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952B1 - 후드용 정화기 - Google Patents

후드용 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952B1
KR100735952B1 KR1020060031148A KR20060031148A KR100735952B1 KR 100735952 B1 KR100735952 B1 KR 100735952B1 KR 1020060031148 A KR1020060031148 A KR 1020060031148A KR 20060031148 A KR20060031148 A KR 20060031148A KR 100735952 B1 KR100735952 B1 KR 100735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hood
purifier
ai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1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되는 공기가 원활히 정화될 수 있는 후드용 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단면에 공기가 흡입되도록 개구된 입구와, 이 입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양측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며 그 상부로 공기가 송풍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후드의 상기 입구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된 후드용 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정화기에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송풍기의 양측부로 안내하는 안내대가 구비된, 후드용 정화기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송풍 효율을 높이는 것과 필터를 교체를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후드, 정화기, 필터, 안내대, 노브, 프레임, 송풍기

Description

후드용 정화기{CLEANER USED IN A HOOD}
도 1은 일반적인 후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후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후드 정화기의 분리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 정화기의 분리 결합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후드 11 - 송풍기
20 - 입구 30 - 정화기
31 - 프레임 32 - 흡기구
40 - 필터 50 - 안내대
51 - 경사면 60 - 고정수단
61 - 걸림돌기 62 - 걸림홈
63 - 고정노브 64 - 연결축
65 - 연결구 66 - 고정걸쇠
67 - 고정구
본 발명은 후드용 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의 배기 및 공기 정화를 위해 설치되는 후드의 정화기가 상기 후드로 흡입되는 공기를 보다 효율적인 유로로 안내하도록 되고, 상기 정화기의 착/탈이 보다 용이하게 된 후드용 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연소가스 및 증기 등을 배출하기 위한 후드가 설치된다.
또, 상기 후드는 상기 음식물의 요리가 주로 이루어지는 가스레인지나 전기오븐 등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레인지나 전기오븐 등에서 발생되어 상승하는 연소가스 및 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후드는 상기 연소가스나 증기를 주방의 외부, 즉 실외로 배출하도록 상기 후드가 설치된 실내에서 실외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연소가스나 증기를 정화하여 상기 후드가 설치된 실내 또는 상기 실외로 배기하는 것의 사용도 일반화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종래의 후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90) 본체와, 송풍기(91)와, 정화기(93)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상기 후드(90)는 상기 가스레인지 등의 상부에 그 일단의 입구(92)가 개방되 고, 그 타단이 상기 후드(90)가 설치된 실내 또는 실외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공기통로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 상기 후드(90)는 상기 가스레인지 등에서 상승되는 가스를 보다 원활히 흡입하도록 상기 가스레인지 방향으로 개구된 입구(92)가 비교적 넓게 개구되고, 상기 입구(92)의 주변에 조명장치 등을 설치하여 상기 가스레인지의 상부를 조명하도록, 상기 입구(92)가 형성된 일단의 면적이 넓게 형성된 관형상으로 형성되었다.
상기 송풍기(91)는 상기 후드(90)의 일단 입구(92)에서 상기 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후드(90)의 타단으로 송풍하도록, 상기 후드(90)의 내측 중앙에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부로 송풍하도록 설치된다.
또, 상기 송풍기(91)는 송풍기(91)의 양측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송풍하도록 된 송풍기(91)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으므로, 상기 송풍기(91)는 상기 후드(90)의 내측 중앙부에 그 양측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그 상부로 송풍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송풍기(91)는 그 효율을 증가시킴과 더불어, 상기 후드(90)의 용량에 따라 2개 정도가 동일축 상에 설치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상기 정화기(93)는 상기 후드(90)의 입구(92)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혼합된 연소가스의 유해물질이나 기름기 등을 거르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정화기(9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94)과 부직포(9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틀(94)은 상기 부직포(95)를 상기 입구(92)에 고정하도록 상기 입구(9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틀로 구성되고, 상기 틀 이 외압 등에 견디도록 다수의 가로대와 세로대가 상기 고정틀(94)의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부직포(95)는 상기 기름기나 먼지 등을 거르도록 미세한 통기구가 형성된 필터로 구성되며, 통상 거름종이나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또, 상기 정화기(93)는 상기 입구(92)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정화기(93)를 상기 입구(92)에 고정하도록 걸림돌기(96)와, 걸림홈(97)과, 탄성판(98)과, 탄성홈(99)이 구비되었다.
