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586B1 -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 - Google Patents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586B1
KR100733586B1 KR1020060118534A KR20060118534A KR100733586B1 KR 100733586 B1 KR100733586 B1 KR 100733586B1 KR 1020060118534 A KR1020060118534 A KR 1020060118534A KR 20060118534 A KR20060118534 A KR 20060118534A KR 100733586 B1 KR100733586 B1 KR 100733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ainwater
shaft
drive shaft
out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주)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석 filed Critical (주)해석
Priority to KR1020060118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6Pneumatic sewage disposal system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 E03F1/007Pneumatic sewage disposal system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for public or mai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는 차량의 하중을 이용하여 구동축(6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동력저장장치(80)를 이용하여 동력을 일차 저장하여 펌프(100)가 균일하게 작동되도록 할 뿐 아니라, 플로터(130)와 클러치를 이용하여 많은 양의 비가 왔을 때만 펌프(100)를 작동시켜 우수를 강제배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도로의 양측에 구비된 집수정의 배수를 촉진시켜, 많은 비가 오더라도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으면서도 펌프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Road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도로구조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의 회전제한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의 동력저장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의 플로터를 도시한 요부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의 클러치를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의 펌프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배수구를 갖는 공공 배수라인의 승강블록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집수정, 20; 우수배출관,
30; 승강블록, 31; 랙기어,
40; 스프링, 50; 피니언기어,
60; 구동축, 61; 래칫,
70; 회전제한장치, 80; 동력저장장치,
81; 하우징, 82; 태엽,
83; 회전축, 90; 변속장치,
100; 펌프
본 발명은 펌프를 이용하여 강제배수를 하여 배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펌프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된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통행을 하는 도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을 포장하여 구성된 도로면(12)과, 이 도로면(12)의 양측에 매입설치되어 우수를 수집하는 집수정(10)과, 이 집수정(10)에 연결되어 수집된 우수를 하수도로 배출하는 우수배출관(20)이 구비된 것으로, 도로면(12)에 내린 우수는 도로면(12)의 측면을 따라 구비된 도시안된 우수받이덕트에 의해 상기 집수정(10)에 수집된 후, 우수배출관(20)을 통해 하수도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도로는 자연적인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도로면(12)에 내린 우수를 배수하므로, 배수량이 작고,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로의 양측에 구비된 집수정의 배수를 촉진시켜, 많은 비가 오더라도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으면서도 펌프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된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을 포장하여 구성된 도로면(12)과, 이 도로면(12)의 양측에 매입설치되어 우수를 수집하는 집수정(10)과, 이 집수정(10)에 연결되어 수집된 우수를 하수도로 배출하는 우수배출관(20)이 구비된 도로구조에 있어서, 상측에 개구부(34)가 형성되며 상기 도로면(12)에 삽입설치되는 하우징(32)과; 이 하우징(32)에 상단이 상측으로 출몰되도록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일측에는 랙기어(31)가 하향연장된 승강블록(30)과; 이 승강블록(30)의 하측에 연결되어 승강블록(30)을 상승가압하는 스프링(40)과; 상기 랙기어(31)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50)와; 피니언기어(50)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래칫(61)을 통해 상기 피니언기어(50)에 연결되어 상기 