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237B1 -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반사 영역에서의 슬릿 전극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반사 영역에서의 슬릿 전극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237B1
KR100735237B1 KR1020050085650A KR20050085650A KR100735237B1 KR 100735237 B1 KR100735237 B1 KR 100735237B1 KR 1020050085650 A KR1020050085650 A KR 1020050085650A KR 20050085650 A KR20050085650 A KR 20050085650A KR 100735237 B1 KR100735237 B1 KR 100735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exposure
pattern
forming
sli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2095A (ko
Inventor
정연학
임동훈
Original Assignee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237B1/ko
Publication of KR2007003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개시된 슬릿 전극 형성 방법은,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기판 상에 반사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판 상에 굴절률이 N2이고, 노광원으로부터의 입사각이 θ2이며, 상기 엠보싱 패턴의 상면으로부터의 거리가 d인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상에 굴절률이 N1이고, 노광원으로부터의 입사각이 θ1인 ITO층을 증착한 후, 상기 ITO층을 슬릿 패턴을 갖는 노광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공정을 통하여 패터닝해서 다수의 슬릿을 갖는 슬릿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ITO층에 대한 노광 공정은 상기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해서 슬릿 패턴이 dㆍtanθ2만큼 더 크게 형성된 노광마스크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엠보싱 패턴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비대칭 노광에 의한 슬릿 전극의 불균일한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반사 영역에서의 슬릿 전극 형성방법{Method for forming slit electrode in reflective region of fringe field switching mode transflectiv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도 1은 엠보싱 패턴에 의하여 불균일한 슬릿 전극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서의 노광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마스크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광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공정의 결과로 얻어진 슬릿 전극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기판 111... 엠보싱 패턴
140... 보호층 150... 슬릿 전극
151... 슬릿 200... 노광마스크
210... 슬릿 패턴
본 발명은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사 영역에 균일한 형태의 슬릿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슬릿 전극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는 반사 영역과 투과 영역을 가지며, 외부로부터 입사된 빛이 상기 반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것에 의해, 그리고, 내부에 마련된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투과 영역을 통해 투과되는 것에 의해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에서, 반사 영역에 마련된 반사판 하단부에는 엠보싱 패턴이 형성되어 패널의 경사진 방향에서 비스듬히 입사되는 빛을 정면으로 반사시켜 정면에서의 콘트라스트 비를 증가시킨다.
그런데, 구동 모드로서 프린지 필드 스위칭(fringe field switching) 모드를 채택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반사 영역에서 반사판 상부에 증착되는 제2 ITO층을 패터닝하여 다수의 슬릿(slit)을 갖는 슬릿 전극, 즉, 슬릿형 화소전극을 형성함에 있어서, 엠보싱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대칭적인 노광이 이루어지지만,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비대칭적인 노광이 이루어져, 도 1과 같이 엠보싱 패턴(10)이 존재하는 부분에서의 슬릿(11)의 형태가 변형되어 전체적으로 불균일한 형태의 슬릿(11)을 갖는 슬릿 전극(12)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만일, 이와 같이 불균일한 형태의 슬릿(11)을 갖는 슬릿 전극(12)이 형성될 경우, 전극과 전극 사이의 필드 방향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여, 액정을 효율적으로 콘트롤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반사율 특성 저하나 전극의 단선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균일한 슬릿을 갖는 슬릿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개선된 슬릿 전극 형성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릿 전극 형성 방법은,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기판 상에 반사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판 상에 굴절률이 N2이고, 노광원으로부터의 입사각이 θ2이며, 엠보싱 패턴의 상면으로부터의 거리가 d인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상에 굴절률이 N1이고, 노광원으로부터의 입사각이 θ1인 제2 ITO층을 증착한 후, 상기 제2 ITO층을 슬릿 패턴을 갖는 노광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공정을 통하여 패터닝해서 다수의 슬릿을 갖는 슬릿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ITO층에 대한 노광 공정은 상기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해서 슬릿 패턴이 dㆍtanθ2만큼 더 크게 형성된 노광마스크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 대한 노광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마스크를 도시한 평면도.노광마스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광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공정의 결과로 얻어진 슬릿 전극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100)는 엠보싱 패턴(111)이 국부적으로 형성된 기판(110)과, 이 기판(110) 상에 형성된 카운터전극에 해당하는 플레이트형의 제1 ITO 전극(120)과, 상기 제1 ITO 전극(120) 상에 형성되어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130)과, 상기 반사판(130) 상에 형성된 보호층(140) 및 상기 보호층(140) 상에 형성된 화소전극에 해당하는 슬릿형의 제2 ITO 전극, 즉, 슬릿 전극(150)을 포함한다.
이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100)의 슬릿 전극(150)은, 도 3에 도시된 슬릿 패턴(210)이 형성된 노광마스크(200)를 이용한 노광 공정을 통해서 형성된다
여기서, 기판(110)에 형성된 엠보싱 패턴(111)에 의하여 슬릿 전극(150)용의 제2 ITO층에는 비대칭적인 노광이 일어난다. 즉, 도 2에서, 노광마스크(200)의 개구부, 다시말해, 슬릿 패턴에 대응하는 제2 ITO층 부분에서는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노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슬릿 전극에 형성된 슬릿의 형태에 변형이 발생한다.
도 2에서, 도면부호 A는 실제 노광되는 좌우 비대칭 노광 영역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B는 좌우 대칭인 노광을 위해 상기 A에 비해 더 넓게 노광되어야 할 영역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광학적 근접 보상(optically proximity correction; OPC)의 방법에 의하여 엠보싱 패턴(111)에 대응하는 노광마스크(200)에서의 슬릿 패턴(210) 부분을 형성하고자 하는 슬릿 전극(150)의 크기 보다 dㆍtanθ2만큼 더 크게 형성하고, 이러한 노광마스크(200)를 사용하여 노광 공정을 진행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노광마스크(200) 상에 형성되는 슬릿 패턴(210) 중 엠보싱 패턴(111)에 대응하는 부분의 크기를 dㆍtanθ2만큼 더 크게 형성한다.
여기서, d는 엠보싱 패턴(111)의 상면으로부터 보호층(140) 상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며, θ2는 보호층(140)으로의 입사각을 나타낸다.
한편, θ2는 스넬의법칙(Snell' law)에 따라 Sin-1(N1ㆍSinθ1 / N2)에 의하여 구할 수 있으며, 여기서, N1은 2nd ITO층(150)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θ1 은 2nd ITO층(150)에서의 입사각을 나타내며, N2는 보호층(140)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노광마스크(200)에서 엠보싱 패턴(111)이 형성된 부분의 슬릿 패턴(210) 부분을 평평한 곳, 즉, 엠보싱 패턴(111)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되는 슬릿 패턴(210) 보다 dㆍtanθ2만큼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빛이 투과되는 공간을 더 확대하여 노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엠보싱 패턴(111)에 의하여 발생하는 슬릿(151)의 불균일한 형성을 방지할 수 있고, 그래서, 균일한 형상을 슬릿(151)들을 갖는 슬릿 전극(1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노광마스크의 수정을 통해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서의 빛의 투과 범위를 더 넓혀줌으로써 엠보싱 패턴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비대칭 노광에 의한 불균일한 슬릿을 갖는 슬릿 전극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례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1)

