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796B1 - 배전선 이음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 이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796B1
KR100735796B1 KR1020070022326A KR20070022326A KR100735796B1 KR 100735796 B1 KR100735796 B1 KR 100735796B1 KR 1020070022326 A KR1020070022326 A KR 1020070022326A KR 20070022326 A KR20070022326 A KR 20070022326A KR 100735796 B1 KR100735796 B1 KR 100735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istribution line
wire
receiving
inser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식
Original Assignee
(주)대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대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02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f conductive member or for holding it in position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음 장치 부재에 형성된 톱니 형상 부위가 배전선과 견고하게 맞물리며, 이음 장치 부재들이 서로 간에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맞물리고, 절연테이프가 필요없이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배전선 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전선(2100)을 이어주는 삽입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 블럭 부재의 중앙 부위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배전선(2100)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 배전선 관통구(102)를 포함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 블럭 부재 내부로 통과하는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를 포함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 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와 연속되되 타 블럭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 결합부(15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삽입블럭부(100), 배전선(2100)을 이어주는 수용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 블럭 부재의 중앙 부위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배전선(2100)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 배전선 관통구(502)를 포함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블럭부 결합부(150)와 외주부위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 결합부(550)를 포함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블럭부 결합부(550) 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블럭부 결합부(550)와 연속되되 두 개의 상기 배전선(2100)이 만나서 이어진 부위인 전선 이음부(2200)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부위인 중간 연결 부(570)를 포함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 연결부(570)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 블럭 부재 내부로 통과하는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 전선물림부(51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용블럭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전선 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선.

Description

배전선 이음 장치.{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line}
도 1은 본 발명 배전선 이음 장치의 단면도로, 삽입블럭부(100)와 수용블럭부(500)가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배전선 이음 장치의 구성요소인 삽입블럭부(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배전선 이음 장치의 구성요소인 수용블럭부(500)의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삽입블럭부 102 : 삽입블럭부 배전선 관통구
110 :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 112 : 삽입블럭부내 볼트 결합홈
115 :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116 : 삽입블럭부내 압박블럭부 톱니형상부
117 :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중앙관통구
118 :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내장부
119 : 삽입블럭부내 전선물림부 톱니형상부
121 :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당김핀 결합홈
150 : 수용블럭부 결합부
151 : 삽입블럭부내 조임볼트부 무나사부
152 : 삽입블럭부내 조임볼트부 수나사산부
155 : 돌출부 160 : 삽입블럭부내 조임볼트부 500 : 수용블럭부
502 : 수용블럭부 배전선 관통구 510 : 수용블럭부 전선물림부
512 : 수용블럭부내 볼트 결합홈
515 :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516 : 수용블럭부내 압박블럭부 톱니형상부
517 :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중앙관통구
518 :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내장부
519 : 수용블럭부내 전선물림부 톱니형상부
521 :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당김핀 결합홈
550 : 삽입블럭부 결합부
551 : 수용블럭부내 조임볼트부 무나사부
552 : 수용블럭부내 조임볼트부 수나사산부
555 : 돌출부 관통부 557 : 삽입블럭부 수용부
558 : 수용부 테두리부 560 : 수용블럭부내 조임볼트부
570 : 중간 연결부 2100 : 배전선
2200 : 전선 이음부
본 발명은 배전선 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전선(2100)을 이어주는 삽입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 블럭 부재의 중앙 부위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배전선(2100)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 배전선 관통구(102)를 포함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 블럭 부재 내부로 통과하는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를 포함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 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와 연속되되 타 블럭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 결합부(15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삽입블럭부(100), 배전선(2100)을 이어주는 수용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 블럭 부재의 중앙 부위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배전선(2100)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 배전선 관통구(502)를 포함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블럭부 결합부(150)와 외주부위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 결합부(550)를 포함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블럭부 결합부(550) 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블럭부 결합부(550)와 연속되되 두 개의 상기 배전선(2100)이 만나서 이어진 부위인 전선 이음부(2200)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부위인 중간 연결부(570)를 포함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 연결부(570)보다 더 작은 지 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 블럭 부재 내부로 통과하는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 전선물림부(51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용블럭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전선 이음 장치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이음 장치 부재에 형성된 톱니 형상 부위가 배전선과 견고하게 맞물리며, 이음 장치 부재들이 서로 간에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맞물리고, 절연테이프가 필요없이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배전선 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선을 이어 주지 않고 설치할 수 있으면 좋지만, 배전선을 이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이음 기구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음 기구로부터 배전선이 일탈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이음 장치 부재에 형성된 톱니 형상 부위가 배전선과 견고하게 맞물리는 배전선 이음 장치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이음 기구간에 결합이 헐거워질수도 있다.
