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108B1 - 수직자기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수직자기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108B1
KR100738108B1 KR1020060017244A KR20060017244A KR100738108B1 KR 100738108 B1 KR100738108 B1 KR 100738108B1 KR 1020060017244 A KR1020060017244 A KR 1020060017244A KR 20060017244 A KR20060017244 A KR 20060017244A KR 100738108 B1 KR100738108 B1 KR 100738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oft magnetic
intermediate layer
vertical
under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동
탁영욱
이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7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108B1/ko
Priority to CN2006101317368A priority patent/CN101025932B/zh
Priority to US11/581,326 priority patent/US20070196697A1/en
Priority to JP2007015218A priority patent/JP2007226945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ly the magnetic material without bonding agent
    • G11B5/6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ly the magnetic material without bonding agent the record carriers consisting of several layers
    • G11B5/66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ly the magnetic material without bonding agent the record carriers consisting of several layers including a soft magnetic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magne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수직자기기록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수직자기기록매체는 기판과, 기판 위에 형성된 제1 연자성 하지층과, 제1 연자성 하지층 위에 형성되며 수직자기이방성을 갖는 수직이방성 중간층과, 수직이방성 중간층 위에 형성된 제2 연자성 하지층과, 제2 연자성 하지층 위에 형성된 수직자기기록층을 포함한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여 기판과 수직자기기록층 사이의 층들에서의 자기 소용돌이가 억제되어, 수직자기기록매체의 자화속도가 빨라지며 노이즈가 감소되며 기록자계가 강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자기기록매체{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medi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자기기록매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자구벽의 두께와 자구벽 에너지밀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a와 도 3b는비교예에 따른 수직자기기록매체의 기록중 및 기록후의 자화구조를 각각 보인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자기기록매체의 기록중 및 기록후의 자화구조를 각각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기판 11...제1 연자성 하지층
12...수직이방성 중간층 13...제2 연자성 하지층
15...수직자기기록층 18...보호층
19...윤활층 V...자기 소용돌이
본 발명은 수직자기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기판과 수직자기기록층 사이의 층들의 구조를 개선하여 노이즈를 감소시킨 수직자기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자기 디스크 장치(magnetic disk device)와 같은 기록매체의 면기록 밀도(areal recording density)는 급속히 증가되고 있다. 자기 디스크의 면기록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수직자기기록 방식이 제시되고 있다. 수직자기기록 방식의 매체는 수직자기기록층을 수직 방향으로 자화시켜 기록 밀도의 증가를 의도하고 있다. 이러한 수직자화를 위한 수직자기기록층은 상대적으로 높은 자기이방성(magnetic anisotropy) 및 높은 보자력(coercivity)을 나타낼 수 있는 자성 물질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수직자기기록층을 효과적으로 자화시켜 데이터를 수직자기기록층에 기록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수직자기기록층과 수직자기기록층을 지지하는 기판 사이에 연자성 하지층(Soft magnetic UnderLayer)의 도입되고 있다. 수직자기기록층 상부에는 자속(magnetic flux)을 형성하여 수직자기기록층을 자화시키는 자기 헤드가 배치된다.
기록 동작 시 자기 헤드의 기록폴로부터 방출된 자속은 수직자기기록층을 비트 영역 단위로 자화시키고, 수직자기기록층 아래의 연자성 하지층을 따라 흐른 뒤, 자기 헤드의 리턴 폴로 회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연자성 하지층의 도입됨으로써 자기기록매체 내에서 자기회로의 형성을 원활하게 되고 기록폴로부터 방출된 자속이 흐트러지지 않고 수직자기기록층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수직자기기록층이 효과적으로 자화되게 된다.
