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710B1 - 축광석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축광석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710B1
KR100736710B1 KR1020050088924A KR20050088924A KR100736710B1 KR 100736710 B1 KR100736710 B1 KR 100736710B1 KR 1020050088924 A KR1020050088924 A KR 1020050088924A KR 20050088924 A KR20050088924 A KR 20050088924A KR 100736710 B1 KR100736710 B1 KR 100736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plate
polishing
bubble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4339A (ko
Inventor
맹경육
김경시
Original Assignee
맹경육
김경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경육, 김경시 filed Critical 맹경육
Priority to KR102005008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710B1/ko
Publication of KR20070034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16Treads of stone, concrete or like material or with an upper layer of stone or stone 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upper layer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7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2Luminous pa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2011/1046Miscellaneous features of trea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048Miscellaneous features of trea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ligh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광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판재를 원하는 형태와 크기로 재단하는 단계; (b) 상기 판재에 로고, 방향표시, 글씨 및 그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새기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판재에 테낙스와 축광분말체를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새겨진 모양에 혼합물을 넣고 굳히는 단계; (d) 상기 판재와 혼합물이 응고되어 일체형이 된 물체의 거친 표면을 광택 처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판재에 기포로 인해 작은 홈이 생기거나 혼합물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 이러한 부분을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1차 보완작업 후, 상기 혼합물을 굳히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차에서 4차까지 진행되는 연마 및 보완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및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제조공정을 시스템화함으로써 대량생산시 공정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축광물질, 축광분말체, 샌딩작업, 판재

Description

축광석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tone us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물질 제조공정의 전체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샌딩작업에 관한 세부 흐름도.
본 발명은 축광석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이하, '판재'라 한다.)에 음각된 글씨, 로고, 방향표시 및 그림에 축광물질을 삽입하여 정전상태에서도 보행자의 안내 및 광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축광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축광석에 관련한 기술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04-0032576호 '계단용 미끌림방지 축광 난슬립' 이외에 다수 출원된 상태이다.
상기 '계단용 미끌림방지 축광 난슬립'(이하, '선행발명'이라 한다.)은 화학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계단용 축광 난슬립 테이프의 제품 구조로서 이미 제공되어지는 필름의 표면에는 신발이 닿는 계단의 윗면에 보행시에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는 난슬립의 용도에 맞는 돌가루 등의 난슬립재를 도포하며, 축광 테이프를 접착함 으로서 안전표지의 기능을 겸하고 계단의 앞면에는 접착된 축광 테이프의 발광기능으로서 계단의 위험성을 안내하여 인도하게 하는 표지판의 기능을 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선행발명은 행인의 발길에 의해 축광 테이프가 벗겨짐으로써 발광 효율이 떨어져 재시공 또는 보수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제조공정이 시스템화되지 않아 생산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1차에서 4차까지 진행되는 연마 및 보완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및 내구성을 증진시켜 재시공 또는 보수가 필요 없고, 제조공정을 시스템화함으로써 대량생산시 공정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축광석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축광석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판재를 원하는 형태와 크기로 재단하는 단계; (b) 상기 판재에 로고, 방향표시, 글씨 및 그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새기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판재에 테낙스와 축광분말체를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새겨진 모양에 혼합물을 넣고 굳히는 단계; (d) 상기 판재와 혼합물이 응고되어 일체형이 된 물체의 거친 표면을 광택 처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판재에 기포로 인해 작은 홈이 생기 거나 혼합물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 이러한 부분을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1차 보완작업 후, 상기 혼합물을 굳히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b-1)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실물과 같은 비율로 임의의 종이를 프린터 출력하는 단계; (b-2) 출력한 프린트물의 크기에 맞춰 고무판을 재단하는 단계; (b-3) 상기 고무판에 돌출되도록 하는 양각과, 홈이 패이게 하는 음각 중 원하는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b-4) 상기 판재에 고무판을 고정하고, 고압의 금강석 가루를 상기 판재에 분사하여 로고, 방향표시, 글씨 및 그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새기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f) 상기 판재를 표면 광택 처리하는 2차 연마 단계; (g) 상기 (e) 단계와 같이, 기포로 인해 생긴 작은 홈이 생기거나 혼합물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 이러한 부분을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2차 보완작업 후, 상기 혼합물을 굳히는 단계; (h) 상기 (f) 단계와 같이, 상기 판재를 표면 광택 처리하는 3차 연마 단계; (i) 상기 (g) 단계와 같이, 기포로 인해 생긴 작은 홈이 생기거나 혼합물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 이러한 부분을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3차 보완작업 후, 상기 혼합물을 굳히는 단계; 및 (j) 상기 (h) 단계와 같이, 상기 판재를 표면 광택 처리하는 4차 연마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석 제조방법에 관하여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공정] 판재재단.
