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826B1 - 더미 터미널 및 본체 - Google Patents

더미 터미널 및 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826B1
KR101489826B1 KR20130166572A KR20130166572A KR101489826B1 KR 101489826 B1 KR101489826 B1 KR 101489826B1 KR 20130166572 A KR20130166572 A KR 20130166572A KR 20130166572 A KR20130166572 A KR 20130166572A KR 101489826 B1 KR101489826 B1 KR 101489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dummy terminal
information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6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우
이광현
Original Assignee
유승우
이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우, 이광현 filed Critical 유승우
Priority to KR20130166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826B1/ko
Priority to US14/584,218 priority patent/US939209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1Hardware ident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더미 터미널 및 본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발화 정보를 획득하고, 본체로부터 비디오 정보 및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고, 획득한 발화 정보를 본체로 전송하며, 수신한 비디오 정보 및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더미 터미널 및 본체 {Dummy terminal and the main body}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더미 터미널 및 본체로 구성된 스마트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스마트폰은 이제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특히, 스마트폰은 무선 통신 및 스마트폰 앱과 결합하여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폰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증가와 더불어 스마트폰을 제어하는 UI(User Interface) 기술도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고 기기간 상호 연동형 서비스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동영상 플레이어, TV, 차량내 네비게이션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이나 음성 등의 각종 데이터가 TV나 네비게이션 장치 등의 영상 기기에 표시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하는 미러링 기술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미러링 등의 방식으로 상호 연동되는 각 기기는 독립적인 자체 기능을 그대로 가지며 상호간 연결되는 방식이라서, 연결된 전체적 구성 면에서 과도한 하드웨어 리소스가 포함되고 개별 기기의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즉, 기기간 상호 연결에 대한 비용적, 리소스 중복도가 높아서 활용 측면의 효율성은 매우 낮다.
또한, 스마트폰 등 최근의 멀티미디어 단말은 그 기능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고가인데, 분실한 경우나 고장난 경우 재구매나 수리를 위해서는 큰 경제적 비용 부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통신, 동영상 재생, 정보 저장 등의 기본 기능을 담당하는 본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담당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만을 포함하는 더미 터미널이 분리됨으로써, 스마트폰 등 IT 기기의 리소스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이용시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더미 터미널은 본체와 더미 터미널 간의 인증이 된 후에야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본체와 더미 터미널이 함께 있어야만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난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UI용 더미 터미널과 기본 기능용 본체로 구성되며, 이 중에서 더미 터미널은 사용자로부터 발화 정보를 획득하는 마이크부; 본체로부터 비디오 정보 및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고, 획득한 상기 발화 정보를 상기 본체로 전송하는 통신부; 수신한 비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수신한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본체와 연결할 때마다 상기 본체가 인식할 수 있는 인증 번호를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입력받아 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로 전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양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로 전송하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사양 정보에 부합하는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상기 스피커부로 출력하고, 상기 본체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단절된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 기능만 활성화된 휴면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휴면 모드에서 상기 본체로부터 인증 확인 신호를 받은 경우에만 상기 마이크부 및 스피커부가 활성화되는 활성화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자신 및 상기 통신부만 활성화되는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시키고, 모니터링 모드 중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활성화 모드로 진입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를 핵심적 기본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와, UI 기능만을 수행하는 더미 터미널로 분리하고, 본체는 인체에 부착하거나 가방 등 안전한 장소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더미 터미널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요 개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고가인 본체의 분실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체에서 재생되는 동영상과 음악이 UI 기능만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더미 터미널에서 재생되므로, 기기간 미러링시의 전반적 리소스 활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본체에서 재생되는 동영상과 음악을 스마트폰 형태 또는 태블릿 PC 형태의 다양한 복수의 더미 터미널을 통해 복수의 사람이 동영상과 음악을 동시에 즐길 수 있고, 음성,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다.
