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358B1 -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358B1
KR100735358B1 KR1020060001403A KR20060001403A KR100735358B1 KR 100735358 B1 KR100735358 B1 KR 100735358B1 KR 1020060001403 A KR1020060001403 A KR 1020060001403A KR 20060001403 A KR20060001403 A KR 20060001403A KR 100735358 B1 KR100735358 B1 KR 100735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udio
video
bluetooth
vide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1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 입력단자가 구비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외부 디바이스(Device)에 멀티미디어(Multimedia) 데이터(Data)를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Bluetooth Gateway)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무선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게이트웨이 RF(Radio Frequency) 모듈부; 상기 게이트웨이 RF 모듈부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블루투스 프로파일(Profile)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더부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제어부; 상기 게이트웨이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재생 시점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동기(Sync)를 맞추는 디코더부; 상기 디코더부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복호화하는 D/A 컨버터부(Digital/Analog Converter); 상기 D/A 컨버터부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복호화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입력단자부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등에 이용됨.
근거리 무선 통신,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멀티미디어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BLUETOOTH GATEWAY APPARATUS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EXTERNAL DEVICE FROM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블루투스 게이트웨이(Bluetooth Gateway)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투스 모듈(Module)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Multimedia) 데이터(Data)를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외부 디바이스(Device)에 전송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 입력단자가 구비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점차 높아져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의 휴대용 단말기(Mobile Terminal)에서도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어, MP3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가 출시되어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폰을 통해 통화뿐만 아니라 MP3 음악을 감상할 수 있으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MP3 및 DMB 등의 멀티미디어 재생과 관련된 기능들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소형 스피커나 표시창을 통해 시청할 수밖에 없는 제약사항이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소형 스피커나 표시창의 음질과 화질은 휴대용 단말기보다 큰 출력을 가지는 외부 디바이스, 예컨대 홈시어터(Home Theater), 카 오디오(Car Audio), 텔레비전(Television) 등에 비하여 현저하게 떨어진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소형 스피커나 표시창보다 뛰어난 음질 및 화질의 멀티미디어를 시청하기 원하는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를 3.5Φ A/V 케이블 등의 유선으로 연결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를 외부 디바이스를 통하여 시청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 간의 3.5Φ A/V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연결은, 다양한 전자제품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그 배선이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복잡한 배선은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종종 화재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멀리 떨어진 공간에 놓인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그 연결선이 매우 길어져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외부 디바이스 간의 무선연결을 위해 외부 디바이스에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것은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 입력단자가 구비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외부 디바이스(Device)에 멀티미디어(Multimedia) 데이터(Data)를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Bluetooth Gateway)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무선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게이트웨이 RF(Radio Frequency) 모듈부; 상기 게이트웨이 RF 모듈부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블루투스 프로파일(Profile)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더부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제어부; 상기 게이트웨이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재생 시점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동기(Sync)를 맞추는 디코더부; 상기 디코더부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복호화하는 D/A 컨버터부(Digital/Analog Converter); 상기 D/A 컨버터부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복호화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입력단자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 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 디바이스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할 수 있는 홈시어터(Home Theater), 카오디오(Car Audio), 텔레비전(Television)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기술함에 있어, 휴대용 단말기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사 및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방식 이외에 적외선 무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무선랜(Wireless Lan) 그리고 스왑(SWAP: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듈을 구비할 수 있음은 발명의 내용으로부터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적외선 무선 통신, 무선랜 및 스왑에 대한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블루투스는 문자 데이터, 음성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10m 내지 100m 내의 거리에서 무선으로 최대 1Mbps 속도로 전송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다. 이하에서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신 방식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블루투스 통신방식에 의해 상호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된 블루투스 장치는 인콰이어리(Inquiry), 인콰이어리 스캔(Inquiry Scan), 페이지(Page), 페이지 스캔(Page Scan)과 같은 동작 수행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연결상태를 구성한다. 이 과정에서 그 역할에 따라 마스터(Master) 장치와 슬레이브(Slave) 장치가 정해진다.
