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670B1 -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670B1
KR100733670B1 KR1020050078090A KR20050078090A KR100733670B1 KR 100733670 B1 KR100733670 B1 KR 100733670B1 KR 1020050078090 A KR1020050078090 A KR 1020050078090A KR 20050078090 A KR20050078090 A KR 20050078090A KR 100733670 B1 KR100733670 B1 KR 100733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support plate
sanitary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837A (ko
Inventor
박인구
Original Assignee
박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구 filed Critical 박인구
Priority to KR102005007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670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47K13/16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of single sheets of paper or plastic foil or fil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좌변기에 설치하여 좌변기 시트의 표면을 위생시트로 덮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특징적인 구성은, 제 1 힌지부에 의해 좌변기 뚜껑과 함께 좌변기 본체에 힌지 연결된 좌변기 시트의 상부표면에 대응하여 인출되는 위생시트가 정렬되어 덮이도록 하는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에 있어서, 전면은 상기 위생시트를 대면하여 지지하고, 배면은 상기 좌변기 뚜껑의 전면과 대면하여 놓이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상기 좌변기 뚜껑의 전면에 밀착되게 고정하는 클램프; 및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부위에 제 2 힌지부로 연결되어 그 회전 위치에 따라 대응 위치된 상기 위생시트 가장자리의 부위를 상기 받침판에 밀착되게 지지하며 상기 제 2 힌지부를 포함한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소정 부위와 이에 대응하는 부위에 구비된 락킹부에 의해 상기 받침판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가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일반적이고도 다양한 형상의 좌변기에 대응하여 그 적용 설치가 용이하고, 단순한 동작으로 위생시트의 인출 및 좌변기 시트의 상부표면에 대한 정렬이 이루어져 위생적이고도 사용이 편리하며, 시트가리개에 의해 물기의 침투가 차단되어 위생시트의 손상 및 낭비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THE SANITARY SEAT COVER ASSEMBLY FOR A TOILET BOWL}
도 1은 일반적인 좌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Ⅱ-Ⅱ 선을 기준한 좌변기 시트와 좌변기 뚜껑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의 구성과 이들 구성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성으로부터 변형 가능한 일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은 도 3의 구성으로부터 변형 가능한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도시한 구성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구성을 조립한 상태에서 좌변기 뚜껑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구성을 조립한 상태에서 좌변기 뚜껑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도 3에 도시한 Ⅸ-Ⅸ 선을 기준하여 각 구성의 조립관계 및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한 Ⅹ-Ⅹ 선을 기준하여 각 구성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는 도 3에 도시한 회전각 조절부의 각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좌변기 12: 좌변기 본체
14: 좌변기 시트 16: 좌변기 뚜껑
20: 받침판 22: 돌출부
24: 관통홀 26: 다리부
30: 클램프 32: 양면테이프
34: 체결구 36: 마개
40: 가드 44: 락킹부
48: 시트가리개 50: 클램프
52a, 52b, 52c: 체결수단
본 발명은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의 좌변기에 설치하여 좌변기 시트의 표면을 위생시트로 덮어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중화장실의 좌변기는 그 이용에 있어서 대변과 소변을 겸용한 사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의 둔부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좌변기 시트의 표면에는 피부질환자의 사용을 포함하여 특정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전염성 병원체가 묻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그 표면에는 좌변기의 저수부로부터 튀어 오른 오염물질이나 세척과정에서 사용된 유독성 약품이 잔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좌변기 시트의 표면에 대한 위생상태를 의심할 뿐 아니라 사용과정에서 불결함을 갖는다. 더불어 많은 이용자들은 매 이용시마다 좌변기 시트의 표면을 화장지로 닦거나 그 표면 위에 화장지를 깔고서 용무를 보고 있다. 이것은 화장지의 불필요한 낭비를 야기한다.