이어, 본체에서 더미 터미널로부터 사용 정보를 수신하여 더미 터미널의 사양에 맞추어 최적화하게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를 조정하고 이를 더미 터미널로 전송하므로, 사용자는 더미 터미널에 최적화된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를 수신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품 단가와 관련하여, 본체는 고사양의 고가 제품인데, 더미 터미널은 단순히 재생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표출하는 역할을 하는 저사양의 제품이므로, 더미 터미널이 파손되거나 분실되어도 재구매를 위한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체에서 더미 터미널로 추적 신호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더미 터미널이 추적 신호에 응답하므로, 더미 터미널을 분실하여도 쉽게 찾을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더미 터미널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비디오 / 오디오 정보의 표출시 본체와 더미 터미널이 각각 수행하는 작업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더미 터미널과 본체 간의 인증을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새로운 인증번호를 등록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더미 터미널의 구성도이다. 본체(300)와 더미 터미널(100)은 연동한다. 본체(300)가 UI 기능을 제외한 휴대 단말기 기능을 수행하고, 더미 터미널(100)은 UI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더미 터미널은 마이크부(110), 통신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스피커부(140), 제어부(150), 카메라부(160) 및 추적 신호부(170)를 포함한다.
마이크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발화 정보를 획득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음성 통화, 영상 통화를 하면, 마이크부(110)는 사용자가 말한 내용을 포함하는 발화 정보를 획득한다.
통신부(120)는 마이크부(110)로부터 획득한 발화 정보,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정보, 및/또는 카메라부(160)를 통해 획득한 화상 정보를 본체(300)로 전송하고, 본체(300)로부터 비디오 정보 및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지그비,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광통신, 무선 랜, RF 등 수 미터 내지 수십 미터 내의 범위 내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본체(300)로부터 수신하는 비디오/오디오 정보는, 본체(300)가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저장하고 있는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이나 파일을 재생하여 생성한 비디오/오디오 정보, 음성 통화 중 통화 상대방의 음성이 포함된 오디오 정보, 영상 통화 중 상대방 단말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전달된 음성과 화상이 포함된 비디오 정보 및 오디오 정보, 아이콘, 시계, 키패드 등을 포함하는 UI용 화상 정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본체(300)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정보를 현출한다.
스피커부(140)는 본체(300)로부터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출력한다.
카메라부(160)는 더미 터미널(100)의 전방 및/또는 후방을 촬영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160)는 제1카메라(162)와 제2카메라(164)를 포함하여 더미 터미널(100)의 디스플레이부(130)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촬영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50)는 더미 터미널(100)이 UI 기능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마이크부(110), 통신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스피커부(140) 및 카메라부(160)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본적으로, 제어부(150)는 마이크부(110) 및 카메라부(160)에 의하여 획득된 오디오/비디오 정보를 본체(300)로 전달하고, 본체(3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 및 스피커부(14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0) 및 스피커부(140) 중 적어도 하나의 사양 정보(예컨대, 해상도 등)를 통신부(120)를 통하여 본체(300)로 전송하고, 본체가 더미 터미널(100)의 디스플레이부(130) 사양에 맞추어 해상도 및/또는 화면 사이즈를 조절한 비디오 정보 및/또는 더미 터미널(100)의 스피커부(140) 사양에 맞추어 재생된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30) 및/또는 스피커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300)에서 재생되는 원본 파일 정보는 비디오 정보가 avi, 1920 x 1040, 30 fps 이고, 오디오 정보가 Dolby AC3, 6 ch, 48000 Hz, 384 kbps, 1 audio 이고, 더미 터미널의 디스플레이부 사양이 480 x 272, 24 fps, 600 kbps 이고, 스피커 사양이 2 ch, 44100 Hz, 96 kbps, 1 audio 이면, 더미 터미널(100)은 자신의 사양 정보를 본체(300)로 전송하고, 본체(300)가 비디오 정보/오디오 정보를 디코딩하고 더미 터미널(100)로부터의 사양 정보에 따라 필요한 경우 비디오/오디오 정보의 해상도 등을 변환한 다음에 이를 더미 터미널(100)로 전송하면, 제어부(150)는 수신된 비디오/오디오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 및/또는 스피커부(140)로 출력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본체(300)가 더미 터미널(100)에 최적화된 비디오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므로 더미 터미널에서는 자신에게 최적화된 사양 정보를 기초로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더미 터미널(10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를 토대로 본체(3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면(예컨대, 비디오 전송시는 1 Mbps 미만, 오디오 전송시는 30kbps 미만), 더미 터미널(100)을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시킨다.
