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398B1 - 다리 교정기구 - Google Patents

다리 교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398B1
KR100733398B1 KR1020060065257A KR20060065257A KR100733398B1 KR 100733398 B1 KR100733398 B1 KR 100733398B1 KR 1020060065257 A KR1020060065257 A KR 1020060065257A KR 20060065257 A KR20060065257 A KR 20060065257A KR 100733398 B1 KR100733398 B1 KR 100733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holding
members
holding members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434A (ko
Inventor
박준일
Original Assignee
박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일 filed Critical 박준일
Publication of KR20070008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 교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다리가 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을 예방하고 곧은 다리로 인한 각선미의 향상을 위해 대퇴부와 정강이가 양쪽으로 벌어져 O형으로 휜 다리를 곧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한 다리 교정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리의 대퇴부 또는 정강이 바깥쪽에 밀착되는 압지부재들; 상기 압지부재들의 모서리를 관통하여 연결시키되, 그 단부에는 각각 단턱부가 형성된 가이드부재들; 상기 압지부재들의 외면과 상기 가이드부재들의 단턱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압지부재들 중, 어느 한쪽의 압지부재 일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압지부재를 일정간격 전,후진시킴으로써, 압지부재들의 간격을 조절가능하게 하는 간격조절수단; 상기 압지부재들에 감합되어서 상기 압지부재들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벨크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리, 교정

