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176U - 라이팅 커넥터 - Google Patents
라이팅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3176U KR20170003176U KR2020160001134U KR20160001134U KR20170003176U KR 20170003176 U KR20170003176 U KR 20170003176U KR 2020160001134 U KR2020160001134 U KR 2020160001134U KR 20160001134 U KR20160001134 U KR 20160001134U KR 20170003176 U KR20170003176 U KR 2017000317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pin
- connector
- elas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일단에 전기 접속을 위한 접속핀이 형성되고 타단에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전선접속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핀단자와, 상기 핀단자의 전선접속부에 전선을 각각 접속시키기 위한 탄성판과, 상기 탄성판의 상측에 각각 장착된 너트와, 상기 핀단자와 상기 탄성판 및 상기 너트들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가 형성된 메일바디와, 상기 너트와의 나사결합에 의한 조임토크에 따라 상기 탄성판을 상기 전선접속부를 향해 누르는 복수 개의 볼트와, 상기 메일바디에 대응 결합되고, 상면 한쪽에 상기 볼트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볼트관통공이 형성되고 다른 쪽에 걸림구멍이 형성된 메일커버를 포함하는 메일커넥터 및 일단에 상기 핀단자의 접속핀이 끼워지고 타단에 전원공급용 전선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압착단자와, 상기 압착단자들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가 형성된 피메일바디와, 상기 피메일바디에 대응 결합되고, 상면에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메일커버의 걸림구멍에 탄력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탄성돌기가 형성된 피메일커버를 포함하는 피메일커넥터로 이루어진 등기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라이팅 커넥터(lighting connect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기구의 전선과 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시설하는 전선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결선할 수 있는 등기구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기구에 설치되는 안정기 또는 전원공급장치(컨버터)의 전선과 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 즉 옥내배선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선의 피복을 일부 벗긴 뒤 노출된 심선을 서로 비틀어 꼬아서 잇고, 그 이음 부분을 절연테이프로 감아서 래핑(wrapping)하는 방법은 대개 피복을 잘라내고 심선을 비틀기 위한 롱노즈 플라이어와 같은 별도의 공구 및 절연테이프가 필요하고, 그 작업도 번거로운 데다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자칫 감전 위험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기구의 전선과 전원공급용 전선을 공구와 절연테이프 없이도 간편하게 연결하고, 또 등기구의 부품 교체나 수리 등 필요 시 전선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이른바 직결형 커넥터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등기구용 커넥터(A)는 양단부에 등기구의 전선과 전원공급용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접속공간(20a, 20b)이 형성되고, 그 접속공간(20a, 20b) 내에 통전부재(8)와 탄지부재(9)가 각각 장착된 단자본체(2)와, 상기 단자본체(2)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탄지부재(9)를 눌러주어 접속공간(20a, 20b)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편체(6)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등기구용 커넥터(A)는 등기구에 장착된 채로 제공되고, 이를 천장 등에 설치 시에는 작업자의 시선이 천장을 향하도록 고개를 쳐들고 전원공급용 전선을 단자본체(2)에 형성된 접속공간(20a, 20b)으로 정확하게 끼워넣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전원공급용 전선이 단자본체(2)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헐겁게 끼워진 정도에 불과하므로 등기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쉽게 유동 및 분리되면서 접촉불량으로 인한 오작동이 종종 일어나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커넥터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등기구의 전선과 전원공급용 전선을 탈부착 방식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등기구 설치에 따른 작업능률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등기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서 본 고안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등기구의 전선과 전원공급용 전선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양태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본 고안에서는 일단에 전기 접속을 위한 접속핀이 형성되고 타단에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전선접속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핀단자와, 상기 핀단자의 전선접속부에 전선을 각각 접속시키기 위한 탄성판과, 상기 탄성판의 상측에 각각 장착된 너트와, 상기 핀단자와 상기 탄성판 및 상기 너트들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가 형성된 메일바디와, 상기 너트와의 나사결합에 의한 조임토크에 따라 상기 탄성판을 상기 전선접속부를 향해 누르는 복수 개의 볼트와, 상기 메일바디에 대응 결합되고, 상면 한쪽에 상기 볼트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볼트관통공이 형성되고 다른 쪽에 걸림구멍이 형성된 메일커버를 포함하는 메일커넥터 및 일단에 상기 핀단자의 접속핀이 끼워지고 타단에 전원공급용 전선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압착단자와, 상기 압착단자들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일커넥터와 대향면에 삽입돌부가 형성된 피메일바디와, 상기 피메일바디에 대응 결합되고, 상면에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메일커버의 걸림구멍에 탄력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탄성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메일커넥터와 대향면에 삽입돌부가 형성된 피메일커버를 포함하는 피메일커넥터로 이루어진 등기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시한다.
