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4130A -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4130A
KR20050044130A KR1020030078694A KR20030078694A KR20050044130A KR 20050044130 A KR20050044130 A KR 20050044130A KR 1020030078694 A KR1020030078694 A KR 1020030078694A KR 20030078694 A KR20030078694 A KR 20030078694A KR 20050044130 A KR20050044130 A KR 20050044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ader
rail
lease
emergency braking
electr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륙
박재칠
조춘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78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4130A/ko
Publication of KR20050044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13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B61H13/38Suspension of transmit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B61H7/02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 B61H7/04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attached to railway vehicles
    • B61H7/06Sk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9/00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05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로더(UNLOADER)의 주행차륜 자동 비상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언로더가 주행하는 레일상에서 다수 개소에 위치되어 주행 차륜을 지지하는 고임대들을 갖추어 레일상에서 상기 차륜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고임부; 상기 고임대들을 각각 승하강시키는 전동 실린더들을 언로더 프레임에 구비하고, 상기 전동 실린더의 로드에는 승강대를 통하여 고임대들을 연결하며, 상기 고임대를 주행 레일상에서 승하강시키는 고임대 장착부;및 상기 승강대에 긴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긴 구멍에는 고임대의 상단으로 부터 연결된 환봉과 롤러가 배치되어 수평으로 이동가능함으로써, 상기 고임대가 레일상에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언로더의 이동을 허용하여 고임대에 의해서 주행 차륜이 지지되도록 하는 고임대 이동부;를 포함하는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언로더가 강풍에 의한 밀림 현상 발생시, 구동중인 주행차륜의 비상정지를 위한 최종 수단으로서 단 한번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단시간에 다수의 제동 개소에 고임대를 체결하거나, 해체가능토록 함으로서 언로더 운전원이 항상 안정된 상태에서 원료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APPARATUS FOR STOPPING UNLOADER AUTOMATICALLY IN EMERGENCY}
본 발명은 언로더(UNLOADER)의 주행차륜 자동 비상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언로더가 강풍에 의한 밀림 현상 발생시, 구동중인 주행차륜의 비상정지를 위한 최종 수단으로서 단 한번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단시간에 다수의 제동 개소에 고임대를 체결하거나, 해체가능토록 함으로서 언로더 운전원이 항상 안정된 상태에서 원료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로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외 부두에 설치된 대형설비로서, 복선 레일(110)상을 이동하면서 하역작업이 진행되며, 하역작업시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항상 강풍의 영향으로 언로더(100)가 주행 레일(110)상에서의 밀림현상을 예측하면서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언로더(100)는 원료모선의 저장고(HOLDER)(120) 내의 원료(122)를 버켓(130)으로 하역작업하게 되며, 이와 같은 작업중에 갑작스런 강풍이 발생하면 주행 레일(110)을 따라 풍압에 의해서 밀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밀리고 있는 언로더(100)를 멈추기 위해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모터 브레이크(140)와, 레일 클램프(143)를 체결하여 레일(110)상에서 차륜(150)을 제동하게 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제동을 하여도 언로더(100) 장비는 레일(110)상에서 차륜(150)이 회전하지 않고 미끌어지면서 밀리게 되며, 한번 밀리기 시작한 장비는 가속력이 발생되어 더욱 빠른 속도로 밀리게 된다.
이때, 언로더(100)는 최종 제동 수단으로 도 2b)와 같이, 작업원의 수작업으로 주행부에 비치된 나무로 된 고임목(160)을 체결하지만, 이와 같은 고임목(160)은 쉽게 파손되어 제동력을 상실하고, 밀리는 설비는 계속 밀리게 되며 결과적으로는 언로더(100)와 본선 구조물들이 서로 충돌하거나, 언로더(100) 장비의 전복등과 같은 대형 설비사고 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것이었다.