그러나, 연자성 하지층에 자기회로가 원활하게 형성되기 위해서는, 연자성 하지층이 포화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연자성 하지층이 충분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요구되며, 또한, 충분한 포화자화(Saturation Magnetization: Ms)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두꺼운 두께의 연자성 하지층을 도입할 경우, 자기기록시 기록폴로부터 방출된 자속에 의하여 자기 소용돌이(magnetic vortex)가 발생하며 이러한 자기 소용돌이는 자화시간의 지연과 노이즈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기 소용돌이의 발생을 억제하여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연자성 하지층의 구조를 가진 수직자기기록매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직자기기록매체는,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제1 연자성 하지층과; 상기 제1 연자성 하지층 위에 형성되며, 수직자기이방성을 갖는 수직이방성 중간층과;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 위에 형성된 제2 연자성 하지층과; 상기 제2 연자성 하지층 위에 형성된 수직자기기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연자성 하지층은 수직방향으로의 반전자화가 형성되지 않도록 닐벽(Neel wall)의 자구벽 에너지밀도가 블록벽(Bloch wall)의 자구벽 에너지밀도보다 낮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연자성 하지층은 그 두께가 5 nm 내지 20 nm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은 반경질 자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은 Co, CoFe 합금 및 NiFe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은 그 두께가 2 nm 내지 10 nm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은 적어도 5 kG로 포화자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은 그 자기이방성에너지가 5×105 erg/cc 내지 1×106 erg/cc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자기기록매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자기기록매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직자기기록매체는 기판(10)과, 상기 기판(10) 위에 순차로 형성된 제1 연자성 하지층(11), 수직이방성 중간층(12), 제2 연자성 하지층(13) 및 수직자기기록층(15)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자기기록층(15) 위에는 수직자기기록층(15)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막(1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18) 위에는 자기 헤드와의 충돌 및 습동 등에 의한 자기 헤드 및 보호막(18)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윤활층(24)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자성 하지층(11,13)은 기록 동작시 자기 헤드(미도시)로부터 방출된 자속이 자기기록매체 내에서 원활하게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수직자기기록층(15)이 효과적으로 자화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연자성 하지층(11,13)은 투자율이 높으면서도 보자력이 작은 연질 자성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연자성 하지층(11)은 자기 헤드의 기록용 폴들의 포화자화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포화자화를 가지고 충분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1 연자성 하지층(11)이 상대적으로 작은 포화자화 및 두께를 가진다면, 상기 제1 연자성 하지층(11)은 포화되어 자기 헤드로부터 인입되는 자속을 충분히 전달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2 연자성 하지층(13)은 자기 소용돌이가 형성되지 않을 정도로 얇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연자성 하지층(13)의 두께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2 연자성 하지층(13)이 포화자화(Ms) 17 kG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 자구벽(magnetic domain wall)의 두께과 자구벽 에너지밀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자구벽은 블록벽(Bloch wall)과 닐벽(Neel wall)의 두 가지 모델로 일반적으로 구분되어 다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블록벽은 제2 연자성 하지층(13)에 수직한 방향으로 반전자화가 형성되는 자구벽이며, 닐벽은 제2 연자성 하지층(13)에 평행한 방향으로 반전자화가 형성되는 자구벽이다. 이러한 자구벽은 자기기록중 내지 자기기록후에 제2 연자성 하지층(13)에 형성되는 자구의 경계를 이루는 것이다. 자기기록시 발생될 수 있는 자기 소용돌이는 제2 연자성 하지층(13)에 대하여 수직한 면상에 형성(도 3의 V 참조)되므로 수직한 방향으로 반전자화되는 블록벽과 관계된다. 반면에 닐벽은 제2 연자성 하지층(13)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기 소용돌이와 무관하다. 따라서, 제2 연자성 하지층(13)은 자기 소용돌이가 억제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의 반전자화되는 블록벽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구벽의 에너지밀도는 제2 연자성 하지층(도 1의 13)의 두께와 관련되므로, 블록벽 내지 닐벽의 형성은 제2 연자성 하지층(13)의 두께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제2 연자성 하지층(13)은 그 두께를 결정함에 있어서, 닐벽의 에너지밀도가 블록벽의 에너지밀도보다 낮도록 하는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연자성 하지층(13)이 소정의 천이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블록벽의 에너지밀도보다 닐벽의 에너지밀도가 더 낮아, 자구의 경계에 닐벽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천이 두께란 블록벽의 에너지밀도와 닐벽의 에너지밀도가 같은 천이 지점에서의 제2 연자성 하지층(13)의 두께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연자성 하지층(13)이 포화자화(Ms) 17kG를 갖는 경우, 그 천이 두께는 대략 20 nm이다. 