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238B1 - 코일의 직류저항에 따른 진동 주파수 결정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의 직류저항에 따른 진동 주파수 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238B1
KR100735238B1 KR1020010039569A KR20010039569A KR100735238B1 KR 100735238 B1 KR100735238 B1 KR 100735238B1 KR 1020010039569 A KR1020010039569 A KR 1020010039569A KR 20010039569 A KR20010039569 A KR 20010039569A KR 100735238 B1 KR100735238 B1 KR 100735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device
switch
voltag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2967A (ko
Inventor
이창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9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238B1/ko
Publication of KR2003000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207Driving circuits
    • B06B1/0215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pulses, e.g. bursts of oscillations, envel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207Driving circuits
    • B06B1/0223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continuous in time
    • B06B1/0269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continuous in time for generating multiple frequenc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using analogue/digital converters of the type with conversion of voltage or current into frequency and measuring of this frequenc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7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using analogue/digital converters of the type with comparison of different reference values with the value of voltage or current, e.g. using step-by-step metho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 기기 내부 회로에서 진동 장치에 포함된 코일의 직류저항에 따른 진동 주파수를 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는 공급 전압의 분배를 위한 제1저항과, 제1스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진동 장치간 전류패스를 형성 또는 차단하는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진동 장치와 접지간 전류패스를 형성 또는 차단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제어부와,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진동 장치의 직류저항 값에 따라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에 의해 출력되는 디지털 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주파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변화된 진동 주파수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진동 장치로 하여금 상기 진동 주파수신호에 따른 값으로 진동하게 하는 주파수 발생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진동 장치, 주파수 발생기, 진동 주파수

Description

코일의 직류저항에 따른 진동 주파수 결정 장치{VIBRATION FREQUENCY DECI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DIRECT CURRENT RESISTANCE OF EACH COI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진동 주파수 결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진동 주파수 결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진동 주파수 결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진동 주파수 결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가전 기기 내부 회로에서 진동 장치에 포함된 코일의 직류저항에 따른 진동 주파수를 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전 기기 내부회로에서 진동 장치란 진동판이 떨림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장치를 말하며, 이러한 진동 장치를 사용할 때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이미 하나로 정해져 있다. 이것은 진동 장치에 있는 코일의 직류저항이 일정하다는 전제 하에서다. 하지만 제작 공정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작하는 모든 진동 장치에 있는 코일의 직류저항이 일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서로 다른 직류저항을 가진 진동 장치가 동일한 진동 주파수신호를 입력받았다고 하더라도 그 진동력은 동일할 수는 없다. 결론적으로, 각 진동 장치가 낼 수 있는 최대의 진동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 공정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진동 장치에 있는 코일의 직류저항의 차이를 보정하여 각각의 진동 장치가 모두 최대의 진동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진동 장치를 구비한 가전 기기에 있어서, 공급 전압의 분배를 위한 제1저항과, 제1스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진동 장치간 전류패스를 형성 또는 차단하는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진동 장치와 접지간 전류패스를 형성 또는 차단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제어부와,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진동 장치의 직류저항 값에 따라 분배된 전압을 디 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에 의해 출력되는 디지털 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주파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변화된 진동 주파수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진동 장치로 하여금 상기 진동 주파수신호에 따른 값으로 진동하게 하는 주파수 발생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진동 주파수 결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와, 제어부와, 주파수 발생기 등을 포함하는 모뎀 칩은 입력받은 아날로그 전압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값에 따른 진동 주파수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치 제어부(10)는 제1스위치 제어신호(SWC1)를 통해 제1스위치(22)를 제어하여 제1단자a와 제2단자b가 연결 되도록 한다. 