또한, 도 2b)와 같이 고임목(160)을 주행 레일(110)상에 체결하는 경우는, 수작업에 의한 인력동원으로 실행하는 것으로서, 언로더(100)의 운전원이 하역작업중에 장비의 밀림 현상을 감지하고, 통신시설을 이용하여 급히 지상의 작업자들에게 고임목(160) 체결 요구를 지시하나, 의사 전달시간의 소요 및 불명확하다는 문제점과, 작업원의 이동시간및 작업 소요시간등으로 인하여 긴급을 요하는 체결 작업을 신속하게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를 동원하여 수동으로 도 2b)와 같이 구동되는 주행 차륜(150)에 고임목(160)을 근접 체결함으로서, 체결 작업자의 협착사고 위험과 언로더(100) 운전원의 위험부담이 매우 큰 것이며, 이로 인하여 하역작업의 수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한다.
만일, 언로더(100)가 정지하지 못하고 계속하여 밀리게 되면, 가속력이 발생되어 더욱 빠른 속력으로 밀리게 되어 겉잡을 수 없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어 원료선박과 언로더(100)와의 충돌, 근접 언로더(100)와의 충돌등 대형 설비사고가 발생되고 만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료 하역 작업중 갑작스런 강풍에 의해 언로더의 밀림 현상 발생시, 주운전실에서 운전원의 단 한번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신속, 정확하게 여러 개소에 동시적으로 비상 제동되도록 함으로써, 언로더의 밀림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하여 언로더의 밀림에 의한 대형 설비사고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운전원의 위험 부담을 완전 해소하여 원활한 언로더 운전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하역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언로더(UNLOADER)의 주행차륜을 비상 제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언로더가 주행하는 레일상에서 다수 개소에 위치되어 주행 차륜을 지지하는 고임대들을 갖추어 레일상에서 상기 차륜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고임부;
상기 고임대들을 각각 승하강시키는 전동 실린더들을 언로더 프레임에 구비하고, 상기 전동 실린더의 로드에는 승강대를 통하여 고임대들을 연결하며, 상기 고임대를 주행 레일상에서 승하강시키는 고임대 장착부;및
상기 승강대에 긴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긴 구멍에는 고임대의 상단으로 부터 연결된 환봉과 롤러가 배치되어 수평으로 이동가능함으로써, 상기 고임대가 레일상에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언로더의 이동을 허용하여 고임대에 의해서 주행 차륜이 지지되도록 하는 고임대 이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레일상에서 언로더를 비상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1)는 원료하역 작업중 강풍(18m/sec 이상)에 의한 언로더(100)의 밀림 현상 발생시, 언로더(100)와 선박의 충돌사고를 방지하고, 또한 강풍대비 휴지중인 언로더(100)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그리고, 편리하게 여러 개소(8개소)에서 동시에 고임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1)는 언로더(100)가 주행하는 레일(110)상에서 다수 개소에 위치되어 주행 차륜(150)을 지지하는 고임대(5)들을 갖추어 레일(110)상에서 상기 차륜(15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고임부(10)를 구비한다.
