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817A - 고전압 커넥터 및 그 체결방법 - Google Patents
고전압 커넥터 및 그 체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5817A KR20200005817A KR1020180079264A KR20180079264A KR20200005817A KR 20200005817 A KR20200005817 A KR 20200005817A KR 1020180079264 A KR1020180079264 A KR 1020180079264A KR 20180079264 A KR20180079264 A KR 20180079264A KR 20200005817 A KR20200005817 A KR 202000058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threaded portion
- female connector
- fastening
- bolt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는, 상면에 체결홀이 형성된 피메일 커넥터; 상기 피메일 커넥터와 체결될 시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주면의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나사산부 및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제1 비나사산부가 형성된 체결돌부를 포함하는 메일 커넥터; 및 상기 체결홀에 삽입관통되어 상기 체결돌부에 체결되며, 단부에 상기 제1 나사산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제2 나사산부 및 상기 제2 나사산부 상측에 형성되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제2 비나사산부를 포함하는 볼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 및 그 체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팅결합을 통해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를 체결할 시, 볼트에 과토크를 인가하더라도 커넥터가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 및 그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다양한 전기(전자)장치들이 설치되며, 이들은 케이블과 그에 연결된 커넥터를 통해 전원 또는 다른 장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 커넥터는 전원과 장치 사이, 장치와 장치 사이에서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할 때 전기적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특히 고전압을 전달할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최근에는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생산됨에 따라 고전압 커넥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고전압 커넥터는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로 구성되며 메일 커넥터의 상측에 피메일 커넥터를 배치한 후, 볼팅 결합을 통해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를 체결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체결 방식의 경우 적정 토크를 인가하여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를 조립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문제가 없었지만, 적정 토크를 인가하기 힘든 환경에서는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를 안정적으로 조립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볼팅 결합 시 과토크를 인가한 경우에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가 불안정하게 결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가 체결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계속하여 볼트에 토크를 인가할 시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에 형성된 나사산이 파손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볼트 어셈블리와 볼트 어셈블리와 체결되는 체결돌부에 나사산부 및 비나산부를 포함하는 과토크 방지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커넥터 체결을 위한 볼팅 작업 시 과토크를 인가하더라도 커넥터가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 및 그 체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는, 상면에 체결홀이 형성된 피메일 커넥터; 상기 피메일 커넥터와 체결될 시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주면의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나사산부 및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제1 비나사산부가 형성된 체결돌부를 포함하는 메일 커넥터; 및 상기 체결홀에 삽입관통되어 상기 체결돌부에 체결되며, 단부에 상기 제1 나사산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제2 나사산부 및 상기 제2 나사산부 상측에 형성되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제2 비나사산부를 포함하는 볼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나사산부는 상기 제1 나사산부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 어셈블리는, 볼트 헤드 하측에 위치하는 제1 플랜지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하측에 위치하는 제2 플랜지부; 상기 볼트 외주면에 형성된 제1홈 및 제2홈;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오링(O-ring); 상기 제2 플랜지부 및 상기 오링 사이에 끼워지는 디링(D-ring); 및 상기 제2홈에 끼워지는 이링(E-rin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나사산부는, 상기 볼트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피메일 커넥터와 상기 메일 커넥터의 체결이 완료될 시, 상기 제1 비나사산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비나사산부는, 상기 볼트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피메일 커넥터와 상기 메일 커넥터의 체결이 완료될 시, 상기 제1 나사산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 체결 방법은, 상면에 형성된 체결홀에 볼트 어셈블리가 삽입관통되는 피메일 커넥터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피메일 커넥터와 체결될 시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주면의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나사산부 및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제1 비나사산부가 형성된 체결돌부를 갖는 메일 커넥터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메일 커넥터의 상측에 상기 피메일 커넥터를 수직 하강시켜 상기 메일 커넥터의 상면에 상기 피메일 커넥터를 나란하게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볼트 어셈블리에 토크를 가해 상기 메일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 어셈블리를 통해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의 체결이 완료될 시, 제2 나사산부는 제1 비나사산부에 위치하고, 제2 비나산부는 제1 나사산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피메일 커넥어와 메일 