본 출원인은 위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93456호인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출원일자:2003년 12월 18일자)를 출원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위의 발명을 개선하여 이미 설치되어 있는 좌변기에 대하여 그 적용이 보다 용이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좌변기 시트의 표면을 매 이용시마다 위생시트로 덮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이미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형상의 좌변기 에 대응하여 그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제 1 힌지부에 의해 좌변기 뚜껑과 함께 좌변기 본체에 힌지 연결된 좌변기 시트의 상부표면에 대응하여 인출되는 위생시트가 정렬되어 덮이도록 하는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에 있어서, 전면은 상기 위생시트를 대면하여 지지하고, 배면은 상기 좌변기 뚜껑의 전면과 대면하여 놓이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상기 좌변기 뚜껑의 전면에 밀착되게 고정하는 클램프; 및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부위에 제 2 힌지부로 연결되어 그 회전 위치에 따라 대응 위치된 상기 위생시트 가장자리의 부위를 상기 받침판에 밀착되게 지지하며 상기 제 2 힌지부를 포함한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소정 부위와 이에 대응하는 부위에 구비된 락킹부에 의해 상기 받침판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가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위생시트커버 조립체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일반적인 좌변기 및 이를 구성하는 좌변기 시트와 좌변기 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각 변형 실시예에 따른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의 구성과 이들 구성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분해사시도와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9a와 도 9b는 도 3에 표 시한 Ⅸ-Ⅸ선을 기준하여 각 구성의 조립상태와 그 적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3에 표시한 Ⅹ-Ⅹ 선을 기준하여 각 구성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1 내지 도 13은 도 3에 도시한 회전각 조절부의 각 변형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종래의 기술 구성을 포함하여 각 변형예에 따른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위생시트커버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과 도 2에 도시한 일반적인 좌변기(10)의 구성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좌변기(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욕실 또는 화장실 등의 특정 영역에 마련된 배수시설과 연결되는 본체(12)를 갖는다. 이러한 본체(12)는 상부로부터 그 중심 부위가 하측으로 함몰되어 배수시설과 연결되고,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여 악취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토록 하는 저수부(12a)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좌변기(10)는 저수부(12a) 상측의 후방 위치에 사용자가 앉아 용무를 볼 수 있도록 대체로 고리 형상을 갖는 좌변기 시트(14)와 이를 덮는 좌변기 뚜껑(16)이 제 1 힌지부(h)를 통해 연결한 구성을 이룬다.
여기서 상술한 좌변기 뚜껑(16)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변기 시트(14)의 상부 표면을 덮는 면적의 판 형상을 이룬다. 또한 좌변기 뚜껑(16)의 전면에는 좌변기 시트(14)에 대응하여 좌변기 뚜껑(16)의 가장자리 부위가 일정한 간격으로 들뜬 상태에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접촉 면적을 줄이도록 하는 복수 의 돌기(16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좌변기 뚜껑(16)의 중심 부위는 외관상 미려하도록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것과 가장자리 부위가 전면 방향에 대하여 갓 형상으로 더욱 돌출한 것도 있다. 즉, 좌변기 뚜껑(16)의 대체적인 형상은 그 중심 부위가 전면 가장자리 부위보다 후면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을 이룬다. 더불어 돌기(16a)들은 좌변기 뚜껑(16)의 전면에서 가장자리 부위보다 더욱 돌출한 형상을 이룬다.