Description

다리 교정기구{Apparatus for leg r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기구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기구에서 간격조절수단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에서 간격조절수단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 교정기구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리 교정기구 12 : 압지부재
14 : 가이드부재 16 : 탄성스프링
20 : 벨크로 30 : 간격조절수단
32 : 지지부재 34 : 슬라이드부재
36 : 이송부재 40 : 조정나사
42 : 안착부
본 발명은 다리 교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퇴부와 정강이가 양쪽으로 벌어져 O형으로 휜 다리를 곧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한 다리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은 어려서부터 업혀서 크는 경우가 많아 성인이 된 후에 다리가 휜 경우가 많게 된다.
즉, 대퇴부와 정강이가 양쪽으로 벌어져서 다리 전체가 O형을 이루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다리가 휜 경우 어려서부터 바른자세를 취하면서 교정을 해주어야 하나, 바르지 못한 앉은 자세와 올바르지 못한 걸음걸이 등으로 인하여 성인이 된 이후에도 휜 다리가 굳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리가 휜 상태에서는 체중을 지탱하는 발 또한 벌어진 상태가 되는 바, 걷거나 뛰게 될 때 제대로 체중을 지지하여 주지 못하게 됨으로써, 척추에 무리가 생겨 디스크 등의 위험이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외모가 중시되는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곧은 다리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본 발명은, 다리가 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을 예방하고 곧은 다리로 인한 각선미의 향상을 위해 대퇴부와 정강이가 양쪽으로 벌어져 O형으로 휜 다리를 곧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한 다리 교정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리의 대퇴부 또는 정강이 바깥쪽에 밀착되는 압지부재들; 상기 압지부재들의 모서리를 관통하여 연결시키되, 그 단부에는 각각 단턱부가 형성된 가이드부재들; 상기 압지부재들의 외면과 상기 가이드부재들의 단턱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압지부재들 중, 어느 한쪽의 압지부재 일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압지부재를 일정간격 전,후진시킴으로써, 압지부재들의 간격을 조절가능하게 하는 간격조절수단; 상기 압지부재들에 감합되어서 상기 압지부재들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벨크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지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압지부재 양측에는 감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압지부재 양쪽에는 감합공이 형성되어서, 상기 감합홈과 감합공에 대하여 벨크로가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어느 하나의 압지부재 일측 외면에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그 단부가 밀착되어 회전되는 조정나사와, 상기 조정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공이 형성되고, 안쪽으로는 슬라이드부재가 연장형성된 지지부재 와,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슬라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압지부재와 고정된 이송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조정나사의 끝단에는 둘레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나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요홈과 맞물리는 파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기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기구에서 간격조절수단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간격조절수단의 확대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기구(10)는 양쪽 대퇴부 또는 양쪽 정강이의 외측이 밀착되는 압지부재(12)들이 각각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가이드부재(14)들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압지부재(12)들의 각 모서리부에는 일정크기의 통공(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들 사이에 일정길이를 갖는 가이드부재(14)들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14)들의 각 단부에는 상기 압지부재(12)들의 통공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단턱부(14a)가 형성되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4)들이 압지 부재(12)들의 통공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예방된다.
또한, 상기 압지부재(12)들의 통공 바깥쪽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재(14)의 단턱부(14a) 내측 사이에는 가이드부재(14)의 일부를 감싸는 탄성스프링(16)이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스프링(16)의 탄성에 의해 양쪽의 압지부재(12)들은 서로 안쪽으로 밀리는 힘을 갖게 된다.
참고로, 상기 압지부재(12)들은 인체의 대퇴부나 정강이 외면 전체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압지부재(12)들 중 어느 하나의 압지부재의 중앙쪽 외면에는 압지부재들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수단(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간격조절수단(30)은 그 중앙에 슬라이드구멍(38)이 형성된 이송부재(36)와, 상기 이송부재(36)의 슬라이드구멍(38)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부재(34)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 암나사공(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된 지지부재(32)와, 상기 지지부재(32)의 암나사공과 체결되어서 회전됨에 따라 압지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되는 조정나사(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정나사(40)의 단부는 조절간격수단(30)이 설치되는 압지부재의 외면에 형성된 안착부(4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조정나사(40)의 단부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42)에는 상기 요홈을 인입되어 조정나사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파지편(4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정나사(4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압지부재(12)들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대퇴부나 정강이를 압박하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에 상술하기로 한다.
상기 압지부재(12)들과 간격조절수단(30)의 지지부재(32)에 걸쳐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명 찍찍이(22)가 형성된 벨크로(20)들에 의해 감겨지게 된다.
상기 압지부재(12)들 중, 어느 하나의 압지부재의 양측단에는 감합홈(12a)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압지부재의 양측에는 감함공(12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정길이를 갖는 벨크로(20)를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압지부재(12)들의 외측으로 감되, 어느 하나의 압지부재의 감합홈(12a)에는 걸림이 되도록 하면서 간격조절수단(30)의 지지부재(32) 외측을 감싸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압지부재의 감합공(12b)에는 삽입되면서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쉽게 분리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길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 벨크로(20)가 어느 하나의 압지부재의 감합공(12b)에 삽입되는 상태로 감겨져 있는 바, 쉽게 이탈이 되지 않고, 다른 하나의 압지부재의 감함홈(12a)에는 단지 걸림된 상태로 감겨져 있음으로 상기 벨크로(20)의 조임 또는 푸는 작용시 그 길이조절이 보다 용이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벨크로(20)에서 상기 압지부재들 중, 간격조절수단(30)의 지지부재(32)의 외면에 밀착되는 부위는 개방부(도면부호 미부여)를 형성함으로써, 조정나사(40)에 의해 그 감김에 걸림이 없도록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리 교정기구(10)를 사용하여 다리를 교정 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 교정기구(10)의 양쪽 압지부재들 사이에 교정하고자 하는 다리부위 즉, 대퇴부나 정강이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압지부재(12)들과 가이드부재(14)들의 단턱부(14a)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6)들이 개재되어 있는 바, 일정한 힘으로 압지부재(12)들을 안쪽으로 미는 힘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지부재(12)들 사이에 대퇴부나 정강이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압지부재(12)들은 탄성스프링(16)의 탄성에 의해 일정한 힘으로 안쪽으로 압박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탄성스프링(16)만으로는 그 압박되는 힘에 한계가 있게 되며,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힘만큼 벨크로(20)로서 조이면 된다.
즉, 상기 벨크로(20)를 당겨서 사용자가 견딜수 있는 만큼 조인상태로 찍찍이를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압지부재(12)들이 대퇴부 또는 정강이를 안쪽으로 압박하게 되는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일정시간 유지하거나 수면을 취함으로써, 점차적으로 휜 다리를 곧게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중간에 그 조임량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 즉 좀 더 세게 조이거나 아니면 그 조임량을 다소 느슨하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간격조절수단(30)을 이용하면 된다.
즉, 상기 조정나사(40)를 푸는 방향 또는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양쪽의 압지부재(12)들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양쪽의 압지부재(12)들 간격을 줄이고자 도 4에서와 같이, 조정나사(40)를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조정나사(40)와 체결되는 암나사공이 형성된 지지부재(32)는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에, 상기 지지부재(32)와 일체로 된 슬라이드 부재(34)가 이송부재(36)의 슬라이드 구멍(38)을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2)의 외면에 그 일단이 걸림되어 있는 벨크로(20)에 장력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간격조절수단(30)이 설치되지 않은 반대쪽의 압지부재가 도 4에서와 같이 안쪽으로 당겨지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간격조절수단(30)의 지지부재(32) 외면에도 벨크로(20)의 일단이 감겨져 있는 바, 조정나사(40)의 회전에 따라 바깥쪽으로 밀려나려는 지지부재(32)에 반력을 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지지부재(32)가 밀리는 힘에 비례하여 조정나사(40)가 안쪽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이 조정나사(40)와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압지부재 즉, 간격조절수단이 설치된 압지부재 또한 안쪽으로 조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정나사(40)의 회전에 따라 양쪽의 압지부재(12)가 모두 안쪽으로 간격이 좁혀지게 됨으로써, 인체의 대퇴부나 정강이를 더욱 더 조여주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조정나사(4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지지부재(40)와 일체로 된 슬라이드부재(34)가 이송부재(36)의 슬라이드 구멍(38)을 따라 안쪽으로 인입이 됨으로써, 벨크로의 장력을 다소 느슨하게 해줌으로써, 양쪽의 압지부 재들의 간격을 조금 넓혀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 교정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압지부재(12)들의 모서리에 관통설치되는 가이드부재(14)들을 뒤쪽에만 상하로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앞선 실시 예에서는 압지부재(12)들의 각 네 군데의 모서리에 가이드부재(14)를 관통설치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다리를 넣기 위해서는 위에서 아래로 다리를 삽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는 바, 뒤쪽의 상하에만 설치함으로써, 벨크로가 풀어진 상태에서 다리를 안착시키면 됨으로써, 그 착용이 더욱 간편해지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 상기 가이드부재(14)들을 압지부재(12)들의 앞쪽 상하에만 설치하고 뒤쪽 상하에는 설치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리 교정기구에 의하면, O다리로 휜 다리를 매우 용이하게 곧은 다리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양쪽의 탄성스프링에 의해 안쪽으로 조여주는 압지부재들 사이에 교정하고자 하는 대퇴부 또는 정강이를 끼워넣고, 벨크로로서 조여줌으로써, 점차적으로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 중 조임량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 간격조절수단을 이용하여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도 있다.

