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866A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866A
KR20230101866A KR1020237018714A KR20237018714A KR20230101866A KR 20230101866 A KR20230101866 A KR 20230101866A KR 1020237018714 A KR1020237018714 A KR 1020237018714A KR 20237018714 A KR20237018714 A KR 20237018714A KR 20230101866 A KR20230101866 A KR 20230101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dapter
assembly
connector assembly
fast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니 헬리게
엔자인 웬
프랑크 뵈만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filed Critical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230101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01R13/6456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comprising keying elements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구조 공간 내에 수용된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구조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구조 공간 내에 수용된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제2 커넥터; 그리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조립될 때 이러한 커넥터들이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 장치;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체결 장치는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에 위치하는 분리 방지 부품과, 제1 커넥터들 및 제2 커넥터들의 부품들 중 다른 부품에 위치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용 어댑터, 커넥터 조립체용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용 측방향 체결 장치 및 커넥터 조립체용 장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쉽게 조립될 수 있고, 전체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개선된 전자기 차폐 및 방수를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
본 발명은 고부하 커넥터용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커넥터 조립체용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용 어댑터, 커넥터 조립체용 측방향 체결 장치 및 커넥터 조립체용 장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특히 고부하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철도 교통 및 철도 운송 분야에서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위해 사용되고, 다양한 상황들 하에서 전기 에너지를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커넥터의 단점은 부피가 크고 부품 수가 많아, 장착이 복잡하다는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의 커넥터들은 다양한 장착 적용예들에 대해 유연한 적합성을 갖지 않는다. 상이한 전력들을 공급하기 위한 기기들이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이러한 적용예들을 위해 상이한 크기를 갖는 커넥터들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는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고, 커넥터들의 모듈식 제조를 방해한다. 또한, 이러한 커넥터에서는 전자기 간섭(EMI)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 및 높은 전자기 적합성(EMC)이 필요하지만, 이는 종래 기술의 커넥터 내 밀봉 장치의 노후화에 의해 저해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콤팩트한 구조와 다양한 적용예들에 대해 유연한 적합성을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구조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구조 공간 내에 수용된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구조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구조 공간 내에 수용된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제2 커넥터; 그리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조립될 때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 장치;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되고, 이러한 체결 장치는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에 위치하는 분리 방지 부품과, 제1 커넥터들 및 제2 커넥터들의 부품들 중 다른 부품에 위치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조합될 때 분리 방지 부품과 삽입부는 서로 맞물리는 반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분리될 때 분리 방지 부품은 삽입부로부터 분리되고, 분리 방지 부품이 위치하는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와 연결되어 유지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어댑터를 더 포함하고, 어댑터는 마찬가지로 구조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구조 공간 내에 수용된 접촉 단자를 포함하고, 어댑터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에 배열될 때 제1 커넥터의 구조 공간, 제2 커넥터의 구조 공간 그리고 어댑터의 구조 공간은 서로 연결되고,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어댑터 내의 접촉 단자들은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 가능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분리 방지 부품은 분리 방지 볼트이고, 삽입부는 나사 삽입부이므로, 분리 방지 볼트와 나사 삽입부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분리 방지 볼트와 분리 방지 볼트가 위치하는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 사이에서도 나사산을 통한 상호 맞물림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분리 방지 볼트는 자신의 2개의 단부들을 향하는 지점들에 각각 나사산을 포함하고,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와의 조합 시에 분리 방지 볼트의 원위 단부를 향한 지점의 나사산은 나사 삽입부와의 조합을 위해 사용되는 반면,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로부터의 분리 시에 분리 방지 볼트의 근위 단부를 향한 지점의 나사산은 분리 방지 볼트가 위치하는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의 하우징 내의 나사산과의 조합을 위해 사용되고, 분리 방지 볼트의 원위 단부를 향한 지점의 나사산의 외경은 분리 방지 볼트의 근위 단부를 향한 지점의 나사산의 외경 이하이고, 이러한 2개의 나사산들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 방지 볼트의 볼트 섹션의 직경은 이러한 2개의 나사산들의 외경보다 더 작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 조립체는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의 하우징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배열된 2개의 분리 방지 부품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 조립체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부적절한 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풀 프루프(fool proof)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풀 프루프 장치는, 제1 커넥터에 위치한 코딩 핀 절반부 및 제2 커넥터에 위치한 코딩 핀 절반부를 포함하는 코딩 핀이고, 제1 커넥터에 배열된 코딩 핀 절반부와 제2 커넥터에 배열된 코딩 핀 절반부는 제1 커넥터 및 그에 매칭된 제2 커넥터가 서로 조합될 때 코딩 핀의 종방향으로 서로 대향 배치되어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커넥터 조립체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장착 시에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상호 피팅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안내 장치는 제1 커넥터에 위치하는 제1 안내 부재 및 제2 커넥터에 위치하는 제2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커넥터 조립체는,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의 하우징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그리고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에 배열되는 분리 방지 부품에 대해 대향 배치되어 배열된 2개의 안내 장치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에, 그리고 어댑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 어댑터 사이에, 이러한 부품들 사이의 피팅면들의 밀봉을 위해 사용되는 밀봉 장치가 제공되고, 이러한 밀봉 장치는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2개의 피팅면들 중 하나의 피팅면에 위치하는 밀봉 홈과, 밀봉 홈 내에 삽입되는 밀봉 링을 포함하고, 밀봉 링이 밀봉 홈 내에 삽입될 때 밀봉 링을 인장 고정하기 위해 밀봉 홈의 둘레는 밀봉 링의 둘레보다 더 크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밀봉 홈은 다각형 윤곽을 갖고, 밀봉 홈이 제공된 어댑터의 피팅면의 종방향으로, 이러한 다각형 윤곽은 외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밀봉 링의 둘레는 밀봉 홈의 둘레보다 15% 내지 30% 더 작다.