이상에서 살펴본 좌변기 뚜껑(16)의 특징부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변기 뚜껑(16)의 장축방향 길이(MAX/a)는 연장 돌출한 제 1 힌지부(h) 부위를 포함하여 약 425~465㎜ 범위에 있고, 단축방향 길이(min/a)는 약 325~385㎜ 범위에 있다. 또한 좌변기 뚜껑(16)의 두께(t) 즉, 제 1 힌지부(h) 부위를 제외하고, 전면에 돌출한 돌기(16a)의 말단에서 후면 중심의 최대 돌출한 부위까지를 두께(t)라고 할 때 약 18~28㎜의 범위에 있다. 그리고 상술한 돌기(16a)의 길이(d)는 약 10~16㎜의 범위에 있고, 좌변기 뚜껑(16)의 가장자리 위치에서 돌기(16a)의 돌출 길이(δd)는 약 4~6㎜의 범위에 있다. 여기서 상술한 돌기(16a) 중 항공기용으로 제작되는 좌변기기에 있어서는, 좌변기 뚜껑(16)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지 않아 좌변기 뚜껑(16)에 좌변기 시트(14)가 끼워지는 형상의 것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더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힌지부(h)에 접하는 위치에서 장축 방향으로 가장 근접한 돌기(16a)까지의 거리(l)는, 약 80~120㎜의 범위에 있다. 더불어 좌변기 뚜껑(16)의 단축 방향으로 돌기(16a)들 사이의 간격(W)은 약 220~300㎜의 범위에 있고, 장축 방향으로 돌기(16a)들 사이의 간격(W')은 220~260㎜의 범위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위생시트(S)는, 본 출원인이 2003년 12월 18일자에 출원한 특허출원(출원번호:제10-2003-0093456호)에서 밝힌 기술 사상과 동일 내지는 동일 범주에 있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먼저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즉, 디스펜서에 장착되어지는 위생시트(S)를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생시트는 도 1 또는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좌변기시트(14)의 상부표면에 대응하여 덮도록 일정한 면적을 갖는 몸체부(B)와 이 몸체부(B)의 하측 부위에 일정한 폭으로 연장한 형상의 목부(N)로 구분되며, 몸체부(B)와 목부(N)의 경계 부위에는 그 부위를 통한 절리가 쉽도록 한 절취선(C/L)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위생시트(S)는 다수 매수가 상호 포개어진 상태로 단위 포장을 이루며, 상술한 목부(N)의 하단 부위를 통해 바인딩된 상태를 이룬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이 위생시트(S)와 대면하여 그 형상이 유지되도록 지지하고, 배면은 좌변기 뚜껑(16)의 전면과 대면하는 형상으로 놓이는 받침판(20)을 구비한다. 또한 받침판(20)은 그 배면이 좌변기 뚜껑(16)의 전면과 근접되게 대면시킨 상태에서 클램프(3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받침판(20)의 전면 위치에는 대체적으로 받침판(20)의 가장자리 부위에 대응하는 테두리 형상을 이루며, 받침판(20)과 제 2 힌지부(H, H')로 연결되는 가드(40)를 구비한다. 이러한 가드(40)는 제 2 힌지부(H, H')를 통해 회전함에 따라 받침판(20)과 대면하는 형상으로 선택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고, 결합과정에서 이들 사이에 위치한 위생시트(S)의 목부(N)를 가압함과 동시에 위생시트(S)의 몸체부(B)는 개방된 중심 부위(C)를 통해 인출 가능한 상태를 이룬다.
상술한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를 이루는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받침판(20)의 크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변기 뚜껑(16)의 전면과 대면토록 함에 있어서, 그 크기 중 장축 방향 최대 폭 길이는 약 425~550㎜의 범위에 있도록 하고, 단축 방향 최대 폭 길이는 약 300~450㎜의 범위에 있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받침판(20)의 크기 중 최대 폭 길이는 다양한 형상의 좌변기 뚜껑(16)을 전면 방향에서 모두 가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좌변기(10)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관계에서 면적이 확장되는 위생시트(S)를 충분히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받침판(20)의 최소 폭 길이는 좌변기 뚜껑(16)의 전면으로부터 지지받을 수 있는 즉, 돌기(16a)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최소한의 면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받침판(20)의 중심 부위는 좌변기 시트(14)의 내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전면으로부터 돌출한 형상의 돌출부(2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돌출부(22)가 형성된 경우 위생시트(S)는 몸체부의 중심 부위가 절취된 상태의 것을 장착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22)의 하단에는 도 9a 와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22)의 표면에 존재하는 물기가 그 측변을 따라 받침판(20)의 전면을 따라 유동하여 위생시트(S)를 적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의 흐름을 제한하도록 하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시킨 형상의 물흐름 방지턱(22a)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더하여 받침판(20)의 배면에는, 도 3과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변기 뚜껑(16)의 전면 중 돌기(16a)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대응하여 받침판(2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다리부(26)를 구비한다. 