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722B1 - 난로 및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와그 연소장치의 연소 자동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난로 및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와그 연소장치의 연소 자동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722B1
KR100735722B1 KR1020060024134A KR20060024134A KR100735722B1 KR 100735722 B1 KR100735722 B1 KR 100735722B1 KR 1020060024134 A KR1020060024134 A KR 1020060024134A KR 20060024134 A KR20060024134 A KR 20060024134A KR 100735722 B1 KR100735722 B1 KR 100735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flue
solenoid valve
fan
fire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다희
Original Assignee
최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다희 filed Critical 최다희
Priority to KR102006002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6/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 F23C6/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in series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12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plastics, e.g.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F23G2206/20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 F23G2206/203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with a power/heat generating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28Plastics or rubber like materials
    • F23G2209/281Ty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Abstract

본 발명은 난로 및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타이어 및 화목을 소각할 때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다수의 연소실이 형성된 연도로 통과되게 하여 연소가스의 완전연소가 가능하도록 하고, 이때 발생되는 연소열을 재이용하여 난방에 적극 활용하며, 난로에 공급되는 공기를 제어함으로써 난로의 화력을 조절하여 난방온도를 제어하고, 또한 폐타이어 및 화목을 연소시 발생되는 카본블랙(carbon black) 등의 미립자들을 모두 집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폐자재를 사용하여 고효율의 난방효과를 얻음과 아울러 환경을 전혀 오염시키지 않는 친환경성 연소장치와 이 연소장치의 연소 자동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난로 및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와 그 연소장치의 연소 자동제어 방법{A burner for waste tire and firewood which have stove and boiler function and automatic control method of combustion thereof}
도 1는 본 발명상의 난로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상의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상의 난로 및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Fa. 난로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
Fb.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
Fc. 난로 및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
10. 화실(火室) 11. 방폭구
12. 사이트글라스(sight glass) 13. 제3수동밸브
14. 핸드스위치 15. 도어(door)
16. 제1솔레노이드밸브 17. 가스통
18. 자동점화장치 19. 재받이통
120, 220, 20, 20', 20a', 20b'. 연도
21. 연소실 22. 연소실 바닥면
23. 재(再)연소통 24. 원통형 관
25. 송풍팬 26. 분사노즐
26a. 기수분리판 27. 제3솔레노이드밸브
28. 순환펌프 29. 배기팬
30. 팽창탱크
31. 팬 코일 유닛(fan coil unit) 또는 방바닥 코일
32. 순환펌프 33. 수온감지센서
34. 온수통 40. 이중관
40'. 산소공급관 41. 제1수동밸브
42. 제2솔레노이드밸브 50. 집진통
51. 배기구 51a. 통공
52. 무동력 팬 100. 콘트롤 판넬
110. 벽체 122. 격판
130. 가열관 S. 온도감지센서
본 발명은 난로 및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타이어 및 화목을 소각할 때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다수의 연소실이 형성된 연도로 통과되게 하여 연소가스의 완전연소가 가능하도록 하고, 이때 발생되는 연소열을 재이용하여 난방에 적극 활용하며, 난로에 공급되는 공기를 제어함으로써 난로의 화력을 조절하여 난방온도를 제어하고, 또한 폐타이어 및 화목을 연소시 발생되는 카본블랙(carbon black) 등의 미립자들을 모두 집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폐자재를 사용하여 고효율의 난방효과를 얻음과 아울러 환경을 전혀 오염시키지 않는 친환경성 연소장치와 이 연소장치의 연소 자동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각용 난로는 난로로부터 연도가 직접 외부로 연결되어 있어 난로에서 폐자재가 소각되면서 발생되는 매연과 연소열이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야기하게 되고, 또한 고온의 