또한, 밀봉 링은 15% 내지 30%의 팽창- 및 수축율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상술한 기술적 해결책들에 따라 체결 장치 및 밀봉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조립된 커넥터의 전자기 차폐가 개선될 수 있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에 어댑터가 제공됨으로써, 이러한 커넥터들은 전력에 대한 다양한 요건들을 충족하는 커넥터 조립체들에 대해 유연한 적합성을 가질 수 있다. 풀 프루프 장치가 제공되므로, 커넥터들의 조합 시의 부적절한 피팅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안내 핀이 제공되므로, 장착이 더욱 쉬워지고, 더욱 저렴해지고, 더욱 시간- 및 노동 절약적이 되는 동시에, 조립 및 피팅의 정확성이 보장된다. 또한, 다각형 윤곽을 갖는 홈 절반부가 제공됨으로써, 그 안에 배열된 밀봉 링이 클램핑될 수 있으므로, 조립 시에는 밀봉 링이 종방향으로 이완됨으로써, 연결될 구성 요소가 찌그러짐을 발생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 장치에 의해서는,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연결 부품들 사이의 재료 결합식 맞물림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는, 상술한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어댑터가 제공되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동일하고, 어댑터는 구조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구조 공간 내에 수용된 접촉 단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어댑터는 체결 장치의 분리 방지 부품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1 구멍과,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상호 피팅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내 장치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2 구멍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어댑터는 2개의 제1 구멍들 및 2개의 제2 구멍들을 포함하고, 2개의 제1 구멍들 및 2개의 제2 구멍들은 어댑터의 하우징의 4개의 귀퉁이들에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어댑터는 체결 부재의 수용을 위한 제3 구멍을 더 포함하고, 체결 부재는 제1 커넥터와 어댑터의 체결을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어댑터는 밀봉 링의 수용을 위한 밀봉 홈을 더 포함하고, 밀봉 홈은 다각형 윤곽을 갖고, 밀봉 홈이 제공된 어댑터의 피팅면의 종방향으로, 이러한 다각형 윤곽은 외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밀봉 링의 둘레는 밀봉 홈의 둘레보다 15% 내지 30% 더 작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밀봉 링은 15% 내지 30%의 팽창- 및 수축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서는, 상술한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커넥터가 제공되고, 커넥터의 하우징은 케이블이 케이블 글랜드를 통해 하우징에 연결되도록 하는 케이블 입력부를 포함하고, 2개의 측벽들이 커넥터의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각각 파형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글랜드는 M50 타입의 케이블 글랜드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입력부는 상부 케이블 입력부 및 측방향 케이블 입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각진 커넥터로서 형성되고, 케이블 입력부는 상부 케이블 입력부, 측방향 케이블 입력부 및 각진 케이블 입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각진 케이블 입력부는 하우징의 종방향으로의 평면에 대해 30° 또는 45°의 각도를 갖는다. 물론, 각진 케이블 입력부는 임의의 예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서, 상술한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측방향 체결 장치가 제공되고, 이러한 측방향 체결 장치를 통해서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조립될 때 이러한 커넥터들이 체결되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체결하기 위하여, 측방향 체결 장치는 제1 커넥터의 측벽에 있는 체결 홀더에 대해 그리고 제2 커넥터의 측벽에 있는 상대 클램프에 대해 피팅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측방향 체결 장치는 제2 커넥터의 상대 클램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레버와, 제1 레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커넥터의 체결 홀더에서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2 레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2 레버는 탄성을 갖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1 레버는 핸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1 레버는 2개의 서로 평행한 제1 레버 아암들을 포함하고, 제1 레버 아암들 각각은 2개의 단부들에, 제1 선회축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1 선회축 구멍 또는 제2 선회축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2 선회축 구멍, 그리고 제2 선회축 구멍이 위치하는 단부에서 2개의 제1 레버 아암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섹션을 포함하고, 핸들은 연결 섹션에 일체로 성형되고, 제2 레버는 2개의 서로 평행한 제2 레버 아암들을 포함하고, 제2 레버 아암들 각각은 2개의 단부들에, 제2 선회축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3 선회축 구멍과, 제3 선회축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4 선회축 구멍을 각각 포함하고, 제2 레버는 아치형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2 커넥터의 상대 클램프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제1 선회축은 관통 구멍 및 제1 선회축 구멍을 관통하고, E자형 체결 수단에 의해 상대 클램프에 고정되고, 클램핑 슬리브 홀더는 체결 플레이트 및 상대 체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이러한 플레이트들 사이에는 제2 커넥터의 제3 선회축의 도입 및 방출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이러한 개구는 경사져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조립체가 어댑터도 포함하고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어댑터가 조립되는 경우, 제2 커넥터와 어댑터는 측방향 체결 장치를 통해 체결되고, 어댑터는 클램핑 슬리브 홀더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체결 홀더의 구조는 제1 커넥터의 체결 홀더의 구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서는, 상술한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장착 프레임이 제공되고, 이러한 장착 프레임은 커넥터 조립체를 기기에 고정하고, 장착 프레임은 제2 커넥터의 수용을 위한 개구와, 제2 커넥터와 장착 프레임 사이의 밀봉을 제공하기 위한 밀봉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들 및 특징들은 하기 도면들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진다.
도 1은 어댑터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에 배열되지 않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더 조립될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어댑터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에 배열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더 조립될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내부 접촉 단자가 나타나지 않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커넥터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 커넥터의 섹션(A)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2 커넥터의 상부 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의 제2 커넥터의 하부 측면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 커넥터의 섹션(B)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내부 접촉 단자가 나타나지 않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넥터 조립체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어댑터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어댑터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에 배열되지 않는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일 적용예의 도면으로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의 체결 장치의 일 예시가 부분 단면도로 도시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섹션(X)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어댑터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에 배열되는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또 다른 일 적용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적용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넥터의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넥터의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넥터 조립체의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일 변형예의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넥터 조립체의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의 일 변형예의 도면이다.
도 29는 도 27의 일 변형예의 도면이다.
도 30은 측방향 체결 장치가 체결 상태에 있는 도 29의 섹션(A)의 확대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 32는 측방향 체결 장치가 체결 해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넥터 조립체의 도면 및 확대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넥터 조립체의 반전된 도면 및 확대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측방향 체결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측방향 체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6은 도 34의 측방향 체결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7은 도 34의 측방향 체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8은 측방향 체결 장치가 장착된 커넥터의 도면이다.
도 39는 도 38의 커넥터를 다른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들은 본원에서 실시예들에 의하여 도면들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면들을 참조한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에 언급되는 "종방향"은 연장부가 다른 방향들로의 연장부들보다 현저하게 더 긴 방향에 관련되고, "횡방향"은 연장부가 종방향으로의 연장부보다 현저하게 더 짧은 방향에 관련된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어댑터가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 사이에 배열되지 않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더 조립될 커넥터 조립체(1)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 조립체(1)는 제1 커넥터(10), 제2 커넥터(20) 및 체결 장치(40)(즉, 체결 장치의 형상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체결 장치를 통해서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가 서로 조립될 때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가 체결된다.
도 1에서 제1 커넥터(10)는 커넥터 조립체(1)의 플러그로서 형성되고, 제2 커넥터(20)는 커넥터 조립체(1)의 소켓으로서 형성되며, 제2 커넥터(20)는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기기의 패널 상에 위치한다.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는 각각 내부에 수용된 접촉 단자들에 의해 서로 맞물릴 수 있음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체결 장치(40)는, 실질적으로 커넥터 조립체(1)의 중앙에서의 체결을 구현하는 중앙 체결 장치(중앙 버클이라고도 불림)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에는 도 14에 도시된 측방향 버클 및 분리 방지 볼트의 형상들과 같은 여타 형상들의 체결 장치가 차례 차례 설명된다.