이로써 등기구의 전선과 전원공급용 전선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천장 등에 등기구를 설치 시 결선작업이 한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메일커넥터의 중심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됨으로써 등기구에 메일커넥터를 나사못으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고, 상기 메일커넥터의 하부에는 끼움판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등기구에 끼워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피메일커버의 상면에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탄성판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판의 상면에 상기 피메일커버의 탄성돌기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의 탈부착이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메일바디 및 상기 피메일바디의 양측 가장자리에 다수 개의 결합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상기 메일커버 및 상기 피메일커버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각각의 결합구멍에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걸고리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 각각의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고안의 실시 양태는, 등기구의 전선과 전원공급용 전선을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함으로써 등기구의 설치작업이 한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천장 등에 등기구를 설치 시 결선에 따른 작업능률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등기구의 전선과 전원공급용 전선의 결선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접촉불량으로 인한 오작동 발생이 없는 등 결선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등기구용 커넥터를 예시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등기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등기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중 메일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등기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중 메일커넥터의 메일커버와 피메일커넥터의 피메일커버를 뒤집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등기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등기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결합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등기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등기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중 메일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등기구용 커넥터 어셈블리 중 메일커넥터의 메일커버와 피메일커넥터의 피메일커버를 뒤집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등기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등기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결합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등기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크게 등기구에 설치되는 안정기 또는 전원공급장치(컨버터)의 전선과 접속 결합되는 메일커넥터(10)와, 전기 공급을 위한 전선과 접속 결합되는 피메일커넥터(20)로 이루어져 있다.
<메일커넥터>
메일커넥터(10)는 피메일커넥터(20)와 물리적인 접속 시에 등기구의 전선과, 전기 공급을 위한 전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메일커넥터(10)는 핀단자(11), 탄성판(12), 너트(13), 메일바디(14), 볼트(15) 및 메일커버(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핀단자(11)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는 피메일커넥터(20)의 압착단자(21)와 암수 결합방식으로 전기 접속을 위한 접속핀(11a)이 형성되어 있고, 또 그 길이 방향의 타단에는 등기구의 전선과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선접속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핀단자의 접속핀(11a)은 피메일커넥터(20)의 압착단자(21)에 삽입 및 이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전도체 판을 마치 총알처럼 그 끝 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말거나 성형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핀단자의 전선접속부(11b)는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상면에는 등기구의 전선이 더욱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가로 또는 경사지게 깔쭉깔쭉한 모양을 내는 널링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핀단자(11)의 중심부, 즉 접속핀(11a)과 전선접속부(11b) 사이에는 메일바디의 끼움돌기(14c)가 끼워지는 제1끼움구멍(11c)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제1끼움구멍(11c)의 중심에서 사방으로 탄성판(12)이 위에 겹쳐진 상태에서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돌기(11d)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탄성판(12)의 길이 방향 일단에는 핀단자의 전선접속부(11b)에 전선을 안정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탄성부(12a)가 탄성을 지니도록 호형 곡선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의 타단에는 핀단자(11) 위에 겹쳐진 채로 메일바디의 