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206B1 - 이동식비계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비계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206B1
KR100734206B1 KR1020050040514A KR20050040514A KR100734206B1 KR 100734206 B1 KR100734206 B1 KR 100734206B1 KR 1020050040514 A KR1020050040514 A KR 1020050040514A KR 20050040514 A KR20050040514 A KR 20050040514A KR 100734206 B1 KR100734206 B1 KR 100734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scaffold
moving device
jack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065A (ko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에이앤텍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앤텍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앤텍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206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패드 방법이 아닌 구름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거의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비계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된 교각의 좌우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좌,우측 비계보를 이동시키는 이동식비계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각의 좌우측부에 각각 한조씩 장착/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각브라켓과; 상기 교각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는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좌, 우 작업대와; 상기 좌, 우 작업대상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 비계의 하면에 각각 구름 접촉되도록 하면서 이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름수단과; 상기 작업대 영역중 상기 구름수단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좌,우측 비계보의 일측에 장착/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잭과; 일측은 상기 구름수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잭에 연결되어 상기 잭을 상기 구름수단에 접근하도록 견인함으로써 상기 좌,우측 비계보가 상기 구름수단위를 이동되도록 하는 견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각, 구름, 로울러, 비계보, 이송

Description

이동식비계 이동장치{A scaffold mov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일예 이동식비계를 비계보의 단면측에서 본 측면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일예 이동식비계의 구성중 이동장치의 일측면도.
도 3은 종래의 이동장치의 일측면도.
도 4는 종래의 이동장치의 평면구성도.
도 5,6,7은 종래의 일예 이동식비계장치의 경간이동상태 개요도.
도 8은 본 발명을 샘플로 제작하여 실제 교량에 적용하기 전에 일예로 테스트용 교각에 시공하여 본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교각
110 : 교각브라켓
200,300 : 좌,우측 비계보
500,600 : 좌, 우 작업대
900 : 구름수단
910 : 베이스
911 : 힌지축
920 : 로울러
930 : 로울러 장착부재
940 : 구동수단
950 : 잭
980 : 견인수단
990 : 감속수단
991 : 연결부재
992 : 쐐기부재
992a : 쐐기부
993 : 마찰부재
993a : 마찰부
993b : 쐐기공
본 발명은 이동식비계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패드 방법이 아닌 구름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거의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비계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비계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이란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위한 거푸집을 싣고 상기 상부 구조물을 한 경간씩 시공해 나가는 방법으로, 교량 공사시에 비계의 설치 및 해체와 이동에 따른 작업공수와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공법은 독일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1959년 