도 2는 2개의 어댑터(30)들이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 사이에 배열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더 조립될 커넥터 조립체(1)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 조립체(1)는 제1 커넥터(10), 제2 커넥터(20), 2개의 어댑터(30)들 및 체결 장치를 포함하며, 이러한 체결 장치를 통해서는 제1 커넥터(10), 2개의 어댑터(30)들 및 제2 커넥터(20)가 함께 고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체결 장치는 분리 방지 볼트(13)로서 형성된다. 분리 방지 볼트(13)는 2개의 어댑터(30)들을 관통하도록 제1 커넥터(10)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제1 커넥터(10)와 2개의 어댑터(30)들을 제2 커넥터(20)와 체결시킬 수 있다. 하기에는 분리 방지 볼트(13)를 구비한 체결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가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2에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 사이의 2개의 어댑터(30)들이 도시되어 있다. 어댑터(30)들은 사전에 제1 커넥터(10)에 연결되었다. 이후, 제1 커넥터(10)와 2개의 어댑터(30)들로 이루어진 조립체가 제2 커넥터(20)에 연결된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나 이상의 어댑터(30)가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2에서, 제2 커넥터(20)에 있는 3개의 접촉 단자(201)들과, 아랫쪽으로 어댑터(30)에 있는 3개의 접촉 단자(301)들이 도시되고, 이러한 어댑터는 제2 커넥터(20)에 맞물린다. 제1 커넥터(10), 제2 커넥터(20) 및 이러한 어댑터(30)들의 구조 공간들 내에 수용된 접촉 단자들이 전기 에너지의 전달을 위하여 서로 연결 가능한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하기에는 도 3 내지 도 16에 따라 커넥터 조립체(1)의 개별 구성 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조가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내부 접촉 단자가 나타나지 않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넥터 조립체(1)의 제1 커넥터(10)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커넥터(10)의 일 도면을 보여주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 커넥터(10)의 섹션(A)의 확대도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1)을 포함한다. 하우징(11) 내에는 구조 공간(12)이 형성된다. 구조 공간(12) 내에는 전기 에너지의 전달을 위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접촉 단자들이 장착된다.
제1 커넥터(10)의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제한되어서는 안 되고, 계란형, 타원형 또는 심지어 정사각형 형상과 같이 분야 내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추가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4에는 하우징(11)도 도시되어 있으며, 체결 장치의 추가의 일 실시예로서 사용되는 측방향 체결 장치의 구성 요소, 즉 클램핑 슬리브 홀더(17)가 나타난다. 도 4에 도시되지 않고, 실제로는 제2 커넥터(20) 내에 위치하는 탄성 클램핑 슬리브(탄성 단자라고도 불림)는 제1 커넥터(10) 및 제2 커넥터(20)의 체결 시에 클램핑 슬리브 홀더(17) 내에 위치 설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도 3의 섹션(A)의 확대도에서, 제1 커넥터(10)의 하우징(11)에는 분리 방지 볼트(분리 방지 부품)(13)로서 형성된 체결 장치, 풀 프루프 장치(14), 안내 핀(15) 및 나사 구멍(16)도 제공된다.
분리 방지 볼트(13)는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제2 커넥터(20) 내의 나사 삽입부와 연결될 수 있다.
풀 프루프 장치(14)는, 복수의 커넥터 조립체(1)들이 존재할 때 제1 커넥터(10)가 부적절한(즉, 매칭되지 않는) 제2 커넥터(20)와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풀 프루프 장치(14)는 코딩 핀 절반부(141)를 포함하는 코딩 핀으로서 나타난다. 이러한 코딩 핀 절반부(141)는, 도 5에 4개의 코딩 핀 구멍들로서 나타나고 각각 번호가 매겨진 복수의 코딩 핀 구멍(142)들 중 하나의 코딩 핀 구멍 내에 위치한다. 코딩 핀 절반부(141)는 제2 커넥터(20) 내의 상응하는 코딩 핀 절반부와의 상호 작용 하에 제1 커넥터(10)가 부적절한 제2 커넥터(20) 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안내 핀(15)은 제2 커넥터(20)에 대한 제1 커넥터(10)의 장착을 안내하기 위하여 제2 커넥터(20)의 안내 구멍 내에 삽입을 위해 사용된다.
볼트 구멍(16)은 제1 커넥터(10)와 어댑터(30)를 체결하기 위하여, 하기에 도 11 및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어댑터(30)의 제3 구멍(36) 내에 위치하는 (예를 들어, 나사산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의 삽입을 위해 사용된다.
도 6은 내부 접촉 단자가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넥터 조립체(1)의 제2 커넥터의 상부 측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1)의 제2 커넥터의 하부 측면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 커넥터의 섹션(B)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2 커넥터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도 9의 개략적인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20)는 제1 커넥터(1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제2 커넥터(20)는 하우징(21)을 포함한다. 하우징(21) 내에는 구조 공간(22)이 형성된다. 구조 공간(22) 내에는 전기 에너지의 전달을 위한, 도 1에 도시된 접촉 단자(201)들이 장착되고, 제2 커넥터(20)의 구조 공간(22)과 제1 커넥터(10)의 구조 공간(12)은 서로 연결된다.
도 6, 도 9 및 도 10에서 제2 커넥터(20)는 마찬가지로 밀봉 홈(281)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밀봉 홈(281)은 여기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14에는 도시되어 있는 밀봉 링(282)의 삽입을 위해 사용된다. 밀봉 홈(281)과 밀봉 링(282)은 함께 밀봉 장치를 형성하고, 이러한 밀봉 장치는 제2 커넥터(20)와, 이러한 제2 커넥터(20)와 연결될 제1 커넥터(10) 또는 하기에 더 설명될 어댑터(30)를 밀봉한다.
도 10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홈(281)은 실질적으로 다각형 윤곽을 갖는 육상 트랙의 형상을 갖는다. 밀봉 홈(281)이 제공된 제2 커넥터(20)의 피팅면의 종방향으로[즉, 트랙의 더 긴 에지(2801) 상에서], 밀봉 홈(281)은 외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융기부는 정점 또는 팽창부라고도 불릴 수 있다. 즉, 적어도 밀봉 홈의 더 긴 에지(2801)는 선형이 아니고, 즉 예를 들어 아치형이다. 밀봉 홈(281)의 둘레는 밀봉 홈(281) 내에 삽입된 밀봉 링(282)의 둘레보다 약간 더 크므로, 밀봉 링(282)이 밀봉 홈(281) 내에 삽입될 때 밀봉 홈(281)은 밀봉 링(282)을 인장 고정한다. 따라서, 여러 번의 제거 및 삽입 이후에 밀봉 링(282)이 이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밀봉 홈(281)으로부터[예를 들어, 밀봉 홈의 더 긴 에지(2801)로부터] 밀봉 링이 측방향으로 이탈하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상대부에 의해 밀봉 링이 찌그러지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밀봉 링(282)의 IP 특성 및 수명이 개선될 수 있는 동시에, 전체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봉 링은 자신의 재료 조성으로 인하여 특정 팽창- 및 수축 능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밀봉 링의 팽창- 및 수축율은 15% 내지 30%에 도달할 수 있다. 측벽으로서 밀봉 홈(281) 및 밀봉 링(282)을 통해 형성되는 밀봉 장치에 대하여, 밀봉 링(282)의 둘레는 밀봉 홈(281)의 둘레보다 15% 내지 30% 더 작을 수 있다. 밀봉 링의 팽창- 및 수축 능력에 의해서는, 트랙의 형상을 갖고 중심의, 예를 들어 아치형의 융기부가 제공된 밀봉 홈의 측벽에 밀봉 링이 더욱 양호하게 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밀봉 링은 분리 시에 또는 변위 시에 변형되거나 찌그러지지 않는다. 또한, 팽창- 및 수축율이 너무 높거나 압축이 너무 강할 때에도 밀봉 링의 피로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종래 기술에서, 밀봉 링이 삽입되는 밀봉 홈의 더 긴 에지는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형성되므로, 특정 작동 시간 이후에 밀봉 링은 밀봉 홈으로부터 쉽게 이탈하고, 다른 피팅 구성 요소(제1 커넥터 또는 어댑터)를 통해 찌그러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에서는, 밀봉 홈의 상술한 특수 구조로 인하여 밀봉 링이 항상 밀봉 홈 내에 홀딩될 수 있는데, 이는 밀봉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도 7의 부분(B)의 확대도에서, 제2 커넥터에는 나사 삽입부(23)가 내부에 삽입된 구멍, 풀 프루프 장치(24), 안내 핀 구멍(25) 및 체결 볼트(26)도 제공된다.