모니터링 모드는 통신부(120) 및 제어부(150)만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는 본체(300)가 측정하여 더미 터미널(100)로 보낼 수도 있고, 더미 터미널(100)이 자체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모니터링 모드에 진입하면, 제어부(150)는 통신부(120)를 통하여 무선 통신 연결 여부를 감시하다가, 무선 통신 연결이 원활해지면 모니터링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부(130) 등을 활성화한다.
따라서, 비디오 또는 오디오를 정상적으로 표출하기 어려운 느린 전송 속도에서는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하여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고, 사용자는 즉각적으로 더미 터미널(100)과 본체(300)와의 통신 상태가 불량하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본체(300)와의 통신 연결이 완전히 끊기거나 장시간 본체(300)와 데이터 교환이 없으면 더미 터미널(100)을 휴면 모드로 진입시킨다.
휴면 모드는 제어부(150) 전체 또는 제어부(150)의 사용자 입력 기능만이 활성화되어 홈버튼 누름 등 기본적인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 모드이다.
휴면 모드에서 홈버튼이 눌러지면, 디스플레이부(130)가 활성화되어 암호 입력 등을 위한 화면이 표출되고, 적절한 암호가 입력되면 통신부(120)가 활성화되어 주변에 본체(300)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본체(300)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절차가 수행된다. 본체(300)와의 연결이 수립되면, 더미 터미널(100)이 완전히 활성화되어 본체(100)와 비디오/오디오/제어정보를 송수신하며, 휴대 단말기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활성화 모드로 진입한다.
즉, 휴면 모드에 진입한 경우에는 정확한 암호 입력 및 본체(300)와의 연결 수립이 완료되지 않으면 더미 터미널(100)이 완전히 활성화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미 터미널(100)의 도난이나 분실이 발생한 경우라도 본체(300)를 소지한 진정 사용자가 더미 터미널(300)을 조작하지 않으면 이용할 수 없게 되어 도난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다.
- 위치 알림부 -
사용자가 더미 터미널(100)을 사용하다가 더미 터미널(100)의 정확한 위치를 잊을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본체(300)의 입력부(330)를 통하여 추적 명령을 입력하면 본체(300)가 이에 응하여 추적 신호를 전송하고, 더미 터미널(100)이 전송된 추적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응답하면 사용자는 더미 터미널(100)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더미 터미널(100)이 통신부(120)를 통하여 본체(300)로부터 추적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응답하여 위치 알림부(170)가 진동, 신호음 발생 및 점멸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위치 알림부(170)는 제어부(150)와 별도의 H/W 또는 S/W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50)가 그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더미 터미널(100)은 비디오/오디오 정보를 일시 저장하거나, 사양정보 및/또는 인증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미 터미널(100)은 일반 스마트폰과 같은 외형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사용자는 일반 스마트폰을 쓰는 것과 동일한 조작법으로 동일한 느낌을 느끼며 더미 터미널(100)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더미 터미널(100)은 UI 기능만을 가지기 때문에, 전원 소모가 매우 적고, 하드웨어 복잡도가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으므로, 가볍고 얇게, 그리고 기기의 가요성(flexibility)을 높이고 제작 단가를 낮추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다양한 형태상 제약이 줄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휴대형 단말기의 혁신적인 디자인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 터미널(100)과 연동하는 본체(300)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및 입력부(33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비디오 정보 및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미 터미널(100)로 송신하고 더미 터미널(100)로부터 스피커부(140) 및/또는 카메라부(160)가 획득한 발화 및/또는 영상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 및 스피커부(140)의 사양 정보 및 사용자 입력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기설정된 바에 따라 또는 수신된 더미 터미널(100)의 사양 정보를 토대로 비디오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재생하여 이를 통신부(310)를 통해 더미 터미널(100)에 전송한다.