판재를 다이아몬드가 첨가된 석재 전용 톱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와 크기로 재단한다(S10).
[제 2 공정] 샌딩작업.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크기와 같은 비율로 고무판을 재단한 후, 양각 또는 음각 중 원하는 형태를 결정하여 상기 판재에 로고, 방향표시, 글씨 및 그림 등을 새긴다(S20).
[제 3 공정] 축광물질 배합.
상기 제 2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판재의 로고, 방향표시, 글씨 및 그림이 새겨진 곳에 테낙스와 축광분말체가 6:4의 비율로 만들어진 혼합물을 넣고 굳힌다(S30).
상기 제 3 공정은 제 4 공정을 위한 필수 공정으로서, 액체혼합물인 상기 혼합물을 고체 상태로 만드는 과정이다.
상기 테낙스는 석재 전용 접착제로서, 물세척이 용이하며 무색, 무취이고 인화성이 없다.
[제 4 공정] 1차 연마.
판재와 혼합물이 응고되어 일체형이 된 물체의 거친 표면을 포르샤를 이용하여 표면 광택 처리한다(S40).
상기 포르샤는 표면 광택 작업을 하는 연마 기계이다.
[제 5 공정] 1차 보완작업.
상기 판재에 기포로 인해 작은 홈이 생기거나 혼합물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 이러한 부분을 상기 혼합물로 보완한다(S50).
[제 6 공정] 2차 연마.
2차로 연마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판재를 표면 광택 처리한다(S60).
[제 7 공정] 2차 보완작업.
상기 제 5 공정과 같이, 상기 판재에 기포로 인해 작은 홈이 생기거나 혼합물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 이러한 부분을 상기 혼합물로 보완한 후 굳힌다(S70).
[제 8 공정] 3차 연마.
상기 제 6 공정과 같이, 3차로 연마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판재를 표면 광택 처리한다(S80).
[제 9 공정] 3차 보완작업.
상기 제 7 공정과 같이, 상기 판재에 기포로 인해 작은 홈이 생기거나 혼합물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 이러한 부분을 상기 혼합물로 보완한 후 굳힌다(S90).
[제 10 공정] 4차 연마.
상기 제 8 공정과 같이, 4차로 연마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판재를 표면 광택 처리한다.(S100).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공정 샌딩작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공정에 의하여 판재를 재단한 후,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실물과 같은 비율로 임의의 종이를 프린터 출력(S21)하여 프린트물의 크기에 맞춰 고무판을 재단한다(S22).
상기 고무판에 홈이 돌출되도록 할 것인지 또는 패이게 할 것인지 원하는 형태를 결정한다(S23).
상기 판재에 고무판을 고정(S24)하여 샌딩실로 이동한 후, 고압의 금강석가루를 상기 판재에 분사하여 로고, 방향표시, 글씨 및 그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새긴다(S25).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1차에서 4차까지 진행되는 연마 및 보완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및 내구성을 증진시켜 재시공 또는 보수가 필요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제조공정의 시스템화에 따른 대량생산시 공정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축광석 제조방법에 있어서,
    (a) 판재를 원하는 형태와 크기로 재단하는 단계;
    (b) 상기 판재에 로고, 방향표시, 글씨 및 그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새기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판재에 테낙스와 축광분말체를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새겨진 모양에 혼합물을 넣고 굳히는 단계;
    (d) 상기 판재와 혼합물이 응고되어 일체형이 된 물체의 거친 표면을 광택 처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판재에 기포로 인해 작은 홈이 생기거나 혼합물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 이러한 부분을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1차 보완작업 후, 상기 혼합물을 굳히는 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 (b) 단계는,
    (b-1)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실물과 같은 비율로 임의의 종이를 프린터 출력하는 단계;
    (b-2) 출력한 프린트물의 크기에 맞춰 고무판을 재단하는 단계;
    (b-3) 상기 고무판에 돌출되도록 하는 양각과, 홈이 패이게 하는 음각 중 원하는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b-4) 상기 판재에 고무판을 고정하고, 고압의 금강석 가루를 상기 판재에 분사하여 로고, 방향표시, 글씨 및 그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새기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석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f) 상기 판재를 표면 광택 처리하는 2차 연마 단계;
    (g) 상기 (e) 단계와 같이, 기포로 인해 생긴 작은 홈이 생기거나 혼합물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 이러한 부분을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2차 보완작업 후, 상기 혼합물을 굳히는 단계;
    (h) 상기 (f) 단계와 같이, 상기 판재를 표면 광택 처리하는 3차 연마 단계;
    (i) 상기 (g) 단계와 같이, 기포로 인해 생긴 작은 홈이 생기거나 혼합물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 이러한 부분을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3차 보완작업 후, 상기 혼합물을 굳히는 단계; 및
    (j) 상기 (h) 단계와 같이, 상기 판재를 표면 광택 처리하는 4차 연마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석 제조방법.
