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219B1 - 정보 단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단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219B1
KR100732219B1 KR1020057006338A KR20057006338A KR100732219B1 KR 100732219 B1 KR100732219 B1 KR 100732219B1 KR 1020057006338 A KR1020057006338 A KR 1020057006338A KR 20057006338 A KR20057006338 A KR 20057006338A KR 100732219 B1 KR100732219 B1 KR 100732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ored
storage medium
information terminal
interna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5009A (ko
Inventor
노리마사 히라마츠
히토시 구몬
다케히코 야스다
노리유키 마츠다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7Certifying or maintaining trusted computer platforms, e.g. secure boots or power-downs, version controls, system software checks, secure updates or assessing vulnerab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14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단말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카드(14)에 상기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와 정보 단말장치(10)에 그 시리얼번호(MID)를 등록하기 위한 MID 등록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정보 단말장치(10)의 기동시,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MID 등록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그 프로그램에 따라 메모리 카드(14)에 저장된 시리얼번호(MID)를 불휘발성의 플래시 ROM(30)에 기억한다. 그후 그 메모리 카드(14)로부터 MID 등록 프로그램을 소거함과 동시에, 정보 단말장치(10)에 다운로드된 SDRAM(32)상의 MID 등록 프로그램을 무효로 한다. 이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지면, 이후 그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가 다른 정보 단말장치(10)에 기억되는 것은 방지된다.

Description

정보 단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보 단말장치, 정보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방법,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매체, 소정 정보 변경 프로그램, 단말동작 프로그램, 단말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매체 및 센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기록 가능한 기억매체를 거쳐 배신에 의하여 정보 단말장치가 가지는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갱신시키는 데에 있어서 적합한 정보 단말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2-139326공보에는,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CD-ROM 등의 기억매체로부터 그 기억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인출하고, 그 프로그램을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켜, 그 내부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정보 단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갱신하기 위해서는, 먼저 갱신해야 할 새로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매체를 정보 단말장치에 장착하고,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을 투입한다. 그리고 정보 단말장치에 있어서, 이미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버전과, 새롭게 장착된 기억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 램의 버전이 비교되어, 새롭게 장착된 기억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쪽이 새로운 경우에, 그 기억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정보 단말장치에 판독되어 내부 메모리에겹쳐쓰기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시스템에 의하면, 버전업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매체를 정보 단말장치에 장착함으로써 정보 단말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종래의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갱신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미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버전과, 새롭게 장착된 기억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버전과의 비교결과에 따라 행하여진다. 이 경우에는 정보 단말장치에 새롭게 장착된 기억매체가, 다른 정보 단말장치에 이미 프로그램을 제공한 기억매체이어도 그 저장 프로그램이 정보 단말장치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버전보다도 새로운 버전을 가지고 있으면, 정보 단말장치에 기억시키는 프로그램의 갱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일단 자기의 정보 단말장치에 저장 프로그램이 인출된 기억매체가 다른 정보 단말장치에 장착되면, 그 기억매체로부터 다른 정보 단말장치에의 프로그램의 제공이 용이하게 행하여지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버전업된 프로그램의 제공을 유료로 행하는 비지니스가 성립하지 않는 사태가 생긴다.
본 발명은 하나의 기억매체로부터 복수의 정보 단말장치에 소정의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단말장치, 정보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방법,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매체, 소정정보변경 프로그램, 단말동작 프로그램, 단말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매체 및 센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국면에 의하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기억매체로부터 도입되는 상기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기억하는 제 1 내부 메모리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제 2 국면에 의하면, 정보 단말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기억매체로부터 도입되는 상기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상기 정보 단말장치가 가지는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특정 정보 기억단계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제 3 국면에 의하면, 기억매체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정보 단말장치에,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도입하는 제 1 처리와, 상기 제 1 처리에 의하여 도입된 상기 특정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제 2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제 4 국면에 의하면, 청구항 19에 기재한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각 국면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에는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가 도입된다. 그리고 그 특정 정보는 정보 단말장치가 가지는 제 1 내부 메모리 또는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다. 이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지면, 이후 정보 단말장치는 기억매체가 장착되었을 때에 특정한 하나의 기억매체를 거친 정보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한편, 그것 이외의 기억매체를 거친 정보제공이 불가능하게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 단말장치가 정보제공을 받는 기억매체가 단 하나로 한정되고, 정보 단말장치와 기억매체가 1 대 1로 대응지어진다.
효과적으로는 상기 제 1 국면에 의한 정보 단말장치는,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특정 정보의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의 기억동작을 허가하여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 다음에는 상기 특정 정보의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의 기억동작을 금지·억제하는 기억동작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또 상기 제 2 국면에 의한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특정 정보 기억단계에 의한 상기 특정 정보의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의 기억동작을 허가하여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 다음에는 상기 특정 정보 기억 단계에 의한 상기 특정 정보의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의 기억동작을 금지·억제하는 기억동작 제어단계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여 정보 단말장치의 제 1 내부 메모리에 특정한 기억매체의 특정 정보가 기억된 다음에 다른 정보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기억매체의 특정 정보가 기억되는 것은 방지된다.
