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171B1 - 히팅 유닛 - Google Patents

히팅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171B1
KR100735171B1 KR1020060018867A KR20060018867A KR100735171B1 KR 100735171 B1 KR100735171 B1 KR 100735171B1 KR 1020060018867 A KR1020060018867 A KR 1020060018867A KR 20060018867 A KR20060018867 A KR 20060018867A KR 100735171 B1 KR100735171 B1 KR 100735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reflective member
heating
radiant hea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조
손상범
박병욱
송성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8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7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mersion heating
    • H05B3/82Fixedly-mounted immersion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05B3/86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the heating conductors being embedded in the transparent or reflec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쿡탑의 히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을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가 구비되는 히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반사 부재에 의해서 반사되는 복사열이 발열체로 입사되는 것이 방지되며,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이 피가열체로 균일하게 입사되도록 하는 히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히팅 유닛은 피가열체를 복사 가열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에서 방사되는 복사열을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반사 부재에는 인벌류트(Involute)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반사 부재에 의해서 반사된 복사열이 상기 발열체로 입사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입사되는 복사열에 의한 발열체의 손상이 방지되며, 상기 발열체의 발열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발열체, 반사 부재, 인벌류트

Description

히팅 유닛{Heat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히팅 유닛이 구비된 쿡탑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히팅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히팅 유닛의 평면도.
도 5는 인벌류트 곡선의 작도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사 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사 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상부 플레이트 40 : 발열체
50 : 반사 부재 52 : 융기부
54 : 내측 오목부 56 : 외측 오목부
본 발명은 쿡탑의 히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을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가 구비되는 히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반사 부재에 의해서 반사되는 복사열이 발열체로 입사되는 것이 방지되며,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이 피가열체로 균일하게 입사되도록 하는 히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쿡탑은 유해가스나 그을음이 없고 산소결핍이나 일산화탄소의 배출이 없어 항상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요리할 수 있어 선진국형 환경친화적 제품일 뿐만 아니라, 열원의 신소재 사용으로 최고 화력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고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일정온도를 유지하므로 에너지 절약형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열에 강한 특수세라믹 강화 유리에 실크인쇄 처리를 하여 청소가 간편하고 씽크대 밀착형으로 설계되어 미관상으로도 수려하여 최근 빌트인 주방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상기 쿡탑은 외관을 형성하는 쿡탑 베이스와, 상기 쿡탑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어 고온의 복사열을 방사하는 발열체와, 상기 쿡탑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되어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세라믹 플레이트와, 상기 발열체에서 방사되는 복사열을 반사하여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로 입사되도록 하는 반사 부재가 포함된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쿡탑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발열체에 전원이 인가되어 복사열이 방사되면, 방사된 복사열의 일부는 직접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로 입사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반사 부재에 의해서 반사되어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로 입사된다. 그러면,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로 입사된 복사열에 의해서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에 놓여지는 용기가 가열되고, 음식물이 조리된다.
그런데, 종래의 쿡탑에 의하면, 상기 발열체에서 방사된 복사열이 상기 반사 부재에 의해서 상기 발열체로 입사하게 되어 상기 발열체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발열체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사열이 상기 발열체로 입사됨에 따라 상기 발열체의 유효 복사량이 감소하고, 상기 발열체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반사부재에 의해서 반사되는 복사열이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로 균일하게 입사되지 못하게 되어 조리물의 균일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효율적인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반사 부재의 형상을 개선하여, 반사된 복사열이 발열체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발열체의 손상이 방지되는 히팅 유닛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열체에서 방사되는 복사열이 피가열체로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히팅 유닛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히팅 유닛은 피가열체를 복사 가열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에서 방사되는 복사열을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반사 부재에는 인벌류트(Involute)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히팅 유닛은 피가열체를 복사 