연소열로 인해 연도에서 불꽃이 배출되어 자칫 화재로도 연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또한, 종래의 소각용 난로는 온도조절이 불가능하여 폐자재의 연소가 시작되면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만 고열을 방출하며 폐자재가 모두 소각되어 버려 실내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었다가 이내 다시 실내 온도가 하강해버리므로 일정한 실내 온도를 장시간 유지하는 일이 매우 어려웠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타이어나 화목과 같은 폐자재를 소각할 때 연소가스의 불완전 연소로 인한 카본블랙과 같은 미립자의 발생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연소가스의 완전연소가 가능하도록 하고, 폐자재를 소각할 때 발생되는 고열을 재이용하여 난방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연소장치에 공급되는 공기를 제어하여 연소장치의 화력을 조절함으로써 일정한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소시 발생되는 미연소 미립자가 발생될 시 이를 모두 집진할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고효율의 열에너지를 얻음과 아울러 환경을 전혀 오염시키지 않는 효과를 가지는 난로 및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와 그 연소장치의 연소 자동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점화장치가 설치된 화실(火室)과, 상기 화실과 연결되고 다수의 연소실이 구비된 연도와, 상기 연도를 감싸는 구조로서 화실에 공기를 공급하는 이중관과, 상기 화실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을 재이용하기 위한 송풍장치 및 온수 공급장치와, 상기 연도와 이중관에 설 치된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 및 수동밸브와, 상기 연도 끝단에 설치된 배기팬 및 집진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상의 난로 및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난로 기능만 가능하도록 구성하거나, 보일러 기능만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로 기능 및 보일러 기능이 동시에 구현 가능하도록 복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난로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Fa)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 방폭구(11)가 구비된 화실(10)의 전면에는 사이트글라스(sight glass)(12)와 제3수동밸브(13) 및 핸드스위치(14)가 부착된 도어(15)를 설치하고, 상기 화실(10)의 내부 상ㆍ하측에는 제1솔레노이드밸브(16)를 통해 가스통(17)에 연결된 자동점화장치(18)를 구비하며, 상기 화실(10)의 하부에는 재받이통(19)을 설치한다.
상기 화실(10)의 상부에는 지그재그 형태로서 일정공간의 연소실(21)이 다수 구비되는 연도(20)를 설치하고, 상기 연도(20)의 연소실 바닥면(22)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폐자재 소각시에 발생되는 미립자들이 상기 연소실 바닥면(22)에 적체된 후 다시 그 바닥면(22)을 따라 밑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상기 미 립자들을 수거하여 재연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화실(10)과 연도(20)의 연결부위에는 재(再)연소통(23)을 설치한다.
상기 연도(20)의 연소실(21)에는 이 연소실(21)을 관통하도록 원통형 관(24)을 다수 설치하고, 그 원통형 관(24)의 내부에는 온도감지센서(S)와 송풍팬(25)을 설치하여 연소실(21)의 연소가스가 상기 원통형 관(24)을 가열하여 이 원통형 관(24)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상기 송풍팬(25)을 통해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도(20)에는 물이 담긴 팽창탱크(30)를 설치하여 실내의 가습기능을 하도록 한다.
벽체(110) 외부로 노출되는 연도(20')에는 이중관(40)을 형성하고 이 이중관(40)의 실내측 끝단에는 산소공급관(40')을 설치하며, 이 산소공급관(40')에는 제1수동밸브(41)를 설치한 다음, 상기 산소공급관(40')을 화실(10)에 연결하여 이 화실(10)에 외부 공기를 공급케 한다. 그리고, 상기 이중관(40)의 실외측 끝단에는 제2솔레노이드밸브(42)를 설치한다.
상기 이중관(40)의 내부를 통하여 실외로 인출된 연도(20')는 하향되게 형성하고, 이 연도(20') 끝단부에는 분사노즐(26)을 설치하며, 이 분사노즐(26)의 하측에는 무동력 팬(52)을 설치한다.
상기 연도(20')의 하단은 물이 담긴 집진통(50)에 잠기도록 하고, 상기 집진통(50)에는 순환펌프(28)를 설치하여 이 순환펌프(28)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26)에 물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연도(20')의 분사노즐(26)의 상측에는 소량의 연소가스를 배기할 수 있 도록 제3솔레노이드밸브(27)를 설치하며, 상기 연도(20')의 무동력 팬(52) 하측에는 기수분리판(26a)을 설치하고, 이 기수분리판(26a)의 하측에 상기 연도(20')와 수직방향으로 별도의 수평 연도(20a')를 설치한다.
상기 수평 연도(20a')에는 배기팬(29)을 설치하고, 이 배기팬(29)에 하향되게 부착된 수직 연도(20b')의 하단에는 다수의 통공(51a)이 형성된 배기구(51)를 형성하며, 상기 배기구(51)는 상기 집진통(50)의 수면에 일부만 잠기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로서 난로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의 작용과 이 연소장치의 연소 자동제어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연소장치의 전기 콘트롤 판넬(100)에서 전원 스위치를 켠 후 화실(10)의 도어(15)를 열고 폐타이어나 화목을 투입한 다음, 도어(15)를 닫으면 자동점화장치(18)에 의해 점화가 시작되고 점화 수분 후에 자동으로 가스통(17)에 연결된 제1솔레노이드밸브(16)가 닫히게 된다.