나사 삽입부(23)는 제1 커넥터(10) 내의 분리 방지 볼트(13)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분리 방지 볼트(13)가 나사산을 통해 나사 삽입부(23)에 맞물리는 경우,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는 체결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 내의 풀 프루프 장치(24)는 제1 커넥터(10) 내의 풀 프루프 장치(14)와 상호 작용한다. 풀 프루프 장치(24)는 코딩 핀 절반부(241)를 포함한다. 이러한 코딩 핀 절반부(241)는 코딩 핀 구멍(242) 내에 위치한다[도 8에는 하나의 코딩 핀 구멍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복수의 코딩 핀 구멍들이 제공될 수 있고 각각 번호가 매겨져 있을 수 있음]. 코딩 핀 절반부(241)는 제1 커넥터(10) 내의 상응하는 코딩 핀 절반부(141)와의 상호 작용 하에, 제1 커넥터(10)가 부적절한 제2 커넥터(20) 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6에는 마찬가지로, 제1 커넥터(10)에 있는 코딩 핀 절반부(141)와 제2 커넥터(20)에 있는 코딩 핀 절반부(241)가 서로 대향 배치되고, 즉 제1 커넥터(10)가 적절한 제2 커넥터(20)와 조합될 때 2개의 코딩 핀 절반부(141, 241)들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이 도시된다. 이와 같이, 제1 커넥터(10)는 제2 커넥터(2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반면, 제1 커넥터(10)가 부적합한(그에 피팅되지 않는) 제2 커넥터(20)와 조합될 때, 제1 커넥터(10)에 있는 코딩 핀 절반부(141)와 제2 커넥터(20)에 있는 코딩 핀 절반부(241)는 상호 간섭을 일으킨다. 이와 같이, 제1 커넥터(10)가 제2 커넥터(20) 내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10)에 있는 코딩 핀 절반부(141)는 자신의 코딩 핀 구멍 내 좌측 부분에 위치하고, 피팅되지 않는 제2 커넥터(20)에 있는 코딩 핀 절반부(241)는 마찬가지로 자신의 코딩 핀 구멍 내 좌측 부분에 위치하므로, 이러한 제1 커넥터와 그에 피팅되지 않는 이러한 제2 커넥터가 서로 맞물릴 때 코딩 핀 절반부들은 서로 간섭을 일으킨다.
안내 구멍(25)은 제1 커넥터(10)의 장착 시에 제2 커넥터(20)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1 커넥터(10) 내의 안내 핀(15)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체결 볼트(26)는 제2 커넥터(20)와 기기를 연결하기 위해, 제2 커넥터(20)와 연결될 기기의 패널의 볼트 구멍 내에 삽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1은 내부 접촉 단자가 나타나지 않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넥터 조립체(1)의 어댑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어댑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어댑터(30)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 사이에 배열되기 위해 사용되고, 이러한 어댑터(30)는 하우징(31)을 포함한다. 하우징(31)은 내부 접촉 단자들의 수용을 위한 구조 공간(32)을 갖도록 형성된다. 어댑터(30)는, 제1 커넥터(10) 및 제2 커넥터(2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단자(301)들은 어댑터(30)의 구조 공간(32) 내에 배열된다. 접촉 단자(301)들은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제1 커넥터(10) 내의 접촉 단자들 및 제2 커넥터(20) 내의 접촉 단자들과의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어댑터(30)의 구조 공간(32)은 제1 커넥터(10)의 구조 공간(12) 및 제2 커넥터(20)의 구조 공간(22)과 연결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30)는 분리 방지 장치[예를 들어 분리 방지 볼트(13)]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1 구멍(33)들을 또한 포함한다. 하우징(31)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배열된 총 2개의 제1 구멍(33)들이 제공된다. 어댑터(30)는 안내 장치[예를 들어, 안내 핀(15)]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2 구멍(35)들을 또한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하우징(31)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배열된 총 2개의 제2 구멍(35)들이 제공된다. 구조 공간을 절감하고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2개의 제1 구멍(33)들과 2개의 제2 구멍(35)들은 하우징(31)의 4개의 귀퉁이들에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된다.
도 11 및 도 12에서 어댑터(30)는 밀봉 홈(381)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된 밀봉 홈(281)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밀봉 홈(381)은 어댑터(30) 및 이러한 어댑터(30)에 피팅되는 제1 커넥터(10) 또는 다른 어댑터(30)를 밀봉하기 위하여,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은 밀봉 링의 삽입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밀봉 홈(381)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6에서 제2 커넥터(20)에 대해 도시된 밀봉 홈(281)의 구조와 유사하고, 이에 따라 더 이상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도 12에는 제3 구멍(36)도 도시되어 있고, 제3 구멍(36)은 제1 커넥터(10)와 어댑터(30)를 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나사산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의 삽입을 위해 사용된다. 어댑터(30)의 측벽, 더 정확하게 말해, 횡방향으로의 측벽에는 제1 커넥터의 클램핑 슬리브 홀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클램핑 슬리브 홀더(37)가 제공된다.
도 13은 어댑터(30)가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 사이에 배열되지 않는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1)의 일 적용예의 도면으로서,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 사이의 체결 장치의 일 예시가 부분 단면도로 도시되는 도면을 도시하고, 도 14는 도 13의 섹션(X)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1)는, 분리 방지 볼트(13)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 제1 커넥터(10) 및 제2 커넥터(20)를 포함한다.
도 14에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 사이의 연결 및 체결의 상세도가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서 분리 방지 볼트(13)는 제1 커넥터(10) 내에 위치한다. 분리 방지 볼트(13)는 자신의 2개의 단부들을 향하는 지점들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즉 원위 단부[즉, 제2 커넥터(20)를 향하는 단부]를 향한 지점에 있는, 일반적으로 M6 나사산인 나사산(132)과, 근위 단부[즉, 제1 커넥터(10)를 향하는 단부]를 향한 지점에 있는,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M6 나사산인 나사산(131)을 포함한다. 나사산(132)은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를 체결하기 위하여 나사산을 통해 제2 커넥터(20) 내의 나사 삽입부(23)(삽입부라고도 불림)와의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나사산(131)은, 제1 커넥터(10)가 제2 커넥터(20)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커넥터(10)로부터의 분리 방지 볼트(13)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산을 통해 제1 커넥터(10)에 있는 상응하는 나사산과의 조합을 위해 사용된다. 나사산(132)의 외경은 나사산(131)의 외경 이하이고, 2개의 나사산들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 방지 볼트(13)의 볼트 섹션의 직경은 2개의 나사산들의 외경보다 더 작다.
종래 기술에서,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는 자신들의 복잡한 구조들 때문에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합금으로 다이캐스팅을 통해 제조된다. 반면, 커넥터의 볼트(13)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강철로 제조된다. 따라서, 볼트가 제2 커넥터의 비교적 연성의 재료에 쉽게 맞물릴 수 있도록, 그리고 이에 따라 마찰없는 장착 작업이 구현되도록, 장착 시에 볼트가 여러 번 추출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볼트가 제2 커넥터에 맞물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장착이 악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커넥터(20) 내에는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강철로도 제조되는 나사 삽입부(23)가 제공된다.