가열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에서 방사되는 복사열을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반 사 부재는 상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높이가 상기 발열체보다 높게 형성되는 융기부와, 상기 융기부의 외측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반사 부재에 인벌류트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반사 부재에 의해서 반사된 복사열이 상기 발열체로 입사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로 복사열이 입사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발열체의 유효 복사량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입사되는 복사열에 의한 발열체의 손상이 방지되며, 상기 발열체의 발열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부재에 인벌류트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반사 부재가 컴팩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부재의 중앙부에 융기부가 상기 발열체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복사열 간에 상호 간섭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복사열이 피가열체로 균일하게 입사함으로써, 피가열체의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조리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히팅 유닛이 구비된 쿡탑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히팅 유닛이 구비된 쿡탑(1)은 쿡탑 베이스(2)와, 상기 쿡탑 베이스(2)의 상측에 놓이는 상부 플레이트(30)와, 상기 쿡탑(1)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쿡탑 베이스(2)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히팅 유닛(후술함)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에 피조리물이 수용된 조리용기가 올려지고, 상기 히팅 유닛이 작동하면, 상기 피조리물이 조리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히팅 유닛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히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히팅 유닛(10)은 케이싱(20)과, 상기 케이싱(20) 내부에 구비되며, 복사열을 방사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30)에 놓이는 조리용기를 가열시키는 발열체(40)와, 상기 발열체(40)에서 방사된 복사열을 상기 상부 플레이트(30)로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50)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싱(20)은 내부가 소정 깊이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복사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열체(40)는 원형 또는 "Ω" 형상으로 형성되며, 주로 할로겐 히터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 부재(50)는 상기 발열체(4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체(40)에서 방사되는 복사열을 반사시키며, 상기 발열체(40)가 관통되는 관통홀(5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상기 히팅 유닛(1)의 작용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사 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발열체(40)로 전원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발열체(40)는 복사열을 방사하게 되고, 상기 방사된 복사열은 직접 상기 상부 플레이트(30)로 입사되거나 상기 반사 부재(50)에 의해서 반사된 후 상기 상부 플레이트(30)로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30)로 입사된 복사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의 상측에 놓이는 조리용기가 가열되어 음식물이 조리된다.
도 3은 도 2의 I-I'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 유닛의 평면도이며, 도 5는 인벌류트 곡선의 작도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버너(10)는 내부에 복사열을 방사하는 발열체(40)가 구비되며, 상기 발열체(40)는 지지부(60)에 의해 상기 반사 부재(5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 부재(50)는 중심부에 소정 높이로 융기되는 융기부(52)와, 상기 융기부(52)에서 연장 성형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목부(54)(56)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융기부(52)는 입사되는 복사열을 상기 상부 플레이트(30)의 중심부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융기부(52)의 높이는 상기 발열체(40)에서 발생된 복사열의 상호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체(40)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융기부(52)의 높이와 상기 발열체(40)의 중심 간의 수직 간격을 H라 할 때, H 〉0 을 만족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H는 상기 발열체(40)의 반경보 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반사 부재에 융기부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열체의 일측에서 수평으로 방사된 복사열이 상기 발열체의 타측으로 입사되게 되어 상기 발열체가 손상을 입게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복사열이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반사 부재(50)의 중앙부에 융기부(52)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융기부(52)의 높이가 상기 발열체(4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열체(40)에서 방사된 복사열 간의 상호 간섭이 방지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30)의 중심부로 복사열이 균일하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융기부(52)는 상면이 직선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측면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로 균일하게 복사열이 입사될 수 있도록 선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융기부(52)의 상면은 상측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52)의 수평 단면 또한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오목부(54)(56)는 반사되는 복사열이 상기 발열체(40)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복사열이 일회(一回) 반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인볼류트(Involute)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히, 인벌류트 곡선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원에 감긴 실의 끝점의 궤적을 따라 만들어지는 형상으로서, 먼저 원주를 동일한 크기로 나누어 각각 P1, P2, P3,…,Pn으로 표시한 후, 각 점에서 접선을 길이가 각각 P0P1. P0P2, P0P3,…,P0Pn가 되도록 그린다.