더욱 효과적으로는 상기 기억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특정 정보와는 다른 소정의 정보가 도입되기 전,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특정 정보의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의 기억동작을 허가한다. 또 상기 기억동작 제어단계에서는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정보 단말장치에 상기 특정 정보와는 다른 소정의 정보가 도입되기 전,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특정 정보의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의 기억동작이 허가된다. 이에 의하여 기억매체로부터 정보 단말장치에 소정의 정보가 도입되기 전에, 정보 단말장치가 정보제공을 받는 기억매체의 특정 정보를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억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도, 소정의 경우에 상기 특정 정보의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의 기억동작을 허가하여도 좋다. 또 상기 기억동작 제어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도 소정의 경우에 상기 특정 정보의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의 기억동작이 허가되어서 좋다. 이에 의하여 정보 단말장치가 정보제공을 받는 기억매체의 특정 정보가 일단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 다음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기억매체가 분실된 등의 소정의 경우에, 다시 정보 단말장치가 정보제공을 받는 기억매체의 특정 정보를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국면에 의하면, 정보 단말장치는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기억매체로부터 도입되는 상기 특정 정보와는 다른 소정의 정보를 기억하는 제 2 내부 메모리와, 이미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특정 정보와, 현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현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가 가지는 상기 소정의 정보로 개변하는 기억정보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정보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방법은, 정보 단말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기억매체로부터 도입되는 상기 특정 정보와는 다른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정보 단말장치가 가지는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소정의 정보 기억단계와, 이미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특정 정보와, 현시점에서 상기 정보 단말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정보 기억단계에 의하여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현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가 가지는 상기 소정의 정보로 개변하는 기억정보 제어단계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 5 국면에 의하면, 기억매체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정보 단말장치에, 이미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와, 현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처리와, 상기 제 1 처리에 의하여 양 특정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특정 정보와는 다른 소정의 정보를, 현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가 가지는 상기 소정의 정보로 개변하는 제 2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소정 정보 변경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제 5 국면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기억매체로부터 도입되는 특정 정보와는 다른 소정의 정보는, 정보 단말장치의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다. 그리고 이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정보는, 이미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특정 정보와 현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의 특정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그 현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가 가지는 소정의 정보로 개변된다. 따라서 자기의 정보 단말장치에 자기의 정보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기억매체로부터만 소정의 정보가 도입되기 때문에, 다른 정보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기억매체로부터 소정의 정보가 도입되는 것은 방지된다.
효과적으로는 정보 단말장치는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소정의 정보에 따른 동작을 행하는 정보 실행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억정보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상기 특정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황하에있어서 소정의 경우에, 현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가 가지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마찬가지로 정보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 정보 단말장치에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정보에 따른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정보 실행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억정보 제어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상기 특정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황하에 있어서 소정의 경우에, 상기 소정의 정보 기억단계에 의하여 현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가 가지는 상기 소정의 정보가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면 정보 단말장치를 제조하는 공장 내에 있어서의 검사 등의 정보 단말장치의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매체의 특정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황하에 있어서 소정의 경우에 정보 단말장치에 장착된 기억매체로부터 소정의 정보가 정보 단말장치에 도입되어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정보 단말장치를 소정의 정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제 6 국면에 의하면 기억매체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정보 단말장치에,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처리와, 상기 제 1 처리에 의하여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상기 특정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황하에 있어서 소정의 경우에 현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가 가지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제 2 처리와, 상기 제 2 처리에 의하여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정보에 따른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 3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단말동작 프로그램 및 그것을 저장하는 기억매체가 제공된다.
효과적으로는 정보 단말장치는,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소정의 정보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소정의 센터를 향하여 업로드하는 업로드수단을 더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정보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정보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보 단말장치로부터 소정의 센터를 향하여 업로드하는 업로드단계를 더 구비한다. 이에 의하여 정보 단말장치에 기억된 소정의 정보 변경에 관한 정보가 소정의 센터에 관리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정보 단말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가 소실된 경우에, 정보 단말장치는 센터에 관리되어 있는 소실시의 변경정보에 따른 소정의 정보를 도입할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제 7 국면에 의하면, 정보 단말장치로부터 업로드된 상기 정보 단말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정보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보관하는 정보 관리수단과, 소정의 경우에 상기 정보 관리수단에 관리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정보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수단을 구비하는 센터가 제공된다.
더욱 효과적으로는 정보 단말장치는,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가 도입된 상태에서 상기 기억매체가 비장착이라고 되었을 때, 기억매체의 장착을 촉구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착 환기수단을 더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정보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 정보 단말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가 도입된 상태에서 상기 기억매체가 비장착이라고 되었을 때, 기억매체의 장착을 촉구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착 환기단계를 더 구비한다. 이에 의하여 정보 단말장치가 소정의 정보의 실행처리를 행하는 데에 있어서의 정보 단말장치에의 기억매체의 장착이 촉진되고, 이 결과 기억매체의 분실이 방지된다.