이러한 다리부(26)는 상술한 돌출부(22) 형성 위치의 주위에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리부 (26)는 전면으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면 위치의 다리부(26) 단부는 받침판(20)의 전면으로 돌출하지 않는 범위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받침판(20)과 가드(40)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제 2 힌지부(H, H')는 좌변기 시트(14)와 좌변기 뚜껑(16)이 연결된 제 1 힌지부(h)의 양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그 힌지 축이 제 1 힌지부(h)의 힌지 축에 대하여 근접하여 상호 나란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힌지부(H, H')에 근접한 받침판(2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절개된 형상의 절개부(28a)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절개된 형상은 받침판(20)의 양측 가장자리 부위가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여 가드(4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받침판(20)의 하측 중심 부위는 좌변기 뚜껑(16)의 전면 중 하측에 위치한 돌기(16a)의 위치에서 점차 좌변기 뚜껑(16)의 전면 하측 부위에 근접하도록 경사부(28b)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받침판(20)의 표면으로부터 경사부(28b)가 시작되는 위치는 상술한 절개부(28a)의 깊이와 같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경사부(28b)는 돌기(16a)에 의해 지지를 받지 못하는 하측 부위가 좌변기 뚜껑(16)의 전면에 대하여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이것은 후술하겠으나 위치하는 위생시트(S)의 목부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더욱이 경사부(28b)의 전면 단부 위치에는 후술하겠으나 위치하는 위생시트(S)의 목부에 대응하여 가압이 이루어짐에 대응하여 위생시트(S)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요철부(28d)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사부(28b)의 추가적인 기능으로는 후술하겠으나 제 1 힌지부(h)를 힌지 축으로 하는 좌변기 시트(14)가 좌변기 뚜껑(16)에 대하여 보다 근접한 위치에 있도록 이들 사이에 놓이는 각 구성부의 두께를 줄이도록 함에 있다. 이에 더하여 경사부(28b)의 후면에는 좌변기 뚜껑(16)의 전면으로부터 밀착 강도를 높이고, 경사부(28b) 단부 위치를 제 1 힌지부(h)에 대하여 일정 범위 내에 있도록 보상하기 위한 유연한 재질 즉, 일정 폭과 두께를 갖는 고무 재질 또는 연질 PVC 등의 밀착패드(28c)를 덧대어 부착시킨 형식으로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클램프(30)는 좌변기 뚜껑(16)에 대하여 받침판(20)을 밀착되게 고정하기 위한 클립 형상의 것, 이들을 함께 묶는 밴드 형상의 것, 좌변기 뚜껑(16)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다른 부재를 덧대어 볼트와 너트를 포함한 나사 결합으로 고정하는 것 등 통상의 클램핑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클램프(30)를 설명함에 앞서서, 받침판(20)은 가장자리 내측 부위에 관통홀(24)을 형성하거나 또는 가장자리 내측 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홀(24)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게 형성한 것으로 구성한다. 이에 대응하는 클램프(30)는, 상술한 관통홀(24)을 관통할 수 있는 두께와 일정한 폭 및 길이를 이루는 몸체부(30b)와 이 몸체부(30b)의 일 단부에 관통홀(24)의 주연에 지지를 받도록 확장된 형상의 머리부(30a)로 이루어진 유연한 재질의 띠 형상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클램프(30)의 몸체부(30b)는 일면에 양면테이프(32)를 부착토록 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30c)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이들 양면테이프(32)나 체결홀(30c)을 모두 형성 또는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30)의 구성으로부터 좌변기 뚜껑(16)에 대한 받침판(20)의 고정은, 먼저 좌변기 뚜껑(16)의 전면에 받침판(20)의 배면을 근접하게 대면시키고, 이때 받침판(20)의 하측 중심 부위는 좌변기 뚜껑(16) 중 제 1 힌지부(h)에 접한 위치에서 밀착된 상태에 있도록 정렬한다. 