랙기어(31)의 하강시에만 정회전되는 구동축(60)과; 이 구동축(60)에 결합되어 구동축(60)이 정회전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회전제한장치(70)와;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중심축선상의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축(6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공(81a)이 형성된 하우징(81)과, 고탄성 강판을 나선형으로 말아 중심단(82a)과 외측단(82b)을 갖도록 구성되어 하우징(81)에 내설되며 중심단(82a)은 하우징(81)의 내부로 연장된 구동축(60)에 연결되고 외측단(82b)은 하우징(8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태엽(82)과, 상기 구동축(60)과 동축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우징(81)의 외측에 결합되어 하우징(81)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83)이 구비되어, 구동축(60)의 회전력을 회전축(83)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태엽(82)이 압축되어 구동축(60)의 회전력을 일차 저장할 수 있도록 된 동력저장장치(80)와; 상기 회전축(83)에 결합되는 마찰판(121)과, 이 마찰판(121)에 동심축선상에 배치되는 클러치판(122)과, 상기 마찰판(121)과 클러치판(122)의 사이에 배치되어 마찰판(121)과 클러치판(122)이 상호 이격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123)과, 상기 클러치판(122)에 스프라인결합된 출력축(124)과, 상기 클러치판(122)의 배면에 밀착되어 회전시 클러치판(122)을 마찰판(121) 쪽으로 가압하여 클러치판(122)과 마찰판(121)이 상호 밀착되도록 하는 캠축(125)과, 이 캠축(125)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동레버(126)와, 상기 마찰판(121)과 클러치판(122)의 외부에 결합되며 브라켓(128)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하우징(127)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레버(126)를 회동시키면 상기 캠축(125)에 의해 클러치판(122)이 마찰판(121)에 밀착되어 회전축(83)의 구동력이 출력축(124)으로 전달되도록 된 클러치기구(120)와; 상기 집수정(10)의 내부에 회동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클러치기구(120)의 회동레버(126)에 연결되어 승강시 회동레버(126)을 회동시키는 회동아암(131)과, 이 회동아암(131)의 선단부에 구비된 부력체(132)로 이루어져, 집수정(10) 내부의 수위에 따라 회동아암(131)이 회동승강되면서 클러치기구(120)를 작동시키는 플로터(130)와; 상기 클러치기구(120)의 출력축(124)에 연결되는 변속기어와 출력축(92)이 구비되어 클러치기구 출력축(124)의 회전속도를 증속시키는 변속장치(90)와; 상기 변속장치(90)의 출력축(92)에 연결된 임펠러(103)를 갖으며 상기 집수정(10)에 내장되어 집수정(10)에 수집된 우수를 상기 우수배출관(20)으로 강제 배출하는 펌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내지 도 9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는 도로면(12)의 인근에 매입설치되어 우수를 수집하는 집수정(10)과, 이 집수정(10)에 연결되어 수집된 우수를 배출하는 우수배출관(20)이 구비된 공공배수관에 구비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집수정(10)은 도로면(12)의 양측에 구비되며, 집수정(10)의 측면에는 도시안된 우수받이덕트에 연결되는 개구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도로구조에는 상측에 개구부(34)가 형성되며 상기 도로면(12)에 삽입설치되는 하우징(32)과, 이 하우징(32)에 상단이 상측으로 출몰되도록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일측에는 랙기어(31)가 하향연장된 승강블록(30)과; 이 승강블록(30)의 하측에 연결되어 승강블록(30)을 상승가압하는 스프링(40)과; 상기 랙기어(31)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50)와, 래칫(61)을 통해 상기 피니언기어(50)에 연결되어 상기 랙기어(31)의 하강시에만 정회전되는 구동축(60)과; 이 구동축(60)에 결합되어 구동축(60)이 정회전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회전제한장치(70)와; 원통형으로 구성된 하우징(81)과, 하우징(81)에 내설되어 상기 구동축(60)에 연결되는 태엽(82)과, 상기 하우징(81)에 결합되어 하우징(81)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83)이 구비된 동력저장장치(80)와; 상기 회전축(83)에 연결되며 일측에 출력축(124)이 구비되어 작동에 따라 회전축(83)과 출력축(124)의 연결을 단속하는 클러치기구(120)와; 상기 집수정(10)의 내부에 회동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클러치기구(120)에 연결되어 승강작동에 따라 클러치기구(120)를 조작하는 회동아암(131)과, 이 회동아암(131)의 선단부에 구비된 부력체(132)를 포함하는 플로터(130)와, 상기 클러치기구(120)의 출력축(124)에 연결된 변속장치(90)와, 이 변 속장치(90)의 출력축(92)에 연결되며 상기 집수정(10)에 내장되어 집수정(10)에 수집된 우수를 상기 우수배출관(20)으로 강제 배출하는 펌프(1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32)은 승강블록(30)을 비롯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강도가 높은 강철케이스로 제작된다.