Claims (4)

  1. 다리의 대퇴부 또는 정강이 바깥쪽에 밀착되는 압지부재들;
    상기 압지부재들의 모서리를 관통하여 연결시키되, 그 단부에는 각각 단턱부가 형성된 가이드부재들;
    상기 압지부재들의 외면과 상기 가이드부재들의 단턱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압지부재들 중, 어느 한쪽의 압지부재 일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압지부재를 일정간격 전,후진시킴으로써, 압지부재들의 간격을 조절가능하게 하 는 간격조절수단;
    상기 압지부재들과 상기 간격조절수단에 감합되어서 상기 압지부재들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벨크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지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압지부재 양측에는 감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압지부재 양쪽에는 감합공이 형성되어서, 상기 감합홈과 감합공에 대하여 벨크로가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어느 하나의 압지부재 일측 외면에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그 단부가 밀착되어 회전되는 조정나사와, 상기 조정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공이 형성되고, 안쪽으로는 슬라이드부재가 연장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슬라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압지부재와 고정된 이송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나사의 끝단에는 둘레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나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요홈과 맞물리는 파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기구.
KR1020060065257A 2005-07-12 2006-07-12 다리 교정기구 KR100733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62805 2005-07-12
KR1020050062805 2005-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434A KR20070008434A (ko) 2007-01-17
KR100733398B1 true KR100733398B1 (ko) 2007-07-03

Family

ID=3801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257A KR100733398B1 (ko) 2005-07-12 2006-07-12 다리 교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222B1 (ko) * 2013-10-07 2015-07-22 최재주 자세 교정장치
KR101538223B1 (ko) * 2013-10-07 2015-07-22 최재주 자동제어되는 자세 교정장치
CN109793608B (zh) * 2019-03-18 2021-03-09 王海涛 一种可调节的骨科用夹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9715U (ko) 1987-09-07 1989-03-09
JPH0675428U (ja) * 1993-04-13 1994-10-25 輝夫 荒井 O脚自己矯正装置
JPH09192151A (ja) * 1996-01-18 1997-07-29 Katsumi Nakano 脚線矯正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9715U (ko) 1987-09-07 1989-03-09
JPH0675428U (ja) * 1993-04-13 1994-10-25 輝夫 荒井 O脚自己矯正装置
JPH09192151A (ja) * 1996-01-18 1997-07-29 Katsumi Nakano 脚線矯正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434A (ko)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3651C (en) Back support adjusting apparatus for chair with backrest having flexible upholstery
US20110257570A1 (en) Screw nail correcting apparatus
KR100733398B1 (ko) 다리 교정기구
US20180192780A1 (en) Anchoring apparatus for bedclothes
US8955200B2 (en) Secure adjustable orthotic device
KR200405993Y1 (ko) 발가락 교정기
KR101097106B1 (ko)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
KR20170064368A (ko) 척추교정기
CN206867320U (zh) 下颚可调式护颈圈
KR101649313B1 (ko) 허리 보호용 압박대
KR200457098Y1 (ko) 다리 교정장치
US20170273815A1 (en) Waist supporter structure with an auxiliary belt
JP5567788B2 (ja) 人体用加圧バンド
KR200298839Y1 (ko) 운동보조기구
JP5796826B2 (ja) ベルトのバックル及びこのバックルを備えたベルト
CN105848528A (zh) 具有保持机构的颈靠
KR200479899Y1 (ko)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
KR200426845Y1 (ko) 머리지지대가 구비된 병원용 보호자 침대
KR19990018498U (ko) 앉은자세 교정벨트
KR100604615B1 (ko) 다리 교정기
US3871637A (en) Stirrup assembly for examination table
KR101999513B1 (ko) 버클
CN215135418U (zh) 新生儿管路固定支架
KR20160046338A (ko) 척추 견인장치 조립체
KR200200598Y1 (ko) 자세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