상기 고임부(10)는, 고임목(160)의 체결시 중량물의 하중에도 파손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가능하도록 고임대(5)를 하중 검토하여 견고한 철판으로 제작하되 주행 차륜(150)들을 향하는 일측 단부는 쐐기(Wedge)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돌기들이 형성된 경사면(5a)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고임대(5)들은 도 5에서 분해도로서 도시되어 있듯이, 2개가 상부측에서 환봉(12)으로 서로 연결되고, 그 마주하는 양측면이 고정판(14)을 통하여 연결되어 하나의 결합체가 이루어지며 수평으로 균형이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환봉(12)의 끝단부에는 롤러(16)들을 설치하여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고임대 장착부(30)의 긴 구멍(32)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임대(5)들은 미끌리지 않도록 주행 차륜(150)에 접촉하는 경사면(5a) 및 레일(110) 상면과의 접촉면(5b)에 마찰력이 우수한 특수 재질의 섬유 라이닝(미도시)을 부착하고, 고임대(5)의 상단면 일측에는 전동실린더(40)의 상승지시용 리미트 터치바(43a)를 설치하여 고임부(10)에 마련된 상승지시 리미트(43b)를 터치하도록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고임부(10)를 하부측에 배치시키는 고임대 장착부(30)를 제작하여 주행 차륜(150)의 근접위치에서 언로더(100)의 프레임(100a)에 설치한다. 상기 고임대 장착부(30)의 구조로는 상기 프레임(100a)에 브라켓(42)을 통하여 전동 실린더(40)가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기 전동 실린더(40)의 로드(40a)에는 ㄷ형의 단면을 가지는 승강대(35)가 연결되어 상기 전동 실린더(40)의 작동으로 승하강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대(35)는 외부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도록 철재로서 견고하게 제작되고, 언로더(100)의 차륜(15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고임대 장착부(30)는 1개의 전동 실린더(40)의 작동으로 주행 복선 레일(110)상에서 2개의 고임대(5)가 동시에 승하강되도록 상기 승강대(35)를 통하여 고임대(5)들을 장착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승강대(35)는 좌우 측면에 긴 구멍(32)들을 수평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긴 구멍(32)에는 고임대(5)의 상단에 끼워지는 환봉(12)의 끝단부에 연결된 롤러(16)가 끼워져서 긴 구멍(32)내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35)는 전동 실린더(40)에 의해서 승하강하는 경우, 수직으로 정확하게 안내되기 위하여 그 상부면에는 복수의 가이드 봉(44)들이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봉(44)들은 상기 언로더(100)의 프레임(100a)으로 부터 돌출된 안내구(47)내의 구멍(47a)에 활주가능하도록 끼워져서 전동 실린더(40)의 작동시 상하로 정확하게 승하강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봉(44)은 고임대 장착부(30)가 상,하로 이동시, 좌우,전후 수평을 유지 할수 있도록 균형을 잡아주는 장치이며 고임대(5)를 주행레일(110)의 상단에 정확히 안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35)의 일측으로 상승지시 리미트(43b)가 연결대(49)를 통하여 장착되고, 이는 고임대(5)의 일측에 마련된 리미트 터치바(43a)와 상호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a)의 일측에는 상하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한 리미트(52a)와 하한 리미트(52b)가 고정되는 바, 상기 상한 리미트(52a)와 하한 리미트(52b)에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대(35)의 일측에는 리미트 승강바(54)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바(54)가 상한 리미트(52a)에 접촉되면, 상기 상한 리미트(52a)는 전기적인 신호를 언로더(100)의 운전제어장치(미도시)에 제공하여 상기 전동 실린더(40)의 로드(40a) 상승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승강바(54)가 하한 리미트(52b)에 접촉하면 상기 하한 리미트(52b)는 전기적인 신호를 언로더(100)의 운전제어장치(미도시)에 제공하여 상기 전동 실린더(40)의 로드(40a) 하강 작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고임부(10)의 상,하한 리미트(52a)(52b)들은 사전에 정확하게 그 위치가 조절되어 고임대(5)가 주행 레일(110)상에서 차륜(150)을 떠 받치거나, 떠 받치는 것을 정확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승강바(54)와 상호작용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승강대(35)와 고임대(5)의 사이에는 고임대 이동부(60)가 배치되는 바, 이는 상기 고임대 연결용 환봉(12)의 끝단부 4 개소에 롤러(16)들이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35)의 긴 구멍(32)내에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임대 고정용 환봉(12)은 두개의 고임대(5)가 한쌍으로 연결 결합되도록 고임대 상단에 설치된 연결바(15)와 강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35)의 긴 구멍(32)은 그 폭이 상기 롤러(16)의 외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임대(5)가 레일(110)로 부터 상승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긴 구멍(32)의 하단 모서리에 롤러(16)가 지지되도록 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임대(5)가 레일(110)에 지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긴 구멍(32)의 상부 모서리에 롤러(16)가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70)는 보턴이고, (72)는 릴레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1)는 작업자가 주운전실(미도시)의 데스크 판넬의 푸시 보턴(70)을 누르면 전동 실린더(40)의 로드(40a)가 하향작동에 의해 승강대(35)와 고임대(5)가 하강되어 주행 레일(110)상에 안착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고임대(5)들은 레일(110)상부면과의 마찰로 인해서 고임대(5)는 레일(110)상에 정지되지만, 승강대(35)는 밀리는 언로더(100)와 함께 위치이동되어짐으로써 롤러(16)들이 승강대(35)의 긴 구멍(32)을 따라서 이동하고, 주행차륜(150)을 받치게 되어 마치 고임목(160)과 같이 주행차륜(150)을 고정한다.