제2스위치 제어신호(SWC2)를 통해 제2스위치(24)에서도 제1단자a와 제2단자b를 연결한다. 그리고 Vcc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전압 분배를 위한 저항 R1과, 진동판의 떨림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장치(20)에 있는 코일의 직류저항 R2에 의해 전압 분배 원리에 따라 전압이 분배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된 전압은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4)에 입력된다. 제어부(16)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4)에 의해 출력되는 디지털 값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값(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에 해당하는 값을 주파수 발생기(18)로 보낸다. 그러면 주파수 발생기(18)는 상기 제어부(16)에서 출력되는 값에 따라 변화된 진동 주파수신호를 발생한다. 이 때 상기 스위치 제어부(10)는 상기 제1스위치 제어신호(SWC1)를 통해 제1스위치의 제1단자a와 제2단자b를 개방하고, 상기 제2스위치 제어신호(SWC2)를 통해 제2스위치(24)의 제1단자a와 제2단자b도 개방한다. 진동 장치(20)는 상기 주파수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진동 주파수신호 값에 따라 진동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진동 주파수 결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전술한 도 1의 변형 실시 예이다. 주파수 발생기(18)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주파수 신호는 진동 장치(20)를 통해 접지 된다. 그 외의 다른 장치들의 동작은 상기 도 1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진동 주파수 결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위치 제어부(10)는 제1스위치 제어신호(SWC1)를 통해 제1스위치(22)를 제어하여 제1단자a와 제2단자b가 연결 되도록 한다. 제2스위치 제어신호(SWC2)를 통해 제2스위치(24)에서도 제1단자a와 제2단자b를 연결한다. 그리고 Vcc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전압 분배를 위한 저항 R1과, 진동판의 떨림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장치(20)에 있는 코일의 직류저항 R2에 의해 전압 분배 원리에 따라 전압이 분배된다. 그리고 OP 앰프(30)는 상기 분배된 전압과 진동장치의 전압을 비교하여 차이 값을 검출한다. 전압 제어 발진기(34)는 상기 검출된 차이 값에 따라 발생되 는 오피 앰프의 출력 전압에 의해 진동 주파수신호를 발생한다. 이 때 전압 스케일러(32)는 상기 OP 앰프(30)의 출력 전압이 전압 제어 발진기(34)의 전압 범위와 맞지 않을 때에 임의의 이득 값을 주어 그 범위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만약 상기 OP 앰프(30)의 출력 전압이 전압 제어 발진기(34)의 전압 범위와 맞으면 상기 전압 스케일러(32)가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증폭기(36)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34)에서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신호가 상기 진동 장치(20)를 구동할 만한 전력이 되지 않을 때 상기 진동 주파수신호를 증폭하여 구동할 만한 전력이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34)에서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신호가 상기 진동 장치(20)를 구동할 만한 전력이 되면 상기 증폭기(36)는 필요하지 않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10)는 상기 제1스위치 제어신호(SWC1)를 통해 제1스위치의 제1단자a와 제2단자b를 개방하고, 상기 제2스위치 제어신호(SWC2)를 통해 제2스위치(24)의 제1단자a와 제2단자b도 개방한다. 진동 장치(20)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진동 주파수신호 값에 따라 진동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진동 주파수 결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전술한 도 3의 변형 실시 예이다. 증폭기(36)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전력은 상기 진동 장치(20)를 통해 접지 된다. 그 외의 다른 장치들의 동작은 상기 도 3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은 진동 장치의 제조 공정 상에서 발생하는 진동 장치에 있는 코일의 직류저항의 편차에 대한 진동력의 차이를 보정하여 각 진동 장치마다 진동 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하여 각각의 진동 장치가 최대의 진동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진동 장치를 구비한 가전 기기에 있어서,
    공급 전압의 분배를 위한 제1저항과,
    제1스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진동 장치간 전류패스를 형성 또는 차단하는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진동 장치와 접지간 전류패스를 형성 또는 차단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제어부와,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진동 장치의 직류저항 값에 따라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에 의해 출력되는 디지털 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주파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변화된 진동 주파수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진동 장치로 하여금 상기 진동 주파수신호에 따른 값으로 진동하게 하는 주파수 발생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장치는 진동판의 떨림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는 부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장치는 진동판의 떨림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는 리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장치는 진동판의 떨림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는 마이크로스피커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진동 장치를 구비한 가전 기기에 있어서,
    공급 전압의 분배를 위한 제1저항과,
    제1스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진동 장치간 전류패스를 형성 또는 차단하는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진동 장치와 접지간 전류패스를 형성 또는 차단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제어부와,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진동 장치의 직류저항 값에 따라 분배된 전압과 진동장치의 전압을 비교하여 차이 값을 검출하는 오피 앰프와,