커넥터의 체결이 완료된 이후에 볼트 어셈블리에 계속하여 토크를 인가하거나, 볼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과토크를 인가할지라도, 제2 나사산부가 제1 비나산부에서 헛돌게 되어 볼트 어셈블리와 체결돌부에 형성된 나사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의 체결이 완료될 시, 제2 나사산부가 헛돌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의 체결완료 시점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체결 완료 후에 볼트에 계속하여 토크를 인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메일 커넥터에서 체결돌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 및 비나사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볼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의 가체결 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볼트를 조임에 따라 피메일 커넥터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박스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볼트가 풀림에 따라 피메일 커넥터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볼트 풀림이 완료된 후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 체결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메일 커넥터에서 체결돌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 및 비나사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볼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의 가체결 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볼트를 조임에 따라 피메일 커넥터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박스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볼트가 풀림에 따라 피메일 커넥터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볼트 풀림이 완료된 후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 체결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 및 그 체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고전압 커넥터의 메일 커넥터에서 체결돌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 및 비나사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고전압 커넥터의 볼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의 가체결 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볼트를 조임에 따라 피메일 커넥터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서 박스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볼트가 풀림에 따라 피메일 커넥터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볼트 풀림이 완료된 후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는 피메일 커넥터(100), 메일 커넥터(200) 및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를 체결시키는 볼트 어셈블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피메일 커넥터(100)는 메일 커넥터(2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면에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홀을 통해 볼트 어셈블리(300)가 삽입관통될 수 있다. 아울러, 피메일 커넥터(100)의 내부 공간에는 피메일 단자(102)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메일 커넥터(100)는 아우터 하우징 및 이너 하우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아우터 하우징은 전자파나 노이즈의 차폐 등을 위해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너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일 커넥터(200)는 피메일 커넥터(200)의 하측에 배치되며, 볼트 어셈블리(300)를 통해 피메일 커넥터(100)와 체결될 시 볼트 어셈블리(300)가 체결되는 체결돌부(210) 및 피메일 단자(102)와 접촉되는 메일 단자(2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돌부(210)는 피메일 커넥터와 체결될 시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결돌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의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나사산부(212) 및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제1 비나사산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비나사산부(214)는 제1 나사산부(21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나사산부(212)의 하측에 제1 비나사산부(214)를 형성한 이유는, 추후 설명할 볼트 어셈블리(300)를 통해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의 체결이 완료될 시, 볼트 어셈블리(300)의 제2 나사산부(380)가 제1 비나사산부(214)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피메일 커넥어(100)와 메일 커넥터(200)의 체결이 완료된 이후에 볼트 어셈블리(300)에 계속하여 토크를 인가하거나, 체결 과정 중에 볼트에 과토크를 인가할지라도, 제2 나사산부(380)가 제1 비나산부(214)에서 헛돌게 되어 볼트 어셈블리(300)와 체결돌부(210)에 형성된 나사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메일 단자(202)는 메일 커넥터(200)의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피메일 커넥터(100)와 체결될 시 피메일 단자(102)와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메일 커넥터(200)와 피메일 커넥터(100)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볼트 어셈블리(300)는 피메일 커넥터(100)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관통되어 메일 커넥터(200)의 체결돌부(210)에 체결되어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볼트 어셈블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나사산부(380) 및 제2 비나사산부(39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 헤드(310) 하측에 위치하는 제1 플랜지부(320), 제1 플랜지부(3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하측에 위치하는 제2 플랜지부(330), 제1 플랜지부(320)와 제2플랜지부(330)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340), 볼트 외주면에 성형된 제1홈(미도시) 및 제2홈(미도시), 제1홈에 끼워지는 오링(O-ring)(350), 제2 플랜지부(330) 및 오링(350) 사이에 끼워지는 디링(D-ring)(360) 및 제2홈에 끼워지는 이링(E-rin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볼트 어셈블리(300)의 제2 나사산부(380)는 볼트 어셈블리(300)의 단부에 형성되어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가 