또한, 이와 같이 고임대(5)가 주행 차륜(150)을 떠 받치게 되면, 이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된 것이고, 리미트 스위치(43b)와 터치바(43a)는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원료하역 작업중 강풍으로 인하여 장비의 밀림 현상이 발생하면, 운전자는 주운전실(미도시)에 마련된 푸시보턴(70)을 눌러서, 전기실 릴레이(72)의 접점이 연결되어 전동 실린더(40)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40)의 로드(40a)가 하향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40)의 로드(40a)에 부착된 고임대 장착부(30)의 승강대(35)가 하향하게 되므로 승강대(35)의 긴 구멍(32)에 이동롤러(16)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분리형 고임대(5)가 주행레일(110)의 상부면(18)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전동 실린더(40)의 로드(40a)는 계속 하향 동작되므로, 상기 롤러(16)들은 긴 구멍(32)의 상부측 모서리에 지지되며, 고임대(5)는 주행 레일(110)의 상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언로더(100)가 밀리게 됨으로서 상기 긴 구멍(32)의 상부측 모서리에 롤러(16)가 지지되고, 이 상태에서 고임대(5)들은 레일(110)상의 주행차륜(150)을 떠받쳐 주므로서, 동시에 2개의 고임대(5)가 주행 차륜(150)을 떠받쳐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향 하던 실린더 로드(40a)은 리미트 승강바(54)가 하한 리미트(52b)를 터치하게 되므로 전동 실린더(40)의 동작이 멈추므로서 고임대 체결 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고임대(5)에 의해서 주행차륜(150)이 받쳐진 다음, 강풍이 해제되어 다시 언로더(100)의 주행을 이루기 위해서는 상기 고임대(5)를 레일(110)로 부터 분리, 해체시켜야 한다.
이때에는 상기 언로더(100)가 밀렸던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언로더(100)의 운전 레바(미도시)를 이용하여 주행하면, 상기 고임대(5)는 레일(110)과의 마찰에 의해서 정위치하지만, 승강대(35)는 언로더(100)와 함께 이동하여 전동 실린더(40)의 상향지시용 리미트(43b)가 터치바(43a)에 접촉되어 리미트(43b)로 부터 전기적인 신호가 발신되고, 이는 언로더(100)의 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해 전동 실린더(40)가 동작하여 그 로드(40a)의 상향 작동으로 고임대(5)들이 승강대(35)와 함께 상승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해체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임해체 작동은 체결에 비해 더욱 간단한 원리로 이루어진다. 즉, 강풍이 해소되어 체결된 고임대(5)를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주운전실의 주행 운전 레바를 고임대(5) 체결 반대방향으로 조작하여 언로더(100)가 고임대(5)의 체결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고임대(5)가 주행 차륜(150)로 부터 분리되고, 언로더(100)의 이동으로 고임대 장착부(30)의 하면에 부착된 실린더 상승지시 리미트(43b)가 고임대 상단에 설치된 리미트 터치바(43a)에 터치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 실린더(40)가 작동되어 그 로드(40a)가 상승하게 되고, 승강대(35)의 긴 구멍(32)에 위치된 환봉(12)과 롤러(16)들은 긴 구멍(32)의 하단 모서리에 지지되어 승강대(35)와 함께 고임목(160)이 상승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행 레일(110)의 상단면으로 부터 고임대(5)가 분리되고, 이 같은 상승작동중에 리미트 승강바(54)가 실린더 상한 리미트(52a)를 터치함으로서 전동 실린더(40)의 상승 동작이 중단되고 고임 해체 동작이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개의 전동 실린더(40)의 작동에 의해 복선 주행 레일(110)상에 2개의 고임대(5)가 동시에 작동하여 4개소에서 주행 차륜(150)을 체결하여 설비 충격을 최소화하며, 긴급 정지효과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위급상황 발생시 언로더(100)의 주운전실 내에서 운전자의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주행 차륜(150)의 여러 개소에 동시에 고임작동이 이루어지므로, 대형 설비사고 및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작업자의 수작업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바람에 의한 위급상황 발생시 언로더(100)의 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대형 설비사고를 사전에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고임작업을 위하여 별도의 인력동원이 불필요함으로서 작업자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운전원의 불안감을 완전히 해소로 하역작업의 효율 향상에 매우 유용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제 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언로더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 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언로더의 제동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a)도는 모터 브레이크를 이용하는 경우,