상기 걸림돌기(96)는 상기 고정틀(94)의 일단, 통상 상기 후드(90)의 후방부에 걸쳐지는 고정틀(94)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97)은 상기 후드(90)의 후방 입구(92) 일단에 상기 걸림돌기(96)가 삽입되어 걸쳐지도록 상기 입구(92)의 내측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판(98)은 상기 걸림돌기(96)가 형성된 고정틀(94)의 일단과 반대되는 방향 타단에 형성되며, 그 중앙부가 반원 단면형상의 곡면을 이루도록 굽혀져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상기 탄성판(98)은 그 선단이 상기 고정틀(94)에서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홈(99)은 상기 탄성판(98)의 선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탄성판(98)의 성단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입구(92)의 타단 내측에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정화기(93)를 상기 후드(90)의 입구(92)에 설치하는 것은, 상기 정화기(93)의 일단에서 돌출된 걸림돌기(96)를 상기 입구(92)의 일단 내측에 함몰된 걸림홈(97)에 끼워 상기 정화기(93)의 일단을 상기 입구(92)에 고정하고, 상기 일단이 고정된 정화기(93)의 타단을 상기 입구(92)의 타단에 탄성판(98)을 매개로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판(98)의 선단이 상기 정화기(93)의 타단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상기 정화기(93)의 타단이 상기 입구(92)에 접하면 상기 탄성판(98)의 선단이 상기 입구(92)의 외측면에 걸쳐지면서 상기 정화기(93)가 상기 입구(92)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해된다.
이때, 상기 탄성판(98)의 선단을 상기 탄성판(98)의 중앙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탄성판(98)의 자체 탄력으로 압착시키면, 상기 정화기(93)의 타단 내측으로 탄성판(98)의 선단이 위치되면서 상기 정화기(93)의 타단이 상기 입구(92)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정화기(93)의 타단이 상기 입구(92)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판(98)의 선단을 상기 탄성판(98)의 중앙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판(98)은 자체 탄력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 복원되고, 상기 탄성판(98)의 복원에 의해 상기 탄성판(98)의 선단이 상기 입구(92)의 내측에 함몰된 탄성홈(99)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정화기의 타단이 상기 입구(92)의 내측에 걸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정화기(93)의 걸림돌기(96)와 탄성판(98)이 상기 입구(92)의 내측에 함몰된 걸림홈(97)과 탄성홈(99)에 끼워져 상기 정화기(93)의 양단이 상기 입구(9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후드(90)의 입구(92)에 정화기(93)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드(90)가 작동되면, 상기 후드(90)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91)가 작동되고, 상기 송풍기(9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송풍기(91)의 양측부에 위치된 공기가 상기 송풍기(91)의 내부로 흡입됨과 더불어, 상기 송풍기(91)의 상부로 송풍되어 배기된다.
또, 상기 송풍기(91)의 양측부에 위치된 공기가 송풍기(91)의 내부로 흡입됨에 따라 상기 송풍기(91)의 양측부 기압이 저감되고, 상기 송풍기(91)의 양측부 기압이 저감됨에 따라 상기 소풍기가 설치된 후드(90)의 내부 공기들이 상기 송풍기(91)의 양측부로 이동된다.
상기 송풍기(91)의 양측부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송풍기(91)의 지속적인 작동에 의해 송풍되면서 상기 송풍기(91)의 양측부 기압이 지속적으로 저감되고, 상기 송풍기(91)의 양측 기압이 지속적으로 저감되면서, 상기 후드(90) 내의 공기가 모두 송풍되어 상기 후드(90) 내부의 기압이 저감된다.