그리고, 각 접선의 끝점을 R1, R2, R3,…,Rn 으로 표시한 후 상기 끝점을 실의 끝점 궤적을 따라 서로 연결하면, 인벌류트 곡선이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54)(56)는 곡선이 아닌, 직선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점선과 같이 인벌류트 곡선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R1, R2, R3 등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상기 오목부(54)(56)는 인벌류트 곡선에 근사한 직선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의 직경은 상기 반사 부재(50)에 의해서 반사된 복사열이 상기 발열체(40)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체(40) 직경의 대략 두 배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플레이트(30)와 발열체(40) 중심간의 거리는 대략 상기 원의 반경 또는 발열체의 직경과 같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54)(56)를 이루는 인벌류트 곡선의 반경은 상기 발열체(40)의 직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54)(56)가 인벌류트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케이싱(20)의 내부에서 상기 반사 부재(50)가 컴팩트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융기부(52)에서 연장 성형되는 내측 오목부(54)와, 상기 내측 오목부(54)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 오목부(54)와 대칭을 이루는 외측 오목부(56)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오목부는 각 오목부 간의 접점(55)을 기준으로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오목부(54)와,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오목부(56)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오목부(54)와 외측 오목부(56)의 접점(55)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폐곡선을 이루며, 상측에서 바라볼 때 원형을 이룬다.
또한, 상기 내측 오목부(54)와 외측 오목부(56)의 접점(55)은 상기 발열체(40)의 중심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선(L1)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수직선(L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두 개의 오목부(54)(56)의 접점(55)과 상기 발열체(40) 중심의 연결선(L2)은 상기 발열체(40)의 중심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선(L1)으로부터 외측으로 대략 0~40도 정도로 회전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선(L2)이 상기 수직선(L1)의 내측에 위치하거나, 상기 수직선(L1)으로부터 외측으로 대략 40도 이상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반사 부재(50)에 의해서 반사되는 복사열이 상기 발열체(40)로 입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오목부(54)(56)는 인벌류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직선(L1)으로부터 대략 0~40도 사이에서 발열체(50)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히팅 유닛(1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발열체(40)로 전원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발열체(40)는 복사열을 방사하게 된다. 그리고, 방사된 복사열의 일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0)로 직접 입사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반사 부재(50)에 의해서 반사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로 입사된다.
상세히, 상기 외측 오목부(56)에 입사되는 복사열은 상기 발열체(40)를 기준 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상부 플레이트(30)로 반사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오목부 (54) 및 상기 융기부(50)로 입사되는 복사열은 상기 발열체(40)를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되는 상부 플레이트(30)로 반사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 부재(50)의 오목부(54)(56)가 인벌류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반사 부재(50)에 의해서 반사된 복사열이 상기 발열체(40)로 입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체(40)로 복사열이 입사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발열체(40)의 손상이 방지되고, 상기 발열체(40)의 발열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오목부(54)(56)가 인벌류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 부재(50)의 중앙부에 융기부(52)가 상기 발열체(40)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플레이트(30)로 복사열이 균일하게 입사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복사열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로 균일하게 입사함으로써, 조리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사 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원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각 오목부의 크기에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반사 부재를 설명함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원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 부재(70)는 중앙부에 발열체(4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융기부(72)와, 상기 융기부(72)에서 연장 성형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목부(74)(76)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오목부(74)(76)는 상기 융기부(72)와 연결되는 내측 오목부(74)와, 상기 내측 오목부(74)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 오목부(74)를 이루는 인볼류트 곡선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외측 오목부(76)가 포함된다.
즉, 상기 내측 오목부(74)를 원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가상의 원(점선A)를 이용하여 인벌류트 형상을 먼저 완성한 후에, 상기 외측 오목부(76)를 상기 내측 오목부(74)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원(점선A)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원(점선B)을 이용하여 인벌류트 형상이 완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측 오목부(76)를 이루는 인벌류트 곡선의 반경이 상기 내측 오목부(74)를 이루는 인벌류트 곡선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반사 부재(70)가 보다 컴팩트해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사 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원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오목부의 형상에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반사 부재를 설명함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원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 부재(80)는 중앙부에 발열체(40) 보다 높게 형성되는 융기부(82)와, 상기 융기부(82)에서 연장 성형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목부(84)(86)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오목부(84)(86)는 인볼류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 오목부(86)와, 상기 외측 오목부(86)의 내측에서 인볼류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저점(85)에서 상기 융기부(82)와 직선 연결되는 내측 오목부(84)가 포함된다.