끼움돌기(14c)가 끼워지는 제2끼움구멍(12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제2끼움구멍(12b)의 중심에서 사방으로 핀단자의 회전방지돌기(11d)가 끼워지는 회전방지구멍(12c)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탄성판(12)은 전도체 판을 탄성을 지니도록 곡선형으로 벤딩하여 형성하고, 그 탄성부(12a)의 상면에는 볼트(15)가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가로 또는 경사지게 깔쭉깔쭉한 모양을 내는 널링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트(13)는 핀단자의 전선접속부(11b)와 탄성판(12)을 함께 감싸면서 메일바디의 단자결합부(14a)에 삽입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너트(13)는 핀단자의 전선접속부(11b)와 탄성판(12)을 감싸도록 수평부의 양단에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수평부의 가운데 부분에 볼트(15)와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마치 홈 형강(channel)처럼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일바디(14)는 복수 개의 핀단자(11)와 탄성판(12) 및 너트(13)들을 각각 구획하여 결합하기 위해 그 상면 한쪽에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14a)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자결합부(14a)의 가운데 부분에는 핀단자(11)의 중심부와 탄성판(12)의 타단이 겹쳐진 채로 끼워지는 끼움돌기(14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일바디(14)의 피메일바디(22)와 마주하는 쪽의 내부 공간에는 피메일바디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제1삽입돌부(24)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그 제1삽입돌부(2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삽입홈부(14d)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메일바디(14)의 단자결합부(14a)는 핀단자(11)와 탄성판(12) 및 너트(13)들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그 핀단자(11)와 탄성판(12) 및 너트(13)들이 구획하여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메일바디의 단자결합부(14a)에 복수 개의 핀단자(11)와 탄성판(12) 및 너트(13)들이 각각 구획하여 위치됨으로써 핀단자(11)와 탄성판(12)에 접속되는 등기구의 전선이 단락 및 합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메일바디(14)는 강도 및 내화성을 확보하고 취급이 용이하도록 실리콘 등의 수지재질이나 혹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과 같은 경량의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15)는 메일커버(16)의 볼트관통공(16a)을 통해 너트(13)와 나사결합된 채로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볼트(15)는 너트(13)와의 나사결합에 의한 조임토크에 따라 탄성판(12)을 하방으로, 즉 전선접속부(11b)를 향해 눌러서 그 탄성판(12)과 전선접속부(11b) 사이의 틈에 끼워지는 등기구의 전선이 전선접속부(11b)에 안정적으로 접속되도록 유도 및 지지한다.
메일커버(16)는 복수 개의 핀단자(11)와 탄성판(12) 및 너트(13)들을 상측에서 감싸듯이 메일바디(14)에 대응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메일커버(16)의 상면 한쪽에는 볼트(15)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볼트관통공(16a)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에는 피메일커넥터(20)와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구멍(1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일커버(16)의 피메일커버(23)와 마주하는 쪽의 내부 공간에는 피메일커버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제2삽입돌부(25)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그 제2삽입돌부(2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2삽입홈부(16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커버(16)의 메일바디(14)와 마주하는 면의 내부 공간에는 메일바디의 끼움돌기(14c)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16e)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메일커버(16)는 메일바디(14)와 마찬가지로 강도 및 내화성을 확보하고 취급이 용이하도록 실리콘 등의 수지재질이나 혹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과 같은 경량의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일바디(14)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구멍(14b)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는 위치, 즉 메일커버(16)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결합구멍(14b)에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걸고리(16c)가 메일바디(14)를 향해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일커넥터(10)의 중심부에는 등기구에 나사못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구멍(17)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등기구에 슬라이딩 끼움 결합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끼움판(1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피메일커넥터>