상기 승강블록(30)은 상기 하우징(32)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상단이 도로(12)의 상면으로 상단이 노출되어, 도로(12)를 운행하는 차량이 그 상부를 통과할 때, 차량의 하중에 이해 하측으로 눌려 하강되는 것으로, 차량이 상부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압력과 충격을 견딜 수 있는 합성고무재질로 구성된다. 이때, 이 승강블록(30)의 하단에는 도시안된 금속재질의 프레임이 구비되어, 이 프레임에 상기 랙기어(31)가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40)은 압축스프링으로서, 승강블록(30)의 하단과 하우징(32)의 내부 상면사이에 배치되어, 차량의 하중에 의해 하강된 승강블록(30)을 상승가압한다.
상기 피니언기어(50)는 랙기어(31)와 치합되어, 랙기어(31)의 승강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구동축(60)은 상기 하우징(32)의 내부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 구동축(60)과 피니언기어(50)를 연결하는 래칫(61)은 상기 구동축(60)에 축결합되는 래칫기어(62)와, 상기 피니언기어(50)에 구비되어 스프링(63)에 의해 상기 래칫기어(62)와 맞물리도록 탄성가압되는 키(64)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블록(30) 및 랙기어(31)가 하강될 때만, 상기 래칫기어(62)와 키(64)가 상호 맞물려 구동축(6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구동축(60)을 정회전시키고, 랙기어(31)가 상승될 때는 래칫기어(62)와 키(64)가 상호 결합해제되어, 피니언기어(50)가 공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승강블록(3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12)에 표시된 차선별로, 즉, 한차선에 승강블록(30)이 하나씩 배치되어, 각 차선을 통과하는 차량이 교대로 승강블록(30)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왕복 4차선으로 이루어진 도로(12)의 경우, 4개의 승강블록(30)을 각 차선에 대응되도록 도로(12)에 매입설치하여, 차선을 따라 통과하는 차량이 각 승강블록(30)을 교대로 작동시키므로써, 상기 구동축(60)이 지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제한장치(7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60)에 장착된 래칫기어(71)와, 브라켓(72)에 의해 위치고정된 하우징(73)에 장착되어 상기 래칫기어(71)와 치합되는 키(74)와, 이 키(74)를 탄성가압하는 스프링(75)으로 구성된 것으로, 구동축(60)이 정회전할 때는 상기 래칫기어(71)와 키(74)의 결합이 해지되어 구동축(60)이 회전되고, 구동축(60)이 역회전될 경우 래칫기어(71)와 키(74)가 치합되어 구동축(60)이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동력저장장치(8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엽(82)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블록(30)의 승강에 따라 불규칙하게 회전되는 구동축(60)의 회전력을 일차 저장하여, 지속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81)은 원통형으로 주물제작되어 지속적인 회전력을 발생 시키는 플라이휠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중심축선상의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축(60)이 삽입되는 관통공(81a)이 형성되며, 중심축선상의 타측면에는 상기 회전축(83)이 결합되는 브라켓(81b)이 형성된다. 상기 태엽(82)은 고탄성의 강판을 나선형으로 말아 중심부의 중심단(82a)과 외부의 외측단(82b)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외측단(82b)은 상기 하우징(81)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중심단(82a)은 관통공(81a)을 통해 하우징(81)의 내부로 연장된 구동축(60)의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축(83)은 하우징(81)의 브라켓(81b)에 선단부가 고정되어 하우징(81)과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60)과 하우징(81) 및 회전축(83)은 동일 중심축선상에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60)이 회전되면, 상기 태엽(82)이 압축되며, 이 태엽(82)이 풀리는 힘에 따라 하우징(81)이 회전된다. 그리고, 하우징(81)보다 구동축(60)이 빨리 회전될 경우, 상기 태엽(82)이 압축되면서 하우징(81)은 천천히 회전되며, 구동축(60)이 하우징(81)보다 천천히 돌때는 태엽(82)이 풀리면서 하우징(81)이 회전된다.