상기 후드(90) 내부의 기압이 저감됨에 따라, 상기 후드(90) 내부의 기압보다 높은 기압을 유지하는 후드(90) 외부의 공기가 상기 후드(90)의 입구(92)를 통해 유입된다.
이때, 상기 입구(92)에 설치된 정화기(93)를 통해 상기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후드(9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유해물질 및 기름기 등의 이물질이 상기 정화기(93)의 부직포(95)에 걸러지면서 정화된다.
여기서, 상기 입구(92)는 상기 송풍기(91)의 아래쪽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입구(9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상기 송풍기(91) 의 양측으로 이동되며, 일부가 상기 송풍기(91)의 하단 중앙부로 흡입되어 상기 송풍기(91)의 하단 중앙부에 부딪쳐 그 이동방향이 변경되면서 상기 송풍기(91)의 하부나 송풍기(91)의 양측하부 후드의 내부로 이동된 후에, 상기 송풍기(91)의 송풍력에 의해 재차 상기 송풍기(91)의 양측부로 이동되어 상기 송풍기(91)로 흡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드(90)의 입구(92)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기(91)의 하단에 부딪쳐 그 진행방향이 변경된 후 재차 상기 송풍기(91)의 송풍력에 의해 송풍기(91)로 흡입되므로, 상기 공기가 송풍기(91)로 흡입되기 위해 더 많은 송풍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종래의 송풍기(91)의 하단면에 부딪친 공기가 상기 후드(90) 내부의 임의의 지점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후드(90) 내에 비 정상적인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입구(92)에서 송풍기(91)의 양측부에 이르는 정상적인 유로로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상기 송풍기(91)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 및 속도가 저감되면서 상기 송풍기(91)의 송풍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정화기(93)는 부직포(95)와 고정틀(94)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부직포(95)의 손상 및 오염으로 인해 상기 부직포(95)를 교체하고자 하면, 상기 고정틀(94)과 부직포(95) 전부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부품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종래의 정화기(93)는 그 일단을 걸림돌기(96)로써 걸어 고정하고, 그 타단의 탄성판(98)을 억압하면서 고정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96)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탄성판(98)에 힘을 가해야 하므로, 상기 정화기(93)의 조립작업이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후드 입구의 정화기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후드에 설치된 송풍기의 양측부로 이동되도록 안내하여, 상기 입구에서 송풍기의 양측부에 이르는 공기 유로를 보다 정확하게 형성하도록 된 후드용 정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드의 입구에 설치되는 정화기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이루도록 된 후드용 정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단면에 공기가 흡입되도록 개구된 입구와, 이 입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양측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며 그 상부로 공기가 송풍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후드의 상기 입구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된 후드용 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정화기에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송풍기의 양측부로 안내하는 안내대가 구비된, 후드용 정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내대가 입구 중앙부에서 송풍기의 양측 흡입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후드용 정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단면에 공기가 흡입되도록 개구된 입구와, 이 입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양측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며 그 상부로 공기가 송풍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후드의 상기 입구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된 후드용 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입구에 끼워지고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가 개구되어 있으며, 필터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대를 포함하는, 후드용 정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터가 상기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후드용 정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돌릴 수 있게 형성된 고정노브와, 상기 고정노브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관통된 연결축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관통된 연결축에 결합되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걸쇠와, 상기 고정걸쇠가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걸쳐지도록 상기 고정걸쇠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입구에 개구된 고정구를 포함하는, 후드용 정화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기(30)가 후드(10)의 입구(20)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10)가 작동되어 상기 정화기(30)의 안내대(50)에 안내된 공기가 상기 후드(10)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11)의 양측부로 유도되면서 배기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10)의 입 구(20)에 정화기(30)가 고정수단(60)을 매개로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후드(10)에 상기 후드(10)의 송풍기(11) 양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유도할 수 있는 안내대(50)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드(10)의 입구(20)에 설치되는 정화기(30)에 상기 안내대(50)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정화기(30)를 상기 입구(20)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60)이 구비된다.