만약, 이음 장치 부재들이 서로 간에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맞물린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절연테이프가 필요없이 조립된다면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음 장치 부재에 형성된 톱니 형상 부위가 배전선과 견고하게 맞물리는 배전선 이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음 장치 부재들이 서로 간에 분리되지 않도록 견 고하게 맞물리는 배전선 이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연테이프가 필요없이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배전선 이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배전선 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삽입블럭부(100), 수용블럭부(5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 배전선 이음 장치의 단면도로, 삽입블럭부(100)와 수용블럭부(500)가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제 2도는 본 발명 배전선 이음 장치의 구성요소인 삽입블럭부(100)의 사시도이다.
제 3도는 본 발명 배전선 이음 장치의 구성요소인 수용블럭부(5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배전선(2100)을 이어주는 삽입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 블럭 부재의 중앙 부위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배전선(2100)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 배전선 관통구(102)를 포함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 블럭 부재 내부로 통과하는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를 포함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 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와 연속되되 타 블럭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 부 결합부(15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삽입블럭부(100), 배전선(2100)을 이어주는 수용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 블럭 부재의 중앙 부위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배전선(2100)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 배전선 관통구(502)를 포함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블럭부 결합부(150)와 외주부위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 결합부(550)를 포함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블럭부 결합부(550) 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블럭부 결합부(550)와 연속되되 두 개의 상기 배전선(2100)이 만나서 이어진 부위인 전선 이음부(2200)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부위인 중간 연결부(570)를 포함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 연결부(570)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 블럭 부재 내부로 통과하는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 전선물림부(51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용블럭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블럭부(100), 상기 수용블럭부(500)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도는 본 발명 배전선 이음 장치의 구성요소인 삽입블럭부(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는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의 내부에 내장되는 압박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압박 블럭 부재의 면들 중에서 상기 배전선(2100)과 접촉하는 면은 톱니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내 압박블럭부 톱니형상부(116)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압박 블럭 부재의 상부면의 중앙 부위에 원형 홈으로 형성되되 조임 볼트 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내 볼트 결합홈(112)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115),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의 중간 부위에 형성되며, 빈 공간 부위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115)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내장부(118),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내의 상기 삽입블럭부 배전선 관통구(102)의 내부 표면 중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115)와 마주보고 있는 부위의 원주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원주 표면은 톱니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115)가 상기 배전선(2100)을 압박할 때 상기 톱니 형상 부위가 상기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내 전선물림부 톱니형상부(119),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의 중간 부위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볼트부내 볼트 결합홈(112)과 일치하는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 볼트 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중앙관통구(117), 상기 조임 볼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조임 볼트 부재의 단부는 나사산이 없는 삽입블럭부내 조임볼트부 무나사부(151)를 포함하고,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중앙관통구(117)와 체결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내 조임볼트부 수나사산부(152)를 포함하는 삽입블럭부내 조임볼트부(16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115)는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있다.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배전선(2100)을 상기 삽입블럭부 배전선 관통구(102) 안으로 삽입하려 할 경우에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115)가 밑으로 쳐져 있으면 상기 삽입블럭부 배전선 관통구(102)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115)를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삽입블럭부(100)를 회전시켜서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115)가 아랫 쪽으로 오도록 해주면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115)는 상기 삽입블럭부 배전선 관통구(102)를 가로막지 않게 되어 상기 배전선(2100)이 자연스럽게 통과해 나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볼트부내 볼트 결합홈(112)에 작은 홈인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당김핀 결합홈(121)을 형성해 주고,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당김핀 결합홈(121)에 갈고리형의 핀을 걸어서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115)를 원하는 위치로 당겨주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삽입블럭부내 조임볼트부(160)의 상기 삽입블럭부내 조임볼트부 무나사부(151)가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115)를 밀어주게 되면, 상기 삽입블럭부내 압박블럭부 톱니형상부(116)와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물림부 톱니형상부(119)는 상기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게 된다.