이후 사용자는 상술한 관통홀(24)을 통해 클램프(30)의 타단으로부터 관통시키고, 받침판(20)의 배면으로 돌출하는 클램프(30)의 몸체부(30b)를 좌변기 뚜껑(16)의 배면에 밀착되게 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양면테이프(32) 또는 체결홀(30c)을 통한 체결구(34)로 클램프(30)의 몸체부(30b) 일면이 좌변기 뚜껑(16)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게 고정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관통홀(24)의 배열은 복수 개수로 형성됨에 있어서, 다양한 형상을 갖는 각 좌변기 뚜껑(16)에 대응하여 그 적용이 가능하도록 단축 방향으로 배열한다. 이때 복수 배열의 관통홀(24) 중 클램핑에 적용되는 것은 받침판(20)이 좌변기 뚜껑(16)에 대응하여 정렬 위치된 상태에서 좌변기 뚜껑(16)의 가장자리 부위에 근접한 어느 하나의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30)를 이용한 체결 형태는, 도 10에 도시한 도면 중 좌측 표현과 같이 체결토록 할 수 있고 또는 우측 표현과 같이 체결토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클램프(30)가 적용되지 않으면서 좌변기 뚜껑(16)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관통홀(24)에 대해서는 좌변기 뚜껑(16)의 배면으로부터 해당 관통홀(24)을 메 우도록 하는 마개(36)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좌변기 뚜껑(16)에 대하여 받침판(20)을 고정함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받침판(20")의 구성은, 가장자리 부위를 더욱 연장하여 연장된 부위가 배면 방향으로 굽어져 좌변기 뚜껑(16)의 배면 가장자리 부위까지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렇게 연장된 부위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변기 뚜껑(16)의 배면에 대하여 체결구(34) 또는 밴드 및 밴드레버(B) 등의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토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체결구(34)의 단부는 좌변기 뚜껑(16)의 배면 손상을 방지하도록 밋밋한 형상으로 형성토록 하거나 그 단부에 마찰계수가 높은 러버 등의 소재를 덧붙이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된 부위는 받침판(20")의 가장자리에서 힌지로 조립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5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받침판(20")을 끼우는 것으로 정렬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고정하는 단순한 동작으로 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를 이루는 구성 중 가드(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20)의 가장자리 외측 부위를 일정한 폭과 면적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20)의 가장자리 부위가 전면 방향으로 테두리(42a)를 갖는 구성에 대응하여 그 내측에 감싸여 포개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드(40)의 중심 부위는 이들 사이에 놓이는 위생시트(S)의 몸체부가 인출되기 충분하도록 개방된 형상을 이룬다. 또한 가드(40)의 가장자리에는 내측 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외부의 오염물질로부터 위생시트(S)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리는 유연한 재질의 시트가리개(48)가 구비된다. 이러한 시트가리개(48)는 일 매의 위생시트(S)의 인출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개방이 이루어지고, 위생시트(S)의 인출이 진행된 부위로부터 점차적으로 남아있는 위생시트(S)의 표면을 덮는 형상으로 복원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트가리개(48)의 기능과 다양한 형상의 변형은 본 출원인에 의해 2003년 12월 18일자에 출원한 특허출원(출원번호:제10-2003-0093456호) 중 덮개 구성의 기술 사상과 동일 내지는 동일 범주에 있는 것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드(40)의 양쪽 하측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받침판(20)과 힌지 연결을 위해 상호간에 부합하는 일측의 제 2 힌지부(H, 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드(40)에 형성된 제 2 힌지부(H, H') 사이에는 받침판(20)에 대면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경사부(28b)의 말단과 마주보는 형상의 가압부(42d)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가압부(42d)의 표면에는 경사부(28b)의 단부에 형성한 요철부(28d)에 대응하는 다른 요철부(42e)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가드(40)의 가장자리 중 소정 부위와 이에 대응하는 받침판(20) 위치에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힌지부(H, H')를 중심으로 받침판(20)과 가드(40)가 상호 근접 대면하여 방향으로 회전함에 의해 상호간에 밀착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체결되게 하는 락킹부(44, 44')를 구비한다.