연소가 시작되면 배기팬(29)이 작동하고 제2솔레노이드밸브(42)가 개방되어 화실(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게 되며, 연소장치가 일정온도까지 상승하게 되면 온도감지센서(S)가 작동하여 상기 배기팬(29)과 제2솔레노이드밸브(42)의 작동을 정지시켜 화실(10)의 연소를 거의 중단시키게 된다.
또한, 시간이 경과되어 연소장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다시 배기팬(29)을 작동시키고 제2솔레노이드밸브(42)를 개방하여 화실(10)에 다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활발한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소장치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는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연소장치의 일정한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해진다.
또한, 연소가 시작되면 연도(20)의 연소실(21)에 설치된 다수의 송풍팬(25)이 작동되어 온풍을 실내에 확산 순환시켜 실내온도 편차를 줄이게 되고, 아울러 배기가스의 온도를 현저하게 낮추게 된다.
한편, 종래 소각용 난로를 사용할 때 연소 중 화실의 도어를 열어 놓고 투입할 시 화실 내의 배기가스(연기)가 난로를 설치한 방안이나 비닐 하우스 내로 배출되므로 인해 실내공기가 오염되어 동ㆍ식물에 피해를 끼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실 도어(15)를 열었을 때 배기팬(29)이 작동되도록 하여 오히려 실내측의 공기가 화실(10)을 통해 연소실(21) 내부로 빨려들어가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공기가 오염될 염려가 없다. 즉, 화실 도어(15)를 열면 제2 및 제3솔레노이드밸브(42)(27)는 닫히고 배기팬(29)만이 가동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중 배기팬(29)이 작동하여 배기를 시키는 량 만큼만 제2솔레노이드밸브(42)가 열려서 외부공기가 화실(10)로 유입되므로 최적의 연소조건이 이루어지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벽체(110) 외부의 연도(20')에 이중관(40)을 설치하여, 이 이중관(40)의 제2솔레노이드밸브(42)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예열하여 화실(10)로 공급함으로 폐열을 회수하여 연소효율을 높이고 배기 가스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화재예방도 가능해진다.
벽체(110)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연도(20')에서 자연 낙하되는 미연소 입자를 집진하기 위하여 설치된 분사노즐(26)과 무동력 팬(52)은, 순환펌프(28)에서 집진통(50)의 물을 퍼올려 상기 무동력 팬(52)의 날개에 분사노즐(26)을 통해 직접 분사하고, 배기팬(29)이 작동하면 상기 무동력 팬(52)은 분사노즐(26)의 물 분사압력과 배기팬(29)의 흡입력에 의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면서 배기되는 미연소 입자를 물로 응착시켜 집진통(50) 속으로 직접 하강 침적되게 하며, 미처 배기되지 못한 배기가스는 배기팬(29)을 거쳐 배기구(51)를 통해 집진통(50)의 물속으로 침적되고 나머지는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여기서 상기 무동력 팬(52)의 하측에 설치된 기수분리판(26a)은 얇은 철판으로서 미연소 기체와 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기구(51)는 집진통(50)의 수면에 일부만 잠기도록 형성되어 있어 배기가스가 배기구(51)의 통공(51a)을 통해서 기포형태로 분출되기 때문에 집진통(50)에 담겨진 물이 배기가스의 압력으로 인해 심하게 튀기는 일이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구(51)의 하단에 상기와 같이 별도의 통공(51a)을 형성하지 않아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집진통(50)은 난로를 사용치 않는 시기(여름)에 케익(cake)형태로 건조 후 재연소시킨다. 또한 집진통(50)의 물에는 부동액을 첨가하여 겨울철에 결빙을 방지한다.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42)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은 배기팬(29)의 배기량에 의하여 일정하므로 상기 제1수동밸브(41)는 이와 같이 일정하게 공급되는 공기의 량을 0~100%까지 제어하여 사용난방면적에 적합하도록 연소장치의 연소량을 조 절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제3수동밸브(13)는 임의의 수동공기투입밸브로서, 화실(10) 내부에서 연소가 진행되다가 온도감지센서(S)가 작동되어 연소가 중지되었을 경우, 화실(10) 내부에 촛불처럼 불꽃이 유지되어야 재점화가 용이함으로 이를 위한 극소량의 공기투입밸브이며, 배기는 제3솔레노이드밸브(27)가 개방되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화실(10)에 설치된 방폭구(11)는 난로의 자동점화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통상의 장치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Fb)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실의 상부에 설치된 연도(120)의 내부 좌ㆍ우측에는 하향으로 경사진 격판(122)을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하고, 그 격판(122)의 저면과 연도(120)의 내면에는 하나의 유로로 이루어진 가열관(130)을 설치한다.