이 경우, 제2 연자성 하지층(13)의 두께(T1)가 대략 20 nm보다 작다면, 닐벽의 에너지밀도가 블록벽의 에너지밀도보다 낮아 블록벽의 형성보다 닐벽의 형성이 보다 용이하며, 제2 연자성 하지층(13)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반전자화 및 자기 소용돌이가 억제된다. 한편, 제2 연자성 하지층 (13)의 두께(T1)는 안정적으로 박막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5 nm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연자성 하지층(13)의 두께(T1)는 자기 소용돌이를 억제하기 위하여 대략 5 nm 내지 20 nm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은 수직자기이방성을 갖는 반경질 자성체(semi-hard magnetic material)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경질 자성체란 연질 자성체보다는 보자력이 크고, 경질 자성체보다는 쉽게 자화되는 것으로 연질 자성체와 경질 자성체의 중간적인 자기특성을 갖는 물질이다. 이러한 반경질 자성체로 형성된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은 경질 자성체로 형성되는 수직자기기록층(15)보다는 쉽게 자화되며 보자력이 작다. 그러므로,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은 제1 및 제2 연자성 하지층(11,13)과 함께 자기 헤드로부터 방출된 자속이 자기기록매체 내에서 원활하게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수직자기기록층(15)이 효과적으로 자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은 연자성 하지층(11,13) 보다는 보자력이 크고 자화되기 어려우므로, 상기 연자성 하지층(11,13)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자기 소용돌이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은 대략 5 kG로 포화자화(Ms)되고, 그 자기이방성에너지(Ku)가 5×105 내지 1×106 erg/cc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은 수직자기이방성을 가질 수 있는 막두께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의 두께(T2)는 대략 10 nm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은 박막공정을 통해 형성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의 두께(T2)는 적어도 2 nm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은 대략 2 nm보다는 크고, 대략 10 nm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은 박막이 안정되기 위하여 5 nm보다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은 수직자기이방성을 가지므로, 수직자기기록층(15)을 수직으로 지나는 기록 자계와 같은 방향으로 자기모멘트가 배열된다. 즉,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의 자기모멘트는 수직자기기록층(15)에 정렬된 자기모멘트의 방향과 같은 방향을 가지므로,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은 수직자기기록층(15)의 기록자계를 강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은 수직자기기록매체의 재생시 출력이 증가되도록 하여 SNR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은 Co, CoFe 합금 또는 NiFe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은 스퍼터링(sputtering) 박막제작방법을 통해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이 Co 박막으로 형성되는 경우, Co 박막을 단층으로 증착하여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이 수직방향으로 결정자기이방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이 CoFe 합금박막으로 형성되는 경우, 연자성을 갖는 시드층(seed layer)을 먼저 증착한 후 CoFe 합금박막을 증착하여 수직방향으로 탄성자기이방성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직자기기록층(15)은 자기 헤드의 쓰기 동작시 기록되는 단위 비트의 자화 방향이 수직으로 세워져 정보가 기록되는 층이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자기기록층(15)은 수직 자기 이방성이 뛰어난 Co계 합금 또는 Fe계 합금의 강자성 물질 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가 자기 소용돌이를 억제하는 것을 비교예와 대비하여 보여준다.
<비교예>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자기기록매체는 단층의 연자성 하지층(21)과 그 위에 적층된 수직자기기록층(25)을 구비한 것으로, 도 3a는 기록중 자화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기록후 자화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연자성 하지층(21)은 15 kG의 포화자화(Ms)를 가지며, 그 두께가 90 nm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연자성 하지층(21)은 기록중 자기 소용돌이(V)가 발생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자기 소용돌이(V)는 연자성 하지층(21)의 자화방향이 빠르게 변환되는 것을 방해하여 자화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자기기록매체에 고밀도로 자기기록할 수 없게 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자기 소용돌이(도 3a의 V)는 연자성 하지층(21)에 기록후 수직자기기록층(25)에 배열된 자기모멘트의 방향과 반대방향의 자기모멘트를 갖는 성분들을 생성시켜 노이즈의 원인이 되게 한다.