상기 후드(10)는, 음식물을 요리하는 가스레인지나 전기오븐 등의 주방기구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음식물 연소가스나 증기 등을 실외로 배출하거나, 상기 주방기구가 설치된 실내로 정화하여 배출하도록, 상기 가스레인지나 전기오븐의 상부에서 실외 또는 실내 임의의 지점으로 연결된 공기통로로 형성된다.
또, 상기 후드(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레인지 등의 주방기구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되어 상승되는 가스 및 증기를 보다 용이하게 흡입하도록 상기 주방기구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가스 및 증기를 흡입하는 하단면의 면적이 다른 후드(10)부분 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드(10)는 송풍기(11)와, 입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기(11)는 도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회전축에 결합된 다수의 날개판이 회전되면서 주변이 공기를 일방향으로 송풍하도록 형성된 통상의 송풍기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기(11)는 송풍되는 방향과 수직되도록 회전축이 형성되어 그 양측부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그 상부로 공기를 송풍하도록 된 송풍 기(11)로 구성된다.
또, 상기 송풍기(11)는 상기 후드(10)의 입구(20) 상부에 근접하여 그 회전축이 상기 입구(20)와 수평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설치되며, 송풍력이 증가되도록 2개 등 다수가 설치된다.
상기 입구(20)는 상기 후드(10)의 하단에 개구되며, 상기 주방기구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증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주방기구의 방향으로 개구된다.
또, 상기 입구(20)는 상기 후드(10)의 하단면 전체에 걸쳐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방기구에 대한 조명 등을 이루도록 상기 입구(20)의 외측에 조명장치 등이 더 설치된다.
상기 정화기(30)는 상기 후드(10)의 입구(20)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20)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유해가스나 기름기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정화기(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1)과, 흡기구(32)와, 필터(40)와 안내대(50) 및 고정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31)은 상기 입구(20)의 형성과 동일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전면에 공기가 유통되는 다수의 흡기구(32)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흡기구(32)는 상기 프레임(31)의 전면에 단일개로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31)의 전체에 걸쳐 다수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프레임(31)은 그 내측면에 접하는 필터(40)의 양단을 고정하도록 상기 프레임(31)의 양단에서 내측방향으로 격벽형상을 이루고 돌출되고 수직방향으로 굽혀져 형성된다.
상기 필터(40)는 상기 프레임(31)의 흡기구(3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도록 상기 프레임(31)의 형상과 동일판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기구(3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40)는 미세한 기공이 형성된 탄소화합물로 구성된다.
또, 상기 필터(40)는 상기 프레임(31)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격벽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격벽에 그 양단이 걸쳐 고정되도록 상기 한 쌍의 격벽 간 거리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40)는 상기 격벽의 굽혀진 부분에 그 양단이 프레임(31)의 내측면 방향으로 눌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격벽에 그 양단이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되면서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내대(50)는 상기 정화기(30)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송풍기(11)의 양측부로 분할하여 흡입하도록 상기 정화기(30)의 외측면 중앙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송풍기(11)의 회전축과 수직을 이루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대(50)는 상기 정화기(30)의 중앙에서 상기 송풍기(11)의 양측부로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51)으로 구성되며, 상기 송풍기(11)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경사면(51)이 그 외측단이 상호 맞접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안내대(50)는 상기 정화기(30)의 중앙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분할함과 더불어 