피메일커넥터(20)는 메일커넥터(10)와 물리적인 접속 시에 등기구의 전선과, 전기 공급을 위한 전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피메일커넥터(20)는 압착단자(21), 피메일바디(22) 및 피메일커버(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압착단자(21)의 길이 방향의 일단은 핀단자의 접속핀(11a)이 탈부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전기 공급을 위한 전선을 끼워넣고 압착하여 그 전선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압착단자(21)의 길이 방향 양단 중 핀단자(11)와 대향하는 쪽은 핀단자의 접속핀(11a)이 원활하게 삽입 및 이탈되도록 전도체 판을 탄성을 지니면서 핀단자의 접속핀(11a)과 대응되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메일바디(22)는 상면에 압착단자(21)들을 각각 구획하여 결합하기 위해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22a)가 형성되어 있고, 메일커넥터(10)와 마주하는 측면에는 그 메일커넥터(10)의 내부, 즉 제1삽입홈부(14d)로 삽입 결합되는 제1삽입돌부(2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피메일바디(22)의 단자결합부(22a)는 압착단자(21)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압착단자(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획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피메일바디의 단자결합부(22a)에 복수 개의 압착단자(21)들이 각각 구획하여 위치됨으로써 압착단자(21)에 접속되는 전기 공급을 위한 전선이 단락 및 합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피메일바디(22)는 강도 및 내화성을 확보하고 취급이 용이하도록 실리콘 등의 수지재질이나 혹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과 같은 경량의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메일커버(23)는 복수 개의 압착단자(21)들을 상측에서 감싸듯이 피메일바디(22)에 대응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피메일커버(23)의 상면에는 탄성 변형에 의해 메일커버의 결합구멍(16b)에 탄력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탄성돌기(23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탄성돌기(23b)는 피메일커버(23)의 상면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탄성판(23a)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돌기(23b)는 메일커버의 걸림구멍(16b)에 미끄러지듯이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해 메일커버(16) 쪽으로 향해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메일커넥터(10)에 피메일커넥터(20)를 끼워넣을 때 피메일커버의 탄성돌기(23b)가 메일커버(16)와 접촉간섭을 일으키게 되고, 이렇게 되면 탄성판(23a)이 자체 탄성에 의해 하방으로 휘어지면서 탄성돌기(23b)가 메일커버(16)와의 접촉간섭에도 미끄러지듯이 끼워지다가 메일커버의 걸림구멍(16b)에 위치되면 탄성판(23a)의 탄성에 원래대로 복귀하여 자연스럽게 걸림구멍(16b)과 걸림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메일커넥터(10)와 피메일커넥터(20)의 결속된 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손가락 등으로 탄성판(23a)을 누르면 그 탄성에 의해 하방으로 휘어지면서 자연스럽게 탄성돌기(23b)가 걸림구멍(16b)에서 이탈되고, 이렇게 되면 탄성돌기(23b)와 걸림구멍(16b) 간의 접촉간섭이 해제되므로 메일커넥터(10)에 끼워진 상태의 피메일커넥터(20)를 빼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메일커버(23)의 피메일바디(22)와 마주하는 면의 내부 공간에는 압착단자(21)들을 각각 구획하여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23d)가 그 압착단자(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압착단자(21) 중 전기 공급을 위한 전선을 끼워넣고 압착하는 부분과 대향하는 면의 내부 공간에는 그 압착단자(21)와 전선을 동시에 눌러서 고정하는 고정돌기(23e)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피메일커버(23)의 하면 중 압착단자(21)들의 핀단자의 접속핀(11a)이 끼워지는 부분과 대향하는 면에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23d)를 형성하고, 여기에 압착단자(21)들을 각각 구획하여 위치시킴으로써 압착단자(21)에 접속되는 전기 공급을 위한 전선이 단락 및 합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압착단자(21)들의 전원공급용 전선을 끼워넣는 부분과 대향하는 면에 고정돌기(23e)가 각각 돌출 형성함으로써 피메일바디(22)와 결합 시 압착단자(21)와 전선을 동시에 눌러서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피메일커버(23)의 메일커넥터(10)와 마주하는 측면에는 그 메일커버(16)의 내부, 즉 제2삽입홈부(16d)로 삽입 결합되는 제2삽입돌부(2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피메일커버(23)는 피메일바디(22)와 마찬가지로 강도 및 내화성을 확보하고 취급이 용이하도록 실리콘 등의 수지재질이나 혹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과 같은 경량의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메일바디(2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구멍(22b)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는 위치, 즉 피메일커버(23)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결합구멍(22b)에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걸고리(23c)가 피메일바디(22)를 향해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피메일바디(22)와 피메일커버(23)는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해 나사못을 돌려 박아 고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등기구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등기구의 전선 끝 부분에다가 메일커넥터(10)의 핀단자(11)를 결선하고, 전기 공급을 위한 전선, 즉 옥내배선에는 피메일커넥터(20)의 압착단자(21)를 결선함으로써 천장 등에 등기구를 설치하거나 혹은 이미 설치된 상태의 등기구를 점검 또는 교체 등을 위해 분리할 시에 상호 간을 접속 및 접속 해제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등기구의 설치 또는 교체, 유지보수작업이 한결 간편할 수 있다.