상기 클러치기구(12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83)에 결합되는 마찰판(121)과, 이 마찰판(121)에 동심축선상에 배치되는 클러치판(122)과, 상기 마찰판(121)과 클러치판(122)의 사이에 배치되어 마찰판(121)과 클러치판(122)이 상호 이격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123)과, 상기 클러치판(122)에 스프라인결합된 출력축(124)과, 상기 클러치판(122)의 배면에 밀착되어 회전시 클러치판(122)을 마찰판(121) 쪽으로 가압하여 클러치판(122)과 마찰판(121)이 상호 밀착되도록 하는 캠축(125)과, 이 캠축(125)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동레버(126)와, 상기 마찰판(121)과 클러치판(122)의 외부에 결합되며 브라켓(128)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하우징(127)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레버(126)를 회동시키면, 상기 캠축(125)에 의해 클러치판(122)이 마찰판(121)에 밀착되어 회전축(83)의 구동력을 출력축(124)으로 전달한다.
상기 플로터(130)의 회동아암(131)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정(10)의 내부에 구비된 브라켓(128)에 힌지결합되어, 집수정(10) 내부의 우수의 수위변화에 따라 승강되는 것으로, 기단부 일측에는 연장아암(134)이 구비되며, 이 연장아암(134)의 단부에 힌지결합된 연결바(135)가 상기 클러치기구(120)의 회동레버(126)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32)의 일측에는 상기 집수정(10)의 내부로 연장되는 돌출부(36)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바(135)는 이 돌출부(36)에 형성된 통공(37)을 통해 상기 회동레버(126)에 연결된다. 상기 부력체(132)는 내부가 빈 플라스틱볼로 구성되어, 회동아암(131)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정(10) 내부의 수위가 낮은 상태에서는 상기 플로터(130)의 회동아암(131)이 하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상기 클러치기구(120)의 마찰판(121)과 클러치판(122)은 상호 이격되어 동력을 차단한다(도 8의 a). 그리고, 상기 집수정(10) 내부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부력체(132)에 의해 회동아암(131)이 회동상승되어 상기 연결바(135)를 잡아당기고, 이에따라 상기 회동레버(126)와 캠축(125)이 회전되어, 클러치판(122)이 마찰판(121)에 밀착되므로써, 회전축(83)의 회전력이 상기 출력축(124)으로 전달된다(도 8의 b).
상기 변속장치(90)는 하우징(91)의 내부에 상기 클러치기구(120)의 출력축(124)에 연결되는 변속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83)의 회전속도를 증속시키는 것으로, 그 하단에서 수평바향으로 연장되는 출력축(92)이 상기 펌프(100)의 구동축(102)에 연결된다.
상기 펌프(100)는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집수정(10)에 삽입설치되는 하우징(101)과, 구동축(102)이 구비되며 하우징(101)에 내설된 임펠러(103)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하우징(101)의 측면에는 상기 우수배출관(20)과 연결되는 배출구(10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정(10)으로 수집된 우수는 하우징(101)의 상측 개방부를 통해 임펠러(103)로 공급되어 임펠러(103)가 회전되면, 원심력에 의해 상기 배출구(104)로 강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1)의 하측에는 상기 임펠러(103)의 구동축(102)이 연장되는 별도의 기계실(105)이 구비되며, 상기 변속장치(90)의 출력축(92)은 상기 하우징(101)의 측면을 관통하여 기계실(105)로 연장되어, 배벨기어(106)로 펌프(100)의 구동축(102)에 연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펌프형 배수구를 갖는 공공 배수라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로(12)를 통행하는 차량의 타이어(110)가 상기 승강블록(30)을 밟아 하측으로 누르면, 상기 랙기어(31)가 하강되면서, 피니언기어(50)가 정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래칫(61)에 의해 구동축(60)이 정회전되면서, 구동축(60)에 연결된 동력저장장치(80)의 태엽(82)이 압축되고, 이에따라 하우징(81)이 회전되어, 상기 변속장치(90)를 통해 펌프(100)의 임펠러(103)를 회전키다. 따라서, 집수정(10)에 모인 우수가 우수배출관(20)로 강제 배출된다.