블루투스 장치 상호 간의 새롭게 연결상태를 구성하고자 할 경우 블루투스 장치 상호 간의 동작 클럭(Clock) 및 주파수 패턴을 맞추어야 한다. 이렇게 연결상태를 구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과정 중 인콰이어리는 슬레이브 장치가 마스터 장치와 주파수 패턴을 맞출 수 있도록 마스터에서 동작 주파수를 반복해서 송출하는 동작을 말한다. 인콰이어리 스캔은 슬레이브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수신된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주파수에 동기를 맞추는 과정을 말한다. 페이지는 마스터의 동작 클럭에 슬레이브 장치들이 맞출 수 있도록 마스터 장치에서 클럭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말하고 페이지 스캔은 슬레이브 장치가 수신된 클럭을 검출하여 동기를 맞추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마스터 장치에 대해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가 연결상태를 구성하여 형성된 네트웍을 피코넷(Piconet)이라 한다.
현재 제안된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따르면, 피코넷에서 하나의 마스터 장치는 7개의 슬레이브 장치들을 액티브(Active) 상태로 연결시켜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피코넷에 새로운 슬레이브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마스터 장치는 액티브 상태로 연결된 7개의 슬레이브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에 대해 액티브 상태의 연결을 해체하고 새로운 슬레이브 장치와 액티브 상태의 통신연결을 수행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1)가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와 블루투스 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는 외부 디바이스들(103, 104)과 오디오 및 비디오 입력단자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휴대용 단말기(101)와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 간의 블루투스 무선 통신방식은 점-대-점 그리고 점-대-다점 연결을 지원하며,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101)와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 간에는 블루투스 규격에 준한 무선 통신이 수행된다.
한편, 블루투스 모듈 간에는 HCI(Host Control Interface)라는 인터페이스가 정의되어 있고, 이에 준하는 메시지 패킷(Packet)을 주고받음으로써 제어 명령과 이의 결과 및 콘텐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HCI 패킷은 커맨드(Command), 이벤트(Event), 데이터(Data) 패킷으로 구분되며, 이들 중 커맨드 패킷은 블루투스 모듈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명령어를 제공한다.
이러한 블루투스 시스템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휴대용 단말기(101)는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이 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다.
휴대용 단말기(101)는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1)의 멀티미디어를 외부 디바이스(102)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로 분리한다.
만약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MP3(MPEG Audio Layer-3), WMA(WMA; Window Media Audio)와 같은 비디오 데이터가 없는 오디오 데이터일 경우 또는, 정지영상과 같은 오디오 데이터가 없는 비디오 데이터일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로 분리하는 과정은 생략하게 된다.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로 각각 분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블루투스 프로파일(Bluetooth Profile)의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규정에 따라 블루투스 게이트웨이(102)에 전송한다. 비디오 신호는 블루투스 프로파일의 VDP(Video Distribution Profile)의 규정에 따라 블루투스 게이트웨이(102)에 전송한다.
여기서 블루투스 프로파일은 블루투스 각각의 응용에 대한 프로토콜(Protocol)의 배열에 대한 정의이며, 이렇게 블루투스 각각의 응용에 대한 프로토콜의 배열에 대한 정의를 하는 이유는 서로 다른 제조사의 블루투스 제품들 간의 상호 접속성(Interoperability)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관련 프로파일은 A2DP 프로파일과 VDP 프로파일이 있다. 먼저, A2DP 프로파일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오디오 데이터 전송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권장 코덱으로는 SBC(Sub Band Codec)가 지정되어 있지만, 선택 코덱으로 MP3(MPEG Audio Layer-3), WMA(WMA; Window Media Audio), AAC(Advanced Audio Coding) 그리고 AMR(Adaptive Multi-Rate) 등의 사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SBC(Sub Band Codec)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스트리밍(Streaming)의 형태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에 전송한다.
VDP 프로파일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비디오 데이터 전송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권장 코덱으로는 H.263과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4)가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비디오 데이터는 MPEG-4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스트리밍의 형태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에 전송한다.