KR1020050088924A 2005-09-23 2005-09-23 축광석 제조방법 KR100736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924A KR100736710B1 (ko) 2005-09-23 2005-09-23 축광석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924A KR100736710B1 (ko) 2005-09-23 2005-09-23 축광석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339A KR20070034339A (ko) 2007-03-28
KR100736710B1 true KR100736710B1 (ko) 2007-07-06

Family

ID=4163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924A KR100736710B1 (ko) 2005-09-23 2005-09-23 축광석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7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845B1 (ko) * 2007-03-15 2008-11-14 맹경육 이동형 축광석 가공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가공 방법
KR102326569B1 (ko) * 2021-06-04 2021-11-15 주식회사 공감이앤디 축광 디자인 콘크리트 유니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2597A (ja) 1998-04-14 1999-10-26 Doperu:Kk 人造石成形体
KR200259229Y1 (ko) 2001-09-06 2002-01-05 주식회사 신우아이에스 야광 점자블럭
KR20030032407A (ko) * 2001-10-18 2003-04-26 가부시키가이샤 도펠 야광/발광성 인조석과 그 구성체
KR20030064122A (ko) * 2002-01-25 2003-07-31 이영기 형광 인조석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93434A (ko) * 2003-04-28 2004-11-05 주식회사 서울세라믹스 축광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2597A (ja) 1998-04-14 1999-10-26 Doperu:Kk 人造石成形体
KR200259229Y1 (ko) 2001-09-06 2002-01-05 주식회사 신우아이에스 야광 점자블럭
KR20030032407A (ko) * 2001-10-18 2003-04-26 가부시키가이샤 도펠 야광/발광성 인조석과 그 구성체
KR20030064122A (ko) * 2002-01-25 2003-07-31 이영기 형광 인조석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93434A (ko) * 2003-04-28 2004-11-05 주식회사 서울세라믹스 축광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339A (ko)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58624T1 (de) Hohlzyindrisches druckelement
KR100736710B1 (ko) 축광석 제조방법
ATE384283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lexodruckformen mittels laser-direktgravur
KR100782595B1 (ko) 가공부품의 표면에 입체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DE60112296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latte umfssend eine zwischenformung und eine endformung
RS51487B (sr) Selektivnim utiskivanjem obrađeni površinski pokrivači i procesi proizvodnje
WO2005017446A3 (en) Non-slip measuring tool and method of making
CN104251504A (zh) 一种激光雕刻图案的陶瓷面板及其图案的制作方法
DE102004014676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integrierten Schaltungsanordnung mit Hilfsvertiefung, insbesondere mit Ausrichtmarken, und integrierte Schaltungsanordnung
KR200401412Y1 (ko) 광고부를 구비한 경계석
CN106013677A (zh) 建筑板及其制造方法
KR102111277B1 (ko) 리얼 무늬 패턴이 형성된 판상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204128019U (zh) 一种激光雕刻图案的陶瓷面板
DE602004017707D1 (de) Verbessertes linea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KR200424950Y1 (ko) 가로수 보호블록
ATE245537T1 (de) Farbklischee einer rotationsdruck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rbklischees
KR101452831B1 (ko) 샌드 브러스트를 이용한 각인목재판
KR950013742A (ko) 장식문양 자개판과 이의 제조방법
DE60304362D1 (de) Tiefdruckplatte
JPS55159877A (en) Manufacture of decorated material
CN210234526U (zh) 具有立体结构的艺术饰板
WO2005023492A3 (en) Clean release card form and method of manufacture
KR920005543B1 (ko) 문양고무 성형용 비접착성 불소화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한 형 제작방법
JP3155349U (ja) ダイカッター及びダイカッターセット
KR20110123315A (ko) 인테리어 보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