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346A -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346A
KR20160009346A KR1020140089754A KR20140089754A KR20160009346A KR 20160009346 A KR20160009346 A KR 20160009346A KR 1020140089754 A KR1020140089754 A KR 1020140089754A KR 20140089754 A KR20140089754 A KR 20140089754A KR 20160009346 A KR20160009346 A KR 20160009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power
control
display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874B1 (ko
Inventor
이승복
양근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9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874B1/ko
Priority to US14/739,604 priority patent/US9640065B2/en
Priority to EP19215417.7A priority patent/EP3640910B1/en
Priority to EP15175751.5A priority patent/EP2975589B1/en
Priority to CN201610586706.XA priority patent/CN106205092B/zh
Priority to CN201510418676.7A priority patent/CN105323608A/zh
Publication of KR2016000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874B1/ko
Priority to US15/464,743 priority patent/US1009623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 G08C2201/12Power saving techniques of remote control or controlled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70Device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와 오디오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전원 오프/온에 대응하여 외부 장치의 전원 오프/온 가능한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이 개신된다. 개시된 실시예 중 일부는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의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외부 장치의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컨트롤 패킷을 전송하고, 전원 오프 되는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OF EXTERNAL APPARATUS}
아래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5.1 규격을 사용하는 블루투스(Bluetooth)는 PAN(Personal Area Networks)의 산업 표준이다. 블루투스는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인 2.4GHz를 사용하며 전력 소모가 적고 저비용으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소스 장치)는 사운드 바(예를 들어, 싱크 장치)와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오디오 스트리밍을 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원 오프 되는 경우, 사운드 바는 전원 온인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마찬가지로 사운드 바를 전원 오프 해야 한다. 또한, 사운드 바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회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연결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원 온 되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마찬가지로 사운드 바를 전원 온 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 오프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의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컨트롤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 패킷은 근거리 통신의 프로파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프로파일은 AVRCP(Audio Video Remote Control Profil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은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에서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컨트롤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에서 전원 오프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킷은 블루투스의 프로파일을 통해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 오프에 대응하는 컨트롤 패킷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장치를 전원 오프하고, 상기 컨트롤 패킷은 블루투스의 프로파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은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에서 수신된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컨트롤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컨트롤 패킷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전원 오프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킷은 블루투스의 프로파일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와 오디오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전원 오프/온에 대응하여 외부 장치의 전원 오프/온 하는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블루투스로 연결된 전자 장치와 오디오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전원 오프/온에 대응하여 외부 장치의 전원 오프/온 하는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무선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와 오디오 장치에서, 전자 장치가 전원 오프 되는 경우, 외부 장치로 전송되는 컨트롤 패킷에 의해 외부 장치가 전원 오프 되는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무선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와 오디오 장치에서, 전자 장치가 전원 오프 되는 경우, 외부 장치로 전송되는 컨트롤 패킷에 의해 외부 장치가 자동으로 전원 오프 되는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무선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와 오디오 장치에서, 전자 장치가 전원 온 되는 경우, 외부 장치로 전송되는 컨트롤 패킷에 의해 외부 장치가 전원 온 되는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무선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와 오디오 장치에서, 전자 장치가 전원 온 되는 경우, 외부 장치로 전송되는 컨트롤 패킷에 의해 외부 장치가 자동으로 전원 온 되는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와 오디오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전원 오프/온에 대응하여 외부 장치의 전원 오프/온 하는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오디오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오디오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장치 전원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장치 전원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장치 전원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연속도(sequence diagram)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장치 전원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연속도이다.
도 6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장치 전원 제어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패킷 포맷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오디오 장치의 디스커버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원격 조정 장치에 위치하는 "키의 선택"은 키의 눌림 또는 키의 터치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오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플러그와 전원 소스(예를 들어, 콘센트)가 연결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전원 플러그와 전원 소스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원 오프인 경우, 원격 조정 장치의 전원 키(또는 전원 버튼)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공급(예를 들어, 전원 온)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의 전원 오프는 오디오 장치의 전원 플러그와 전원 소스(예를 들어, 콘센트)가 연결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콘텐트는 비디오, 이미지, 텍스트 또는 웹 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정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오디오 장치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 조정 장치(remote controller, 50),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100)와 무선으로 연결된 오디오 장치(audio apparatus, 200)가 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선으로 오디오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원격 조정 장치(50)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오디오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원격 조정 장치(50)는 구비된 키(버튼을 포함), 터치 패드(touch pad), 사용자의 음성의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도시되지 아니함), 및 원격 조정 장치(50)의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오디오 장치(2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원격 조정 장치(5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베젤(10) 전면의 표시등(indicator, 도시되지 아니함)을 켤 수 있다. 켜진 표시등(도시되지 아니함)은 베젤(10)에 비친다(11).