이렇게 휴대용 단말기(101)로부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로 오디오 및 비디오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할 때, 오디오 및 비디오의 재생 동기(Sync)를 맞출 수 있도록 스트리밍 데이터에 A2DP 프로파일과 VDP 프로파일에 들어있는 타임라인(timeline)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타임라인 정보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A2DP 프로파일과 VDP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01)로부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에 고품질의 오디오를 수반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는 휴대용 단말기(101)로부터 블루투스의 A2DP 프로파일과 VDP 프로파일의 규정을 통하여 수신된 스트리밍 형태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오디오 디코더와 비디오 디코더로 각각 전달한다.
오디오 디코더와 비디오 디코더에 각각 입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해당 디코더에서 디코딩 과정을 수행하고, A2DP 프로파일과 VDP 프로파일의 타임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동기를 맞춘다. 그리고 오디오 디코더와 비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딩 과정을 수행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비압축 디지털 음원 데이터 및 비압축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가 된다.
이렇게 비압축 디지털 음원 데이터 및 비압축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는 오디오 D/A 컨버터와 비디오 D/A 컨버터로 각각 전송되어 아날로그 데이터로 각각 변환된다. 그리고 오디오 D/A 컨버터와 비디오 D/A 컨버터에서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102)에 구비된 오디오 및 비디오 입력단자를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들(103, 104)에 입력되어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외부 디바이스들(103, 104)과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를 연결하는 오디오 입력단자 및 비디오 입력단자는 RNC 입력단자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101)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들(103, 104)로 전송할 있으며, 외부 디바이스(103)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1)의 멀티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1)는 블루투스 모듈(201), 메모리(202), 제어부(203), 멀티미디어부(204), 표시부(205), 오디오 처리부(206), RF(Radio Frequency) 모듈(207), 키입력부(208) 그리고 송수신부(2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1)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블루투스 모듈(201)은 휴대용 단말기(101)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로 전송하기 위해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와 데이터 링크를 구성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101)와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의 블루투스 모듈 간에는 HCI(Host Control Interface)라는 인터페이스가 정의되어 있고, 이에 준하는 메시지 패킷을 주고받음으로써 제어 명령과 이의 결과 및 콘텐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HCI 패킷은 커맨드, 이벤트, 데이터 패킷으로 구분되며, 이들 중 커맨드 패킷은 블루투스 모듈(201)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명령어를 제공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모듈(201)은 멀티미디어부(203)로부터 블루투스의 A2DP 프로파일의 규정과 VDP 프로파일 규정에 따라 인코딩된 스트리밍 형태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RF 모듈(207)로 전달한다. 각각의 데이터에는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타임라인 정보가 포함된다.
RF 모듈(207)은 블루투스 모듈(201)로부터 전달받은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적합하게 변환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조하여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에 전송한다.
메모리(20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들(103, 104)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101)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20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들(103, 104)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03)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외부 디바이스들(103, 104)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출력 요청이 있으면, 블루투스 모듈(201)을 통해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와 무선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203)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외부 디바이스(103, 104)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출력 요청이 있으면, 휴대용 단말기(101)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 및 표시부(205)를 디스에이블(Disable) 할 수도 있다.
제어부(203)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와 무선 연결되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선 연결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03)는 멀티미디어부(204)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로 분리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블루투스 프로파일의 규정에 따라 SBC 코덱으로 인코딩하고, 비디오 데이터는 MPEG-4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블루투스 모듈(201)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멀티미디어부(204)는 제어부(203)의 제어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로 분리한다.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는 SBC 코덱으로 인코딩하고, 비디오 데이터는 MPEG-4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블루투스 모듈(201)로 전송한다.
또한, 멀티미디어부(204)는 예컨대, DMB 방송 수신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일 경우, 사용자로부터 소정 방송국의 특정 주파수(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디지털 방송 요청이 있으면 제어부(203)의 제어에 의해 디지털 방송 주파수를 특정 주파수로 세팅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1)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국 채널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부(204)는 휴대용 단말기(101)에 구비된 스피커 및 표시부(205)로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 출력 시,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과 영상 데이터 스트림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부(204)는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 및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복호화한 후, 오디오 처리부(206)의 스피커 및 표시부(205)로 각각 출력한다.