    상기 검출된 차이 값에 따라 발생되는 오피 앰프의 출력 전압에 의해 진동 주파수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진동 장치로 하여금 상기 진동 주파수신호에 따른 값으로 진동하게 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피 앰프의 출력 전압을 전압 제어 발진기의 전압 범위에 맞추어 주도록 하기 위해 전압 스케일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신호로 상기 진동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진동 주파수신호의 크기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진동 장치를 구비한 가전 기기에 있어서,
    공급 전압의 분배를 위한 제1저항과,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진동 장치간 전류패스를 형성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제어부와,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진동 장치의 직류저항 값에 따라 분배된 전압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에 의해 출력되는 디지털 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주파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변화된 진동 주파수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진동 장치로 하여금 상기 진동 주파수신호에 따른 값으로 진동하게 하는 주파수 발생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진동 장치를 구비한 가전 기기에 있어서,
    공급 전압의 분배를 위한 제1저항과,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진동 장치간 전류패스를 형성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제어부와,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진동 장치의 직류저항 값에 따라 분배된 전압과 진동장치의 전압을 비교하여 차이 값을 검출하는 오피 앰프와,
    상기 검출된 차이 값에 따라 발생되는 오피 앰프의 출력 전압에 의해 진동 주파수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진동 장치로 하여금 상기 진동 주파수신호에 따른 값으로 진동하게 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피 앰프의 출력 전압을 전압 제어 발진기의 전압 범위에 맞추어 주도록 하기 위해 전압 스케일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신호로 상기 진동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진동 주파수신호의 크기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0039569A 2001-07-03 2001-07-03 코일의 직류저항에 따른 진동 주파수 결정 장치 KR100735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569A KR100735238B1 (ko) 2001-07-03 2001-07-03 코일의 직류저항에 따른 진동 주파수 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569A KR100735238B1 (ko) 2001-07-03 2001-07-03 코일의 직류저항에 따른 진동 주파수 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967A KR20030002967A (ko) 2003-01-09
KR100735238B1 true KR100735238B1 (ko) 2007-07-03

Family

ID=2771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569A KR100735238B1 (ko) 2001-07-03 2001-07-03 코일의 직류저항에 따른 진동 주파수 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2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800B1 (ko) * 2004-11-30 2006-04-2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복수개의 가진기를 이용한 단일 가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5888A (ja) * 1991-02-08 1992-09-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振動発生装置
JPH09159569A (ja) * 1995-12-05 1997-06-20 Hitachi Ltd 加振装置
KR19980074506A (ko) * 1997-03-25 1998-11-05 이대원 초음파 진동 장치
JP2001343305A (ja) * 2000-06-02 2001-12-14 Akashi Corp 振動試験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5888A (ja) * 1991-02-08 1992-09-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振動発生装置
JPH09159569A (ja) * 1995-12-05 1997-06-20 Hitachi Ltd 加振装置
KR19980074506A (ko) * 1997-03-25 1998-11-05 이대원 초음파 진동 장치
JP2001343305A (ja) * 2000-06-02 2001-12-14 Akashi Corp 振動試験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967A (ko) 200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9935B1 (en) Electro-mechanical-acoustic transducing device
US5378933A (en) Circuit arrangement having a switching amplifier
US4056761A (en) Sonic transducer and drive circuit
US6220094B1 (en) Angular velocity sensor driving circuit
US20120321104A1 (en) Automatic gain control of amplifier by dynamic suppressing and output control at multiple stages
JP2002060041A (ja) 圧電振動式パーツフィーダの制御方法と装置
KR100735238B1 (ko) 코일의 직류저항에 따른 진동 주파수 결정 장치
US6686833B2 (en) Compound acoustic actuator drive circuit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4338593A (en) Rode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3141919A (en) System for generating rhythm tones
JP2000088581A (ja) 角速度センサ
JP2002292337A (ja) パーツフィーダの制御方法と装置
US3422225A (en) Low noise circuit arrangement for capacitive transducer
EP0921635A4 (en) POWER AMPLIFIER
JP2622840B2 (ja) ハウリング防止装置
JP2015074283A (ja) 車両用警報装置
US20240171908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peaker protection mechanism
KR100387075B1 (ko) 공진주파수 조절 진동장치
US5808542A (en) Alarm tone generating circuit for a radio paging receiver
KR100231830B1 (ko) 초음파 진동 장치
JP2003048614A (ja) パーツフィーダの制御方法
KR100224087B1 (ko) 음장회로
JPH0590857A (ja) 音響効果装置
KR100257545B1 (ko) 압전형 진동센서의 전하증폭기 구동용 자동 가변값 정전류원
JP3593408B2 (ja) デジタル受信信号の時間幅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