어 자갈층(26)의 공극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집채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수집채의 단면도이다. 수집채(20)는 우수로에 버려진 각종 오물질을 수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번 포집된 오물질이 다시 빠져나올수 없도록 2중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수집채(20)는 안쪽에 내부망(20b)이 형성되고 바깥쪽에는 상기 내부망(20b)을 감싸는 외부망(20c)이 형성된 2중 구조를 가진다. 각종 오물질은 상기 내부망(20b)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20f)을 통해서 외부망(20c)으로 포집된다. 2중 구조를 가짐으로 한번 외부망으로 유입된 오물질은 인위적으로 빼지 않는 한 쉽게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없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부망(20c)에 포집된 오물질을 인위적으로 쉽게 빼기 위해서는 외부망의 하부가 뚤려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수집채를 설치할 경우에는 뚤려있는 외부망의 하부를 끈이나 그물 등으로 묶어서 오물질이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수집채를 수거하여 내부의 오물질을 제거할 경우에는 끈이나 그물 등을 풀어서 오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수집채의 테두리부분에는 수집채(20)를 우수관에 설치 및 제거가 쉽도록 걸림부(20d)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은 우수로 바닥면에 떨어진 각종 오물질, 즉 담배꽁초, 비닐, 낙엽, 마모된 타이어 등의 폐기물등의 각종 오물질을 수집채를 이용해 수집하여 제거하고, 우수관을 통과한 우수는 자갈층을 통해서 땅속으로 서서히 스며들어 지하수를 보충시키고, 짧은 시간에 폭우시 일정량이 지하로 배출되도록 하여 도로가 범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육상의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으로서,
    우수가 배출되는 우수로(14)의 하부 바닥부에 우수관(22)을 형성하고, 상기 우수관(22)의 입구에는 맨홀 뚜껑(10)의 틈이나 구멍을 통해서 유입된 쓰레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수집채(20)가 설치되어 우수로(14)를 통해서 강이나 하천으로 배출되던 쓰레기를 수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채(20)는 안쪽에 내부망(20b)이 형성되고 바깥쪽에는 상기 내부망(20b)을 감싸는 외부망(20c)이 형성된 2중 구조를 가지는 데, 쓰레기를 외부망(20c)에 포집하도록, 상기 내부망(20b)의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관(22)을 통해서 유입된 우수가 지하수로 유입될 수 있도록, 우수관(22)의 출구에는 자갈층(26)을 형성하고, 상기 자갈층(26)의 주위에는 주위의 흙이 자갈층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토류판(24)을 설치하고, 자갈층의 상부에는 커버 망(28)을 형성하고, 커버 망(28)의 상부에는 토사층(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
KR20-2004-0022504U 2004-08-06 2004-08-06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 KR200365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504U KR200365516Y1 (ko) 2004-08-06 2004-08-06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504U KR200365516Y1 (ko) 2004-08-06 2004-08-06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516Y1 true KR200365516Y1 (ko) 2004-10-25

Family

ID=4943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504U KR200365516Y1 (ko) 2004-08-06 2004-08-06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5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874B1 (ko) * 2006-12-28 2007-07-16 (주)한신엔지니어링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874B1 (ko) * 2006-12-28 2007-07-16 (주)한신엔지니어링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661B1 (ko) 도로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생태확장형 트리 박스 필터시스템
JP5181135B2 (ja) 落葉対策用l型縁塊
KR20170010040A (ko)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KR101152978B1 (ko)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JP4268922B2 (ja) 排水システムにおける浸透管付き取水桝及び排水システム
KR200407745Y1 (ko) 빗물 처리 시스템
CN113818534B (zh) 用于海绵城市道路的生物滞留设施
KR20090120986A (ko) 비점오염원의 처리를 위한 측구.
KR102089235B1 (ko) 다기능 비점오염 저감 구조물
KR20090120987A (ko)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측구
US10968616B1 (en) Water drainage system
KR20120006715A (ko) 배수가 용이한 비점오염원 처리 기능을 갖는 측구 및 초기우수 재활용 방법
KR20080101132A (ko) 녹지대용 빗물 저류 화단
KR101038336B1 (ko) 도로 l형 측구에 저류조 방식을 이용한 빗물분산과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비점 오염 저감 여과 장치
KR101894740B1 (ko) 투수식 맨홀
KR200365516Y1 (ko)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
KR100983160B1 (ko)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KR100984372B1 (ko)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JPS6022153Y2 (ja) 道路側溝からの雨水を貯留・潅水・浸透させる装置
KR20040048556A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CN207871715U (zh) 乡村雨水净化池
CN105401643A (zh) 免开启防堵井盖装置
KR100750980B1 (ko) 빗물 처리 시스템
KR102638787B1 (ko) 비점 오염 빗물 분리 정화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