예컨대, 본체(300)에서 재생되는 원본 파일 정보는 비디오 정보가 avi, 1920 x 1040, 30 fps 이고, 오디오 정보가 Dolby AC3, 6 ch, 48000 Hz, 384 kbps, 1 audio 이고, 더미 터미널의 디스플레이부(130) 사양이, 480 x 272, 24 fps, 600 kbps 이고, 스피커부(140) 사양이 2 ch, 44100 Hz, 96 kbps, 1 audio 이면, 더미 터미널(100)로부터 전송된 사양 정보를 토대로, 본체(300)가 더미 터미널(100)의 사양 정보에 맞추어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를 디코딩/변환한 후, 이를 더미 터미널(100)로 전송하면, 더미 터미널(100)의 디스플레이부(130) 및/또는 스피커부(140)로 출력한다.
다른 실시 예로서, 본체(300)의 제어부(3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에 비례하여 비디오 정보와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해상도를 변경한다. 본체(300)가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를 측정하거나 더미 터미널(100)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 받아 본체(300)와 더미 터미널(100)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전송 속도를 파악하고, 전송 속도에 맞추어 더미 터미널(100)로 전송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의 해상도를 결정한다.
예컨대, 비디오 정보의 해상도는 저해상도, 중해상도, 고해상도, 초고해상도가 있을 수 있는데, 제어부(3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15 Mbps 이상이면, 초고해상도,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10 ~ 15 Mbps 이면 고해상도,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5 ~ 10 Mbps 이면 중해상도,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1 ~ 5 Mbps 이면 저해상도로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오디오 정보의 해상도는 저해상도, 중해상도, 고해상도, 초고해상도가 있을 수 있는데, 제어부(3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15 Mbps 이상이면 초고해상도,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10 ~ 15 Mbps 이면 고해상도,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5 ~ 10 Mbps 이면 중해상도,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1 ~ 5 Mbps 이면 저해상도로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본체(300)의 제어부(3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에 비례하여 비디오 정보와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비트 전송률을 변경한다.
예컨대, 비디오 정보의 비트 전송률은 standard(저해상도), 480P, 720P, 1080P 가 있을 수 있는데, 제어부(4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15 Mbps 이상이면, 1080P,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10 ~ 15 Mbps 이면 720P,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5 ~ 10 Mbps 이면 480P,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1 ~ 5 Mbps 이면 standard 로 비트 전송률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오디오 정보의 비트 전송률은 320 kbps(CD 품질), 192 kbps(디지털 오디오 품질), 128 kbps(베이스 품질), 96 kbps(FM 품질)가 있을 수 있는데, 제어부(24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15 Mbps 이상이면 320 kbps,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10 ~ 15 Mbps 이면 192 kbps,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5 ~ 10 Mbps 이면 128 kbps,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1 ~ 5 Mbps 이면 96 kbps로 비트 전송률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에 비례하여 전송하는 비디오 정보의 프레임 수를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비디오 정보의 프레임 수는 초당 30 프레임, 24 프레임, 18 프레임, 12 프레임이 있을 수 있는데, 제어부(4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15 Mbps 이상이면 30 프레임,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10 ~ 15 Mbps 이면 24 프레임,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15 ~ 10 Mbps 이면 18 프레임,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1 ~ 5 Mbps 이면 12 프레임으로 프레임 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전송 속도가 빠를수록 더미 터미널(100)에서 고화질, 고음질의 콘텐츠를 재생하고, 무선 전송 속도가 느리더라도 끊임없이 비디오/오디오 정보가 현출될 수 있다.