그리고, 차량의 타이어(110)가 상기 승강블록(30)의 상측을 완전히 통과하면, 상기 스프링(40)에 의해 승강블록(30)이 상승되며, 이때, 래칫(61)의 작용에 의해 래칫(61)은 공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60)은 회전제한장치(70)에 의해 역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81)은 상기 승강블록(30)이 하강될 때 압축된 태엽(82)의 힘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도로(12)를 통행하는 차량의 타이어(110)가 상기 승강블록(30)을 밟아 하측으로 누르는 동작이 반복되면서, 상기 태엽(82)이 지속적으로 압축되어, 태엽(82)의 탄성력에 의해 동력저장장치(80)의 하우징(81)이 지속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펌프(100)의 임펠러(103)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집수정(10)의 우수의 수위가 낮을 경우, 상기 플로터(130)와 클러치기구(120)의 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축(83)의 회전력이 상기 펌프(100)로 전달되지 않고 차단되어, 펌프(100)가 작동되지 않으며, 많은 양의 비가 내려서 집수정(10) 내부의 우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플로터(130)와 클러치기구(120)에 의해 회전축(83)의 회전력이 상기 펌프(100)에 전달되어 펌프(100)가 작동되어 집수정(10) 내부의 우수를 강제로 배출시킨다.
이와같이 구성된 펌프형 배수구를 갖는 공공 배수라인은 차량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펌프(100)를 작동시키므로써, 집수정(10)에 모인 빗물을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배수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한꺼번에 많은 비가 오더라도 모두 배수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이 불규직한 간격으로 상기 승강블록(30)의 상면을 통과함에 따라, 상기 구동축(60)이 불규직한 패턴으로 회전되고, 이에따라 상기 펌프(100)의 임팰러가 불규칙한 회전을 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상기 동력저장장치(80)를 이용하여, 차량이 통과할 때 발생되는 회전력을 일차 저장하여, 균일하게 펌프(10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펌프(100)의 작동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터(130)와 클러치를 이용하여, 비가 내리지 않거나, 비가 내리더라도 충분히 자연배수가 가능한 정도의 비가 내릴 경우, 상기 펌프(100)가 작동되지 않고, 많은 양의 비가 내려 자연배수로는 원활한 배수가 불가능할 경우, 펌프(100)를 작동시켜 우수를 강제배출시키므로써, 펌프(100)의 사용빈도를 낮춰 펌프(100)의 수명을 늘릴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조한 상태에서 펌프(100)가 불필요하게 작동되어, 패킹등 펌프(100)의 각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는 차량의 하중을 이용하여 구동축(6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동력저장장치(80)를 이용하여 동력을 일차 저장하여 펌프(100)가 균일하게 작동되도록 할 뿐 아니라, 플로터(130)와 클러치를 이용하여 많은 양의 비가 왔을 때만 펌프(100)를 작동시켜 우수를 강제배 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도로의 양측에 구비된 집수정의 배수를 촉진시켜, 많은 비가 오더라도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으면서도 펌프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을 포장하여 구성된 도로면(12)과, 이 도로면(12)의 양측에 매입설치되어 우수를 수집하는 집수정(10)과, 이 집수정(10)에 연결되어 수집된 우수를 하수도로 배출하는 우수배출관(20)이 구비된 도로구조에 있어서,
    상측에 개구부(34)가 형성되며 상기 도로면(12)에 삽입설치되는 하우징(32)과;
    이 하우징(32)에 상단이 상측으로 출몰되도록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일측에는 랙기어(31)가 하향연장된 승강블록(30)과;
    이 승강블록(30)의 하측에 연결되어 승강블록(30)을 상승가압하는 스프링(40)과;
    상기 랙기어(31)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50)와;