표시부(205)는 휴대용 단말기(101)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해상도를 충분히 지원할 수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205)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표시부(20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어부(203)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한다.
오디오 처리부(206)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06)는 RF 모듈(207)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코덱은 제어부(203)에 포함될 수도 있다.
키입력부(208)는 숫자키와 각종 기능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203)로 전달한다. 이러한 키입력부(208)는 외부 디바이스들(103, 104)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출력 요청을 위해 설정된 키를 구비할 수 있다.
송수신부(209)는 이동통신망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호를 수신하거나 호 연결을 시도하는 부분으로서, 제어부(203)의 제어 하에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각종 데이터를 송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203)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는 휴대용 단말기(101)로부터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RF 모듈(301), 게이트웨이 RF 모듈(301)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제어부(302), 제어부(302)로부터 분류된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 디코더(303, 304), 오디오 및 비디오 디코더(303, 304)에서 디코딩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복호화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 D/A 컨버터부(305, 306) 그리고 오디오 및 비디오 D/A 컨버터부(305, 306)에서 아날로그로 복호화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들(103, 104)에 입력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 입력단자(307, 3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게이트웨이 RF 모듈(301)은 휴대용 단말기(101)로부터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RF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RF 모듈(301)은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게이트웨이 제어부(302)로 전달한다.
게이트웨이 제어부(302)는 RF 모듈(301)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 아,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상응하여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로 분류하고, 분류된 데이터를 오디오 디코더(303)와 비디오 디코더(304)로 각각 전송한다.
오디오 디코더 및 비디오 디코더(303, 304)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디코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SBC 디코더로 디코딩하고, 비디오 데이터는 MPEG-4 디코더로 디코딩한다.
그러나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코더는 SBC 디코더 이외에 A2DP 프로파일의 선택 코덱인 MP3(MPEG Audio Layer-3), WMA(WMA; Window Media Audio), AAC(Advanced Audio Coding) 그리고 AMR(Adaptive Multi-Rate) 등의 디코더 사용도 가능하며,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코더는 MPEG-4 디코더 이외에 VDP 프로파일의 선택 코덱인 H.263 디코더의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A2DP 프로파일과 VDP 프로파일의 타임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디코더 및 비디오 디코더(303, 304)에서 디코딩 과정 수행 후, 비압축 디지털 음원 데이터 및 비압축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의 재생 동기를 맞추어 오디오 D/A 컨버터부 및 비디오 D/A 컨버터부(305, 306)로 전달한다.
오디오 D/A 컨버터부 및 비디오 D/A 컨버터부(305, 306)는 오디오 디코더 및 비디오 디코더(303, 304)에서 디코딩된 비압축 디지털 음원 데이터 및 비압축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복호화하고, 이를 오디오 입력단자(307) 및 비디오 입력단자(308)를 통해 외부 디 바이스들(103, 104)로 전송한다.
외부 디바이스들(103, 104)은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에 구비된 오디오 입력단자(307) 및 비디오 입력단자(308)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달받고, 이를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외부 디바이스들(103, 104)과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를 연결하는 오디오 입력단자(307) 및 비디오 입력단자(308)는 RNC 입력단자로 이루어진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제어부(203)는 DMB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부(205) 및 오디오 처리부(206)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S401).
제어부(203)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출력 중에 외부 디바이스(103, 104)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출력 요청이 있는지 체크한다(S402). 사용자는 키입력부(208)의 메뉴 키 입력이나 별도로 설정된 키 입력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103, 104)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출력 요청을 할 수 있다.
제어부(203)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출력 요청이 있으면 블루투스 모듈(201)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와 무선 연결을 시도한다(S403). 이때 제어부(203)는 오디오 처리부(206)의 스피커를 디스에이블(Disable) 할 수도 있다.
제어부(203)는 블루투스 모듈(201)이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와 무선 연결되는지 체크한다(S404).
제어부(203)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와 무선 연결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주기 및 횟수에 따라 무선 연결을 재시도하며, 설정된 횟수 동안 무선 연결이 실패하면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03)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와 무선 연결되면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를 블루투스 모듈(201)을 통해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에 전송한다(S405).