또한, 도 14에는 도 9에 도시된 제2 커넥터(20)의 밀봉 홈(281) 내의 삽입을 위해 사용되는 밀봉 링(282)과, 분리 방지 볼트를 위한 안내 구멍(29)도 도시되어 있다. 분리 방지 볼트(13)를 제2 커넥터(20) 내로 안내하기 위하여, 분리 방지 볼트를 위한 안내 구멍(29)은 나사산(132)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또한, 도 14는 제1 커넥터(10) 내의 클램핑 슬리브 홀더(17)도 도시하고, 이러한 클램핑 슬리브 홀더는 도 4와 관련하여 상기에 이미 설명되었다. 상대 클램프(27)가 제2 커넥터(20)에 제공된다.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가 견고하게 체결되어야 할 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클램핑 슬리브의 일 단부는 상대 클램프(27) 내에 위치 설정되고, 도시되지 않은 클램핑 슬리브의 타 단부는 클램핑 슬리브 홀더(17) 내에 체결된다. 클램핑 슬리브 홀더(17)는 체결 플레이트(171) 및 상대 체결 플레이트(172)를 포함하고, 이러한 플레이트들 사이에는 클램핑 슬리브의 도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된다.
도 15는 어댑터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에 배열되는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1)의 또 다른 일 적용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1)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1)는 제1 커넥터(10), 제2 커넥터(20) 및 이러한 커넥터들 사이에 위치하는 어댑터(30)를 포함한다. 케이블(102)이 제1 커넥터(10)의 하우징 상에 배열되고, 이러한 케이블(102)은 케이블 글랜드(103)를 통해 제1 커넥터(10)의 하우징에 연결된다. 제1 커넥터(10)의 하우징의 2개의 측면들 상에는 접지 연결부의 형성을 위한 각각 하나의 케이블 러그(104)가 제공된다. 제2 커넥터(20)는 기기의 장착 패널(202) 상에 장착되고, 기기의 접촉부와의 연결을 위하여 하부 단부에, 도 16에 도시된 고전류 접촉부(203)를 포함한다. 장착 패널(202)은 장착 프레임 또는 후방측 압력 프레임이라고도 불린다. 장착 프레임은 제2 커넥터(20)의 수용을 위한 개구를 포함한다.
도 16은 2개의 측면들 상의 케이블 러그(104)들을 도시한다. 이러한 케이블 러그(104)를 나사(1051)가 제1 커넥터(10) 내의 다른 나사 삽입부(1052)에 고정하므로, 접지 연결부(105)는 제1 커넥터(10)와 체결된다.
도 16은 2개의 코딩 핀 절반부(141, 241)들도 도시하고, 이러한 코딩 핀 절반부들 중 코딩 핀 절반부(141)는 제1 커넥터(10) 내에 위치하며 어댑터(30)를 관통하고, 코딩 핀 절반부(241)는 제2 커넥터(20)에 위치한다. 2개의 코딩 핀 절반부(141, 241)들은 서로 평행하고, 서로 대향 배치된다.
도 16에는 또한 3개의 밀봉 링(182, 282 및 382)들이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밀봉 링들 중 밀봉 링(182)은 제1 커넥터(10)를 어댑터(30)와 함께 밀봉하기 위해 사용되고, 밀봉 링(282)은 어댑터(30)를 제2 커넥터(20)와 함께 밀봉하기 위해 사용되고, 밀봉 링(382)은 제2 커넥터(20)를 기기의 패널에서 밀봉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의 사용 및 조립의 과정은 이제 첨부 도면들, 특히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고부하 커넥터에서는, 상응하는 케이블에 대한 접촉 단자들이 장착된 복수의 제2 커넥터(20)들이 기기에 사전 장착된다. 장착 이전에는 코딩 핀이 위치하는 코딩 구멍의 번호에 따라, 어떤 제2 커넥터와 제1 커넥터가 어댑터와 함께 또는 어댑터 없이 연결될 것인지가 결정됨으로써, 부적절한 조립이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 적절한 제2 커넥터가 결정된 이후, 제1 커넥터를 관통하거나 제1 커넥터 및 어댑터를 관통하는 안내 핀이 제2 커넥터의 안내 구멍 내로 삽입됨으로써, 제1 커넥터가 제2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 내에 제1 커넥터(10)가 삽입되거나 제1 커넥터(10) 및 어댑터(30)가 삽입된 이후, 분리 방지 볼트(13)는 나사 결합되므로, 제2 커넥터(20) 내의 나사 삽입부(23)와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가 체결된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체결된 이후, 밀봉 링이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피팅면들을 둘러쌈으로써, 사전 결정된 전자기 차폐와, 예를 들어 방수를 위한 IP69 기준과 같은 밀봉이 달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가 서로 분리되어야 하는 경우, 분리 방지 볼트(13)가 나사 삽입부(23)로부터 나사 풀림된다. 이 경우, 분리 방지 볼트(13)의 근위 지점에 있는 나사산(131)은 제1 커넥터에 있는 상응하는 나사산과 연결되므로, 제1 커넥터로부터의 분리 방지 볼트(13)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넥터(10'), 즉 제1 커넥터를 도시한다. 커넥터(10')는 주로, 커넥터(10')의 하우징 상에 케이블 입력부(101')가 배열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제1 커넥터(10)와는 상이하다. 케이블은 케이블 글랜드(103'), 특히 M50 타입의 케이블 글랜드를 통하여 케이블 입력부(101')를 거쳐 하우징에 연결된다. 다른 케이블 글랜드와 비교하여, M50 타입의 케이블 글랜드는 더 큰 직경을 갖는다. M50 타입의 케이블 글랜드를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특히 도 19에 명확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측벽들이 커넥터(10')의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파형으로 형성되므로, 케이블 글랜드의 수용을 위한 나사 구멍의 직경은 확대된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넥터(10"), 즉 제1 커넥터를 도시한다. 이러한 커넥터(10")는 주로, 커넥터(10")가 각진 커넥터로서 형성되고, 즉 커넥터의 하우징의 횡방향으로의 일 측면이, 이 경우 각진 부분(106")이라고 불리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7에 도시된 커넥터(10')와는 상이하다.
도 25 및 도 26은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커넥터(10')(제1 커넥터), 제2 커넥터(20), 그리고 하나 또는 2개의 어댑터(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넥터 조립체(1')를 도시한다. 커넥터(10')의 하우징의 상부 측면 및 2개의 측면들에는 각각 하나의 케이블 입력부(101')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5에서 케이블은 상부 케이블 입력부를 통해 상부 측면으로부터 하우징 내로 연장된다. 도 26에서 케이블은 측방향 케이블 입력부를 통하여 일 측면으로부터 하우징 내로 연장된다.