    피니언기어(50)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래칫(61)을 통해 상기 피니언기어(50)에 연결되어 상기 랙기어(31)의 하강시에만 정회전되는 구동축(60)과;
    이 구동축(60)에 결합되어 구동축(60)이 정회전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회전제한장치(70)와;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중심축선상의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축(6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공(81a)이 형성된 하우징(81)과, 고탄성 강판을 나선형으로 말아 중심단(82a)과 외측단(82b)을 갖도록 구성되어 하우징(81)에 내설되며 중심단(82a)은 하우징(81)의 내부로 연장된 구동축(60)에 연결되고 외측단(82b)은 하우징(8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태엽(82)과, 상기 구동축(60)과 동축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우징(81)의 외측에 결합되어 하우징(81)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83)이 구비되어, 구동축(60)의 회전력을 회전축(83)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태엽(82)이 압축되어 구동축(60)의 회전력을 일차 저장할 수 있도록 된 동력저장장치(80)와;
    상기 회전축(83)에 결합되는 마찰판(121)과, 이 마찰판(121)에 동심축선상에 배치되는 클러치판(122)과, 상기 마찰판(121)과 클러치판(122)의 사이에 배치되어 마찰판(121)과 클러치판(122)이 상호 이격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123)과, 상기 클러치판(122)에 스프라인결합된 출력축(124)과, 상기 클러치판(122)의 배면에 밀착되어 회전시 클러치판(122)을 마찰판(121) 쪽으로 가압하여 클러치판(122)과 마찰판(121)이 상호 밀착되도록 하는 캠축(125)과, 이 캠축(125)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동레버(126)와, 상기 마찰판(121)과 클러치판(122)의 외부에 결합되며 브라켓(128)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하우징(127)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레버(126)를 회동시키면 상기 캠축(125)에 의해 클러치판(122)이 마찰판(121)에 밀착되어 회전축(83)의 구동력을 출력축(124)으로 전달하는 클러치기구(120)와;
    상기 집수정(10)의 내부에 회동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클러치기구(120)의 회동레버(126)에 연결되어 승강시 회동레버(126)을 회동시키는 회동아암(131)과, 이 회동아암(131)의 선단부에 구비된 부력체(132)로 이루어져, 집수정(10) 내부의 수위에 따라 회동아암(131)이 회동승강되면서 클러치기구(120)를 작동시키는 플로터(130)와;
    상기 클러치기구(120)의 출력축(124)에 연결되는 변속기어와 출력축(92)이 구비되어 클러치기구 출력축(124)의 회전속도를 증속시키는 변속장치(90)와;
    상기 변속장치(90)의 출력축(92)에 연결된 임펠러(103)를 갖으며 상기 집수정(10)에 내장되어 집수정(10)에 수집된 우수를 상기 우수배출관(20)으로 강제 배출하는 펌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
KR1020060118534A 2006-11-28 2006-11-28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 KR100733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534A KR100733586B1 (ko) 2006-11-28 2006-11-28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534A KR100733586B1 (ko) 2006-11-28 2006-11-28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586B1 true KR100733586B1 (ko) 2007-06-28

Family

ID=38373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534A KR100733586B1 (ko) 2006-11-28 2006-11-28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58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775B1 (ko) 2014-03-04 2014-06-17 (주)한도엔지니어링 도로표면의 다기능 배수라인을 갖는 도로구조