체결될 시 제1 나사산부(212)의 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나사산부(380)는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의 체결이 완료될 시, 제1 비나사산부(214)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의 체결이 완료된 후, 제2 나사산부(380)가 제1 비나사산부(214)에 위치함으로써, 볼트에 토크를 계속 인가하여도 제2 나사산부(380)가 제1 비나사산부(214)에서 헛돌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제2 비나사산부(390)는 제2 나사산부(380)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비나사산부(390)는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의 체결이 완료될 시, 제1 나사산부(212)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플랜지부(320) 및 제2 플랜지부(330)에 위치하는 탄성부재(340)는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가 체결될 시 압축되었다가 볼트가 풀릴 시, 압축되어 있던 탄성력을 통해 볼트 어셈블리(300)가 상측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그에 따라 제2 나사산부(380)가 제1 나사산부(212)의 나사산에 맞물릴 수 있게 한다. 실시예에 따라, 탄성부재(340) 따라 웨이브 와셔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가 체결될 시 압축되었다가 볼트가 풀릴 시, 탄성력을 통해 볼트 어셈블리(30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제2 나사산부(380)가 제1 나사산부(212)의 나사산에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면, 다양한 탄성부재가 본 발명의 탄성부재(340)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홈에 끼워지는 오링(350)은 볼트 어셈블리(300)가 피메일 커넥터(100)의 체결홀에 삽입될 시, 제1홈과 체결홀의 내주면에 의해 눌리면서 압력을 받아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할 수 있는 공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2 플랜지부(330) 및 오링(350) 사이에 끼워지는 디링(360)은 볼트 어셈블리(300)가 피메일 커넥터(100)의 체결홀에 삽입될 시, 체결홀의 내주면 사이의 빈틈을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디링(360)은 볼트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볼트 어셈블리(300)가 체결홀에 삽입될 시, 디링(36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체결홀에는 디링(360)의 링 두께만큼의 디링 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제2홈에 끼워지는 이링(370)은 체결돌부(210)에 체결된 볼트 어셈블리(300)가 진동 등에 의해 점차 풀려 체결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가 체결 또는 분리되는 것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를 체결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메일 커넥터(100)를 메일 커넥터(200)의 상측에 위치시켜 가체결을 시킨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어셈블리(300)에 토크를 인가하여 볼트를 조여준다. 여기서, 볼트를 조여줌에 따라 볼트 어셈블리(300)의 단부에 형성된 제2 나사산부(380)가 메일 커넥터(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부(212)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피메일 커넥터(100)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볼트 어셈블리(300)에 토크를 인가해서 볼트를 조임에 따라 피메일 커넥터(100)가 계속 하측으로 이동하여 메일 커넥터(200)와 체결이 완료될 시, 제2 나사산부(380)가 제1 나사산부(212)의 나사산을 지나 제1 나사산부(212) 하측에 형성된 제1 비나사산부(214)에 위치하게 된다. 다시 말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나사산부(380)는 볼트 어셈블리(300)를 통해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의 체결이 완료될 시, 체결돌부(210)의 제1 비나사산부(214)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비나사산부(390)는 볼트 어셈블리(300)를 통해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의 체결이 완료될 시, 제1 나사산부(212)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볼트 어셈블리(300)를 통해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의 체결이 완료될 시, 제2 나사산부(380)는 제1 비나사산부(214)에 위치하고, 제2 비나산부(390)는 제1 나사산부(212)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피메일 커넥어(100)와 메일 커넥터(200)의 체결이 완료된 이후에 볼트 어셈블리(300)에 계속하여 토크를 인가하거나, 볼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과토크를 인가할지라도,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나사산부(380)가 제1 비나산부(214)에서 헛돌게 되어 볼트 어셈블리(300)와 체결돌부(210)에 형성된 나사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의 체결이 완료될 시, 제2 나사산부(380)가 헛돌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의 체결완료 시점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체결 완료 후에 볼트에 계속하여 토크를 인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체결된 상태의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를 분리하는 것을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할 시 인가했던 토크의 반대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여 볼트를 풀게되면, 제1 플랜지부(320) 및 제2 플랜지부(330) 사이에 위치하여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가 체결될 시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 볼트 어셈블리(300)가 상측으로 움직이고, 그에 따라 제2 나사산부(380)가 제1 나사산부(212)의 나사산에 맞물리게 되고, 계속하여 볼트를 풀게되면, 피메일 커넥터(10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메일 커넥터(100)와 메일 커넥터(200)가 분리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 체결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 체결방법은 상면에 형성된 체결홀에 볼트 어셈블리가 삽입관통되는 피메일 커넥터를 마련하는 단계, 피메일 커넥터와 체결될 시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주면의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나사산부 및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제1 비나사산부가 형성된 체결돌부를 갖는 메일 커넥터를 마련하는 단계, 메일 커넥터의 상측에 피메일 커넥터를 수직 하강시켜 메일 커넥터의 상면에 피메일 커넥터를 나란하게 배치하는 단계, 및 볼트 어셈블리에 토크를 가해 메일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00: 피메일 커넥터
102: 피메일 단자
200: 메일 커넥터 202: 메일 단자
210: 체결돌부 212: 제1 나사산부