독일에서 처음 개발되어 독일의 KETTIGER HANG교에 처음 시공된 후 1970년대 초반부터는 선진 각국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본 공법의 국내 첫도입은 1983년 1월 노량대교 건설시 적용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국내에 도입되어 사용되던 이동식비계공법을 수행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예의 이동식비계의 주요 기술적 구성은 도 1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이동식비계는, 경간 길이보다 약간 길고 하단면 내외측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레일(GR)을 갖는 전후방 두개의 박스보(GBx)와 이 박스보(GBx)들의 좌우단부에 각각 일체로 부착되어 보의 전체길이를 경간길이의 두배보다 크게 형성하는 트러스보(Ta)들로 구성된 전후방 비계보들과, 상기 전후방 비계보들을 교각(Pa)(Pb)(Pc)들의 상단 양측에 지지하는 세 쌍의 교각브라켓(BXa, BXb, BXc)들과, 이들 교각브라켓들 위에서 이동장치에 적재되어 상기 박스보(GBx)들을 지지하는 각개의 교각브라켓당 4개씩의 메인 유압잭(MJ)들과, 상기 전후방 두개의 박스보(GBx)들 간에 상단에서 가로 놓여져 전후방 박스보(GBx)들을 연결지지함과 동시에 그위에 설치되는 내, 외부 거푸집(F)들을 받쳐 지지하는 수십개(약 52개)의 가로보(CBx)들과, 상기 내외부 거푸집(F)들을 전후방 박스보(GBx)들의 상단에서 좌우횡방 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십개(약 44조)의 횡이동을 유압실린더들로 구성된 주요 구성부재들과, 상기 전후방 두개의 박스보(GBx)들 및 트러스보(Ta)들의 하단면 내외측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부착된 슬라이딩레일(GR)들이 활접하는 슬라이딩패드(SP)를 갖고 상기 메인 유압잭(MJ)들에 지지되어 박스보(GBx)들을 받쳐주는 종행용 상부받침대(SB)들과, 비계보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측의 박스보(GBx)의 일측편에 장치되는 로프견인장비(V)와, 일측 끝단은 이동시킬 다음 교각(Pc)의 교각브라켓(BXc) 위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받침대(SBa)의 중간부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로프견인 장비(V)에 권회되는 견인로프(K)등의 설비를 구성한 비계보 종행이동장치와, 상기 각각의 교각브라켓(BXa, BXb, BXc)의 상면가장자리에 2열 횡열로 설치된 슬라이딩레일(BR)과, 이 슬라이딩레일(BR)들 위에서 좌우 횡방향으로 이동자재케 설치되어 상기 수개의 메인 유압잭(MJ)들을 고정설치한 하부받침대(SA)와, 살린더고정단은 상기 교각브라켓(BXa, BXb, BXc)의 내측단 양측에 각각 지지되고 작동로드(Ua)는 상기 하부받침대(SA)의 외측단 양측에 각각 지지되어, 박스보(GBx)가 콘크리트 타설위치와 경간 이동위치로 정열되게 하부받침대(SA)들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U)등의 설비로 구성된 비계보 횡행이동장치를 구비하는 기술적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구성을 갖는 일예의 이동식비계에서 비계보 및 내외부 거푸집(F)들을 교량상판 콘크리트 타설상태로 횡방향이동시키고, 타설 후 다음경간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경간이동위치로의 횡방향이동작동은, 상기 비계보 횡행이동장치 및 전후방 박스보(GBx)들의 상단에서 내외부 거푸집(F)들을 지지하고 있는 수십개(약 44조)의 횡이동용 유압실린더들로 수행된다.
즉, 교량상판을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사경간의 두 교각(Pa)(Pb) 사이에 설치된 좌우 두쌍의 교각브라켓(BXa, BXb, BXc)위의 전후방 박스보(GBx)들을 비계보 횡행이동장치를 작동시켜 타설위치로 정열한다.
이 작동은, 각각의 교각브라켓(BXa, BXb, BXc)들의 내측단에 실린더고정단이 지지되어 있는 각각의 유압실린더(U)를 동시에 연동제어작동시켜 각개의 작동로드(Ua)들이 외측단에 지지된 하부받침대(SA)들을 교각브라켓(BXa, BXb, BXc)들의 슬라이딩레일(BR) 위에서 교각(Pa)(Pb) 좌우측으로 인접되게 당겨서 횡방향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수행한다.
이어서 두 교각(Pa)(Pb)의 양측에 인접되게 횡방향이동된 전후방 박스보(GBx)들의 상단에서 수십개의 횡이동용 유압실린더들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좌우 분리형 내외부 거푸집(F)들을 상기 홍이동용 유압실린더들을 연동제어하여 중앙측으로 이동시킨후, 좌우 내외부 거푸집(F)들을 핀으로 연결하고 전후방 박스보(GBx)들의 상단에 수십개(약 52개)의 가로보(CBx)들을 설치하여 수십개의 스크류잭으로 외부 거푸집(F)들 받치면서 타설높이를 조절한 후, 내부 거푸집을 설치하여 교량상판(Bg)의 콘크리트 타설공사를 수행한다.
상기 타설위치에서 일 경간에서의 교량상판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어 이동식비계를 다음 경간으로 종방향이동시키기 위하여 비계보와 외부 거푸집(F)들을 교각브라켓(BXa, BXb)들의 외측방 경간이동위치로 횡방향이동시키는 작동은 상기 행정의 반대로 실시된다.