경사면(51)을 따라 상기 분할된 공기가 더 벌어지면서 상기 송풍기의 양 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정화기(30)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꼭지점이 돌출되는 삼각형 단면 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60)은, 걸림돌기(61)와, 걸림홈(62)과, 고정노브(63)와, 연결축(64)과, 연결구(65)와, 고정걸쇠(66)와, 고정구(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돌기(61)는 상기 정화기(30)의 일단에서 상기 정화기(30)의 전면에 수평되는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62)은 상기 걸림돌기(61)가 돌출된 정화기(30)의 일단이 끼워지는 상기 입구(20)의 일단 내측면에 상기 걸림돌기(61)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노브(63)는 상기 걸림돌기(61)가 형성된 정화기(30) 일단에 반대되는 타단부 전면, 즉 상기 정화기(30)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노브(63)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한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축(64)은 상기 고정노브(63)에서 상기 정화기(30)의 타측부 프레임(31)으로 관통되는 봉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65)는 상기 연결축(64)이 관통되도록 상기 정화기(30)의 타측부 프레임(31) 전면에 관통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걸쇠(66)는 상기 정화기(30)를 관통하여 내측으로 돌출된 연결축(64)에 연결되며, 후술하는 고정구(67)에 삽입되고 회전되어 상기 고정구(67)의 내측에 걸쳐지도록 일방향으로 긴 막대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67)는 상기 정화기(30)의 타측부 프레임(31) 전면에 상기 고정걸쇠(66)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후드용 정화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드(10)가 작동되면, 상기 후드(10)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11)가 송풍 작동되고, 상기 송풍기(11)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송풍기(11)의 양측부에 위치된 공기가 상기 송풍기(11)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송풍기(11)의 상부로 송풍되어 배기된다.
상기 송풍기(11)의 양측부 공기가 송풍됨에 따라 상기 송풍기(11) 양측부의 기압이 저하되고, 이 저하된 부분으로 다른 부분의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송풍기(11)가 후드(10)의 입구(20)에 근접되어 설치됨에 따라 상기 송풍기(11)의 양측부로 상기 입구(20)에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입구(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입구(20)에 설치된 정화기(3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유입된다.
또, 상기 정화기(30)로 이동되는 공기는 상기 정화기(30)의 외측면에 돌출된 안내대(50)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송풍기(11)의 양측부로 흡입된다.
상기 정화기(30)의 양측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정화기(30)의 양측부 내측에 위치된 송풍기(11)의 양측부로 직접 흡입되어 상기 송풍기(11)로 흡입됨과 더불어 송풍기(11)의 상부로 배기된다.
또, 상기 정화기(30)의 중앙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정화기(30)의 외측면에 대해 대략 수직되도록 유입되고, 상기 정화기(30)의 중앙부에 형성된 안내 대(50)의 경사면(51)에 접해 상기 경사면(51)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진행방향이 변경되면서 상기 정화기(30)의 전면에 대해 소정각도 기울어져 이동된다.
상기 정화기(30)의 전면 중앙에서 양측으로 이동되고, 소정각도 기울어져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정화기(30)의 양측부를 통해 흡입됨과 더불어, 상기 정화기(30)의 양측 내부에 위치된 송풍기(11)의 양측부로 이동되어 송풍기(11)로 흡기된다.
이때, 상기 정화기(30)의 양측부와 상기 송풍기(11)의 양측부는 서로 연통됨과 더불어 근접해 있으므로, 상기 정화기(30)의 양측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송풍기(11)의 양측부로 바로 이동되면서 상기 송풍기(11)로 흡입되고, 상기 후드(10)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 상기 정화기(30)의 안내대(50) 경사면(51)을 따라 소정각도 기울어져 유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기(11)의 양측부로 직접 이동되면서 상기 송풍기(11)에 의해 송풍된다.
또한, 상기 정화기(30)를 상기 입구(20)에 설치하는 것은, 상기 정화기(30)의 일단에 돌출된 걸림돌기(61)를 상기 입구(20)의 일단 내측에 함몰된 걸림홈(62)에 끼워 상기 정화기(30)의 일단을 상기 입구(20)의 일단에 고정하고, 상기 정화기(30)의 타단부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걸쇠(66)를 상기 입구(20)의 타단 전면에 개구된 고정구(67)에 삽입하여 상기 정화기(30)를 상기 입구(20)에 끼워 넣는다.