도 27 내지 도 29는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각진 커넥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넥터(1")를 도시한다. 커넥터(10")의 하우징의 상부 측면 및 2개의 측면들에는 각각 하나의 케이블 입력부(101')가 제공될 수 있다. 경사면이 제공되는 측면 상의 케이블 입력부는 이러한 경사면 상에 형성되고, 이러한 경사면 상의 케이블 입력부는 절곡형 케이블 입력부이다. 도 27에서 케이블은 상부 케이블 입력부를 통해 상부 측면으로부터 하우징 내로 연장된다. 도 28에서 케이블은 측방향 케이블 입력부를 통하여 측면으로부터 하우징 내로 연장된다. 도 29에서 케이블은 절곡형 케이블 입력부를 통하여 절곡형 부분(106')으로부터 하우징 내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절곡형 케이블 입력부는 하우징의 종방향으로의 평면에 대해 30°의 각도를 갖고,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각도는 45°일 수 있거나 임의의 예각일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9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1' 및 1")들 내에서, 체결 장치는 클램핑 슬리브라고도 불리는 측방향 체결 장치(40')로서 형성된다. 즉, 이러한 체결 장치에서는 커넥터 조립체의 횡방향으로의 하나 또는 2개의 측면(즉, 협폭 측면 또는 협폭 측면들) 상에서의 체결이 실행된다. 어댑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측방향 체결 장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체결한다. 어댑터가 존재하는 경우, 측방향 체결 장치는 어댑터와 제2 커넥터를 체결한다.
하기에는, 측방향 체결 장치(40')의 구조 및 작동 방식이 도 30 내지 도 38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30은 도 29의 섹션(A)의 확대도이다. 측방향 체결 장치(40')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서로 체결한다. 특히,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체결하기 위하여, 측방향 체결 장치(40')는 제1 커넥터의 측벽(횡방향으로의 측벽, 즉 협폭 측면)에 있는 체결 홀더(17)에 대해 그리고 제2 커넥터의 측벽(횡방향으로의 측벽, 즉 협폭 측면)에 있는 상대 클램프(27)에 대해 피팅된다. 측방향 체결 장치(40')의 일 단부는 선회 가능하게 상대 클램프(27)에 홀딩된다. 도 38 및 도 39는, 측방향 체결 장치(40')가 장착된 제2 커넥터(20)를 명확하게 도시한다. 제2 커넥터(20)의, 안내 핀 구멍이 제공된 플랜지의 하부 측면에는 상대 클램프(27)가 일체로 성형된다. 상대 클램프(27)에는 관통 구멍이 제공된다. 측방향 체결 장치(40')의 다른 단부는 체결 홀더(17)에 맞물린다. 측방향 체결 장치(40')는 체결 플레이트(171)와 상대 체결 플레이트(172) 사이의 체결 홀더(17)의 개구를 통해 체결 홀더(17)의 수용부(173) 내에 도입된다. 체결 플레이트와 상대 체결 플레이트는 후크형으로 형성되고, 개구는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체결 해제 상태에서의 커넥터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체결 상태에서, 측방향 체결 장치(40')는 수용부(173)의 바닥에 위치하고, 체결 플레이트(171)에 접한다.
도 31은 체결 상태에 있는 측방향 체결 장치(40')의 개별 위치 설정점들의 관계를 도시한다. 측방향 체결 장치는 3개의 위치 설정점(P1, P2 및 P3)들을 포함한다. P1은 체결 홀더(17)의 수용부(173) 바닥에 있는 측방향 체결 장치의 위치 설정점이고; P2는 상대 클램프(27)에 있는 측방향 체결 장치의 위치 설정점으로서, 측방향 체결 장치의 제1 선회점이라고도 불리는 위치 설정점이고; 그리고 P3은 상대 클램프에 있는 측방향 체결 장치의 위치 설정점으로서, 측방향 체결 장치의 제2 선회점이라고도 불리는 위치 설정점이다. 체결 상태에서 P1과 P2 사이의 간격(D1)은 P2와 P3 사이의 간격(D2)보다 더 크다. 종방향으로 P1 및 P3가 P2 뒤에 위치한다.
도 32 및 도 33은 체결 해제 상태에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한다. 커넥터 조립체는 제1 커넥터, 어댑터 및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측방향 체결 장치는 어댑터의 측벽에 있는 체결 홀더(37)에 대해 그리고 제2 커넥터의 측벽에 있는 상대 클램프에 대해 피팅됨으로써, 어댑터와 제2 커넥터를 체결할 수 있다. 체결 해제 상태에서, 측방향 체결 장치(40')는 제2 커넥터 반대편의 상대 클램프(27)의 측벽을 중심으로 선회하므로, 측방향 체결 장치가 체결 홀더(37)로부터 분리된다. 특히, 이러한 측방향 체결 장치는 체결 홀더의 수용부(373)의 바닥으로부터 개구에 이르기까지 들어 올려진다. 이 경우, 체결 플레이트(371)와 상대 체결 플레이트(372)의 경사진 개구 및 후크형 구조로 인하여, 체결 장치의 체결 해제 시에 커넥터들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4 내지 도 37은 측방향 체결 장치(40')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측방향 체결 장치(40')는 제1 레버(41'), 제2 레버(42') 및 핸들(43')을 포함하는, 2개의 레버들을 구비한 구조부로서 형성된다. 제1 레버(41')는 2개의 서로 평행한 제1 레버 아암(411')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레버 아암들 각각의 2개의 단부들에는 제1 선회축(44') 또는 제2 선회축(45')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1 선회축 구멍(412') 또는 제2 선회축 구멍(413')이 각각 제공된다. 제1 선회축(44')이 제2 커넥터(20)의 상대 클램프(27)의 관통 구멍을 통해 그리고 제1 레버(41')의 제1 선회축 구멍(412')을 통해 안내된 이후, 2개의 단부들에서, E자형 윤곽을 갖는 체결 수단(49')들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제1 레버(41')는 선회 가능하게 상대 클램프(27)에 장착된다. 제1 레버(41')는 연결 섹션(414')을 더 포함하고, 이러한 연결 섹션은 제2 선회축 구멍(413')이 위치하는 단부에서 2개의 제1 레버 아암(411')들을 서로 연결하고 제1 레버 아암들과 일체로 성형된다. 연결 섹션에는 핸들(43')이 일체로 성형된다. 제2 레버(42')는 탄성이 있고 아치형인 2개의 서로 평행한 제2 레버 아암(421')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 레버 아암들 각각의 2개의 단부들에는 제2 선회축(45') 또는 제3 선회축(46')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3 선회축 구멍(422') 또는 제4 선회축 구멍(423')이 각각 제공된다. 제2 선회축(45')이 제1 레버 아암의 제2 선회축 구멍(413')을 통해 그리고 제2 레버 아암의 제3 선회축 구멍(422')을 통해 안내된 다음, 리벳 접합됨으로써, 제2 레버(42')는 선회 가능하게 제1 레버(41')에 장착된다. 제3 선회축(46')은 제2 레버 아암의 제4 선회축 구멍(423')을 관통한다. 제3 선회축(46')은 체결 플레이트(171, 371)들에 대해 피팅되고, 체결 홀더(17, 37)들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측방향 체결 장치(40')의 작동 방식은 하기와 같으며, 즉 측방향 체결 장치가 도 31에 도시된 체결 상태에 위치하며 체결 해제되어야 하는 경우, 핸들(43')에 힘이 인가되어야 하므로, 제1 레버(41')가 제1 선회축(44'), 즉 도면의 점(P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된다. 이를 통해, 점(P3)[제2 선회축(45')]이 반시계 방향으로 P2 전방의 위치로 선회되므로, 제2 레버(42')가 들어 올려진다. 이로 인해, 제3 선회축(46'), 즉 점(P1)에서의 제3 선회축이 수용부(173)의 바닥으로부터 들어 올려짐으로써, 측방향 체결 장치가 체결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측방향 체결 장치가 도 32에 도시된 체결 해제 상태에 위치하며 체결되어야 하는 경우, 핸들(43')에 힘이 인가되어야 하므로, 제1 레버(41')가 제1 선회축(44'), 즉 점(P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된다. 이를 통해, 제2 선회축(45'), 즉 점(P3)은 반시계 방향으로 점차 P2 후방의 위치로 선회되므로, 제3 선회축(46'), 즉 점(P1)이 수용부(373)의 바닥에 이르기까지 하강되고, 체결 플레이트(371)에 접하고, 이러한 체결 플레이트와 체결된다.