CN108532737A (zh) * 2018-07-12 2018-09-14 义乌市满旺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防堵塞渗水处理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905810B1 (ko) * 2018-02-27 2018-10-08 (주)경림엔지니어링 도로표면의 다기능 배수라인을 갖는 도로구조
CN111561036A (zh) * 2020-06-04 2020-08-21 陈文娟 一种自增压除杂的卵形槽排水渠结构
CN112482532A (zh) * 2020-12-03 2021-03-12 何陆灏 一种土木工程道路排水装置
CN113529910A (zh) * 2021-07-13 2021-10-22 浙江工业大学 一种基于超声多普勒效应的智能窨井盖
CN114857029A (zh) * 2022-05-27 2022-08-05 山东天元信息技术集团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排涝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039Y1 (ko) * 2003-02-28 2003-05-22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배수 박스를 이용한 보행자 도로 시설물
KR100529500B1 (ko) * 2002-12-04 2005-11-22 (주)한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500B1 (ko) * 2002-12-04 2005-11-22 (주)한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KR200314039Y1 (ko) * 2003-02-28 2003-05-22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배수 박스를 이용한 보행자 도로 시설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775B1 (ko) 2014-03-04 2014-06-17 (주)한도엔지니어링 도로표면의 다기능 배수라인을 갖는 도로구조
KR101905810B1 (ko) * 2018-02-27 2018-10-08 (주)경림엔지니어링 도로표면의 다기능 배수라인을 갖는 도로구조
CN108532737A (zh) * 2018-07-12 2018-09-14 义乌市满旺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防堵塞渗水处理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561036A (zh) * 2020-06-04 2020-08-21 陈文娟 一种自增压除杂的卵形槽排水渠结构
CN111561036B (zh) * 2020-06-04 2021-12-21 毛飞燕 一种自增压除杂的卵形槽排水渠结构
CN112482532A (zh) * 2020-12-03 2021-03-12 何陆灏 一种土木工程道路排水装置
CN113529910A (zh) * 2021-07-13 2021-10-22 浙江工业大学 一种基于超声多普勒效应的智能窨井盖
CN114857029A (zh) * 2022-05-27 2022-08-05 山东天元信息技术集团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排涝系统
CN114857029B (zh) * 2022-05-27 2024-04-16 山东天元信息技术集团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排涝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586B1 (ko) 배수처리가 용이한 도로구조
US20200147618A1 (en) Small waste material processing device
KR100733579B1 (ko) 펌프형 배수구를 갖는 공공 배수라인
CN110952629B (zh) 一种土木建筑用管道
CN215630528U (zh) 一种市政水利用道路积水排水装置
CN113289400A (zh) 一种用于房建现场的节能型生活污水处理装置
CN110409253B (zh) 一种带有过滤收集功能的雨水边沟
CN110499733B (zh) 一种道路标线清洗拖车
CN205462419U (zh) 土木建筑工程施工废料环保处理装置
CN217580044U (zh) 一种可对瓶体钻孔的水利工程用河道垃圾清理装置
CN201756736U (zh) 自动排污污水管道
CN216839643U (zh) 一种城市河道淤泥高效清理装置
CN111747563A (zh) 一种厨房用油水分离设备
CN114412089B (zh) 一种屋面防水系统
CN214061869U (zh) 一种具有疏通机构的土地整治用排水装置
KR101406775B1 (ko) 도로표면의 다기능 배수라인을 갖는 도로구조
CN218474925U (zh) 一种污水处理用排泥装置
CN203083291U (zh) 一种雨伞脱水桶
CN206844157U (zh) 防堵排水井盖
CN111549887A (zh) 一种智能市政窨井排水系统
CN211273715U (zh) 一种用于资源与环境技术的污水处理装置
CN110698033B (zh) 一种河道淤泥快速处理设备
CN215924722U (zh) 一种水利工程污泥处理装置
CN220097372U (zh) 一种移动式垃圾转运箱体
CN113955348B (zh) 一种家居生活用厨房垃圾智能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