오디오 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오디오 장치(200)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원(light source, 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하여 표시창(201)을 통해 조명이 새어나올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오디오 장치(200)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오디오 장치(200)는 표시등(indicator, 201a)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오디오 장치(200)는 사운드 바(200a) 및 사운드 바(200a)와 연결되는 우퍼(20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200)는 사운드 바(200a), 우퍼(200b) 및 추가 스피커(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원격 조정 장치(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음량 조정, 지상파 방송/케이블 방송/위성 방송 선택, 또는 환경 설정(setting)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원격 조정 장치(50, 또는 다른 원격 조정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도 포함)를 이용하여 오디오 장치(190)의 전원 온/오프, 음량 조정, 또는 소스(source)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조정 장치(5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선국된 방송 채널에서부터 수신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 중 오디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장 스피커(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오디오 장치(200)의 스피커(275, 도 2를 참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을 가지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오디오 장치(200)와 연결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90)의 화면의 대각선 길이는 예를 들어, 650 ㎜ 이하, 660 ㎜, 800 ㎜, 1,010 ㎜, 1,520 ㎜, 1,890 ㎜ 또는 2,000 ㎜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화면(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90))의 가로/세로 길이는 예를 들어, 643.4 ㎜ x 396.5 ㎜, 934.0 ㎜ x 548.6 ㎜, 1,670.2 ㎜ x 962.7 ㎜, 또는 2,004.3 ㎜ x 1,635.9 ㎜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90) 화면의 가로/세로 비율은 예를 들어, 4:3, 16:9, 16:10, 21:9 또는 21: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장 스피커(177)는 2채널, 2.1 채널, 4채널, 4.1 채널, 5.1채널, 6.1 채널, 7.1채널, 9.1 채널 또는 11.2채널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원격 조정 장치(5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사용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오디오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 조정 장치(50)에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communication unit, 130) 또는 입/출력부(input/output unit, 160)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200)를 포함)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또는 소스(source) 장치로 불릴 수도 있다.
외부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0)와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 또는, 근거리 통신 등)으로 연결가능한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스피커를 가지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홈 시어터(home theater, 도시되지 아니함), 무선 사운드 바(sound-bar, 도시되지 아니함), 무선 헤드셋(headset, 도시되지 아니함), 무선 이어폰(earphone, 도시되지 아니함),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및 데스크 탑 PC(도시되지 아니함), 노트 PC(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태블릿 PC(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무선으로 소스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싱크(sink) 장치로 불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오디오 장치(200)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사이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170)뿐만 아니라 튜너부(tuner, 120), 통신부(communication unit, 130), 및 입/출력부(input/output unit, 1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70)뿐만 아니라 튜너부(120), 통신부(130), 및 입/출력부(160)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튜너부(120), 통신부(130), 마이크(mic, 140), 카메라부(camera unit, 145), 광 수신부(light receiving unit, 150), 입/출력부(160), 디스플레이부(170), 오디오 출력부(audio output unit, 175), 저장부(storage unit, 180) 및 전원부(power unit, 19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 unit, 110)는 프로세서(Processor, 11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20 내지 190)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전원부(190)에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120 내지 180)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화상 또는 영상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1)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라는 용어는 프로세서(111), 롬(112) 및 램(113)을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통신부(130)를 제어하고, 전자 장치의 전원 오프에 대응하여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 장치의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컨트롤 패킷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원격 조정 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light receiving unit, 150),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 및 후면 중 하나에 위치하는 패널 키(panel key, 도시되지 아니함),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mic, 140), 및, 사용자 모션을 수신하는 카메라부(camera unit, 14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자 장치의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다르게는 사용자 조작, 사용자 명령, 입력 명령 등과 같은 다양한 용어로 기재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외부 장치로 상기 컨트롤 패킷이 전송 되는 경우, 전자 장치의 전원 오프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대응하여 켜지고 꺼지는 표시등을 끄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광 수신부(150), 패널 키(도시되지 아니함), 마이크(140) 및 카메라부(145) 중 하나를 통해 전자 장치의 전원 온 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원 온 된 전자 장치를 검색 가능 모드로 변경하고, 외부 장치에서 수신되는 조회에 대응하여 조회 응답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외부 장치에서 전원 온 되는 경우, 전자 장치와 다시 연결된 외부 장치로 오디오 스트리밍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의 구성 및 동작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튜너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120)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원격 조정 장치(50)에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2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20)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도 있다. 튜너부(12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튜너부(120)는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튜너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부(160)에 연결되는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13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콘텐트를 송/수신, 외부 장치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131), 블루투스(13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3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무선랜(131), 블루투스(13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3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원격 조정 장치(50)의 원격 조정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 조정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또는 RF 신호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도시되지 아니함), BLE(bluetooth low energy,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40)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40)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40)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140)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40)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40)는 통신부(130) 또는 입/출력부(16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140)가 삭제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145)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45)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부(145)에서부터 사용자까지 0.1 ~ 5 m 이내 거리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45)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조정, 볼륨 조정, 지시자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45)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45)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145)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45)이 복수인 경우, 베젤(10)의 제1 카메라(145)와 인접(예를 들어, 제1 카메라(145)와의 간격이 2 cm 보다 크고, 8 cm 보다 작은)하는 제2 카메라(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4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145)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130) 또는 입/출력부(16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145)가 삭제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150)는 외부의 원격 조정 