따라서, 이음 장치 부재에 형성된 톱니 형상 부위가 배전선과 견고하게 맞물리는 배전선 이음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조임 볼트 부재의 단부는 나사산이 없는 삽입블럭부내 조임볼트부 무나 사부(151)를 포함하고,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중앙관통구(117)와 체결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내 조임볼트부 수나사산부(152)를 포함하는 삽입블럭부내 조임볼트부(16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블럭부 결합부(150)는 상기 수용블럭부 결합부(150)의 외주부위에 상기 삽입블럭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돌출부위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위는 돌출부위 자체가 탄력성을 가지거나 상기 돌출부위를 받쳐주는 탄성체 부위가 있어서 외부 힘을 받으면 눌려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위인 돌출부(155)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용수철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도는 본 발명 배전선 이음 장치의 구성요소인 수용블럭부(500)의 사시도이다.
상기 삽입블럭부 결합부(550)는 상기 수용블럭부 결합부(150)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부분으로 형성되는 삽입블럭부 수용부(557), 상기 삽입블럭부 수용부(557)의 테두리로 형성되는 수용부 테두리부(558)를 관통하되 상기 수용블럭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폭이 좁으면서 기다랗게 구멍 뚫린 관통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위에는 상기 수용블럭부 결합부(150)의 외주부위에 상기 삽입블럭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위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 관통부(555)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블럭부 결합부(150)의 상기 돌출부(155)와 상기 삽입블럭부 결합부(550)의 상기 돌출부 관통부(555)는 한 번 결합하면 분리할 수 없으며, 상기 수용블럭부 결합부(150)와 상기 삽입블럭부 결합부(550)는 한 번 사용되면 안전성을 위해 재활용하지 않고 폐기한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수용블럭부 결합부(150)와 상기 삽입블럭부 결합부(550)는 한 번 결합하면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음 장치 부재들이 서로 간에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맞물리는 배전선 이음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수용블럭부 전선물림부(510)는 상기 수용블럭부 전선물림부(510)의 내부에 내장되는 압박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압박 블럭 부재의 면들 중에서 상기 배전선(2100)과 접촉하는 면은 톱니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내 압박블럭부 톱니형상부(516)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압박 블럭 부재의 상부면의 중앙 부위에 원형 홈으로 형성되되 조임 볼트 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내 볼트 결합홈(512)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515), 상기 수용블럭부 전선물림부(510)의 중간 부위에 형성되며, 빈 공간 부위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515)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내장부(518), 상기 수용블럭부 전선물림부(510)내의 상기 수용블럭부 배전선 관통구(502)의 내부 표면 중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515)와 마주보고 있는 부위의 원주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원주 표면은 톱니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515)가 상기 배전선(2100)을 압박할 때 상기 톱니 형상 부위가 상기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내 전선물림부 톱니형상부(519), 상기 수용블럭부 전선물림부(510)의 중간 부위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볼트부내 볼트 결합홈(512)과 일치하는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 볼트 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중앙관통구(517), 상기 조임 볼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조임 볼트 부재의 단부는 나사산이 없는 수용블럭부내 조임볼트부 무나사부(551)를 포함하고,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중앙관통구(517)와 체결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내 조임볼트부 수나사산부(552)를 포함하는 수용블럭부내 조임볼트부(56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515)는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있다.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배전선(2100)을 상기 수용블럭부 배전선 관통구(502) 안으로 삽입하려 할 경우에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515)가 밑으로 쳐져 있으면 상기 수용블럭부 배전선 관통구(502)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515)를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용블럭부(500)를 회전시켜서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515)가 아랫 쪽으로 오도록 해주면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515)는 상기 수용블럭부 배전선 관통구(502)를 가로막지 않게 되어 상기 배전선(2100)이 자연스럽게 통과해 나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볼트부내 볼트 결합홈(512)에 작 은 홈인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당김핀 결합홈(521)을 형성해 주고,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당김핀 결합홈(521)에 갈고리형의 핀을 걸어서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515)를 원하는 위치로 당겨주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수용블럭부내 조임볼트부(560)의 상기 수용블럭부내 조임볼트부 무나사부(551)가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515)를 밀어주게 되면, 상기 수용블럭부내 압박블럭부 톱니형상부(516)와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물림부 톱니형상부(519)는 상기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게 된다.