즉, 상기 정화기(30)의 일단을 입구(20)의 일단에 걸치고, 상기 정화기(30)의 타단부를 상기 입구(20)의 타단에 접해 놓은 상태에서 상기 정화기(30)의 타단 부 전면에 돌출된 고정노브(63)를 약 90°정도 회전한다.
상기 고정노브(63)가 회전되면서 상기 고정노브(63)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축(64)이 회전되고, 이 연결축(64)이 회전되면서 이 연결축(64)에 결합된 고정걸쇠(66)가 상기 고정구(67)의 내측에서 회전된다.
상기 고정걸쇠(66)가 회전되면서 상기 고정걸쇠(66)와 동일한 형상으로 개구된 고정구(67)의 내측 외주부에 상기 고정걸쇠(66)가 걸쳐지고, 상기 고정걸쇠(66)가 상기 고정구(67)에 걸쳐지면서 상기 고정걸쇠(66)에 연결된 정화기(30)의 타단부가 상기 입구(20)의 타단에 고정된다.
또, 상기 정화기(30)의 필터(40)를 교체 및 수리하는 경우, 상기 정화기(30)를 상기 입구(20)에서 떼어내고, 상기 정화기(30)의 프레임(31) 내측면에 결합된 필터(40)를 상기 프레임(31) 내측면 양측 격벽에서 미끄럼 이동시켜 외측으로 이탈시켜 떼어내고, 새로운 필터(40) 및 수리된 필터(40)를 상기 프레임(31)의 내측 격벽 사이에 끼워 미끄럼 이동시켜서 상기 프레임(31)의 내측면에 필터(40)를 고정한다.
따라서, 후드(10)의 입구(20) 중앙부로 흡입되어 상기 후드(10)의 송풍기(11) 중앙부에 부딪쳐서 난류를 형성하거나, 송풍기(11)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공기를 상기 입구(20)에 설치된 정화기(30) 전면 중앙부의 안내대(50)가 상기 공기의 진행방향을 입구(20)의 양측부로 변경함과 더불어, 유입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공기가 입구(20)의 양측을 통해 유입됨과 더불어, 상기 송풍기(11)의 양측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정화기(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 기 송풍기(11)의 중앙부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고, 모두 상기 송풍기(11)의 양측부로 이동하도록 되어 상기 정화기(30)를 통해 유입된 공기 모두가 상기 송풍기(11)의 양측부로 직접 이동되면서 원활히 흡입된다.
또, 상기 정화기(30)의 일단 걸림돌기(61)를 상기 입구(20)의 일단에 끼워 걸친 상태에서, 상기 정화기(30)의 타단을 상기 입구(20)의 타단에 접함과 더불어, 고정노브(63)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정화기(30)의 양단이 고정되면서 조립 완료되도록 되어 상기 정화기(30)의 착/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정화기(30)의 필터(40)가 손상된 경우, 상기 필터(40)를 교체 또는 세척하여 재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정화기(30)를 재 사용하도록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후드의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송풍기의 양측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공기의 진행방향을 변경함과 더불어, 난류 등이 발생되는 상기 송풍기 중앙방향으로의 공기유입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후드로 유입된 공기가 난류를 형성하거나 송풍기로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 폐지되어 상기 송풍기의 송풍효율이 더 향상되도록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후드 입구에 설치되는 정화기를 상기 일부의 일측에 걸친 상태에서 이와 반대되는 방향 타측부의 고정걸쇠를 고정구에 삽입하고 회전시켜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정화기를 입구에 고정하도록 되어 상기 정화기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하단면에 공기가 흡입되도록 개구된 입구와, 이 입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양측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며 그 상부로 공기가 송풍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후드의 상기 입구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된 후드용 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정화기에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송풍기의 양측부로 안내하는 안내대가 구비된, 후드용 정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대는 입구 중앙부에서 송풍기의 양측 흡입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후드용 정화기.