장치(50)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베젤(10)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50)는 원격 조정 장치(50)에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에서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입/출력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6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6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62), PC 포트(PC port, 163), 및 USB 포트(USB port, 16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60)는 HDMI 포트(161), 컴포넌트 잭(162), PC 포트(163), 및 USB 포트(16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6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2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통신부(130) 또는 입/출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콘텐트(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8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오프 또는 전원 온에 대응되는 시각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2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75)는 통신부(130) 또는 입/출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8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5)는 스피커(176), 헤드폰 출력 단자(177) 또는 S/PDIF 출력 단자(17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5)는 스피커(176), 헤드폰 출력 단자(217) 및 S/PDIF 출력 단자(17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부(17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오프 또는 전원 온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튜너부(120), 통신부(130), 마이크(140), 카메라부(145), 광 수신부(150), 입/출력부(160), 디스플레이부(170), 오디오 출력부(175) 및 전원부(19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80), 제어부의 롬(112), 램(113)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8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8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디오 장치(200)의 전원 온/오프에 대응되는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디오 장치(200)에 대한 오디오 스트리밍에 대응되는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광 수신부(150), 패널 키(도시되지 아니함), 마이크(140) 및 카메라부(150) 중 하나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전원 오프 또는 전원 온에 대응되는)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검색 가능 모드 변경 여부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커맨드 전송 여부 및 전송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오디오 장치(200)의 무선 연결 이력(예를 들어, 각각의 장치 정보, 접속 회수, 접속 날짜, 접속 시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가능한 이미지, 심볼 및/또는 텍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시각 피드백에 대응되는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청각 피드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120 내지 180)에게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9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120 내지 180)에게 공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120 내지 19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예를 들어, 120 내지 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디오 장치(200)는 통신부(2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232))으로 연결된다. 오디오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는 무선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스트리밍을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는 통신부(230)를 통해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232))으로 연결된다. 오디오 장치(200)는 무선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30), 광 수신부(25), 입/출력부(260), 디스플레이부(270), 스피커(275), 저장부(280) 또는 전원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프로세서(Processor, 211)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프로세서(211) 및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2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프로세서(211), 롬(212) 및 오디오 장치(2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오디오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오디오 코덱(audio codec,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오디오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오디오 장치(200)의 내부 구성요소들(230 내지 280)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10)는 전원부(290)에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230 내지 280)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수신된 오디오를 내장 스피커(27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수신된 오디오를 통신부(230) 또는 입/출력부(260)를 통해 연결된 추가 스피커(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통신부를 제어하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전자 장치의 전원 오프에 대응하는 컨트롤 패킷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를 전원 오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전자 장치의 전원 오프 후에 표시등 및 조명원 중 하나를 전원 오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조회 및 연결 요청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전원 온인 상기 전자 장치에서부터 조회 및 연결 요청 중 하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를 전원 온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가 전원 온인 경우, 다시 연결된 상기 전자 장치에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를 스피커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통신부(23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블루투스(232)를 포함하며,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도시되지 아니함), BLE(bluetooth low energy,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원격 조정 장치(50)의 원격 조정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 조정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또는 RF 신호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신부(23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에서부터 다양한 오디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통신부(230)를 통해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광 수신부(250)는 원격 조정 장치(50)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광창(도시되지 아니함)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250)는 원격 조정 장치(50)에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는 변환되어 제어부(1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에 의해 수신된 광 신호에서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입/출력부(26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장치에서부터 오디오(예를 들어, 사운드, 뮤직 등)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26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장치로 오디오(예를 들어, 사운드, 뮤직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26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out port, 261), S/PDIF 포트(S/PDIF port, 262), 또는 USB 포트(USB port, 263)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6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7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비디오 또는 텍스트 정보(예를 들어, 노래 제목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70)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방식, PDP(Plasma Display Panel) 방식, 또는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표시가능한 비디오 및/또는 텍스트 정보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7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 장치(200)에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휴대 단말, 메모리 카드 또는 원격 조정 장치(50) 등)에 대응되는 텍스트, 아이콘 또는 심볼(symbol, 예를 들어, 재생에 대응되는 "▶" 또는 정지에 대응되는 "■")를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 중 하나인 USB 메모리(도시되지 아니함)가 USB 포트(263)를 통해 오디오 장치(200)에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7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USB ready" 또는 재생가능한 "뮤직 명"이라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휴대 단말(도시되지 아니함)이 근거리 통신으로 오디오 장치(200)와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7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BT connected" 또는 NFC connected"라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조정 장치(50)에서 출력되는 광 신호가 오디오 장치(200)의 광 수신부(250)에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7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 장치(200)의 전원을 켜는 "Power on", 오디오 장치(200)의 전원을 끊는 "Power off", 또는 조정되는 음량을 나타내는 "Vol +/-"에 대응되는 텍스트, 아이콘 또는 심볼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되는 텍스트, 아이콘 또는 심볼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일 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되는 텍스트, 아이콘 또는 심볼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일 측 방향으로 점멸되며 이동될 수도 있다.