따라서, 이음 장치 부재에 형성된 톱니 형상 부위가 배전선과 견고하게 맞물리는 배전선 이음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삽입블럭부(100), 상기 수용블럭부(500)는 조립부재이어서 절연테이프가 필요없이 조립된다.
따라서, 절연테이프가 필요없이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배전선 이음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이음 장치 부재에 형성된 톱니 형상 부위가 배전선과 견고하게 맞물리는 배전선 이음 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이음 장치 부재들이 서로 간에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맞물리는 배전선 이음 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절연테이프가 필요없이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배전선 이음 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배전선(2100)을 이어주는 삽입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 블럭 부재의 중앙 부위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배전선(2100)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 배전선 관통구(102)를 포함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 블럭 부재 내부로 통과하는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를 포함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 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와 연속되되 타 블럭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 결합부(15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삽입블럭부(100);
    배전선(2100)을 이어주는 수용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 블럭 부재의 중앙 부위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배전선(2100)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 배전선 관통구(502)를 포함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블럭부 결합부(150)와 외주부위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 결합부(550)를 포함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블럭부 결합부(550) 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블럭부 결합부(550)와 연속되되 두 개의 상기 배전선(2100)이 만나서 이어진 부위인 전선 이음부(2200)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부위인 중간 연결부(570)를 포함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 연결부(570)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 블럭 부재 내부로 통과하는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 전선물림부(51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용블럭부(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전선 이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는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의 내부에 내장되는 압박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압박 블럭 부재의 면들 중에서 상기 배전선(2100)과 접촉하는 면은 톱니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내 압박블럭부 톱니형상부(116)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압박 블럭 부재의 상부면의 중앙 부위에 원형 홈으로 형성되되 조임 볼트 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내 볼트 결합홈(112)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115);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의 중간 부위에 형성되며, 빈 공간 부위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115)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내장부(118);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내의 상기 삽입블럭부 배전선 관통구(102)의 내부 표면 중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115)와 마주보고 있는 부위의 원주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원주 표면은 톱니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115)가 상기 배전선(2100)을 압박할 때 상기 톱니 형상 부위가 상기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내 전선물림부 톱니형상부(119);
    상기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110)의 중간 부위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볼트부내 볼트 결합홈(112)과 일치하는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 볼트 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중앙관통구(117);
    상기 조임 볼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조임 볼트 부재의 단부는 나사산이 없는 삽입블럭부내 조임볼트부 무나사부(151)를 포함하고,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중앙관통구(117)와 체결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블럭부내 조임볼트부 수나사산부(152)를 포함하는 삽입블럭부내 조임볼트부(16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삽입블럭부 전선물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이음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블럭부 결합부(150)는
    상기 수용블럭부 결합부(150)의 외주부위에 상기 삽입블럭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돌출부위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위는 돌출부위 자체가 탄력성을 가지거나 상기 돌출부위를 받쳐주는 탄성체 부위가 있어서 외부 힘을 받으면 눌려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위인 돌출부(155);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용블럭부 결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이음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블럭부 결합부(550)는