상기 가열관(130)의 상부 끝단은 연도(120)의 외부로 인출하여 팬 코일 유닛 또는 방바닥 코일(31)에 연결하고, 상기 팬 코일 유닛 또는 방바닥 코일(31)의 끝단은 수온감지센서(33)가 부착된 순환펌프(32)에 연결하며, 이 순환펌프(32)는 다시 가열관(130)의 하부 끝단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관(130)은 팽창탱크(30)로부터 항상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화실(10)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면 그 열기로 가열 관(130)이 가열되면서 그 가열관(130)의 내부에 공급된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물의 온도를 상기 수온감지센서(33)가 감지하게 되고, 수온이 일정온도가 되면 순환펌프(32)가 가동되어 팬 코일 유닛 또는 방바닥 코일(31)에 온수를 순환시키도록 함으로써 직접적인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온이 일정온도 이상 또는 이하로 되면 순환펌프(32)의 동작이 정지되어 팬 코일 유닛 또는 방바닥 코일(31)로의 물의 순환이 멈추게 된다.
상기 연도(120)에 형성된 가열관(130)은 난방을 필요로 하는 난방면적에 비례하여 가열관(130)의 전열면적을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난로 및 보일러 기능이 복합된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Fc)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실(10)의 상부에는 지그재그 형태로서 일정공간의 연소실(21)이 다수 구비되는 연도(20)를 설치하고, 상기 연소실(21)의 일측에는 서로 유로가 연결되어 있는 온수통(34)을 다수 설치하며 최상부에 위치된 온수통(34)은 팬 코일 유닛 또는 방바닥 코일(31)에 연결하고, 상기 팬 코일 유닛 또는 방바닥 코일(31)의 끝단은 수온감지센서(33)가 부착된 순환펌프(32)에 연결하며 이 순환펌프(32)는 다시 최하부에 위치된 온수통(34)에 연결한다. 이때, 상기 최상부에 위치된 온수통(34)은 팽창탱크(30)에 연결하여 이 팽창탱크(30)로부터 항상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소실(21)의 타측에는 송풍팬(25)이 내재된 다수의 원통형 관(24)을 상기 연소실(21)을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원통형 관(24)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온도감지센서(S)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화실(10)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면 연소실(21)의 연소가스가 상기 원통형 관(24)을 가열하여 이 원통형 관(24)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상기 송풍팬(25)을 통해 실내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실(10)에서 연소가 이루어질 때 그 열기로 온수통(34)이 가열되면서 이 온수통에 공급된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물의 온도를 상기 수온감지센서(33)가 감지하게 되고, 수온이 일정온도가 되면 순환펌프(32)가 가동되어 팬 코일 유닛 또는 방바닥 코일(31)에 온수를 순환시키게 된다.