오디오 장치(200)가 전원 오프 또는 전원 온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7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전원 공급에 대응되는 시각 피드백(예를 들어, 텍스트, 아이콘 또는 심볼)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70)는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 장치(200)의 이벤트(예를 들어, 전원 온, 전원 오프, "휴대 단말 연결"과 같은 상태 변경(status change))에 대응되는 시각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내장 스피커(275)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내장 스피커(275)는 통신부(230) 또는 입/출력부(260)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뮤직,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내장 스피커(275)는 1 채널, 2채널 또는 2.1 채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내장 스피커(275)는 4채널, 4.1 채널, 5.1채널, 6.1 채널, 7.1채널, 9.1 채널 또는 11.2채널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210)는 수신된 오디오(예를 들어, 2.0 채널)를 업믹싱(up-mixing)하여 4 채널, 5 채널, 5.1 채널, 7.1 채널의 스피커(내장 스피커 및 추가 스피커를 이용)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수신된 오디오(7.1 채널)를 다운믹싱(down-mixing)하여 2 채널, 2.1 채널 또는 5.1 채널의 스피커(내장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수신된 오디오를 오디오에 대응되는 스피커(275)의 개수 및 추가 스피커의 개수를 고려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오디오에 대응되는 스피커의 개수가 5.1 채널인 경우, 제어부(210)는 검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장 스피커(155, 예를 들어, 2.1 채널) 및 추가 스피커(예를 들어, 3 채널)를 고려하여 5.1 채널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내장 스피커(275)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양한 오디오 출력 효과(예를 들어, 콘서트 장, 오케스트라 홀 등)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내장 스피커(275) 및 입/출력부(260)를 통해 연결되는 추가 스피커(195)의 총 개수에 대응하여 다양한 오디오 출력 효과(예를 들어, 콘서트 장, 오케스트라 홀 등)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내장 스피커(275)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200)는 입/출력부(260)를 통해 오디오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추가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스피커(275)는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 장치(200)의 이벤트(예를 들어, 전원 온, 전원 오프, "휴대 단말 연결"과 같은 상태 변경)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내장 스피커(155)는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되는 텍스트, 아이콘 또는 심볼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을 출력할 수도 있다.
저장부(28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 장치(2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통신부(230), 광 수신부(250), 입/출력부(260), 디스플레이부(270), 내장 스피커(275), 및 전원부(18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디오 장치(200)의 전원 온/오프에 대응되는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디오 장치(200)에 대한 오디오 스트리밍에 대응되는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조회에 대응되는 패킷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연결 요청에 대응되는 패킷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가능한 이미지, 심볼 및/또는 텍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시각 피드백에 대응되는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청각 피드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전원부(29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 장치(200) 내부의 구성 요소들(230 내지 280)에게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 장치(2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230 내지 280)에게 공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오디오 장치(2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230 내지 280)은 오디오 장치(200)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예를 들어, 230 내지 280)는 오디오 장치(2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장치 전원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장치 전원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연속도(sequence diagram)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장치 전원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연속도이다.
도 6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장치 전원 제어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패킷 포맷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오디오 장치의 디스커버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단계(S30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선 연결된 오디오 장치로 오디오 스트리밍을 한다.
도 5a, 도 5b 및 도 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된 오디오 장치(200)로 오디오 스트리밍을 한다(501, 551). 마운트 유닛(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하단에서 스탠드에서 지지하는)에 의해 벽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30)를 통해 무선으로 오디오 장치(200)에게 오디오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블루투스의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를 이용하여 고 음질의 오디오를 오디오 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패킷(Bluetooth packet)은 패킷의 유효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액세스 코드(access code, 72bit), 헤더(header, 54bit) 및 페이로드(payload, 0~2,745 bit)를 포함한다. 액세스 코드는 패킷의 유효성 판단에 이용된다. 헤더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패킷 타입을 포함한다. 페이로드는 전송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전송되는 패킷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변경된다. 전송되는 고음질의 오디오는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A2DP뿐만 아니라 다른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 무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132) 또는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부터 수신된 오디오를 스피커(275)에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도 내장된 스피커(176)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는 벽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하단에 위치하는 테이블(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선반(도시되지 아니함) 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단 베젤(10)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등(도시되지 아니함)은 컬러, 화이트 및 회색 중 하나로 빛난다(11).
오디오 장치(200)의 조명원(도시되지 아니함)에서 출력되는 광은 표시창(201)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표시등(도시되지 아니함)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단 베젤(10)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일 측(예를 들어, 좌측 영역 또는 우측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200)의 표시등(201a)은 컬러, 화이트 또는 회색으로 빛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는 기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표시창(201) 및 표시등(201a)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오디오 장치(200)가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경우,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70)에 블루투스 연결에 대응되는 텍스트(예를 들어, "BT connected"), 이미지 또는 심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단계(S302)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도 5a, 도 5b 및 도 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오프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원격 조정 장치(50)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패널 키(도시되지 아니함)의 전원 키(도시되지 아니함), 마이크(140)에서 수신가능한 사용자의 음성, 카메라부(150)에서 검출가능한 사용자 모션 또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원격 조정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원격 제어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입력 중 하나인 사용자에 의해 원격 조정 장치(50)에서 전원 키(51)가 선택되는 경우, 원격 조정 장치(50)의 제어부(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광 출력부(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제1 제어 신호(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오프(power-off)에 대응되는)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키의 선택"은 설정된 시간 동안 키의 눌림(press), 또는 키의 터치(touch, 또는 contact)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설정된 시간은 예를 들어, 200 ㎳(설정을 통해 변경 가능)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통신부(130) 또는 광 수신부(150)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전원 오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텍스트, 아이콘 또는 심볼을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800 ㎳, 설정을 통해 변경 가능) 동안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단계(S303)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선으로 오디오 장치에게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컨트롤 패킷을 전송한다.