214: 제1 비나사산부 300: 볼트 어셈블리
310:볼트 헤드 320: 제1 플랜지부
330: 제2 플랜지부 340: 탄성부재
350: 오링 360: 디링
370: 이링 380: 제2 나사산부
390: 제2 비나사산부
200: 메일 커넥터 202: 메일 단자
210: 체결돌부 212: 제1 나사산부
214: 제1 비나사산부 300: 볼트 어셈블리
310:볼트 헤드 320: 제1 플랜지부
330: 제2 플랜지부 340: 탄성부재
350: 오링 360: 디링
370: 이링 380: 제2 나사산부
390: 제2 비나사산부
Claims (7)
- 상면에 체결홀이 형성된 피메일 커넥터;
상기 피메일 커넥터와 체결될 시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주면의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나사산부 및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제1 비나사산부가 형성된 체결돌부를 포함하는 메일 커넥터; 및
상기 체결홀에 삽입관통되어 상기 체결돌부에 체결되며, 단부에 상기 제1 나사산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제2 나사산부 및 상기 제2 나사산부 상측에 형성되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제2 비나사산부를 포함하는 볼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나사산부는 상기 제1 나사산부 하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 어셈블리는,
볼트 헤드 하측에 위치하는 제1 플랜지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하측에 위치하는 제2 플랜지부;
상기 볼트 외주면에 형성된 제1홈 및 제2홈;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오링(O-ring);
상기 제2 플랜지부 및 상기 오링 사이에 끼워지는 디링(D-ring); 및
상기 제2홈에 끼워지는 이링(E-rin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산부는,
상기 볼트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피메일 커넥터와 상기 메일 커넥터의 체결이 완료될 시, 상기 제1 비나사산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나사산부는
상기 볼트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피메일 커넥터와 상기 메일 커넥터의 체결이 완료될 시, 상기 제1 나사산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 상면에 형성된 체결홀에 볼트 어셈블리가 삽입관통되는 피메일 커넥터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피메일 커넥터와 체결될 시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주면의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나사산부 및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제1 비나사산부가 형성된 체결돌부를 갖는 메일 커넥터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메일 커넥터의 상측에 상기 피메일 커넥터를 수직 하강시켜 상기 메일 커넥터의 상면에 상기 피메일 커넥터를 나란하게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볼트 어셈블리에 토크를 가해 상기 메일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체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9264A KR20200005817A (ko) | 2018-07-09 | 2018-07-09 | 고전압 커넥터 및 그 체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9264A KR20200005817A (ko) | 2018-07-09 | 2018-07-09 | 고전압 커넥터 및 그 체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5817A true KR20200005817A (ko) | 2020-01-17 |
Family
ID=6937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9264A KR20200005817A (ko) | 2018-07-09 | 2018-07-09 | 고전압 커넥터 및 그 체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0581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96065A1 (de) * | 2020-11-09 | 2022-05-12 |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 Verbinderbaugrupp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66042A (ko) | 2011-12-12 | 2013-06-20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자동차용 인버터의 고전압커넥터 |
-
2018
- 2018-07-09 KR KR1020180079264A patent/KR2020000581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66042A (ko) | 2011-12-12 | 2013-06-20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자동차용 인버터의 고전압커넥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96065A1 (de) * | 2020-11-09 | 2022-05-12 |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 Verbinderbaugrupp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645844B1 (en) | Self-seating connector adapter | |
US10116093B2 (en) | Connector device | |
US7713071B2 (en) | Electrical earthing nut | |
US8408927B2 (en) | Floating connector with flexible conductive member | |
US6793529B1 (en) | Coaxial connector with positive stop clamping nut attachment | |
US9966715B2 (en) | Device connector | |
KR20190091279A (ko) | 커넥터 단자 및 그것의 조립 방법 | |
US8926246B2 (en) | Bolt support structure | |
KR102607870B1 (ko) |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 |
CN1838485A (zh) | 用于电池操作式工业卡车中电源和控制单元的电流供给点 | |
KR102517853B1 (ko) |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 |
KR20230039628A (ko) | 고전압 커넥터의 제조 방법 | |
US796761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nding and mounting a high amperage single pole connector | |
KR20200005817A (ko) | 고전압 커넥터 및 그 체결방법 | |
US3710307A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11276946B2 (en) | Cable connector system and a method of connecting electrical cables | |
US20110143575A1 (en) | Connection assembly | |
KR102343021B1 (ko) | 전기 장치 | |
CN112889190B (zh) | 电源连接器 | |
JP2009272132A (ja) | 機器とシールドケーブルとの接続構造 | |
KR100997368B1 (ko) | 전기 기계의 접촉을 위한 접속 장치 | |
KR101429669B1 (ko) | 조립식 커넥터 | |
KR20010055615A (ko) | 자동차용 배터리의 케이블 접속구 | |
JP3971924B2 (ja) | 端子接続装置 | |
RU2351051C2 (ru) | Коробка выводов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шин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