따라서, 건물의 바닥과 실내 공기의 온도를 동시에 상승시킬 수 있게 되므로 빠른 시간 내에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면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42)를 이중관(40)을 통하지 않고 직접 화실(10)에 연결하여 이 화실(1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해서, 폐타이어나 화목과 같은 폐자재를 소각할 때 연소가스의 불완전 연소로 인한 카본블랙과 같은 미립자의 발생을 최소로 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상기 폐자재를 소각할 때 발생되는 고열을 재이용하여 난방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연소장치에 공급되는 공기를 제어하 여 연소장치의 화력을 조절함으로써 일정한 실내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소시 발생되는 미연소 미립자가 발생될 때 이를 모두 집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상의 연소장치는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사용이 편리한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일측에 방폭구(11)가 구비되고, 전면에 사이트글라스(sight glass)(12)와 제3수동밸브(13) 및 핸드스위치(14)가 부착된 도어(15)가 설치되며, 내부 상ㆍ하측에는 제1솔레노이드밸브(16)를 통해 가스통(17)에 연결된 자동점화장치(18)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재받이통(19)이 설치된 화실(10);
    상기 화실(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지그재그 형태로서 일정공간의 연소실(21)이 다수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21)의 바닥면(22)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 연도(20);
    상기 화실(10)과 연도(20)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재(再)연소통(23);
    상기 연도(20)의 연소실(21)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원통형 관(24)과, 이 원통형 관(24)의 내부에 장착되는 온도감지센서(S)와 송풍팬(25);
    상기 연도(20)에 설치되어 실내의 가습기능을 하는 팽창탱크(30);
    벽체(110) 외부로 노출되어 하향 설치된 연도(20')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이중관(40);
    상기 이중관(40)의 실내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화실(10)로 연결되는 산소공급관(40');
    상기 산소공급관(40')에 설치되는 제1수동밸브(41);
    상기 이중관(40)의 실외측 끝단에 설치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42);
    상기 연도(20')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분사노즐(26)과, 이 분사노즐(26)의 하 측에 설치되는 무동력 팬(52);
    상기 연도(20')의 끝단에 설치되며 물이 담겨지는 집진통(50);
    상기 집진통(50)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26)에 물을 공급하는 순환펌프(28);
    상기 연도(20')의 분사노즐(26) 상측에 설치되는 제3솔레노이드밸브(27);
    상기 무동력 팬(52) 하측에 설치되는 기수분리판(26a)과, 이 기수분리판(26a)의 하측에 상기 연도(20')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연도(20a');
    상기 수평 연도(20a')에 설치되는 배기팬(29)과 이 배기팬(29)에 하향되게 부착된 수직 연도(20b');
    상기 수직 연도(20b')의 하단에 설치되며 다수의 통공(51a)이 형성된 배기구(51);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
  2. 일측에 방폭구(11)가 구비되고, 전면에 사이트글라스(sight glass)(12)와 제3수동밸브(13) 및 핸드스위치(14)가 부착된 도어(15)가 설치되며, 내부 상ㆍ하측에는 제1솔레노이드밸브(16)를 통해 가스통(17)에 연결된 자동점화장치(18)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재받이통(19)이 설치된 화실(10);
    상기 화실(10)의 상부에 설치된 연도(120)의 내부 좌ㆍ우측에 하향으로 경사지고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격판(122);
    상기 격판(122)의 저면과 연도(120)의 내면에 설치되고, 하나의 유로로 이루어지며 팽창탱크(3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가열관(130);
    상기 가열관(130)의 상부 및 하부 끝단에 연결되는 팬 코일 유닛 또는 방바닥 코일(31);
    상기 팬 코일 유닛 또는 방바닥 코일(31)에 설치되는 순환펌프(32);
    상기 순환펌프(32)에 구비된 수온감지센서(3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
  3. 일측에 방폭구(11)가 구비되고, 전면에 사이트글라스(sight glass)(12)와 제3수동밸브(13) 및 핸드스위치(14)가 부착된 도어(15)가 설치되며, 내부 상ㆍ하측에는 제1솔레노이드밸브(16)를 통해 가스통(17)에 연결된 자동점화장치(18)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재받이통(19)이 설치된 화실(10);
    상기 화실(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지그재그 형태로서 일정공간의 연소실(21)이 다수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21)의 바닥면(22)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 연도(220);
    상기 연소실(21)의 일측에 설치되고, 서로 유로가 연결되며 팽창탱크(3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다수의 온수통(34);
    최상측 온수통(34)과 최하측 온수통(34)에 연결되는 팬 코일 유닛 또는 방바닥 코일(31);
    상기 팬 코일 유닛 또는 방바닥 코일(31)에 설치되는 순환펌프(32);
    상기 순환펌프(32)에 구비된 수온감지센서(33);
    상기 연소실(21)의 타측에 설치되고 연소실(21)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원통형 관(24)과, 이 원통형 관(24)의 내부에 장착되는 온도감지센서(S)와 송풍팬(25);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및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
  4. 연소장치의 전기 콘트롤 판넬(100)에서 전원 스위치를 켠 후 화실(10)의 도어(15)를 열고 폐타이어나 화목을 투입한 다음, 도어(15)를 닫으면 자동점화장치(18)에 의해 점화가 시작되고 점화 수분 후에 자동으로 가스통(17)에 연결된 제1솔레노이드밸브(16)가 닫히는 제1단계;
    연소가 시작되면 배기팬(29)이 작동하고 제2솔레노이드밸브(42)가 개방되어 화실(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며, 연소장치가 일정온도까지 상승하게 되면 온도감지센서(S)가 작동하여 상기 배기팬(29)과 제2솔레노이드밸브(42)의 작동을 정지시켜 화실(10)의 연소를 거의 중단시키는 제2단계;
    연소장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배기팬(29)을 작동시키고 제2솔레노이드밸브(42)를 개방하여 화실(10)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3단계;
    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단계 내지 제3단계를 반복적으로 행하여 연소장치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의 연소 자동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실 도어(15)를 열었을 때 제2솔레노이드밸브(42)는 닫히고 배기팬(29)만이 가동되게 하여 실내측의 공기가 화실(10)을 통해 연소실(21) 내부로 빨려들어가도록 하므로써 연소가스가 실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의 연소 자동제어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42)는 배기팬(29)이 작동하여 배기되는 공기의 량에 비례하여 그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외부공기가 화실(10)로 유입되는 량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의 연소 자동제어 방법.