도 5a, 도 5b, 도8a 및 도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수신된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제어 커맨드(예를 들어, 컨트롤 패킷)를 오디오 스트리밍과 별도로 통신부(130)를 통해 오디오 장치(200)로 전송한다(503, 553). 예를 들어, 제어 커맨드는 전원 커맨드(power command(0X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블루투스의 AVRCP(Audio Video Remote Control Profile)에 의해 정의된 포맷의 제어 커맨드(예를 들어, 컨트롤 패킷)를 오디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제어 커맨드를 이용하여 오디오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커맨드는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200)의 전원 온/오프(power), 볼륨 업/다운(volume up/down), 메뉴(menu), 재생(play), 일시 정지(pause), 정지(stop), 이전 곡(reward) 또는 다음 곡(forward)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커맨드는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된다.
저장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커맨드 전송 여부 또는 제어 커맨드 전송 주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어 커맨드를 오디오 장치(200)로 전송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 할 수 있다(504)(554).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된 제어 커맨드의 수신에 대한 회신을 오디오 장치(200)에서부터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 할 수 있다(504)(554).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이지만, 오디오 장치(200)는 전원 온 상태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오디오 장치(200)의 전원 오프시키는 제어 커맨드를 결정된 시간(예를 들어, 5 sec, 설정을 통해 변경가능)내 반복(예를 들어, 625 ㎳ 간격으로)하여 전송할 수 있다. 결정된 시간 내 제어 커맨드의 반복 전송이 완료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오프 상태이지만, 오디오 장치(200)는 전원 온 상태이다.
도 3의 단계(S304)에서, 오디오 장치의 전원이 오프 된다.
도 5a, 도 5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오디오 장치(200)는 수신된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전원 오프 된다(505)(555).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된 제어 커맨드를 해석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수신된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오디오 장치(200)를 전원 오프(power-off)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통신부(2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원 오프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오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오디오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원 오프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오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오디오 전송에 대응되는 제어 커맨드 및 컨트롤 패킷 중 하나를 오디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의 스피커(275) 출력을 오디오 장치(200)가 전원 오프 되기 전에 종료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수신된 제어 커맨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80)는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해석된 제어 커맨드를 저장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가 전원 오프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디오 장치 전원 제어방법은 종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장치 전원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의 단계(S40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오디오 장치는 모두 전원 오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오디오 장치(200)는 모두 전원 오프인 상태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등(도시되지 아니함)도 꺼진 상태이다. 오디오 장치(200)의 표시창(201) 또는 표시등(201a)도 꺼진 상태이다.
도 4의 단계(S402)에서, 오디오 장치는 주기적 조회를 한다.
도 5a 및 도 9를 참조하면, 전원 오프인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통신부(2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발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조회(inquiry)할 수 있다(506). 오디오 장치(200)는 1.28s 간격으로 조회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의 조회 간격은 연속 조회 또는 2.56s 간격의 조회를 포함함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는 주기적 스캔을 위한 구성 요소를 제외한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70), 스피커(275))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의 기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다른 구성 요소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의 단계(S402)에서, 오디오 장치(200)가 주기적 스캔을 하지 않는 경우, 도 4의 단계(S409)로 진행한다.
도 4의 단계(S403)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원 온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도 5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온 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507).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온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원격 조정 장치(50)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패널 키(도시되지 아니함)의 전원 키(도시되지 아니함), 마이크(140)에서 수신가능한 사용자의 음성, 카메라부(150)에서 검출가능한 사용자 모션 또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원격 조정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원격 제어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입력 중 하나인 사용자에 의해 원격 조정 장치(50)에서 전원 키(51)가 선택되는 경우, 원격 조정 장치(50)의 제어부(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광 출력부(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제2 제어 신호(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온(power-on)에 대응되는)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통신부(130) 또는 광 수신부(150)를 통해 수신되는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전원 온 할 수 있다(508). 또한,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전원 온에 대응되는 텍스트, 아이콘 또는 심볼을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00 ㎳, 설정을 통해 변경 가능) 동안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단계(S404)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검색 가능 모드로 변경된다.
도 5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오디오 장치(200)에서 조회 가능하도록 검색 가능(discoverable)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509). 검색 가능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디오 장치(200)의 조회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검색 가능 모드 변경 여부를 저장할 수 있다. 검색 가능 모드는 블루투스 검색/연결을 위한 조회 또는 호출에 응답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오디오 장치(200)의 조회에 대응하여 조회 스캔(inquiry scan)할 수 있다.
전원 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단 베젤(10)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등(도시되지 아니함)은 컬러, 화이트 및 회색 중 하나로 발광할 수 있다(11). 또한, 오디오 장치(200)는 전원 오프 상태이다.
도 4의 단계(S405)에서, 오디오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회한다.
도 5a, 도 7b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전원 오프인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통신부(2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발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조회할 수 있다(510). 주기적 조회(506, 5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변화(507 내지 509)와 별개로 오디오 장치(200)에서 진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오디오 장치(200)의 조회에 대응하여 응답(inquiry response)할 수 있다(511).