b)도는 고임목을 이용하는 경우,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로서,
a)도는 고임대가 들려진 경우, b)도는 고임대가 레일상에 받쳐진 경우;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
5.... 고임대 10.... 고임부
12... 환봉 14.... 고정판
16... 롤러 30.... 고임대 장착부
32... 긴 구멍 40.... 전동실린더
43a... 상승지시용 리미트 터치바
43b... 상승지시 리미트 44.... 가이드 봉
47.... 안내구 52a.... 상한 리미트
52b... 하한 리미트 60.... 고임대 이동부
100..... 언로더 110.... 복선 레일
120..... 저장고(HOLDER) 122.... 원료
130.... 버켓 140.... 모터 브레이크
143.... 레일 클램프 150.... 차륜
160.... 고임목

Claims (5)

  1. 언로더(UNLOADER)의 주행차륜을 비상 제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언로더(100)가 주행하는 레일(110)상에서 다수 개소에 위치되어 주행 차륜(150)을 지지하는 고임대(5)들을 갖추어 레일(110)상에서 상기 차륜(15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고임부(10);
    상기 고임대(5)들을 각각 승하강시키는 전동 실린더(40)들을 언로더 프레임(100a)에 구비하고, 상기 전동 실린더(40)의 로드(40a)에는 승강대(35)를 통하여 고임대(5)들을 연결하며, 상기 고임대(5)를 주행 레일(110)상에서 승하강시키는 고임대 장착부(30);및
    상기 승강대(35)에 긴 구멍(32)이 마련되고, 상기 긴 구멍(32)에는 고임대(5)의 상단으로 부터 연결된 환봉(12)과 롤러(16)가 배치되어 수평으로 이동가능함으로써, 상기 고임대(5)가 레일(110)상에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언로더(100)의 이동을 허용하여 고임대(5)에 의해서 주행 차륜(150)이 지지되도록 하는 고임대 이동부(60);를 포함하여 상기 레일(110)상에서 언로더(100)를 비상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대(5)는 주행 차륜(150)들을 향하는 일측 단부가 쐐기(Wedge)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돌기들이 형성된 경사면(5a)을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35)는 전동 실린더(40)에 의해서 승하강하는 경우, 수직으로 정확하게 안내되기 위하여 그 상부면에는 복수의 가이드 봉(44)들이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봉(44)들은 상기 언로더(100)의 프레임(100a)으로 부터 돌출된 안내구(47)내의 구멍(47a)에 활주가능하도록 끼워져서 전동 실린더(40)의 작동시 상하로 정확하게 승하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a)의 일측에는 상하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한 리미트(52a)와 하한 리미트(52b)가 고정되고, 상기 상한 리미트(52a)와 하한 리미트(52b)에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대(35)의 일측에는 리미트 승강바(54)가 위치되며, 상기 승강바(54)가 상한 리미트(52a)에 접촉되면, 상기 상한 리미트(52a)는 전기적인 신호를 언로더(100)의 운전제어장치(미도시)에 제공하여 상기 전동 실린더(40)의 로드(40a) 상승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승강바(54)가 하한 리미트(52b)에 접촉하면 상기 하한 리미트(52b)는 상기 전동 실린더(40)의 로드(40a) 하강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35)의 긴 구멍(32)은 그 폭이 상기 롤러(16)의 외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고임대(5)가 레일(110)로 부터 상승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긴 구멍(32)의 하단 모서리에 롤러(16)가 지지되도록 하고, 고임대(5)가 레일(110)에 의해서 지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긴 구멍(32)의 상부 모서리에 롤러(16)가 지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