- 추적 신호 발생 -
입력부(330)는 사용자로부터 더미 터미널 추적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330)는 하나 이상의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버튼으로 추적 입력 및 전원 on/off를 위한 제어 입력도 수신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20)는 입력부(330)를 통하여 더미 터미널 추적 입력을 획득하면 통신부(310)를 통하여 추적 신호를 더미 터미널(100)로 전송한다. 이 추적 신호를 더미 터미널(100)이 수신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더미 터미널(100)의 위치 알림부(170)가 진동, 알람 음향, 점멸 등의 방식으로 자신의 위치를 알린다.
한편, 도시하거나 설명하지 않았지만, 본체(300)는 이동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대 통화자의 영상통화정보 또는 음성통화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더미 터미널(100)의 사양에 맞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더미 터미널(100)로 전송하고, 더미 터미널(100)로부터 수신되는 발화정보나 영상을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대 통화자 또는 외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역시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전화번호부, 메시지, 대화내용, 비디오/오디오 파일 등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본체(300)로부터 수신한 비디오/오디오 정보를 더미 터미널(100)에서 출력하기 위하여 본체(300)와 더미 터미널(100)이 수행하는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경우가 있을 수 있다.
case 1) 본체(300)에서 비디오/오디오 스트림 또는 비디오/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여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더미 터미널(100)로 전송한다.
더미 터미널(100)은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스피커부를 통해 현출한다.
case 2) 본체(300)는 비디오/오디오 스트림 또는 파일을 더미 터미널(100)로 전송하고, 더미 터미널(100)이 이를 디코딩하여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생성한 후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스피커부를 통해 현출한다.
즉, case 1의 경우에는 본체가 디코딩 및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구동신호, 스피커 드라이버 구동신호 생성까지의 모든 과정을 수행하고 더미 터미널(100)은 가장 단순한 UI장치 역할 (화면 표시 및/또는 음성 출력)만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더미 터미널(100)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고 저가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case 2의 경우에는, 더미 터미널(100)이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이나 파일을 재생(디코딩 및 비디오/오디오 신호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로서, 더미 터미널(100)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면이 있으나, case 2는 이종의 복수의 더미 터미널(100)이 동시에 동일한 비디오/오디오 정보를 각 더미 터미널의 사양에 맞게 표시하는 경우에 case 1보다 유리하다.
즉, 이종의 복수의 더미 터미널에 동일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현출하고자 할 때, case 1이 방식일 경우에는 본체가 이종의 복수의 더미 터미널 사양에 맞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각각 생성해서 해당하는 더미 터미널에 각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전송해야 하므로 본체의 재생 부하 및 신호 전달의 복잡도가 커지는 면이 있으나, case 2에서는 각 더미 터미널이 자신의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부의 사양에 맞도록 비디오/오디오 정보를 재생/변환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본체는 동일한 비디오/오디오 정보를 방송(broadcasting)하기만 하면 된다.
case 2의 경우, 더미 터미널(100)의 제어부(150)는 비디오/오디오 정보를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디스플레이부의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비디오 정보를 변경하는 것 및/또는 스피커부의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오디오 정보를 변경하거나, 본체(3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를 토대로 디스플레이부의 해상도 및 스피커부의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에 따라, 비디오/오디오 정보의 비트 전송률을 변경하거나, 비디오 정보의 프레임 수를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더미 터미널(100)과 본체(300)사이에 송수신되는 비디오 정보 및 오디오 정보는, 비디오/오디오 파일, 비디오/오디오 스트림, 디스플레이부(130)의 각 셀을 제어하고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에서 입력되는 영상구동신호, 스피커부(140)의 스피커 드라이버에 입력되는 구동신호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더미 터미널(100)과 본체(300)사이에 상호 인증하는 과정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더미 터미널(100)은 휴면 모드 상태에 있다가 사용자의 홈버튼 누름 등의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제어부(150)가 활성화되고, 제어부(150)가 디스플레이부(130)에 현출한 키패드 또는 보안 패턴 입력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인증번호를 입력받으면 통신부(120)를 활성화하여 본체(300)로 인증번호를 전달한다(S510).