이때 제어부(203)는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다르게 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루투스 모듈(201)에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와 무선 연결되면 제어부(203)는 멀티미디어부(204)에서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로 분리한다.
만약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MP3(MPEG Audio Layer-3), WMA(WMA; Window Media Audio)와 같은 비디오 데이터가 없는 오디오 데이터일 경우 또는, 정지영상과 같은 오디오 데이터가 없는 비디오 데이터일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로 분리하는 과정은 생략하게 된다.
그리고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블루투스 프로파일의 A2DP 규정에 따라 블루투스 게이트웨이(102)에 전송하며, 비디오 데이터는 블루투스 프로파일의 VDP의 규정에 따라 블루투스 게이트웨이(102)에 전송한다.
이러한 A2DP 프로파일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오디오 데이터 전송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권장 코덱으로는 SBC(Sub Band Codec)가 지정되어 있지만, 선택 코덱 으로 MP3(MPEG Audio Layer-3), WMA(WMA; Window Media Audio), AAC(Advanced Audio Coding) 그리고 AMR(Adaptive Multi-Rate) 등의 사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SBC(Sub Band Codec)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스트리밍(Streaming)의 형태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에 전송한다. 그리고 VDP 프로파일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비디오 데이터 전송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권장 코덱으로는 H.263과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4)가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비디오 데이터는 MPEG-4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스트리밍의 형태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에 전송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1)로부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로 오디오 및 비디오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할 때, 오디오 및 비디오의 재생 동기(Sync)를 맞출 수 있도록 스트리밍 데이터에 A2DP 프로파일과 VDP 프로파일에 들어있는 타임라인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타임라인 정보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A2DP 프로파일과 VDP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01)로부터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에 고품질의 오디오를 수반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는 외부 디바이스(103, 104)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101)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무선 연결되고, 휴대용 단말기(101)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다(S501).
게이트웨이 제어부(302)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블루투스 프로파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로 분류한다(S502). 그리고 게이트웨이 제어부(302)는 분류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디코더(303) 및 비디오 디코더(304)로 각각 전송한다(S503).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한 오디오 디코더(303) 및 비디오 디코더(304)는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디코딩한다.
이때,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A2DP 프로파일과 VDP 프로파일의 타임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디코더(303) 및 비디오 디코더(304)에서 디코딩 과정 수행 후, 비압축 디지털 음원 데이터 및 비압축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의 재생 동기를 맞추어 오디오 D/A 컨버터부(305) 및 비디오 D/A 컨버터부(306)로 전달한다(S504).
그리고 오디오 D/A 컨버터부(305) 및 비디오 D/A 컨버터부(306)는 오디오 디코더(303) 및 비디오 디코더(304)에서 디코딩된 비압축 디지털 음원 데이터 및 비압축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복호화하고, 이를 오디오 입력단자(307) 및 비디오 입력단자(308)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들(103, 104)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외부 디바이스들(103, 104)과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를 연결하는 오디오 입력단자(307) 및 비디오 입력단자(308)는 RNC 입력단자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오디오 및 비디오 입력단자가 구비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102)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101)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들(103, 104)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1)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들(103, 104)을 통해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에 오디오 및 비디오 입력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간편하게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외부 디바이스들로 전송할 수 있으며, 외부 디바이스들에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저가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외부 디바이스(Device)에 멀티미디어(Multimedia) 데이터(Data)를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Bluetooth Gateway)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무선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게이트웨이 RF(Radio Frequency) 모듈부;
    상기 게이트웨이 RF 모듈부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블루투스 프로파일(Profile)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더부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제어부;
    상기 게이트웨이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재생 시점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동기(Sync)를 맞추는 디코더부;
    상기 디코더부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복호화하는 D/A 컨버터부(Digital/Analog Converter);
    상기 D/A 컨버터부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복호화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입력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제어부는,
    상기 RF 모듈부로부터 입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블루투스 프로파일(Bluetooth Profile)의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와 VDP(Video Distribution Profile)에 상응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로 분류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프로파일은,