이러한 락킹부(44, 44')는 받침판(20)과 가드(40) 중 어느 하나에 걸림턱 또 는 돌기를 형성하고, 이에 대면하는 상대 구성에는 그에 부합하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부가함으로써 그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락킹부(44, 44')는 받침판(20)과 가드(40) 중 어느 하나에 버튼에 의해 동작하는 걸림턱 또는 돌기를 형성하고, 이에 대면하는 상대 구성에는 그에 부합하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한 통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락킹부(44, 44')의 다른 구성은 통상의 힌지구동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장치 등 다양한 기술적 구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가드(40)의 제 2 힌지부(H, H') 주위에는 상술한 시트가리개(48)를 포함하여 전, 후방으로 관통하는 가이드홀(42b)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가이드홀(42b)의 주연에는 가이드홀(42b)에 안내되는 회전각 조절부(50)의 특정 부위가 위치됨에 대응하여 회전각 조절부(50)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걸림부(42c)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에는 좌변기 시트(14)의 회전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각 조절부(50)를 구비한다.
이러한 회전각 조절부(50)는, 좌변기 시트(14)와 좌변기 뚜껑(16) 사이에 받침판(20)과 위생시트(S) 및 가드(40)가 위치됨으로써 일정 이상의 두께로 증가함에 대응하여 기존의 좌변기 시트(14)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즉, 받침판(20)에 형성한 절개부(28a)나 가압부(42d)의 형성 위치 등은 좌변기 뚜껑(16)의 전면에 근접되게 형성하는 것으로 그 두께를 줄일 수 있으나 좌변기 뚜껑(16)에 대하여 좌변기 시트(14)가 벌어지는 것으로부터 좌변기 시트(14)의 제친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술한 회전각 조절부(50)는, 도 3과 도 6 및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힌지부(h)에 근접한 좌변기 시트(14)의 저면을 받쳐 지지하는 절곡부(50a)와 이 절곡부(50a)에서 연장되어 좌변기 시트(14)의 외측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제 1 힌지부(h)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굽은 지지대(50b) 및 절곡부(50a) 또는 지지대(50b)의 지지를 받아 좌변기 시트(14)가 절곡부(50a)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체결수단(52a, 52b, 52c)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대(50b) 상에는 걸림홈 또는 걸림홀(50c)을 형성하고, 상술한 걸림부(42c)는 가이드홀(42b)을 통과하여 위치하는 지지대(50b) 상의 걸림홈 또는 걸림홀(50c)에 베어링 볼이나 돌기 등이 탄력적으로 끼워져 지지대(50b)의 이동을 저지한다. 이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지대(50b)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제공하게 되며, 걸림부(42c)는 지지대(50b)상의 걸림홈 또는 걸림홀(50c)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회전각 조절부(50)에 의하면, 절곡부(50a)가 좌변기 시트(14)의 저면 부위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에 있고, 지지대(50b)의 단부는 가드(40)에 형성된 가이드홀(42b)와 받침판(20)의 절개부(28a)를 관통하여 좌변기 뚜껑(16)의 측면에 근접 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로부터 좌변기 시트(14)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지지대(50b)는 제 1 힌지부(h)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가이드홀(42b)의 안내를 받아 회전 위치되며, 지지대(50b) 상에 걸림홈 또는 걸림홀(50c)이 걸림부(42c)에 대응 위치될 때 좌변기 시트(14)를 포함한 회전각 조절부(50)의 위치 이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회전각 조절부(50)의 구성은, 제 1 힌지부(h)의 힌지 축 상에 그 회전각도를 조절토록 하는 별도의 조절수단을 대체하여 더 구비한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받침판(20)과 클램프(30)와 가드(40) 및 회전각 조절부(50)를 포함한 각 구성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변기 시트(14)에 대응하여 위생시트(S)를 안정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이룬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좌변기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여서도 그 적용 및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그 설치로부터 단순한 동작으로 좌변기 시트의 상부표면을 위생시트로 정렬되게 덮어 사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위생적이며, 주위에 습한 환경에 대응하여 시트덮개가 장착된 위생시트를 덮어 보호함으로써 위생시트가 불필요하게 버려지는 것이 방지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 다.