<실시예>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는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을 통하여 연자성 하지층을 제1 및 제2 연자성 하지층(11,13)으로 구분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에 따른 자기기록매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자기기록매체이다. 여기서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은 수직자기이방성 에너지가 1×106 erg/cc이고, 보자력이 대략 200O Oe인 반경질 자성체이다. 도면에서 도 1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4a는 실시예의 기록중 자화구조를 나타내며, 도 4b는 실시예의 기록후 자화구조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연자성 하지층(11,13) 사이에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이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연자성 하지층(11,13)에 자기 소용돌이가 억제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 연자성 하지층(11,13)의 자화방향이 빠르게 변환될 수 있어 자기기록매체의 자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자화시간이 단축되면 동일시간 내에 많은 정보가 기록될 수 있으므로, 자기기록매체에 고밀도로 자기기록을 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수직이방성 중간층(12)의 자기모멘트의 방향이 수직자기기록층(15)의 자기모멘트방향과 일치함에 따라 수직자기기록층(15)에서의 기록자계가 보다 강화되고 재생시 출력이 증가되어, 우수한 SNR 특성이 확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자기기록매체는 연자성 하지층에 수직이방성 중간층을 삽입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첫째, 연자성 하지층에서의 자기 소용돌이를 억제함으로써 자기기록매체의 자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는 고밀도로 자기기록하는데 유리하다.
둘째, 연자성 하지층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셋째, 수직자기기록층의 기록자계가 보다 강화되고 재생시 출력이 증가되어 우수한 SNR특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수직자기기록매체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제1 연자성 하지층;
    상기 제1 연자성 하지층 위에 형성되며, 수직자기이방성을 갖는 수직이방성 중간층;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 위에 형성된 제2 연자성 하지층; 및
    상기 제2 연자성 하지층 위에 형성된 수직자기기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자기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자성 하지층은 닐벽의 에너지밀도가 블록벽의 에너지밀도보다 낮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자기기록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자성 하지층은 그 두께가 5 nm 내지 20 nm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자기기록매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은 반경질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자기기 록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은 Co, CoFe 합금 및 NiFe 합금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자기기록매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은 그 두께가 2 nm 내지 10 nm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자기기록매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은 적어도 5 kG로 포화자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자기기록매체.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방성 중간층은 그 자기이방성에너지가 5×105 erg/cc 내지 1×106 erg/cc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자기기록매체.
KR1020060017244A 2006-02-22 2006-02-22 수직자기기록매체 KR100738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244A KR100738108B1 (ko) 2006-02-22 2006-02-22 수직자기기록매체
CN2006101317368A CN101025932B (zh) 2006-02-22 2006-09-29 垂直磁记录介质
US11/581,326 US20070196697A1 (en) 2006-02-22 2006-10-17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medium
JP2007015218A JP2007226945A (ja) 2006-02-22 2007-01-25 垂直磁気記録媒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244A KR100738108B1 (ko) 2006-02-22 2006-02-22 수직자기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108B1 true KR100738108B1 (ko) 2007-07-12

Family

ID=3842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244A KR100738108B1 (ko) 2006-02-22 2006-02-22 수직자기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96697A1 (ko)
JP (1) JP2007226945A (ko)
KR (1) KR100738108B1 (ko)
CN (1) CN1010259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2885B1 (en) * 2007-10-19 2013-07-10 SNU R&DB Foundation Method for read-out of information in magnetic recording element and method for read-out of information in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KR101844128B1 (ko) * 2016-01-29 2018-04-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스핀궤도 토크 변조에 의한 자구벽 이동 소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3550A (ja) * 1992-09-18 1994-04-15 Fujitsu Ltd 垂直磁気記録媒体