  1.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기판 상에 반사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판 상에 굴절률이 N2이고, 노광원으로부터의 입사각이 θ2이며, 상기 엠보싱 패턴의 상면으로부터의 거리가 d인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상에 굴절률이 N1이고, 노광원으로부터의 입사각이 θ1인 ITO층을 증착한 후, 상기 ITO층을 슬릿 패턴을 갖는 노광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공정을 통하여 패터닝해서 다수의 슬릿을 갖는 슬릿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ITO층에 대한 노광 공정은 상기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해서 슬릿 패턴이 dㆍtanθ2만큼 더 크게 형성된 노광마스크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전극 형성 방법.
KR1020050085650A 2005-09-14 2005-09-14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반사 영역에서의 슬릿 전극 형성방법 KR100735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650A KR100735237B1 (ko) 2005-09-14 2005-09-14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반사 영역에서의 슬릿 전극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650A KR100735237B1 (ko) 2005-09-14 2005-09-14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반사 영역에서의 슬릿 전극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095A KR20070032095A (ko) 2007-03-21
KR100735237B1 true KR100735237B1 (ko) 2007-07-03

Family

ID=4163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650A KR100735237B1 (ko) 2005-09-14 2005-09-14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반사 영역에서의 슬릿 전극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2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545A (ko) * 2003-05-14 2004-11-20 오바야시세이꼬우 가부시끼가이샤 고품질 대화면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545A (ko) * 2003-05-14 2004-11-20 오바야시세이꼬우 가부시끼가이샤 고품질 대화면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9854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095A (ko) 200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4778B2 (en) Display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wetting display panel having the display substrate
JP2007212969A (ja) 反射板及び該反射板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8523437A (ja) 拡散反射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0491258B1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과 그 제조방법
JP2010032748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100770472B1 (ko) 액정표시소자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
US7176995B2 (en) Reflective plate of LCD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768271B1 (ko) 모아레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반사형 액정표시어셈블리에서의 조명방법, 이를 적용한 반사형 액정표시어셈블리, 이들에 적용된 광 공급 유닛, 이에 적용된 광분포 변경 유닛의 제조방법
JP3823961B2 (ja) 反射基板の製造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100735237B1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반사 영역에서의 슬릿 전극 형성방법
KR100827856B1 (ko) 반투과형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의어레이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1382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3084302A (ja) 液晶表示装置
KR100487783B1 (ko) 반사판을 가진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제조방법
US692485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nit
US20030179329A1 (en) Array substrate for a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20070072299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70705A (ko) 반사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135538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23140279A (ja) 反射板、表示装置及び反射板の製造方法
KR20030035860A (ko) 반사율 향상을 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6064925A (ja) 反射型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989166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1305532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反射型lcd表示装置、携帯機器
KR20030087930A (ko) 반사체와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