Claims (17)

  1. 제 1 힌지부에 의해 좌변기 뚜껑과 함께 좌변기 본체에 힌지 연결된 좌변기 시트의 상부표면에 대응하여 인출되는 위생시트가 정렬되어 덮이도록 하는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에 있어서,
    전면은 상기 위생시트를 대면하여 지지하고, 배면은 상기 좌변기 뚜껑의 전면과 대면하여 놓이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상기 좌변기 뚜껑의 전면에 밀착되게 고정하는 클램프; 및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부위에 제 2 힌지부로 연결되어 그 회전 위치에 따라 대응 위치된 상기 위생시트 가장자리의 부위를 상기 받침판에 밀착되게 지지하며 상기 제 2 힌지부를 포함한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소정 부위와 이에 대응하는 부위에 구비된 락킹부에 의해 상기 받침판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가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시트는 좌변기 시트의 상부표면에 대응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한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연장한 형상의 목부로 구분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매수가 상호 포개어져 상기 목부의 말단부위에 바인딩이 이루어지고, 이렇게 바인딩한 부위가 상기 제 1 힌지부에 근접하도록 상기 받침판과 가드 사이에 놓이고,
    상기 제 2 힌지부는 상기 위생시트의 바인딩 부위 양측으로 간격을 두고 그 힌지 축은 제 1 힌지부의 힌지 축과 근접되어 나란하며,
    상기 제 2 힌지부 사이의 상기 가드에는 상기 받침판과 결합함에 의해 상기 받침판에 지지되는 상기 위생시트의 목부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장축 방향 최대 폭 길이가 425~550㎜의 범위로 하고, 단축 방향 최대 폭 길이는 300~450㎜의 범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부에 근접한 상기 받침판에는 하측으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절개한 형상의 절개부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좌변기 뚜껑의 전면 중 제 1 힌지부에 접하는 상기 받침판의 하측 단부에서 상기 좌변기 뚜껑에 마련된 돌기에 접하는 위치 이하의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양측 절개부 사이의 상기 받침판은 상기 좌변기 뚜껑의 전면과 상기 제 1 힌지부에 접하도록 경사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부 사이에 있는 상기 가드의 하측 부위는 상기 경사부의 말단 부위에 근접하도록 굽어진 형상의 가압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말단 부위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가압부의 상호 대면하는 표면은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배면에는 상기 좌변기 뚜껑의 전면에 대하여 지지를 받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양측 가장자리 부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는 두께와 일정한 폭 및 길이를 이루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 단부에 관통홀의 주연에 지지를 받도록 확장된 형상의 머리부로 이루어진 유연한 재질의 것으로서,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몸체부의 일면은 상기 좌변기 뚜껑의 배면에 감싸는 형상으로 밀착되게 굽어지며,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양면테이프를 구비하여 상기 좌변기 뚜껑과 접착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부에 체결홀을 형성하고 이 체결홀에 체결구로 가압 고정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가장자리 부위를 외측으로 더 연장하여 연장된 부위가 배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받침판의 연장된 부위를 통해 상기 좌변기 뚜껑을 가압하는 체결구 또는 상기 받침판의 양측 연장된 부위를 연결하는 밴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는 가장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 유연한 재질의 시트가리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호 접하는 상기 가드와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상호 밀착되게 회전 위치된 상태가 유지되게 체결하는 락킹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호 근접 대면하는 상기 받침판과 가드 중 어느 하나에 걸림턱 또는 돌기를 형성하고, 이에 대면하는 상대측에 그에 부합하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하여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호 근접 대면하는 상기 받침판과 가드 중 어느 하나에 버튼에 의해 동작하는 걸림턱 또는 돌기를 형성하고, 이에 대면하는 상대측에 그에 부합하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 시트와 상기 가드 사이에는 상기 좌변기 시트에 고정되고 상기 가드에 지지되어 상기 좌변기 시트의 회전 위치를 제한하도록 하는 회전각 조절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 조절부는 상기 제 1 힌지부에 근접한 상기 좌변기 시트의 저면에 