즉, 상기 내측 오목부(84)는 저점(85)까지는 상기 외측 오목부(86)와 동일한 크기로 인볼류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저점(85)에서부터는 인볼류트 형상이 아닌 상기 융기부(82)와 직선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측 오목부(84)의 저점(85)의 접선과, 상기 저점(85)과 상기 융기부(82)를 연결시키는 직선부(83)가 이루는 각은 대략 10도 내외가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측 오목부(84)의 저점(85)에서부터 상기 융기부(82)가 직선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상부 플레이트(30)로 복사열이 균일하게 입사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의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게 되고, 조리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즉, 상기 복사열의 반사각은, 상기 반사 부재(50)의 직선부(83)의 법선과 입사되는 복사열의 진행 방향이 이루는 입사각과 그 크기가 같으므로, 상기 직선부(83)에 의해서 상기 복사열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로 균일하게 입사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 부재에 인벌류트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반사 부재에 의해서 반사된 복사열이 상기 발열체로 입사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 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로 복사열이 입사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발열체의 유효 복사량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입사되는 복사열에 의한 발열체의 손상이 방지되며, 상기 발열체의 발열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부재에 인벌류트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반사 부재가 컴팩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부재의 중앙부에 융기부가 상기 발열체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복사열 간의 상호 간섭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복사열이 피가열체로 균일하게 입사함으로써, 피가열체의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조리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피가열체를 복사 가열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에서 방사되는 복사열을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반사 부재에는 인벌류트(Involute)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의 중앙부에는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융기부의 높이는 상기 발열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상면이 직선 또는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의 중앙부에는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오목부는 상기 발열체를 기준으로 외측 오목부와 내측 오목부가 포함되며, 상기 내측 오목부의 저점과 상기 융기부는 직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오목부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오목부는 상기 발열체를 기준으로 내측 오목부와 외측 오목부가 포함되며, 상기 오목부 간의 접점은 상기 발열체 중심의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오목부는 상기 발열체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오목부는 인벌류트 곡선을 이루는 반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간의 접점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폐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유닛.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벌류트 형상은 직선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유닛.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발열체 중심 간의 수직 거리는 상기 발열체의 직경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유닛.
  12. 피가열체를 복사 가열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에서 방사되는 복사열을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반사 부재는 상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높이가 상기 발열체보다 높게 형성되는 융기부와, 상기 융기부의 외측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인볼류트(Involute)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유닛.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의 측면은 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유닛.
KR1020060018867A 2006-02-27 2006-02-27 히팅 유닛 KR100735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867A KR100735171B1 (ko) 2006-02-27 2006-02-27 히팅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867A KR100735171B1 (ko) 2006-02-27 2006-02-27 히팅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171B1 true KR100735171B1 (ko) 2007-07-03

Family

ID=3850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867A KR100735171B1 (ko) 2006-02-27 2006-02-27 히팅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1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314A (ko) * 2003-11-01 2005-05-09 주식회사 농산이십이세기 집열각도 변위기능을 갖는 태양열 집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314A (ko) * 2003-11-01 2005-05-09 주식회사 농산이십이세기 집열각도 변위기능을 갖는 태양열 집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604473A (en) Electric cooking stove
KR100735172B1 (ko) 히팅 유닛
KR100588152B1 (ko) 조리장치
KR100735171B1 (ko) 히팅 유닛
US7956309B2 (en) Cooking apparatus
KR100947999B1 (ko) 무산소 광 발열 고효율 전기렌지
GB2161348A (en) Radiation heater reflector
JP3680344B2 (ja) 電熱加熱装置
CN206641755U (zh) 电磁加热隔热装置
CN220648390U (zh) 一种取暖器
JP3004311U (ja) ガスコンロ用反射板
CN219613636U (zh) 一种盖体及烹饪器具
CN204665451U (zh) 一种发热装置及电暖器
JPS6136625A (ja) 輻射ヒ−タの反射器
CN219624116U (zh) 烹饪装置和烹饪器具
CN202277211U (zh) 均匀加热的电热烹饪器具
JPH04324277A (ja) 赤外線輻射ヒータ
CN220750195U (zh) 一种电磁烹饪器具
KR100556803B1 (ko) 가정용 전기 쿡탑
CN214548821U (zh) 一种光波管组件及烹饪装置
CN212574725U (zh) 一种烘烤装置
CN206929812U (zh) 电磁炉
CN217470318U (zh) 加热组件以及烹饪设备
CN218791828U (zh) 上盖组件及烹饪器具
CN111396937B (zh) 一种电磁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