도 8b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의해 정의되는 확장 조회 응답(Extended Inquiry Response: EIR) 패킷은 연속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중요 파트(significant part)와 0 옥텟(all-zero octets)를 나타내는 비 중요 파트(non-significant part)를 포함한다. 중요 파트는 EIR Data Structure 1, EIR Data Structure 2, … , EIR Data Structure N을 포함한다. EIR data에 포함되는 파라메타는 오디오 기기의 스캔에 응답한 소스(source) 장치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_response", 응답한 소스 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소를 나타내는 "BD ADDR", 소스 장치의 클래스(class of device) 또는 예약 비트를 나타내는 "reserve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단계(S406)에서 오디오 장치의 전원이 온 된다.
도 5a, 및 도 7c를 참조하면,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수신된 조회 응답에 포함된 파라메타 중 하나인 "BD ADDR"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오디오 장치(200)사이의 기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오디오 장치(200)가 기 연결된 이력이 있는 경우,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사용자 입력 없이 오디오 장치(200)의 전원을 온 한다(512).
전원 온 상태에서, 오디오 장치(200)의 조명원(도시되지 아니함)에서 출력되는 광은 표시창(201)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또한, 오디오 장치(200)의 표시등(201a)은 컬러, 화이트 또는 회색으로 빛날 수 있다.
도 4의 단계(S407)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오디오 장치는 재 연결된다.
도 5a 및 도 7c를 참조하면, 각각 전원이 공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오디오 장치(200)는 다시 연결(reconnection)될 수 있다(513).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와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통신부(130, 230)를 이용하여 다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와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저장된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다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저장부(180, 280)는 제어부(110, 210)의 제어에 의해 다시 연결에 대응되는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력 정보는 연결된(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장치) 장치 정보(예를 들어, 장치 이름, 장치 주소, 장치 타입, 장치 클래스 등을 포함, 변경 가능), 접속 회수, 연결 시작 시간, 연결 종료 시간, 또는, 다시 연결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단계(S408)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선 연결된 오디오 장치로 오디오 스트리밍을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디오 장치(200)로 오디오 스트리밍을 한다(514).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으로 블루투스 모드로 설정되는 오디오 장치(200)로 오디오 스트리밍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블루투스의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를 이용하여 고 음질의 오디오를 오디오 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a에서, 도 4의 단계(S408)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디오 스트리밍(514)는 도 4의 단계(S401)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디오 스트리밍(501)과 실질적으로 유사(예를 들어, 재연결)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4의 단계(S408)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오디오 장치로 오디오 스트리밍을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장치 전원 제어방법은 종료된다.
도 4의 단계(S402)로 되돌아가서, 오디오 장치에서 주기적으로 조회하지 않는 경우, 도 4의 단계(S409)로 진행한다.
도 4의 단계(S409)에서, 오디오 장치는 주기적으로 연결 요청을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전원 오프인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통신부(2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발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연결 요청(page)할 수 있다(556).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장치 주소(BD ADDR)를 포함하는 ID 패킷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며 연결 요청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는 1.28s 간격으로 연결 요청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의 조회 간격은 연속 연결 요청 또는 2.56s 간격의 연결 요청을 포함함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는 주기적 스캔을 위한 구성 요소를 제외한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70), 스피커(275))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의 기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다른 구성 요소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오디오 장치(200)의 연결 요청(556)을 수신하는 경우, 전원 오프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결 요청을 무시(deny)한다(557). 오디오 장치(200)의 연결 요청 및 전원 오프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연결 요청의 무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온 상태까지 지속될 수 있다.
도 4의 단계(S4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원 온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도 5b 및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온 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558).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온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원격 조정 장치(50)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패널 키(도시되지 아니함)의 전원 키(도시되지 아니함), 마이크(140)에서 수신가능한 사용자의 음성, 카메라부(150)에서 검출가능한 사용자 모션 또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원격 조정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원격 제어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통신부(130) 또는 광 수신부(150)를 통해 수신되는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전원 온 할 수 있다(559).
도 4의 단계(S4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원 온의 수신은 도 4의 단계(S403)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4의 단계(S41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검색 가능 모드로 변경된다.
도 5b 및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오디오 장치(200)에서 연결 요청 가능하도록 검색 가능(discoverable)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560). 검색 가능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디오 장치(200)의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검색 가능 모드로의 변경을 저장할 수 있다. 검색 가능 모드는 블루투스 검색/연결을 위한 조회 또는 연결 요청에 응답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전원 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단 베젤(10)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등(도시되지 아니함)은 컬러, 화이트 및 회색 중 하나로 발광할 수 있다(11). 또한, 오디오 장치(200)는 전원 오프 상태이다.
도 4의 단계(S412)에서, 오디오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 요청한다.
도 5b,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전원 오프 상태인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통신부(2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 요청할 수 있다(561). 도 4의 단계(S412)에서의 연결 요청은 단계(S409)와 실질적으로 유사(예를 들어, 장치 주소를 포함하는 ID 패킷)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오디오 장치(200)의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응답할 수 있다(562).