KR1020060024134A 2006-03-16 2006-03-16 난로 및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와그 연소장치의 연소 자동제어 방법 KR100735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134A KR100735722B1 (ko) 2006-03-16 2006-03-16 난로 및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와그 연소장치의 연소 자동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134A KR100735722B1 (ko) 2006-03-16 2006-03-16 난로 및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와그 연소장치의 연소 자동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722B1 true KR100735722B1 (ko) 2007-07-06

Family

ID=3850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134A KR100735722B1 (ko) 2006-03-16 2006-03-16 난로 및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와그 연소장치의 연소 자동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7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643A (ja) * 1994-06-10 1995-12-22 Kubota Corp ゴミ焼却炉
JP2001050520A (ja) * 1999-08-06 2001-02-2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廃棄物処理装置における熱分解反応炉
JP2005003219A (ja) * 2003-06-09 2005-01-06 Takuma Co Ltd ストーカ式ゴミ焼却炉の燃焼制御装置
JP2006064359A (ja) * 2004-07-30 2006-03-09 Miura Co Ltd 乾留焼却炉およびその運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643A (ja) * 1994-06-10 1995-12-22 Kubota Corp ゴミ焼却炉
JP2001050520A (ja) * 1999-08-06 2001-02-2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廃棄物処理装置における熱分解反応炉
JP2005003219A (ja) * 2003-06-09 2005-01-06 Takuma Co Ltd ストーカ式ゴミ焼却炉の燃焼制御装置
JP2006064359A (ja) * 2004-07-30 2006-03-09 Miura Co Ltd 乾留焼却炉およびその運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748B1 (ko) 펠렛난로
CN103629701B (zh) 一种强排式炊事炉
KR100679316B1 (ko) 화목 보일러
CN106678830A (zh) 垃圾焚烧烟风系统及焚烧控制方法
CN102042602B (zh) 烟浓缩气化焚烧有毒废液的处理方法及装置
CN2462252Y (zh) 热解式垃圾焚烧炉
KR101527682B1 (ko) 고효율 친환경 펠렛 난로
CN201764541U (zh) 多功能节能燃烧炉
KR101349453B1 (ko) 소각로 및 그 운용 방법
KR100735722B1 (ko) 난로 및 보일러 기능을 가진 폐타이어 및 화목 연소장치와그 연소장치의 연소 자동제어 방법
CN205383609U (zh) 可燃垃圾焚烧环保炉
CN201053764Y (zh) 高效节能导热油炉
CN2802304Y (zh) 多级燃煤式环保高效节能炉灶
CN204678413U (zh) 一种醇基液体燃料气化灶及其风式富氧助燃恒温装置
CN113237093A (zh) 一种自动点火装置及往复送料兰炭采暖炉
WO2011131037A1 (zh) 一种燃烧炉
KR20010104391A (ko) 갈탄을 포함한 고체연료 사용 온풍기 및 제어시스템
KR102088707B1 (ko) 조립 구조를 갖는 화목 난로
CN206626567U (zh) 一种生物质负压燃烧无烟炉
CN105972670B (zh) 可强制排出废气的木屑颗粒多功能锅炉
CN204694060U (zh) 排蜡烟雾处理炉
CN209763473U (zh) 一种高效节能采暖炉
KR101636713B1 (ko) 펠릿을 이용한 난방장치
CN211502881U (zh) 一种倾斜烟道的烟气可下行的柴草燃炉
KR200466626Y1 (ko) 펠릿형 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