위 인증번호는 본체(300)에 제조시에 이미 저장되고 메뉴얼 등 별도의 수단으로 사용자에게 인지하고 있는 인증번호이다. 즉, 더미 터미널(100)은 인증번호를 내장하지 않고, 매 연결시마다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본체가 인식할 수 있는 인증 번호를 입력받고, 이를 본체(300)로 전달한다.
인증번호의 전달은 블루투스나 기타 근거리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 영역 내에 있는 단말 간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수행된다.
본체(300)는 수신된 인증번호를 확인하고(S520),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인증번호와 일치하면 인증확인 신호를 더미 터미널(100)로 전송한다(S530).
더미 터미널(100)은 인증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주변에 통신 가능한 본체가 있음을 인식하고(S540), 본체(300)에 확인 신호를 전송한다(S550).
본체(300)는 더미 터미널(100)로부터 확인 신호를 받으면, 자신을 인식한 더미 터미널이 있음을 인식하고(S560), 상호간에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립한다(S570).
통신 연결 수립이 되면, 상호간에 비디오/오디오/제어정보를 송수신하고 (S580), 기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 송수신이 없거나 어느 일방으로부터의 연결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연결을 해제하고(S590), 더미 터미널(100)은 휴면 모드로 진입한다.
사용자는 일반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처럼, 초기 보안 문자/숫자 또는 보안 패턴을 입력하기만 하면, 더미 터미널(100)을 통하여 인증번호를 알고 있는 임의의 본체(300)와 연결하여 이들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반면,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기존의 스마트폰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지만, 더미 터미널(100)을 절취 또는 습득한 자가, 자신 소유의 본체에 저장된 인증 번호를 알면, 절취 또는 습득한 더미 터미널(100)을 절취자 또는 습득자 소유의 본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로서, 더미 터미널(100)은 연결되어야 하는 본체(300)의 고유 식별 번호를 저장하고, 본체(300)가 단계(S530)에서 인증확인 신호를 보낼 때 본체(300)의 고유 식별 번호를 포함하여 보낸 후, 더미 터미널(100)이 단계(S540)에서 위 인증확인 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 번호가 자신이 저장한 본체의 고유 식별 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추가하여 수행하고, 일치할 경우에만 자신의 주변에 정상 본체(300)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확인 신호를 전송(S550)하는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더미 터미널(100)이 도난되더라도 내장된 본체의 고유 식별 번호가 해킹되지 않는 한, 더미 터미널(100)은 다른 본체와는 연결이 불가능하게 되어, 도난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더미 터미널(100)에 본체(300)의 고유 식별 번호를 저장하는 것은, 보안의 측면에서는 제조 단계에서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전용 App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도 6은 사용자가 인증번호를 갱신하고자 할 때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더미 터미널(100) 및 본체(300)가 상호 연결이 된 이후에 신 인증번호 등록 요청을 하면(S610), 본체(300)는 더미 터미널(100)로 신 인증번호를 요청한다(S620).
신 인증번호가 더미 터미널(100)로부터 전달되면(S630), 본체(300)는 이를 저장하고(S640), 신 인증번호 등록 완료 신호를 전송한다(S650).
더미 터미널(100)이 신 인증번호 등록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130)에 신 인증번호 등록 완료 메시지를 표출하여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새로운 인증번호가 등록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신 인증번호 등록은 더미 터미널(100)에 내장되어 동작되는 전용 App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신 인증번호는 더미 터미널(100)의 디스플레이부(130)에 현출된 키패드 또는 보안 패턴 입력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상, 더미 터미널(100)과 본체(300)의 핵심적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하여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더미 터미널(100)과 본체(300)의 활용 양태는 다음과 같다.
본체(300)는 UI기능이 없으므로, 디스플레이판넬 등의 부품을 포함할 필요가없으므로, 그 형태는 원형, 정방형, 얇은 직선형, 곡선형 등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크기 또한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 비하여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보관이나 휴대 형태에 있어서도, 주머니나 가방에 넣고 다니기 편한 소지형, 목걸이나 팔찌, 반지, 손목 시계, 벨트장식과 같은 인체 부착형, 테이블이나 선반에 비치하는 비치형이나 거치형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체(300)는 원격통신 기능을 가져서 사용자가 더미 터미널(100)을 이용하여 외계와의 접속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휴대형 본체의 경우 이동통신 기능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 내에는 고정형 본체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런 경우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계와의 접속을 중계할 수 있다.