본 발명이 물론 상술한 예시적 실시예들로 제한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본질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32)

  1. 커넥터 조립체(1)로서,
    구조 공간(12)을 형성하는 하우징(11)과, 구조 공간 내에 수용된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10);
    구조 공간(22)을 형성하는 하우징(21)과, 구조 공간 내에 수용된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제2 커넥터(20); 그리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조립될 때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 장치(40);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체결 장치(40)는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에 위치하는 분리 방지 부품(13)과, 제1 커넥터들 및 제2 커넥터들의 부품들 중 다른 부품에 위치하는 삽입부(23)를 포함하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조합될 때 분리 방지 부품과 삽입부는 서로 맞물리는 반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분리될 때 분리 방지 부품은 삽입부로부터 분리되고, 분리 방지 부품이 위치하는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와 연결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1).
  2.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1)는 하나 이상의 어댑터(30)를 더 포함하고, 어댑터는 마찬가지로 구조 공간(32)을 형성하는 하우징(31)과, 구조 공간 내에 수용된 접촉 단자를 포함하고, 어댑터가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 사이에 배열될 때 제1 커넥터의 구조 공간(12), 제2 커넥터의 구조 공간(22) 그리고 어댑터의 구조 공간(32)은 서로 연결되고,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어댑터 내의 접촉 단자들은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1).
  3. 제1항에 있어서, 분리 방지 부품(13)은 분리 방지 볼트이고, 삽입부(23)는 나사 삽입부이므로, 분리 방지 볼트와 나사 삽입부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분리 방지 볼트와 분리 방지 볼트가 위치하는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 사이에서도 나사산을 통한 상호 맞물림이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1).
  4. 제3항에 있어서, 분리 방지 볼트(13)는 자신의 2개의 단부들을 향하는 지점들에 각각 나사산(131, 132)을 포함하고, 제1 커넥터(10) 및 제2 커넥터(20)와의 조합 시에 분리 방지 볼트의 원위 단부를 향한 지점의 나사산(132)은 나사 삽입부와의 조합을 위해 사용되는 반면, 제1 커넥터(10) 및 제2 커넥터(20)로부터의 분리 시에 분리 방지 볼트의 근위 단부를 향한 지점의 나사산(131)은 분리 방지 볼트가 위치하는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의 하우징 내의 나사산과의 조합을 위해 사용되고, 분리 방지 볼트의 원위 단부를 향한 지점의 나사산(132)의 외경은 분리 방지 볼트의 근위 단부를 향한 지점의 나사산(131)의 외경 이하이고, 이러한 2개의 나사산들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 방지 볼트의 볼트 섹션의 직경은 이러한 2개의 나사산들의 외경보다 더 작은, 커넥터 조립체(1).
  5.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는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의 하우징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배열된 2개의 분리 방지 부품(13)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1)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부적절한 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풀 프루프(fool proof) 장치(14, 24)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1).
  7. 제6항에 있어서, 풀 프루프 장치(14, 24)는, 제1 커넥터에 위치한 코딩 핀 절반부(141) 및 제2 커넥터에 위치한 코딩 핀 절반부(241)를 포함하는 코딩 핀이고, 제1 커넥터에 배열된 코딩 핀 절반부와 제2 커넥터에 배열된 코딩 핀 절반부는 제1 커넥터 및 그에 매칭된 제2 커넥터가 서로 조합될 때 코딩 핀의 종방향으로 서로 대향 배치되어 배열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1).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1)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장착 시에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상호 피팅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내 장치(15)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안내 장치는 제1 커넥터에 위치하는 제1 안내 부재 및 제2 커넥터에 위치하는 제2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커넥터 조립체는,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의 하우징의 대각선 방향을 따라 그리고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에 배열되는 분리 방지 부품에 대해 대향 배치되어 배열된 2개의 안내 장치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1).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에, 그리고 어댑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 어댑터 사이에, 이러한 부품들 사이의 피팅면들의 밀봉을 위해 사용되는 밀봉 장치가 제공되고, 이러한 밀봉 장치는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2개의 피팅면들 중 하나의 피팅면에 위치하는 밀봉 홈(281, 381)과, 밀봉 홈 내에 삽입되는 밀봉 링(282, 382)을 포함하고, 밀봉 링이 밀봉 홈 내에 삽입될 때 밀봉 링을 인장 고정하기 위해 밀봉 홈의 둘레는 밀봉 링의 둘레보다 더 큰, 커넥터 조립체(1).
  10. 제9항에 있어서, 밀봉 홈(281, 381)은 다각형 윤곽을 갖고, 밀봉 홈이 제공된 부품의 상응하는 피팅면의 종방향으로, 이러한 다각형 윤곽은 외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1).
  11. 제9항에 있어서, 밀봉 링(282, 382)의 둘레는 밀봉 홈의 둘레보다 15% 내지 30% 더 작은, 커넥터 조립체(1).
  12. 제11항에 있어서, 밀봉 링(282, 382)은 15% 내지 30%의 팽창- 및 수축율을 갖는, 커넥터 조립체(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를 위한 어댑터(30)에 있어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동일하고, 어댑터(30)는 구조 공간(32)을 형성하는 하우징(31)과, 구조 공간 내에 수용된 접촉 단자(3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어댑터(30).
  14. 제13항에 있어서, 어댑터(30)는 체결 장치의 분리 방지 부품(13)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1 구멍(33)과,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상호 피팅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내 장치(15)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2 구멍(35)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어댑터(30).
  15. 제14항에 있어서, 어댑터(30)는 2개의 제1 구멍(33)들 및 2개의 제2 구멍(35)들을 포함하고, 2개의 제1 구멍들 및 2개의 제2 구멍들은 어댑터의 하우징의 4개의 귀퉁이들에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어댑터(30).
  16. 제15항에 있어서, 어댑터(30)는 체결 부재의 수용을 위한 제3 구멍(36)을 더 포함하고, 체결 부재는 제1 커넥터와 어댑터의 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어댑터(30).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댑터는 밀봉 링(382)의 수용을 위한 밀봉 홈(381)을 더 포함하고, 밀봉 홈은 다각형 윤곽을 갖고, 밀봉 홈이 제공된 어댑터의 피팅면의 종방향으로, 이러한 다각형 윤곽은 외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어댑터(30).
  18. 제17항에 있어서, 밀봉 링(382)의 둘레는 밀봉 홈의 둘레보다 15% 내지 30% 더 작은,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어댑터(30).
  19. 제18항에 있어서, 밀봉 링(382)은 15% 내지 30%의 팽창- 및 수축율을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어댑터(30).