접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일단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상기 좌변기 시트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한 지지대; 및 상기 절곡부 또는 상기 지지대의 지지를 받아 상기 좌변기 시트를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KR1020050078090A 2005-08-25 2005-08-25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KR100733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090A KR100733670B1 (ko) 2005-08-25 2005-08-25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090A KR100733670B1 (ko) 2005-08-25 2005-08-25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837A KR20070023837A (ko) 2007-03-02
KR100733670B1 true KR100733670B1 (ko) 2007-06-28

Family

ID=3809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090A KR100733670B1 (ko) 2005-08-25 2005-08-25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938A (ko) 2015-08-18 2017-03-02 유황훈 바로 앉는 좌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0448A (zh) * 2010-09-28 2011-01-12 邬志敏 用于座便器垫圈的垫纸、垫纸收纳装置及其使用方法
CN103690095A (zh) * 2013-12-30 2014-04-02 贵州德宏科技有限公司 带坐垫纸装载结构的马桶
CN103908185B (zh) * 2014-04-11 2016-05-04 江门市地尔汉宇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带座盖的座椅型电子座便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057B1 (ko) * 1993-06-10 1997-04-12 . 변좌쉬트 공급장치
JPH09201313A (ja) * 1996-01-29 1997-08-05 Junko Kijima ワンタッチでシート取り出し可能なプッシュ式開閉便座
KR100364167B1 (ko) 1999-11-17 2002-12-16 양승룡 좌변기의 위생지 수납함
KR20050061891A (ko) * 2003-12-18 2005-06-23 박인구 좌변기용 위생시트커버 조립체
KR100583825B1 (ko) 2004-03-17 2006-05-25 박인구 좌변기용 위생시트커버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057B1 (ko) * 1993-06-10 1997-04-12 . 변좌쉬트 공급장치
JPH09201313A (ja) * 1996-01-29 1997-08-05 Junko Kijima ワンタッチでシート取り出し可能なプッシュ式開閉便座
KR100364167B1 (ko) 1999-11-17 2002-12-16 양승룡 좌변기의 위생지 수납함
KR20050061891A (ko) * 2003-12-18 2005-06-23 박인구 좌변기용 위생시트커버 조립체
KR100583825B1 (ko) 2004-03-17 2006-05-25 박인구 좌변기용 위생시트커버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938A (ko) 2015-08-18 2017-03-02 유황훈 바로 앉는 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837A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670B1 (ko) 좌변기용 위생시트 커버 조립체
JP4893285B2 (ja) シートカバー被覆構造
US20040206867A1 (en) Device for supporting bathroom accessories and the like
USD485337S1 (en) Combination toilet seat and bidet set
US20080016607A1 (en) Liquid shiel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 toilet seat
US5669081A (en) Self-locking toilet seat cover
EP2014209A2 (en) Toilet seat elevator assembly
US6027091A (en) Curtain clip
JP5465441B2 (ja) 便器
USD474098S1 (en) Portions of a clamp bracket assembly for use with push button latch and lock operating assemblies
US20020194672A1 (en) Deflector arrangements
KR101173685B1 (ko) 좌변기시트 위생카바 공급장치
EP1588657A3 (de) Vorrichtung zur Erhöhung der Sitzhöhe auf einem Klosett
KR200220274Y1 (ko) 휴지걸이
KR100583825B1 (ko) 좌변기용 위생시트커버 조립체
KR20190057906A (ko)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US20220304526A1 (en) Installation and Reinforcement Pads for a Toilet Seat
GB2265084A (en) Wall-mounted retaining strip for shower curtain edge
USD520618S1 (en) Disposable toilet seat cover
JP4985932B2 (ja) 家具
KR970075174A (ko) 도어인사이드핸들의 에스커션장착구조
KR200225680Y1 (ko) 자동차용 페달 커버
JP4336666B2 (ja) 取手取付装置
JP3016971U (ja) 簡易便所用糞尿処理袋
JP2004350960A (ja) 浴槽用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