즉, 본체(300)가 UI기능이 포함된 일반적인 휴대형 또는 부착형 전자기기이고 더미 터미널(100) 역시 UI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이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포섭됨은 물론이고 따라서 구체적인 별도의 한정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본체(300) 및 더미 터미널(100)은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표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포괄하여 의미한다.
예컨대, 가정 내 셋탑박스, 스마트 TV 또는 홈 네트워킹 허브나 사무실의 PC 등, 범용 또는 타용도의 기기가 본체로 기능하여 더미 터미널이 연결될 수 있고, 전용의 고정형 본체가 사무실이나 기타 장소에 배치되어 더미 터미널과 연결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원격의 서버 또는 복수의 다양한 형태의 본체에 사용자 정보(주소록, 일정, 메모 등)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본체를 소지하지 않고 더미 터미널만을 소지하면서 종래의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의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집이나 사무실에 배치된 전용 본체나 범용 또는 타용도 기기를 이용하여 주로 이용하는 공간에서 스마트 폰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커피숍이나 지하철 역, 공항 등의 장소에서도 범용 AP 등을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해서 App을 이용하고, 주소록 등을 불러와 인터넷 기반의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더미 터미널(100)는 파지형(hand-held) 단말기의 형태가 일반적이나 부착형 단말기의 형태로도 가능하다.
예컨대, 차량 내 디스플레이부를 대체하여 부착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효율적이고 저비용으로 차량 내 컨넥티버티를 구현할 수 있고, 차량 내 AVN 또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구현 비용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즉, 2010년대 들어 차량이 스마트폰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카가 큰 관심을 가지고, 차량 내에 고정형 스마트폰을 그대로 도입하는 시도도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접근은 차량 가격의 상승을 유발할 수 밖에 없으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실질상 기능이 겹치게 되는 휴대용 스마트폰, 차량 내 스마트기기와 같이 프로세서나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 중복성이 큰 상태로 과도한 컴퓨팅 리소스를 고비용을 들여서 이용하게 된다. 또한, 기기 간 사용자 데이터 동기화를 시켜야 하는 면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더미 터미널(100)을 차량 내 부착하고 본체(300)와 연결하여 차량 내 AVN 또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기능 대부분을 수행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컴퓨팅 리소스의 중복성 저감과 효율적 활용, 사용자 데이터의 동기화 문제 해결, 스마트 기기 이용 비용의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더미 터미널
110 : 마이크부 120 : 통신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스피커부
150 : 제어부 160 : 카메라부
162 : 제1카메라 164 : 제2카메라
170 : 위치 알림부(추적 신호부)
300 : 본체
310 : 통신부 320 : 제어부(인증부)
330 : 입력부

Claims (12)

  1. 사용자로부터 발화 정보를 획득하는 마이크부;
    본체로부터 비디오 정보 및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마이크부가 획득한 상기 발화 정보를 상기 본체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부;
    수신한 상기 비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수신한 상기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본체와 연결할 때마다 상기 본체가 인식할 수 있는 인증 번호를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입력받아 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로 전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양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로 전송하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사양 정보에 부합하는 비디오 정보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상기 스피커부로 출력하고, 상기 본체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단절된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 기능만 활성화된 휴면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휴면 모드에서 상기 본체로부터 인증 확인 신호를 받은 경우에만 상기 마이크부 및 스피커부가 활성화되는 활성화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자신 및 상기 통신부만 활성화되는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시키고, 모니터링 모드 중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활성화 모드로 진입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더미 터미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고유 식별자를 저장하는 변경 불가 저장영역을 포함하는 것
    인 더미 터미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본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속도에 따라 상기 발화 정보의 비트 전송률을 변경하는 것
    인 더미 터미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추적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응답하여 진동신호, 추적신호음 및 점멸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것인 추적 신호부를 더 포함하는 더미 터미널.