즉, 먼저 전후방으로 결합된 외부 거푸집(F)들 전체를 스크류잭을 내려 양생된 교량상판(Bg)의 하단에서 탈형시킨 후, 외부 거푸집(F)들의 중앙연결핀을 풀어 좌우로 분리한 상태에서 수십개(약 44조)의 횡이동용 유압실린더들을 외측으로 작동시켜 가로보(CBx)들 및 외부 거푸집(F)들을 전후방 박스보(GBx)들의 상단 중앙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각각의 두 교각(Pa)(Pb)의 좌우측에 인접한 타설위치의 전후방 박스보(GBx)들을 각개의 교각브라켓(BXa, BXb)들에 설치된 유압실린더(U)들을 타설위치로의 이동시와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연동 동기제어작동시켜서, 각개의 하부받침대(SA)들을 교각브라켓(BXa)(BXb)들의 슬라이딩레일(BR) 위에서 두 교각(Pa)(Pb) 외측방의 지정된 위치의 경간이동위치로 횡방향 슬라이딩이동시킨다.
이러한 작동으로 교각브라켓(BXa)(BXb)의 외측방 경간이동위치에 이동정열된 이동식비계 전체를 다음 경간으로 종방향이동시키는 경간이동작동은, 이동시킬 다음 교각(Pc)의 전후 교각브라켓(BXc)측에 각각 상기 종, 횡행이동장치에 의한 받침장치들을 미리 설치한 후에 상기 종행이동장치로 수행된다.
즉, 전후방 비계보들을 도 5와 같이, 이동시킬 다음 교각(Pc)의 전후 교각브라켓(BXc)측에 각각 미리 설치된 종행용 상부받침대(SBa)의 중간부에 견인로프(K)의 일 끝단을 고정연결하고, 이 견인로프(K)의 타측 끝단은 이동시킬 박스보(GBx)의 일측편에 장치되는 로프견인장비(V)에 감겨지게 설치한 후, 도 6과 같이, 전후방 비계보들에서 동시에 각각의 로프견인장비(V)를 작동시켜 견인로프(K)를 감아 당겨서 로프견인장비(V)가 고정설치된 전후방 박스보(GBx)들의 선단부에 설치된 트 러스보(Ta)들이 다음 교각(Pc)의 전후 교각브라켓(BXc)의 종행용 상부받침대(SBa)위로 얹혀져 슬라이딩되게 종방향이동시켜서, 도 7과 같이 전후방 박스보(GBx)들을 이전 경간의 우측 교각(Pb)과 다음 교각(Pc)간에서 각각의 교각브라켓(BXb)(BXc)의 종행용 상부받침대(SB)(SBa)위에 정열시켜서 경간이동을 완료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종래의 이동식비계에서 비계보를 받쳐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비계보이동, 받침장치들의 구성인 횡행이동장치와 종행이동장치들이 각각 면과 면이 활동하는 슬라이딩방식이면서, 교량상판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비계보이동장치 전체가 각각에 구비된 4개씩의 메인유압잭(MJ)들과 함께, 박스보(GBx), 트러스보(Ta), 수십개의 가로보(CBx)들 및 수십개의 횡이동용 유압실린더, 내ㅇ외거푸집(F)의 이동식비계의 전체하중은 물론, 타설되는 600t 내외의 교량상판(Bg)의 높은 하중을 양생하는 기간까지 전체적으로 교각브라켓에 전달하는 버팀재로서 작용되는 구성인바,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고강도의 버팀재로서 작용하고 이동시에는 고하주의 이동식비계를 원활히 이동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교각브라켓상면의 슬라이딩레일(GR)과 하부받침대(SA) 하면 및 상부받침대(SB) 상면의 슬라이딩패드(SP)와 비계보의 슬라이딩레일(GR)들의 구성과 같이 여러개의 슬라이딩요소를 구비하여야 하면서, 이들 슬라이딩요소들은 상당히 넓은 면적을 마찰계수가 낮은 고윤활성의 평면으로 형성시켜야 하므로 구조물이 복잡하고 거대해지며 가공 난이도가 높고 가공공수와 정밀도가 높아지며, 박스보(GBx)를 받쳐 지지하면서 콘크리트 타설높이를 조정하는 수단인 메인 유압잭(MJ)의 구성은 한 교각당 고용량의 8개가 소요되어 경간이동시에는 총 24개의 많은 수량이 설치되어 자체중량을 높이며, 전후방 박스보(GBx)들의 상단에는 각각의 전후방 외부 거푸집(F)들을 횡방향이동시키는 별도의 이동장치로서 수십개(약 44조)의 횡이동용 유압실린더들이 사용되므로, 이로 인한 설치단가와 이들을 동시에 연동제어시키는 유압회로설치에 따른 시공상의 애로점과 경제적부담이 추가로 요구되며, 횡방향이동 구동원인 유압실린더(U)의 구성은, 하부받침대(SA)의 횡방향이동시에 이동식비계 전체의 높은 하중을 받는 하부받침대(SA)를 슬라이딩 이동작동시킬 높은 구동력을 얻기 위하여 대용량, 고중량이면서 한대의 하부받침대(SA) 당 2개씩 설치되어 총 12개가 소요되므로, 이들에 의한 자체중량이 높아짐은 물론 이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회로의 설비 및 제어회로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며, 제어작동도 용이치 않고 전체적으로 제작단가가 상당히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비계보를 경간이동시키는 종행이동장치와 방법은, 이동할 다음 교각(Pc)의 전후 교각브라켓(BXc)측에 각각 미리 설치된 종행용 상부받침대(SBa)의 중간부에 견인로프(K)의 일 끝단을 고정연결한 상태에서, 비계보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측의 박스보(GBx)의 일측편에 장치되는 로프견인장비(V)를 작동시켜 견인로프(K)를 감아주므로서, 로프견인장비(V)가 고정설치된 박스보(GBx)를 다음 교각(Pc)의 전후 교각브라켓(BXc)의 종행용 상부받침대(SBa)위로 당겨서 슬라이딩 종방향이동시키는 구성인바, 고중량의 비계보를 다음 교각측으로 당겨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상당한 모우멘트가 다음 교각(Pc)의 전후 교각브라켓(BXc)측에 각각 미리 설치된 종행용 상부받침대(SBa)에 측방향으로 집중 작용되어, 전후 교각브라켓(BXc)들과 종행용 상부받침대(SBa)들간의 고정이 견고하여야 되고 전후 교각브라켓(BXc)들 도 다음 교각(Pc)에 견고히 