도 4의 단계(S413)에서 오디오 장치의 전원이 온 된다.
도 5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수신된 연결 요청 응답에 포함된 ID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수신된 ID 패킷을 이용하여 오디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사용자 입력 없이 오디오 장치(200)의 전원을 온 한다(563).
전원 온 상태에서, 오디오 장치(200)의 조명원(도시되지 아니함)에서 출력되는 광은 표시창(201)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또한, 오디오 장치(200)의 표시등(201a)은 컬러, 화이트 또는 회색으로 빛날 수 있다.
도 4의 단계(S407)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오디오 장치는 재 연결된다.
도 5b 및 도 7c를 참조하면, 각각 전원이 공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오디오 장치(200)는 다시 연결(reconnection)될 수 있다(564). 예를 들어, 제어 명령어(HCI_SET_EVENT_FILTER)를 이용하여 다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오디오 장치(200)는 각 제어부(110, 210)의 제어에 의해 각 통신부(130, 230)를 이용하여 다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저장부(180, 280)는 제어부(110, 210)의 제어에 의해 다시 연결에 대응되는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력 정보는 연결된(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장치) 장치 정보(예를 들어, 장치 이름, 장치 주소, 장치 타입, 장치 클래스 등을 포함, 변경 가능), 연결 시작 시간, 연결 종료 시간, 또는, 다시 연결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단계(S408)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선 연결된 오디오 장치로 오디오 스트리밍을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디오 장치(200)로 오디오 스트리밍을 한다(565).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블루투스의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를 이용하여 고 음질의 오디오를 오디오 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b에서, 도 4의 단계(S408)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디오 스트리밍(514)는 도 4의 단계(S401)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디오 스트리밍(501)과 실질적으로 유사(예를 들어, 재 연결)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4의 단계(S408)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오디오 장치로 오디오 스트리밍을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 장치 전원 제어방법은 종료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롬(ROM_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램(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예시적 실시예와 도면을 통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 원격 조정 장치 51: 전원 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제어부
130: 통신부 140: 광 수신부
150: 디스플레이부 200: 오디오 장치
210: 제어부 230: 통신부
275: 스피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를 전원 오프시키는 컨트롤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 패킷은 근거리 통신의 프로파일에 의해 정의되는 패킷인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원격 조정 장치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광 수신 장치,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 및 후면 중 하나에 위치하는 패널 키,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및, 사용자 모션을 수신하는 카메라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수신 장치, 상기 패널 키,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카메라부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를 전원 오프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AVRCP(Audio Video Remote Control Profile)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대응하여 점멸하는 표시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컨트롤 패킷이 전송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 오프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등을 끄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수신 장치, 상기 패널 키,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카메라부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를 전원 온 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를 전원 온 시키고, 전원 온 된 상기 전자 장치를 오디오 장치에서 조회할 수 있게 검색 가능 모드로 변경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에서 수신되는 조회에 대응하여 조회 응답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조회 응답은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의해 정의되는 확장 조회 응답(Extended Inquiry Response) 패킷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에서 전원 온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을 재개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 오디오 스트리밍하는 전자 장치.
  8.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전자 장치를 전원 오프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장치를 전원 오프시키는 컨트롤 패킷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전원 오프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킷은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의해 정의되는 패킷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킷을 결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시각 피드백 및 청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전원 오프 상태인 상기 전자 장치를 전원 온 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전원 온 시키고, 수신된 상기 외부 장치의 조회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전원 온 시키는 조회 응답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2.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장치를 전원 오프 시키는 컨트롤 패킷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 패킷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장치를 전원 오프하고,
    상기 컨트롤 패킷은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의해 정의된 패킷인 오디오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AVRCP(Audio Video Remote Control Profile)를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대응하여 점멸하는 표시등 및 상기 오디오 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대응하여 점멸하는 조명원의 광이 투과되는 표시창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오프 후에 상기 표시등 및 상기 조명원 중 하나를 전원 오프 하는 오디오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전원 오프 상태인 상기 오디오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조회 및 연결 요청 중 하나를 수행하는 오디오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전원 온 상태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부터 조회 및 연결 요청 중 하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장치를 전원 온 하는 오디오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오디오 장치 모두 전원 온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18.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된 오디오 장치의 전원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입력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전원 오프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오디오 장치를 전원 오프시키는 컨트롤 패킷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컨트롤 패킷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장치에서 전원 오프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킷은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의해 정의된 패킷인 오디오 장치의 전원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의 전원 오프 이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의 출력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의 전원 제어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대응하여 시각 피드백 및 청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오디오 장치의 전원 제어방법.