  7.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촬상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로 전송하는 것
    인 더미 터미널.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20130166572A 2013-12-30 2013-12-30 더미 터미널 및 본체 KR101489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6572A KR101489826B1 (ko) 2013-12-30 2013-12-30 더미 터미널 및 본체
US14/584,218 US9392098B2 (en) 2013-12-30 2014-12-29 Dummy terminal and main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6572A KR101489826B1 (ko) 2013-12-30 2013-12-30 더미 터미널 및 본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826B1 true KR101489826B1 (ko) 2015-02-04

Family

ID=5259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6572A KR101489826B1 (ko) 2013-12-30 2013-12-30 더미 터미널 및 본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92098B2 (ko)
KR (1) KR1014898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0739B2 (en) * 2014-12-12 2019-06-11 Donuts Inc. Communication using DNS repurposing
US20160356232A1 (en) * 2015-06-05 2016-12-08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fety during key-off of vehicle
US20220021559A1 (en) * 2020-07-15 2022-01-20 Nxp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330A (ko) * 1999-12-28 2001-07-07 서평원 분리형 휴대폰 및 분리형 휴대폰의 통신 방법
KR20040061179A (ko) * 2002-12-30 2004-07-07 전주식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2752B1 (ko) 2005-08-17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휴대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7800A (ja) * 1998-10-02 2002-08-2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会話ブラウザおよび会話システム
US20060154642A1 (en) * 2004-02-20 2006-07-13 Scannell Robert F Jr Medication & health, environmental, and security monitoring, alert, intervention, information and network system with associated and supporting apparatuses
US8957847B1 (en) * 2010-12-28 2015-02-17 Amazon Technologies, Inc. Low distraction interfaces
US20130347018A1 (en) * 2012-06-21 2013-12-26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supplemental content with active media
US20150139483A1 (en) * 2013-11-15 2015-05-21 David Shen Interactive Controls For Operating Devices and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330A (ko) * 1999-12-28 2001-07-07 서평원 분리형 휴대폰 및 분리형 휴대폰의 통신 방법
KR20040061179A (ko) * 2002-12-30 2004-07-07 전주식 분리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2752B1 (ko) 2005-08-17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휴대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9061A1 (en) 2015-07-02
US9392098B2 (en)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38937B (zh) 一种通话方法、设备及系统
US20220124100A1 (en) Device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05681969B (zh) 电子装置、音频装置、控制电子装置和音频装置电源的方法
CN112449332B (zh) 一种蓝牙连接的方法和电子设备
US20220394794A1 (en) Bluetooth connect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US20140045463A1 (en)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US20150172878A1 (en) Acoustic environments and awareness user interfaces for media devices
CN103023866A (zh) 无线音频信号的易共享
CN204069102U (zh) 交互式蓝牙耳机及移动终端
CN106781621B (zh) 到站提醒方法及装置
CN104135559A (zh) 交互式蓝牙耳机及移动终端
CN112312366B (zh) 一种通过nfc标签实现功能的方法、电子设备及系统
CN104392626A (zh) 路线信息提醒方法及装置
CN111629366B (zh) 蓝牙设备间的交互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8265711B2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in-vehicl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0060675B (zh) 唤醒音箱的方法及设备
JP2018055701A (ja) 端末装置
CN109151619A (zh) 数据通信方法及装置
KR101489826B1 (ko) 더미 터미널 및 본체
WO2015178070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記憶媒体及び情報処理方法
CN114339698A (zh) 设备间触碰建立无线连接的方法、电子设备及芯片
WO2022213689A1 (zh) 一种音频设备间语音互通的方法及设备
CN113489844B (zh) 一种音量档位的调整方法及电子设备
WO2022267974A1 (zh) 一种投屏方法及相关装置
CN112804395A (zh) 终端自动投屏连接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