  20.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 1")를 위한 커넥터(10', 10")로서, 커넥터의 하우징은 케이블(102)이 케이블 글랜드(103, 103')를 통해 하우징에 연결되도록 하는 케이블 입력부(101')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2개의 측벽들이 커넥터의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각각 파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커넥터(10', 10").
  21. 제20항에 있어서, 케이블 글랜드(103, 103')는 M50 타입의 케이블 글랜드인,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커넥터(10', 10").
  22. 제21항에 있어서, 케이블 입력부(101')는 상부 케이블 입력부 및 측방향 케이블 입력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커넥터(10', 10").
  23. 제21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각진 커넥터로서 형성되고, 케이블 입력부(101')는 상부 케이블 입력부, 측방향 케이블 입력부 및 각진 케이블 입력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커넥터(10', 10").
  24. 제23항에 있어서, 각진 케이블 입력부는 하우징의 종방향으로의 평면에 대해 30° 또는 45°의 각도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커넥터(10', 10").
  2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 1")를 위한 측방향 체결 장치(40')로서, 이러한 측방향 체결 장치(40')를 통해서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조립될 때 이러한 커넥터들이 체결되는, 측방향 체결 장치에 있어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체결하기 위하여, 측방향 체결 장치(40')는 제1 커넥터의 측벽에 있는 체결 홀더(17)에 대해 그리고 제2 커넥터의 측벽에 있는 상대 클램프(27)에 대해 피팅되고,
    측방향 체결 장치(40')는 2개의 레버들을 구비한 구조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측방향 체결 장치(40').
  26. 제25항에 있어서, 측방향 체결 장치(40')는 제2 커넥터의 상대 클램프(27)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레버(41')와, 제1 레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커넥터의 체결 홀더(17)에서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2 레버(42')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측방향 체결 장치(40').
  27. 제26항에 있어서, 제2 레버(42')는 탄성을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측방향 체결 장치(40').
  28. 제27항에 있어서, 제1 레버(41')는 핸들(43')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측방향 체결 장치(40').
  29. 제27항에 있어서, 제1 레버(41')는 2개의 서로 평행한 제1 레버 아암(411')들을 포함하고, 제1 레버 아암들 각각은 2개의 단부들에, 제1 선회축(44')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1 선회축 구멍(412') 또는 제2 선회축(45')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2 선회축 구멍(413'), 그리고 제2 선회축 구멍이 위치하는 단부에서 2개의 제1 레버 아암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섹션(414')을 포함하고, 핸들(43')은 연결 섹션에 일체로 성형되고,
    제2 레버(42')는 2개의 서로 평행한 제2 레버 아암(421')들을 포함하고, 제2 레버 아암들 각각은 2개의 단부들에, 제2 선회축(45')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3 선회축 구멍(422')과, 제3 선회축(46')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4 선회축 구멍(423')을 각각 포함하고, 제2 레버는 아치형인,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측방향 체결 장치(40').
  30. 제29항에 있어서, 제2 커넥터의 상대 클램프(27)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제1 선회축(44')은 관통 구멍 및 제1 선회축 구멍(412')을 관통하고, E자형 체결 수단(49')에 의해 상대 클램프에 고정되고,
    클램핑 슬리브 홀더(17)는 체결 플레이트(171) 및 상대 체결 플레이트(172)를 포함하고, 이러한 플레이트들 사이에는 제2 커넥터(42')의 제3 선회축(46')의 도입 및 방출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이러한 개구는 경사져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측방향 체결 장치(40').
  31. 제25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1', 1")가 어댑터(30)도 포함하고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어댑터가 조립되는 경우, 제2 커넥터와 어댑터는 측방향 체결 장치(40')를 통해 체결되고, 어댑터(30)는 클램핑 슬리브 홀더(37)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측방향 체결 장치(40').
  32.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를 위한 장착 프레임(202)이며, 이러한 장착 프레임은 커넥터 조립체를 기기에 고정하고, 장착 프레임은 제2 커넥터의 수용을 위한 개구와, 제2 커넥터와 장착 프레임 사이의 밀봉을 제공하기 위한 밀봉 수단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장착 프레임(202).
KR1020237018714A 2020-11-09 2021-11-04 커넥터 조립체 KR202301018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239802.X 2020-11-09
CN202011239802 2020-11-09
CN202110282328.7A CN114465053A (zh) 2020-11-09 2021-03-16 连接器组件及连接器、适配器、侧向锁定装置、安装框架
CN202110282328.7 2021-03-16
PCT/DE2021/100879 WO2022096065A1 (de) 2020-11-09 2021-11-04 Verbinderbaugrup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866A true KR20230101866A (ko) 2023-07-06

Family

ID=8140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714A KR20230101866A (ko) 2020-11-09 2021-11-04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402790A1 (ko)
EP (1) EP4241340A1 (ko)
KR (1) KR20230101866A (ko)
CN (1) CN114465053A (ko)
WO (1) WO20220960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4095B (zh) * 2023-12-12 2024-03-19 深圳市圣诺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自锁式多功能电连接器
CN118040395A (zh) * 2024-04-12 2024-05-14 深圳市华科精密组件有限公司 一种带倒扣端子的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5191Y2 (ko) * 1976-07-08 1981-06-13
JPH0672178U (ja) * 1993-03-19 1994-10-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29711173U1 (de) * 1997-06-26 1997-08-21 Schwille Elektronik Produktion Adapter
US6929501B2 (en) * 2003-09-30 2005-08-16 George Ying-Liang Hua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sleeve units that prevent relative movement between two electrical connectors in a transverse direction of contact pins
KR20200005817A (ko) * 2018-07-09 2020-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및 그 체결방법
CN208674463U (zh) * 2018-09-05 2019-03-29 浩亭(珠海)制造有限公司 具有接地孔的连接器和连接器组
CN211265803U (zh) * 2019-12-25 2020-08-14 洛阳普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密封性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02790A1 (en) 2023-12-14
CN114465053A (zh) 2022-05-10
EP4241340A1 (de) 2023-09-13
WO2022096065A1 (de)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01866A (ko) 커넥터 조립체
US8011977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projections integral with connector housing
CA2128172C (en) Self-seating connector adapter
CA1066789A (en) Plug and socket connector assembly with diaphragm sealed contact pins
US8657621B2 (en) Connector apparatus
EP0270573A1 (en) SEALING PART FOR A PARTITION CONNECTOR.
US4775122A (en) Cable clamp
CN213401658U (zh) 插式连接器及用于插式连接器的密封件
CN212392437U (zh) 连接器
US10454199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CA1144616A (en) Connector hood construction
US5383796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train relief means
US20030032321A1 (en) Sealed connector
CN110366802B (zh) 用于矩形插接连接的保护性分离装置
US5425654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am lever lock mechanism
KR200484661Y1 (ko) 라이팅 커넥터
CN212062850U (zh) 一种有限电视接头防脱落装置
EP4290703A1 (en) Adapter connector assembly, electrical connector plug, and electrical connector kit
EP3993175A1 (en) Sealed connector housing for an angled electrical connector
CN210323474U (zh) 一种光纤连接器的密封系统
JP2729567B2 (ja) コネクタの締着機構
EP4318822A1 (en)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connectors
US10128605B2 (en) Connector
CN219067346U (zh) 密封件及连接器
EP1047158B1 (en) Electrical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