    상기 블루투스 각각의 응용에 대한 프로토콜(Protocol)의 배열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부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오디오 디코더와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동기는 A2DP 프로파일과 VDP 프로파일에 들어있는 타임라인(timeline) 정보를 이용하여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라인 정보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A 컨버터부는,
    상기 디코더부에서 디코딩된 비압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복호화하기 위한 오디오 D/A 컨버터와 상기 디코더부에서 디코딩된 비압축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복호화하기 위한 비디오 D/A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부는
    상기 D/A 컨버터부에서 복화화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오디오 입력단자와 상기 D/A 컨버터부에서 복화화된 비디오 신호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비디오 입력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1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외부 디바이스(Device)에 멀티미디어(Multimedia) 데이터(Data)를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Bluetooth Gateway) 장치에서 상기 멀티미디어(Multimedia)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무선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블루투스 프로파일(Profile)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더부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동기(Sync)를 맞추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재생 동기를 맞춘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복호화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아날로그 신호로 복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및 비디오 입력단자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제 5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오디오 및 비디오 입력단자는,
    오디오 및 비디오 RNC 입력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KR1020060001403A 2006-01-05 2006-01-05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0735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403A KR100735358B1 (ko) 2006-01-05 2006-01-05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403A KR100735358B1 (ko) 2006-01-05 2006-01-05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358B1 true KR100735358B1 (ko) 2007-07-04

Family

ID=3850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403A KR100735358B1 (ko) 2006-01-05 2006-01-05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35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772A (ko) * 2000-12-15 2002-06-21 이계철 통신망 정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장치
KR20030047006A (ko) * 2001-12-07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게이트웨이
KR200377236Y1 (ko) 2004-11-20 2005-03-11 주식회사 엔버전스 Usb 오디오 칩을 구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KR20050026136A (ko) * 2003-09-09 2005-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간의 통신 연결 방법
KR20050081292A (ko) * 2004-02-13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셋톱박스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카메라영상전송방법
KR20060047088A (ko) * 2004-11-15 2006-05-18 주식회사 코맥스 블루투스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25012A (ko) * 2005-06-01 2006-1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전기기 제어장치,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772A (ko) * 2000-12-15 2002-06-21 이계철 통신망 정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장치
KR20030047006A (ko) * 2001-12-07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게이트웨이
KR20050026136A (ko) * 2003-09-09 2005-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간의 통신 연결 방법
KR20050081292A (ko) * 2004-02-13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셋톱박스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카메라영상전송방법
KR20060047088A (ko) * 2004-11-15 2006-05-18 주식회사 코맥스 블루투스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77236Y1 (ko) 2004-11-20 2005-03-11 주식회사 엔버전스 Usb 오디오 칩을 구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KR20060125012A (ko) * 2005-06-01 2006-1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전기기 제어장치,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5588B2 (en) Headset having a short-range mobile system
US20120155657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s
CN101754087A (zh) 音频装置及其信号校准方法
KR20080010841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동영상 스트림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60009346A (ko)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JP2006352799A (ja) 無線通信装置とその方法、及び携帯型情報処理装置
US20220021980A1 (en) Terminal, audio cooperative reproduction system, and content display apparatus
CN103338221A (zh) 数据传递、数据接收的方法和终端
KR201100396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CN113099428A (zh) 音频信息传输方法、音频信息传输装置及存储介质
KR100713440B1 (ko)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23742A (ko)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JP200204957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機能拡張方法
JP2013150079A (ja) 再生装置、音声出力装置、制御方法、音声出力方法、テレビジョン受像機、音声再生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装置
KR100735358B1 (ko)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1489826B1 (ko) 더미 터미널 및 본체
US200701959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data using wireless terminal
KR20070120665A (ko)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오디오 방송을 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064403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실시간 송, 수신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JP5085431B2 (ja) 無線通信装置
TW201624998A (zh) 多媒體裝置及視訊通信方法
JP5023396B2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無線中継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KR101774842B1 (ko) 핸즈프리 기능을 겸비한 혼자듣기 리모컨
CN111405356A (zh) 音频控制装置、音频播放系统及方法
US20160269532A1 (en) Telephone apparatus, telephone system, an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