따라서 천장 등에 등기구를 설치나 교체 및 유지보수 시에 작업의 편의성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시간과 작업공정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나아가 메일커넥터(10)와 피메일커넥터(20)의 암수 결합방식으로 접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촉불량으로 인한 오작동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전기 공급을 위한 전선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등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메일커넥터 11: 핀단자
11a: 접속핀 11b: 전선접속부
12: 탄성판 13: 너트
14: 메일바디 14a: 단자결합부
14b: 결합구멍 14c: 끼움돌기
14d: 제1삽입홈부 15: 볼트
16: 메일커버 16a: 볼트관통공
16b: 걸림구멍 16c: 걸고리
16d: 제2삽입홈부
17: 관통구멍 18: 끼움판
20: 피메일커넥터 21: 압착단자
22: 피메일바디 22a: 단자결합부
22b: 결합구멍 23: 피메일커버
23a: 탄성판 23b: 탄성돌기
23c: 걸고리 23d: 단자결합부
24: 제1삽입돌부 25: 제2삽입돌부
11a: 접속핀 11b: 전선접속부
12: 탄성판 13: 너트
14: 메일바디 14a: 단자결합부
14b: 결합구멍 14c: 끼움돌기
14d: 제1삽입홈부 15: 볼트
16: 메일커버 16a: 볼트관통공
16b: 걸림구멍 16c: 걸고리
16d: 제2삽입홈부
17: 관통구멍 18: 끼움판
20: 피메일커넥터 21: 압착단자
22: 피메일바디 22a: 단자결합부
22b: 결합구멍 23: 피메일커버
23a: 탄성판 23b: 탄성돌기
23c: 걸고리 23d: 단자결합부
24: 제1삽입돌부 25: 제2삽입돌부
Claims (5)
-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로 이루어져 상호 접속 시 전선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메일커넥터는, 일단에 전기 접속을 위한 접속핀이 형성되고, 타단에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전선접속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핀단자;
상기 핀단자들의 전선접속부에 전선을 각각 접속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탄성판;
상기 탄성판들의 상측에 각각 장착된 복수 개의 너트;
상면 한쪽에 상기 핀단자들과 상기 탄성판들 및 상기 너트들이 삽입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가 형성되고, 상면 다른 한쪽에 제1삽입홈부가 형성된 메일바디;
상기 너트와의 나사결합에 의한 조임토크에 따라 상기 탄성판을 상기 전선접속부를 향해 각각 누르는 복수 개의 볼트; 및
상기 메일바디의 상면에 대응 결합되되, 상면 한쪽에 상기 볼트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볼트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면 다른 한쪽에 걸림구멍이 형성되며, 하면에 제2삽입홈부가 형성된 메일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일단에 상기 핀단자의 접속핀이 끼워지고, 타단에 전원공급용 전선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압착단자;
상면에 상기 압착단자들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일바디와 대향하는 측면에 상기 제1삽입홈부와 대응 결합되는 제1삽입돌부가 형성된 피메일바디; 및
상기 피메일바디의 상면에 대응 결합되되, 상면에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메일커버의 걸림구멍에 탄력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탄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메일커버와 대향하는 측면에 상기 제2삽입홈부와 대응 결합되는 제2삽입돌부가 형성된 피메일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커넥터의 중심부에는 등기구에 나사못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등기구에 끼움 결합으로 고정하기 위해 끼움판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커버의 탄성돌기는 상기 피메일커버의 상면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탄성판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바디 및 상기 피메일바디의 양측 가장자리에 다수 개의 결합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상기 메일커버 및 상기 피메일커버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각각의 결합구멍에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걸고리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커버의 하면 중 상기 압착단자들의 상기 핀단자의 접속핀이 끼워지는 부분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압착단자들을 각각 구획하여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단자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착단자들의 전원공급용 전선을 끼워넣는 부분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압착단자와 전선을 동시에 눌러서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1134U KR200484661Y1 (ko) | 2016-03-02 | 2016-03-02 | 라이팅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1134U KR200484661Y1 (ko) | 2016-03-02 | 2016-03-02 | 라이팅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3176U true KR20170003176U (ko) | 2017-09-12 |
KR200484661Y1 KR200484661Y1 (ko) | 2017-11-06 |
Family