고정시켜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이들 견인장비들은 경간이동시마다 견인로프(K)의 일측 끝단을 다음 교각측으로 매번 옮겨 가면서 고정연결하여야 하고, 종방향으로의 비계보 이동속도가 견인로프(K)를 감아주는 로프견인장비(V)의 회전속도 조정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형성되므로서 이동속도가 불규칙하고 불안정하여 전후방 비계보를 동시에 종방향이동시키는 연동제어가 매우 까다로우며, 전체적으로 이동수행시간이 느리고 작업공수가 많아지는 등의 폐단이 있어서 비계를 해체하지 않고 경간이동시켜 다음 경간에서 재조립에 따른 작업공수와 인건비를 절약하고 신속성과 경제성을 얻고져 하는 이동식비계공법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슬라이딩 패드 방법이 아닌 구름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거의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비계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된 교각의 좌우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좌,우측 비계보를 이동시키는 이동식비계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각의 좌우측부에 각각 한조씩 장착/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각브라켓과; 상기 교각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는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좌, 우 작업대와; 상기 좌, 우 작업대상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 비계의 하 면에 각각 구름 접촉되도록 하면서 이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름수단과; 상기 작업대 영역중 상기 구름수단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좌,우측 비계보의 일측에 장착/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잭과; 일측은 상기 구름수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잭에 연결되어 상기 잭을 상기 구름수단에 접근하도록 견인함으로써 상기 좌,우측 비계보가 상기 구름수단위를 이동되도록 하는 견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비계 이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을 샘플로 제작하여 실제 교량에 적용하기 전에 일예로 테스트용 교각에 시공하여 본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는 실제 교각이 아닌 테스트용 교각(100)의 좌우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좌,우측 비계보(200)(300)를 이동시키는 이동식비계 이동장치(1000)에 적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장치(10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브라켓(110)과, 좌,우 작업대(500,600)와, 구름수단(600)과, 잭(950)과, 견인수단(9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교각브라켓(110)은 상기 교각들(100) 각각의 좌우측부에 각각 한조씩 장착/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교각브라켓(110)을 교각에 장착/분리하는 기술 구성은 통상적인 기술 수준이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좌, 우 작업대(500)(600)는, 상기 교각브라켓(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름수단(900)은, 상기 좌,우 작업대(500)(600)상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 비계보(200)(300)의 하면에 각각 구름 접촉되도록 하면서 이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름수단(9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 우 작업대(500)(600)상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베이스(910)와, 적어도 두개 이상의 로울러(920)와, 상기 베이스(910)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로울러(9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울러 장착부재(9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울러 장착부재(930)는 상기 베이스(910)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게 설치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안내부재(950)의 상단부에 힌지축(911)을 매개로 시소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로울러 장착부재(930)를 시소 운동시키는 구동수단(94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940)은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가 사용된다.