JP2001155321A (ja) 1999-11-30 2001-06-08 Toshiba Corp 磁気記録媒体
JP2004079058A (ja) 2002-08-14 2004-03-11 Toshiba Corp 垂直磁気記録媒体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KR20050057706A (ko) * 2003-12-10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자기기록매체
KR100624441B1 (ko) 2004-10-28 2006-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 연자성하지층을 가지는 수직자기기록매체 및 그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9046A (ja) * 1990-12-13 1993-04-30 Hitachi Maxell Ltd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DE60014974T2 (de) * 1999-06-08 2005-03-17 Fujitsu Ltd., Kawasaki Magnetisches Aufzeichnungsmittel
JP3731640B2 (ja) * 1999-11-26 2006-01-05 株式会社日立グローバルストレージテクノロジーズ 垂直磁気記録媒体及び磁気記憶装置
DE10297472T5 (de) * 2001-11-30 2004-11-18 Seagate Technology Llc, Scotts Valley Antiparallel ferromagnetisch gekoppelte Vertikalmagnetaufzeichnungsmedien
JP2004303377A (ja) * 2003-03-31 2004-10-28 Toshiba Corp 垂直磁気記録媒体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JP4222965B2 (ja) * 2004-04-15 2009-02-12 ヒタチグローバルストレージテクノロジーズネザーランドビーブイ 垂直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磁気記録装置
JP2006244684A (ja) * 2005-02-04 2006-09-14 Fujitsu Ltd 磁気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磁気記憶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3550A (ja) * 1992-09-18 1994-04-15 Fujitsu Ltd 垂直磁気記録媒体
JP2001155321A (ja) 1999-11-30 2001-06-08 Toshiba Corp 磁気記録媒体
JP2004079058A (ja) 2002-08-14 2004-03-11 Toshiba Corp 垂直磁気記録媒体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KR20050057706A (ko) * 2003-12-10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자기기록매체
KR100624441B1 (ko) 2004-10-28 2006-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 연자성하지층을 가지는 수직자기기록매체 및 그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26945A (ja) 2007-09-06
CN101025932A (zh) 2007-08-29
US20070196697A1 (en) 2007-08-23
CN101025932B (zh)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5499B2 (en) Thin film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head, their fabrication process and magnetic disk drive using it
US6813115B2 (en)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head with improved write field gradient
US6893748B2 (en) Soft magnetic film for perpendicular recording disk
US6728065B2 (en) Single pole magnetic recording head for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JP4405436B2 (ja) 負異方性交換結合型磁気記録媒体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US6890667B1 (en) Soft underlayer structure for magnetic recording
JP2008176923A (ja) 垂直磁気記録媒体
KR100641372B1 (ko) 자기 기록 매체 및 자기 저장 장치
JP2005209290A (ja) 熱磁気転写型磁気記録方式および磁気ディスク装置
JP201513571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848072B2 (ja) 磁気記録媒体及びこれを用いた磁気記憶装置
KR100682951B1 (ko) 수직 자기 헤드
KR100738108B1 (ko) 수직자기기록매체
US7799445B2 (en)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media with soft magnetic underlayer
Taratorin et al. Correlation of DC noise and transition noise in magnetic recording
Patwari et al. Unshielded perpendicular recording head for 1 Tb/in/sup 2
Tang et al. Micromagnetics of Percolated Perpendicular Medium for 1 Tb/in $^ 2$ and Beyond
JP2005310368A (ja) 磁気記録媒体および磁気記録装置
Tahk et al. Transition noise characteristics of PMR media with the synthetic antiferromagnetic coupled soft underlayer
Nakamura The Long Journey in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From the Beginning to the Future
Igarashi et al. High-density perpendicular recording media with large grain separation
Sayama et al. Reduction of medium noise of Co-Pd multilayered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media by a thin carbon interlayer
Ouchi Magnetic materials for information storage devices
Tahk et al. Effects of magnetic damping constant of the soft underlayer on SNR in double layered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media
JP2005310369A (ja) 磁気記録媒体および磁気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