ID=6040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1134U KR200484661Y1 (ko) | 2016-03-02 | 2016-03-02 | 라이팅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4661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43374A (ko) * | 2018-06-19 | 2019-12-30 | 김노은 | 직착등 장착용 마운팅 부재 |
CN114204294A (zh) * | 2021-12-15 | 2022-03-18 | 宁夏科华电力科技有限公司 | 一种高空用的电线接线装置及接线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7830B1 (ko) * | 2020-05-08 | 2020-10-21 | (주) 네오스라이트 | 배선덕트용 등기구의 간편 설치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9768U (ja) * | 1993-11-02 | 1995-06-02 | 株式会社エンパイヤ | ねじ締端子台 |
KR200376372Y1 (ko) | 2004-11-24 | 2005-03-11 | 민광기 | 등기구용 전선연결단자 |
KR200404093Y1 (ko) * | 2005-09-28 | 2005-12-19 | 민광기 | 등기구용 전선연결구 |
KR20070044135A (ko) * | 2005-10-24 | 2007-04-27 | 경신공업 주식회사 | 조인트 커넥터 구조 |
KR20100012414A (ko) | 2008-07-28 | 2010-02-0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장치 |
KR101214605B1 (ko) | 2010-04-29 | 2012-12-27 | 주식회사 경신 | 전선 접속용 커넥터 |
KR101325090B1 (ko) | 2013-08-22 | 2013-11-06 | 주식회사 디에스이 | 엘이디 모듈기판 일체형 전선단자 |
KR101391712B1 (ko) | 2012-09-27 | 2014-05-07 | 가온전선 주식회사 | 등기구용 스마트커넥터 |
KR20160000223U (ko) | 2014-07-11 | 2016-01-20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체결 전후 확인 마킹부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
-
2016
- 2016-03-02 KR KR2020160001134U patent/KR20048466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9768U (ja) * | 1993-11-02 | 1995-06-02 | 株式会社エンパイヤ | ねじ締端子台 |
KR200376372Y1 (ko) | 2004-11-24 | 2005-03-11 | 민광기 | 등기구용 전선연결단자 |
KR200404093Y1 (ko) * | 2005-09-28 | 2005-12-19 | 민광기 | 등기구용 전선연결구 |
KR20070044135A (ko) * | 2005-10-24 | 2007-04-27 | 경신공업 주식회사 | 조인트 커넥터 구조 |
KR20100012414A (ko) | 2008-07-28 | 2010-02-0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장치 |
KR101214605B1 (ko) | 2010-04-29 | 2012-12-27 | 주식회사 경신 | 전선 접속용 커넥터 |
KR101391712B1 (ko) | 2012-09-27 | 2014-05-07 | 가온전선 주식회사 | 등기구용 스마트커넥터 |
KR101325090B1 (ko) | 2013-08-22 | 2013-11-06 | 주식회사 디에스이 | 엘이디 모듈기판 일체형 전선단자 |
KR20160000223U (ko) | 2014-07-11 | 2016-01-20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체결 전후 확인 마킹부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43374A (ko) * | 2018-06-19 | 2019-12-30 | 김노은 | 직착등 장착용 마운팅 부재 |
CN114204294A (zh) * | 2021-12-15 | 2022-03-18 | 宁夏科华电力科技有限公司 | 一种高空用的电线接线装置及接线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4661Y1 (ko) | 2017-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3168B1 (ko) | 접지 스트랩, 스프링력 단자, 및 스크류 러그 단자를 갖는 단자 블럭 | |
EP3881398B1 (en) | Receptacle socket assembly for lighting equipment | |
EP3188318B1 (en) | Plug-in waterproof wire connector | |
KR20190091279A (ko) | 커넥터 단자 및 그것의 조립 방법 | |
KR200484661Y1 (ko) | 라이팅 커넥터 | |
US3810078A (en) | Compression splice for electrically coupling electrical conductors | |
CN217087067U (zh) | 连接器转接装置和连接器组件 | |
CA2728372C (en) | Connector terminal for lamps | |
US9748676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479078B1 (ko) | 커넥터 | |
KR20230101866A (ko) | 커넥터 조립체 | |
US10944211B1 (en) | Connector with quick positioning structure | |
EP2916065A1 (en) | Installation structure, illumination device compris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
CN210326265U (zh) | 一种电源连接器 | |
CN107528158A (zh) | 具有多件式后壳的电连接器组件 | |
KR102249090B1 (ko) |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 |
CN113889851A (zh) | 一种配电盒及车辆 | |
CN112889190A (zh) | 电源连接器 | |
CN216488535U (zh) | 一种接线座 | |
CN110492316B (zh) | 一种抗振模块化加固型电源防雷连接器组件 | |
CN211017425U (zh) | 直板型接线端子和风扇 | |
CN114614289B (zh) | 一种防水型的储能连接器 | |
KR200303594Y1 (ko) | 에어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 커넥터 구조 | |
CN212011530U (zh) | 一种导线转接头及应用该转接头的电器 | |
JP2024082277A (ja) | 電気コネクタ装置、電気的な対向導体、および電気的な対向導体を備えた電気コンポーネン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