  3. 하단면에 공기가 흡입되도록 개구된 입구와, 이 입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양측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며 그 상부로 공기가 송풍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후드의 상기 입구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된 후드용 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입구에 끼워지고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가 개구되어 있으며, 필터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 내대를 포함하는, 후드용 정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후드용 정화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돌릴 수 있게 형성된 고정노브와,
    상기 고정노브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관통된 연결축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관통된 연결축에 결합되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걸쇠와,
    상기 고정걸쇠가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걸쳐지도록 상기 고정걸쇠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입구에 개구된 고정구를 포함하는, 후드용 정화기.
KR1020060031148A 2006-04-05 2006-04-05 후드용 정화기 KR100735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148A KR100735952B1 (ko) 2006-04-05 2006-04-05 후드용 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148A KR100735952B1 (ko) 2006-04-05 2006-04-05 후드용 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952B1 true KR100735952B1 (ko) 2007-07-06

Family

ID=38503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148A KR100735952B1 (ko) 2006-04-05 2006-04-05 후드용 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37B1 (ko) * 2012-11-15 2014-08-01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장치
KR101578162B1 (ko) 2014-10-22 2015-12-16 박보람 주방 후드용 필터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4733A (ja) 1982-06-07 1983-12-14 Toshiba Corp レンジフ−ドフアン
JPH06159752A (ja) * 1992-11-27 1994-06-07 Shinko Kogyo Co Ltd クリーンルーム用ファンフィルターユニット
JP2000254427A (ja) 1999-03-09 2000-09-19 Toyo Aluminium Foil Products Kk フィルタ構造体
JP2002267224A (ja) 2001-03-05 2002-09-18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既設室のクリーンルーム化方法及び外付け式フィルタユニット
KR200383653Y1 (ko) 2005-02-25 2005-05-06 라니산업주식회사 레인지 후드용 필터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4733A (ja) 1982-06-07 1983-12-14 Toshiba Corp レンジフ−ドフアン
JPH06159752A (ja) * 1992-11-27 1994-06-07 Shinko Kogyo Co Ltd クリーンルーム用ファンフィルターユニット
JP2000254427A (ja) 1999-03-09 2000-09-19 Toyo Aluminium Foil Products Kk フィルタ構造体
JP2002267224A (ja) 2001-03-05 2002-09-18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既設室のクリーンルーム化方法及び外付け式フィルタユニット
KR200383653Y1 (ko) 2005-02-25 2005-05-06 라니산업주식회사 레인지 후드용 필터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37B1 (ko) * 2012-11-15 2014-08-01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장치
KR101578162B1 (ko) 2014-10-22 2015-12-16 박보람 주방 후드용 필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5333A (ko) 공기정화기
KR100735952B1 (ko) 후드용 정화기
KR101970531B1 (ko) 제연기가 구비된 자바라식 후드
JP2016176634A (ja) 熱交換気装置
CN101242770A (zh) 真空清洁器的过滤器安装结构
KR102325563B1 (ko) 이동식 조리연기 제거기
JP4626871B2 (ja) キッチン台
CN213066237U (zh) 空气净化装置和吸油烟机
KR200309976Y1 (ko) 공기순환식 고기구이기
CN207865482U (zh) 一种水洗一体化烟罩
CN114076327A (zh) 空气净化装置和吸油烟机
CN215808697U (zh) 吸油烟机
CN219346578U (zh) 一种抽油烟机
CN109915876A (zh) 风墙式吸油烟机
KR102431748B1 (ko) 흡기성능을 향상시킨 레인지 후드
CN211976968U (zh) 集烟罩及集成灶
CN213810783U (zh) 吸油烟机
KR20150002179A (ko) 층류 생성을 통한 소음 저감 및 흡입력 증강 기능을 갖는 유로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CN220287544U (zh) 一种吸油烟机
DK180793B1 (en) A kitchen installation for use in exhausting kitchen fumes and a structure and building comprising said kitchen installation
KR20030073187A (ko) 진공청소기 겸용 공기청정기
CN216557247U (zh) 集成灶
JP2023059634A (ja) 排煙装置
CN210354538U (zh) 一种具有清洁排风结构的除螨仪
CN217816940U (zh) 一种进烟口可调的吸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