KR1020030078694A 2003-11-07 2003-11-07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 KR20050044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694A KR20050044130A (ko) 2003-11-07 2003-11-07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694A KR20050044130A (ko) 2003-11-07 2003-11-07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130A true KR20050044130A (ko) 2005-05-12

Family

ID=3724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694A KR20050044130A (ko) 2003-11-07 2003-11-07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413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324B1 (ko) * 2006-10-24 2007-10-31 주식회사 포스코 선적기의 밀림주행 추가 제동장치
KR101298712B1 (ko) * 2012-02-28 2013-08-21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 카 제동장치
KR101383983B1 (ko) * 2012-10-10 2014-04-1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후방으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KR20200008790A (ko) * 2018-07-17 2020-01-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CN111332328A (zh) * 2020-04-02 2020-06-26 兰杰 一种煤矿综采运输巷设备列车自动阻车装置
CN111516725A (zh) * 2020-04-29 2020-08-11 南通奥里斯特机械有限公司 一种高强度韧性高铁刹车刚背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324B1 (ko) * 2006-10-24 2007-10-31 주식회사 포스코 선적기의 밀림주행 추가 제동장치
KR101298712B1 (ko) * 2012-02-28 2013-08-21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 카 제동장치
KR101383983B1 (ko) * 2012-10-10 2014-04-1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후방으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KR20200008790A (ko) * 2018-07-17 2020-01-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CN111332328A (zh) * 2020-04-02 2020-06-26 兰杰 一种煤矿综采运输巷设备列车自动阻车装置
CN111332328B (zh) * 2020-04-02 2021-08-24 嘉兴新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煤矿综采运输巷设备列车自动阻车装置
CN111516725A (zh) * 2020-04-29 2020-08-11 南通奥里斯特机械有限公司 一种高强度韧性高铁刹车刚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G193723A1 (en) Motorized height access device for tower cranes
US8360203B2 (en) Work platform for an overhead crane
CN110700601B (zh) 一种可伸缩卸料平台
KR20050044130A (ko) 언로더의 자동 비상 제동장치
US5129484A (en) Traveling device for raising or lowering persons or objects
KR101757193B1 (ko) Lng 운반선 화물창 작업용 리프트 장치
CN219357930U (zh) 底铸式浇注机
CN108657058B (zh) 无人机车载装置
JPH0754491A (ja) 建物の外装カーテンウォール組立装置
JP2620123B2 (ja) 建築工事用仮設揚重装置
CN203834353U (zh) 梁底作业设备
EP2679531B1 (en) Elevator with moveable rope suspension point
CN211769900U (zh) 一种防摆动起重机
RU182890U1 (ru) Грузоподъём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груза
US20050158157A1 (en) Airport baggage lift system
CN114180461A (zh) 一种建筑施工用安全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US11059701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lifting elevator cars during installation
CN220580483U (zh) 移动式操作平台
KR20210000005A (ko) 철로용 리프트 작업대
KR20200076142A (ko)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CN215666814U (zh) 轻型反应器吊装装置
CN215048165U (zh) 大跨度预应力主梁门式起重机
CN217972495U (zh) 一种可移动式的升降机
CN111960338B (zh) 施工机械直线驱动装置
JPH084301A (ja) 索道を用いた外壁パネルの施工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