한편, 상기 잭(950)은, 상기 좌, 우 작업대(500)(600) 영역중 상기 구름수단(900)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좌,우측 비계보(200)(300)의 일측에 장착/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잭(950)이 좌,우측 비계보(200)(300)에 장착/분리하는 기술은 통상적인 기술이어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견인수단(980)은, 그 일측은 상기 구름수단(900)을 구성하는 로울러 장착부재(93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잭(950)에 연결되어 상기 잭(950)을 상기 구름수단(900)에 접근하도록 견인함으로써 상기 좌,우측 비계보(200)(300)가 상기 구름수단(900)위를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견인수단(980)은, 유압 또는 공기압을 이용한 실린더를 사용한다.
한편, 상기 견인수단(980)에 의해 상기 잭(950)과 함께 이동하는 좌,우측 비계보(200)(300)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99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감속수단(990)은,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수단(980)에 연결부재(991)를 매개로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끝단부에 쐐기부(992a)가 형성된 쐐기부재(992)와; 상기 중공 안내부재(950)에 하단 좌우 방향으로 쐐기부(992a)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쐐기공(951)과; 상기 중공 안내부재(950)내에서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에 좌,우측 비계보(200)(300)의 하면과 마찰되는 마찰부(993a)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 안내부재(950)의 쐐기공(951)을 통과한 쐐기부(992a)가 삽입되는 쐐기공(993b)이 형성되는 마찰부재(99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쐐기부(992a)가 쐐기공(951)을 먼저 통과하여 2차로 쐐기공(993b)으로의 삽입된 후, 쐐기공(993b)로의 삽입 깊이에 따라 상기 마찰부재(993)의 승하강 높이가 달라져 상기 마찰부(993a)가 좌,우측 비계보(200)(300)에 마찰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즉, 쐐기부(992a)가 쐐기공(993b)로 점차적으로 더 깊이 삽입되어 중공 안내 부재(950)를 관통하여 돌출되면 쐐기부(992a)의 테이퍼진 경사 각도에 의해 마찰부재(993)는 상승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쐐기부(992a)는 끝단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으로 테이퍼진 각도를 가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쐐기공(951)은 중공 안내부재(950)의 좌우측에 개구 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쐐기공(951)의 좌측은 쐐기부(992a)의 끝단 반대편에 해당되는 둘레와 거의 동일한 정도로 개구되어 있고, 쐐기공(951)의 우측은 쐐기부(992a)의 끝단의 둘레와 거의 동일한 정도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쐐기공(993b)은 마찰부재(993)의 좌우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데, 좌측이 크게 개구되고, 우측이 작게 개구되는 정도로 대략 원추형상의 구멍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쐐기공(993b)은 전술한 쐐기공(95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데, 그 이유는 쇄기부(992a)가 삽입되었을때 중공 안내부재(950)내에서 마찰부재(993)이 상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서적으로 일정 간격(40m)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테스트용 교각(100)의 좌우측부에 각각 교각브라켓(110)위에 설치된 구름수단(900)을 매개로 좌,우 비계보(200)(300)가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탑재된 상태이다.
즉, 좌, 우 비계보(200)(300)의 하면에 구름수단(900)을 구성하는 로울러(920)에 구름 접촉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작업자는 교각브라켓(110)의 상부에 설치된 좌,우 작업대(500)(600)에서 잭(950)이 좌,우 비계보(200)(3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도시한 잭(950)이 좌,우 비계보(200)(30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견인수단(980)을 구성하는 실린더는 견인전의 상태, 즉 실린더의 로드가 일정 길이 인출되어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의 로드는 별도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다.