    상기 수용블럭부 결합부(150)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부분으로 형성되는 삽입블럭부 수용부(557);
    상기 삽입블럭부 수용부(557)의 테두리로 형성되는 수용부 테두리부(558)를 관통하되 상기 수용블럭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폭이 좁으면서 기다랗게 구멍 뚫린 관통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위에는 상기 수용블럭부 결합부(150)의 외주부위에 상기 삽입블럭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위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 관통부(555);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용블럭부 결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이음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블럭부 전선물림부(510)는
    상기 수용블럭부 전선물림부(510)의 내부에 내장되는 압박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압박 블럭 부재의 면들 중에서 상기 배전선(2100)과 접촉하는 면은 톱니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내 압박블럭부 톱니형상부(516)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압박 블럭 부재의 상부면의 중앙 부위에 원형 홈으로 형성되되 조임 볼트 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내 볼트 결합홈(512)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515);
    상기 수용블럭부 전선물림부(510)의 중간 부위에 형성되며, 빈 공간 부위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515)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내장부(518);
    상기 수용블럭부 전선물림부(510)내의 상기 수용블럭부 배전선 관통구(502)의 내부 표면 중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515)와 마주보고 있는 부위의 원주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원주 표면은 톱니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515)가 상기 배전선(2100)을 압박할 때 상기 톱니 형상 부위가 상기 배전선(2100)을 꽉 물어 주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내 전선물림부 톱니형상부(519);
    상기 수용블럭부 전선물림부(510)의 중간 부위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볼트부내 볼트 결합홈(512)과 일치하는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 볼트 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중앙관통구(517);
    상기 조임 볼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조임 볼트 부재의 단부는 나사산이 없는 수용블럭부내 조임볼트부 무나사부(551)를 포함하고,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블럭부내 전선 압박 블럭부 중앙관통구(517)와 체결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블럭부내 조임볼트부 수나사산부(552)를 포함하는 수용블럭부내 조임볼트부(56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용블럭부 전선물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이음 장치.
KR1020070022326A 2007-03-07 2007-03-07 배전선 이음 장치. KR100735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326A KR100735796B1 (ko) 2007-03-07 2007-03-07 배전선 이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326A KR100735796B1 (ko) 2007-03-07 2007-03-07 배전선 이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796B1 true KR100735796B1 (ko) 2007-07-06

Family

ID=3850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326A KR100735796B1 (ko) 2007-03-07 2007-03-07 배전선 이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557B1 (ko) 2008-01-24 2008-09-26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송전 또는 배전선 이음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158A (ko) * 1984-08-13 1986-03-26 전제진 전선의 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158A (ko) * 1984-08-13 1986-03-26 전제진 전선의 이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557B1 (ko) 2008-01-24 2008-09-26 (주)토인이앤씨건축사사무소 송전 또는 배전선 이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4255B2 (en) Electrical connec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US5041012A (en) Insulation piercing electrical clamp connector
US8215884B2 (en) Connector for use in high vibration environment
AU2017325573B2 (en) Splice with tap clamp
GB2423332A (en) Plug and socket structural connector
KR20180051623A (ko) 차량 전원 시스템과 배터리 핀 간에 전기 연결을 위한 전기 접촉장치와 배터리 핀
JP2005123195A (ja) 改善されたケーブルシール部を備えたプラグケーシング
KR100735796B1 (ko) 배전선 이음 장치.
KR200434256Y1 (ko) 고압호스 연결구
CA2434987C (en) Device for connecting cables
RU2524922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х коробок
US8021184B1 (en) Connector apparatus for joining a lug with a conductor
US20120037419A1 (en) Cable terminatio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KR20170003176U (ko) 라이팅 커넥터
CN112889190B (zh) 电源连接器
KR100660624B1 (ko) 배전선로 인장 클램프.
JPH082923Y2 (ja) 端子接続装置
JP2009205830A (ja) 電線接続用スリーブ
KR20150035203A (ko) 전선 접속장치
KR200431684Y1 (ko) 놀이기구용 파이프 연결조인트
GB2465609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66197B1 (ko)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
JP2009295350A (ja) 電線コネクタ
KR100495270B1 (ko) 동축케이블 컨넥터
KR101965234B1 (ko)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