KR1020140089754A 2014-07-16 2014-07-16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KR101594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754A KR101594874B1 (ko) 2014-07-16 2014-07-16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US14/739,604 US9640065B2 (en) 2014-07-16 2015-06-15 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o external apparatus
EP19215417.7A EP3640910B1 (en) 2014-07-16 2015-07-07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o external apparatus
EP15175751.5A EP2975589B1 (en) 2014-07-16 2015-07-07 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o external apparatus
CN201610586706.XA CN106205092B (zh) 2014-07-16 2015-07-16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音频装置及其控制供电方法
CN201510418676.7A CN105323608A (zh) 2014-07-16 2015-07-16 电子装置、外部装置及控制对外部装置供电的方法
US15/464,743 US10096237B2 (en) 2014-07-16 2017-03-21 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o externa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754A KR101594874B1 (ko) 2014-07-16 2014-07-16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472A Division KR102102748B1 (ko) 2016-02-11 2016-02-11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346A true KR20160009346A (ko) 2016-01-26
KR101594874B1 KR101594874B1 (ko) 2016-02-17

Family

ID=5354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754A KR101594874B1 (ko) 2014-07-16 2014-07-16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640065B2 (ko)
EP (2) EP3640910B1 (ko)
KR (1) KR101594874B1 (ko)
CN (2) CN10620509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2123B2 (en) 2018-09-04 2021-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WO2023038169A1 (ko) * 2021-09-09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A/v 전송 장치 및 a/v 수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52025A1 (en) * 2015-09-14 2019-02-14 Interlemo Holding S.A. Smart active connector
KR102519165B1 (ko) 2016-11-24 202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102265214B1 (ko) 2017-05-19 2021-06-16 (주)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실리콘 산화물 음극의 전리튬화 방법
KR102323176B1 (ko) * 2017-09-19 2021-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단말기
KR102593313B1 (ko) 2018-12-20 2023-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1665013B1 (en) * 2019-12-13 2023-05-30 Amazon Technologies, Inc. Output device selection
US11682395B2 (en) * 2020-01-16 2023-06-20 Arris Enterprises Llc Electronic device,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externally adding voice control functionality to another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086A (ko) * 2004-02-21 2005-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70064180A (ko) * 2005-12-16 200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취침 예약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취침 예약 방법
KR20130016025A (ko) * 2011-08-05 2013-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및 모션 인식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KR20130122349A (ko) * 2012-04-30 2013-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6838B1 (en) * 2000-09-06 2004-02-03 Xanbo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he automatic registration of devices
CN1509570A (zh) * 2001-04-10 2004-06-30 ������������ʽ���� 基于pc的电视机顶盒系统及利用该系统专有地提供内容的方法
US6914551B2 (en) * 2002-04-12 2005-07-05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and method to facilitate universal remote control
US7377441B2 (en) * 2004-03-05 2008-05-27 Microvision, Inc. Electronic device with auxiliary interfaces
US20050197093A1 (en) * 2004-03-05 2005-09-08 Microvision, Inc.,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Wireless interface with enhanced functionality
JP4737965B2 (ja) * 2004-09-30 2011-08-03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受像機
GB2427733A (en) * 2005-06-29 2007-01-03 Symbian Software Ltd Remote control
JP4348558B2 (ja) * 2006-03-30 2009-10-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US8467804B2 (en) * 2007-10-16 2013-06-18 Sony Corporation Mobile terminals and methods for regulating power-on/off of a GPS positioning circuit
KR101611540B1 (ko) 2008-05-27 201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1394524B (zh) * 2008-10-29 2010-12-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关机状态下定时开机录制数字电视节目的手机和方法
KR20110054609A (ko) * 2009-11-18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2147968B (zh) * 2010-02-06 2012-10-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力线通信设备
WO2013022221A2 (en) 2011-08-05 201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101995425B1 (ko) 2011-08-21 2019-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89927B1 (ko) 2012-05-22 2018-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 및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8984053B2 (en) * 2012-10-03 2015-03-17 Sony Corporation Home network controller with remote user interface wrapper of discovered multimedia content
CN103885352B (zh) * 2014-03-25 2016-07-13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交互方法、空调、厨房电器及电视机
CN105096552A (zh) * 2014-04-15 2015-11-25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蓝牙遥控系统及相关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086A (ko) * 2004-02-21 2005-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70064180A (ko) * 2005-12-16 200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취침 예약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취침 예약 방법
KR20130016025A (ko) * 2011-08-05 2013-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및 모션 인식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KR20130122349A (ko) * 2012-04-30 2013-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2123B2 (en) 2018-09-04 2021-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WO2023038169A1 (ko) * 2021-09-09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A/v 전송 장치 및 a/v 수신 장치
US11854382B2 (en) 2021-09-09 2023-12-26 Lg Electronics Inc. Audio/video transmitting device and audio/video receiv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874B1 (ko) 2016-02-17
EP2975589A1 (en) 2016-01-20
EP3640910B1 (en) 2021-11-10
US10096237B2 (en) 2018-10-09
EP2975589B1 (en) 2020-01-22
US9640065B2 (en) 2017-05-02
CN106205092B (zh) 2019-04-05
US20160019781A1 (en) 2016-01-21
CN105323608A (zh) 2016-02-10
EP3640910A1 (en) 2020-04-22
US20170193815A1 (en) 2017-07-06
CN106205092A (zh)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874B1 (ko)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KR102325338B1 (ko) 전자 장치, 오디오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EP3292695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display apparatus
US1067856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1172221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50090B1 (ko)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KR102102748B1 (ko)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US999706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201600993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608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6019184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60119573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42579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EP3035701B1 (en) Device for controlling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CN107667342B (zh) 电子装置和用于控制电子装置的声音的方法
KR2024000211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4192155A1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