그리고, 상기 좌,우 비계보(200)(300)의 상부측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상판을 형성하기 위한 교량상판용 거푸집(4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상판용 거푸집(4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소정 시간 경과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을 완료한 다음, 거푸집을 해체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견인수단(980)을 작동시키면, 견인수단(980)을 구성하는 실린더의 로드가 실린더 몸체 내로 인입되면서 점선으로 도시된 잭(950)이 서서히 구름수단(900)에 근접되도록 견인시킨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으로 도시된 잭(950)의 위치로 오게 된다.
이렇게 되면, 좌,우 비계보(200)(300)는 견인수단(980)의 견인력에 의해 구 름수단(900)을 구성하는 로울러(920)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교각브라켓(110)의 이웃한 다른 교각브라켓(110)측을 향해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견인수단(980)에는 좌,우 비계보(200)(300)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수단(990)이 구비되어 있는데, 견인수단(980)의 견인 작용을 할때에는 감속수단(990)도 함께 작동한다.
그 이유는 상기 감속수단(990)이 작동하지 않게 되면, 단순히 견인수단(980)에 의해 견인되는 좌,우 비계보(200)(300)는 로울러(920)의 원활한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견인수단(980)의 견인 완료 시점과 동시에 정지되어야 하는데, 관성력에 의해 정지하지 않으려 하여 이를 정지시키고자 함에 있다.
상기 감속수단(990)을 구성하는 쐐기부재(992)는 연결부재(991)에 의해 견인수단(98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견인수단(980)이 작동하게 되면, 쐐기부재(992)의 쐐기부(992a)는 중공 안내부재(950)내에 형성된 쐐기공(951a)내에 인입된 후, 중공 안내부재(950)내에서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마찰부재(993)에 형성된 쐐기공(993b)에 삽입되며, 이 쐐기부(992a)가 쐐기공(951)(993b)으로의 삽입 깊이에 따라 마찰부재(993)는 승하강하는 높이가 달라지게 되어 결국에는 마찰부재(993)의 마찰부(993a)가 좌,우 비계보(200)(300)의 하면에 마찰 접촉된다.
따라서, 좌,우 비계보(200)(300)는 감속수단(990)을 구성하는 마찰부(993a)와의 마찰에 의해 그 속도가 감속된 후, 정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쐐기부재(992)에 형성된 쐐기부(992a)와 상기 중공 안내부재(950)에 형성된 쐐기공(951)및 마찰부재(993)에 형성된 쐐기공(993b)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에는 쐐기부(992a)의 삽입 깊이에 따라 마찰부(993a)가 좌,우 비계보(200)(300)와 마찰 여부가 결정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좌,우 비계보(200)(300)에 고정 설치된 잭(950)을 분리한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잭(950)이 구름수단(9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견인수단(980)의 해제 작동시키다.
이렇게 되면, 견인수단(980)에 고정 설치된 쐐기부재(992)도 후퇴하여 쐐기부(992a)가 중공 안내부재(950) 및 마찰부재(993)에 형성된 쐐기공(951)(993b)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마찰부재(993)는 베이스(910)내에서 하강되어 마찰부(993a)가 좌,우 비계보(200)(30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좌,우 비계보(200)(300)의 선단부는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교각브라켓(100)에 설치된 구름수단(900)인 로울러(920)에 로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940)은 상기 로울러 장착부재(930)를 힌지축(911)을 매개로 하여 시소 운동시키는데, 이렇게 하는 이유는, 좌, 우 비계보(200)(300)의 선단부가 로울러(920)의 상면위를 진입할 때, 보다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 패드 방법이 아닌 구름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거의 제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된 교각(100)의 좌우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좌,우측 비계보(200)(300)를 이동시키는 이동식비계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각(100)의 좌우측부에 각각 한조씩 장착/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각브라켓(110)과;
    상기 교각브라켓(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좌,우 작업대(500)(600)와;
    상기 좌,우 작업대(500)(600)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 비계보(200)(300)의 하면에 각각 구름 접촉되도록 하면서 이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름수단(900)과;
    상기 좌,우 작업대(500)(600) 영역중 상기 구름수단(900)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좌,우측 비계보(500)(600)의 일측에 장착/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잭(950)과;
    일측은 상기 구름수단(9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잭(950)에 연결되어 상기 잭(950)을 상기 구름수단(900)에 접근하도록 견인함으로써 상기 좌,우측 비계보(500)(600)가 상기 구름수단(900)위를 이동되도록 하는 견인수단(9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비계 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수단(900)은,
    상기 좌, 우 작업대(500)(600)상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베이스(910)와;
    적어도 두개 이상의 로울러(920)와;
    상기 베이스(910)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로울러(9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울러 장착부재(9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비계 이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 장착부재(930)는,
    상기 베이스(910)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게 설치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안내부재(950)의 상단부에 힌지축(911)을 매개로 시소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로울러 장착부재(930)를 시소 운동시키는 구동수단(9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비계 이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940)은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비계 이동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980)에 의해 상기 잭(950)과 함께 이동하는 좌,우측 비계보(200)(300)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99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비계 이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수단(990)은,
    상기 견인수단(980)에 연결부재(991)를 매개로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끝단부에 쐐기부(992a)가 형성된 쐐기부재(992)와;
    상기 중공 안내부재(950)에 하단 좌우 방향으로 쐐기부(992a)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쐐기공(951)과; 상기 중공 안내부재(950)내에서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에 좌,우측 비계보(200)(300)의 하면과 마찰되는 마찰부(993a)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 안내부재(950)의 쐐기공(951)을 통과한 쐐기부(992a)가 삽입되는 쐐기공(993b)이 형성되는 마찰부재(993)를 포함하며,
    상기 쐐기부(992a)가 쐐기공(993a)으로의 삽입 깊이에 따라 상기 마찰부재(993)의 승하강 높이가 달라져 상기 마찰부(993a)가 좌,우측 비계보(200)(300)에 마찰되는 정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비계 이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980)은,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비계 이동장치.
KR1020050040514A 2005-05-16 2005-05-16 이동식비계 이동장치 KR100734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514A KR100734206B1 (ko) 2005-05-16 2005-05-16 이동식비계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514A KR100734206B1 (ko) 2005-05-16 2005-05-16 이동식비계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065A KR20060118065A (ko) 2006-11-23
KR100734206B1 true KR100734206B1 (ko) 2007-07-03

Family

ID=3770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514A KR100734206B1 (ko) 2005-05-16 2005-05-16 이동식비계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2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065A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3936A (en) Device for driving and positioning towels into concrete slabs
CN210217157U (zh) 爬模系统的退模装置
KR20060118066A (ko) 이동식비계의 비계보
US11098490B2 (en) Self-lifting concrete form with platform adapted to accommodate horizontal reinforcing steel
JP2013231326A (ja) コンクリートバイブレータ支持装置
KR101206519B1 (ko) 거더지지장치와 이동장치를 이용한 거더 제작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거더 및 교량시공방법
CN108691277A (zh) 用于节段预制拼装梁在架设过程中定位的三维调整工装
CN106836146B (zh) 液压自升悬臂重型拱坝模板工作平台
CN109778713A (zh) 一种钢桁梁桥现场悬吊滑移拼装装置及方法
KR100734206B1 (ko) 이동식비계 이동장치
CN211815624U (zh) 一种桥梁施工用挂篮
CN111531689A (zh) 一种箱梁外侧模板的装拆模小车及其装拆模板的方法
CN113175201A (zh) 一种用于电梯井施工的滑升操作平台
JP3837888B2 (ja) 橋桁連続送り出し装置
JPH06246722A (ja) コンクリート製品成形用型枠装置
JPH07279417A (ja) 梁型枠装置および梁の施工方法
JP2563762B2 (ja) 橋桁の扛上扛下工法,扛上機およびベント部材
KR0173518B1 (ko) 교량공사용 이동식비계의 이동방법과 이동장치
JP3885554B2 (ja) 橋梁の押出し工法
CN209722761U (zh) 一种钢桁梁桥现场悬吊滑移拼装装置
CN215107203U (zh) 一种可移动支撑的电梯井施工操作平台
CN111751069A (zh) 用于振动台竖向作动器埋件面板的安装装置及安装方法
CN215107202U (zh) 一种用于电梯井施工的滑升操作平台
CN106812122B (zh) 液压自升悬臂重型模板
KR20050044130A (ko)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