이 경우, 상기 장착 환기수단은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하면 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장착 환기단계에서는 상기 정보 단말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하면 좋다.
본 발명의 제 8 국면에 의하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청구항 19에 기재한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도입수단과,
상기 도입수단에 의하여 도입된 상기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특정 정보를 상기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특정 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특정 정보 기억수단에 의하여 상기 내부 메모리에 상기 특정 정보가 기억된 후,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을 소거하는 프로그램 소거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본 국면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는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특정 정보를 도입하는 제 1 처리와, 제 1 처리에 의하여 도입된 특정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제 2 처리를 상기 정보 단말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을 도입한 후, 그 프로그램에 따라 장착된 기억매체로부터 특정 정보를 도입하여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그 다음에 그 기억매체로부터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을 소거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정보 단말장치에 기억매체의 특정 정보가 기억되면, 그 기억매체로부터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이 소거되기 때문에, 그후 그 기억매체로부터 정보 단말장치에의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의 제공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하나의 정보 단말장치에 특정 정보가 기억된 기억매체로부터 다른 정보 단말장치에 그 특정 정보가 도입되어 기억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정보 단말장치와 기억매체가 1대 1로 대응지어져, 하나의 기억매체에 의한 복수의 정보 단말장치에의 정보제공이 방지된다.
효과적으로는 상기 프로그램 소거수단은, 또 상기 도입수단에 의하여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도입된 상기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을 소거한다. 이에 의하여 하나의 기억매체로부터 도입된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에 따라서 그 하나의 기억매체의 특정 정보가 기억된 후에 그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이 소거되기 때문에, 일단 도입된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른 기억매체의 특정 정보의 기억이 가능하게 되는 사태가 방지된다.
또, 효과적으로는 상기 도입수단은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특정 정보와는 다른 소정의 정보가 도입되기 전에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이에 의하여 기억매체로부터의 소정의 정보의 도입이,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이 도입되어 특정 정보가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기 전에 행하여지는 것은 방지되고, 정보 단말장치에는 특정한 기억매체로부터만 소정의 정보가 도입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利點)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한층 명료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정보 단말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그램의 버전업을 행하기 위한 타임차트,
도 4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그램의 버전업을 행하기 위한 타임차트,
도 5는 본 실시예의 정보 단말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메인루틴의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실시예의 정보 단말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서브루틴의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실시예의 정보 단말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서브루틴의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실시예의 정보 단말장치에 있어서 기억매체의 시리얼 번호를 등록하도록 실행되는 제어루틴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는 정보 단말장치(10)와, 정보 단말장치(10)에 배신하는 정보 등을 관리하는 센터(12)를 구비하고 있고, 정보 단말장치(10)를 사용하여 차량 탑승자에 대하여 예를 들면 배신 지도 데이터의 제공이나 배신 음악의 연주 등의 서비스를 행하는 시스템이다.
정보 단말장치(10)는 예를 들면 SD(Secue Digital) 카드 등의 메모리 카드(14)가 삽입 가능한 메모리 카드 슬롯(도시 생략)을 가지고 있다. 메모리 카드 슬롯에는 메모리 카드(14)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메모리 카드(14)는 기억매체로서 소정의 기억용량을 가지고 있고, 정보 단말장치(10)를 동작시키는 데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이나, 센터(12)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 및 음악 데이터 중, 예를 들면 3000곡분의 곡명, 가수명 등을 기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 카드(14)는,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되어도 기록 불가능하게 하는 무리적인 물리적인 라이트 프로텍트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정보 단말장치(10)는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각종 프로그램이나 지도 데이터, 음악 데이터 등의 배신을 받고, 그 다음에는 그 배신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른 동작을 행한다.
또한, 정보 단말장치(10)에는 그 구입시의 부속품으로서 하나의 메모리 카드(14)가 부속된다. 이 때문에 정보 단말장치(10)는 통상 이 부속 메모리 카드(14)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의 배신을 받으나, 시판 메모리 카드(14)를 사용하여 배신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각 정보 단말장치(10)의 부속 메모리 카드(14) 및 시판메모리 카드(14) 모두에는 각 메모리 카드 고유의 식별번호[이하, 시리얼번호(MID)라 부른다]가 붙여져 있고, 그 시리얼번호(MID)가 저장되어 있다.
센터(12)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퍼스널 컴퓨터(16), 편의점 등에 설치된 키오스크 단말(18) 및 차량 판매점 등에 설치된 정보단말(20)에 통신 접속 가능하다. 센터(12)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음악 데이터 등이 갱신(버전업)될 때마다 적절하게 그 새로운 프로그램 등을 퍼스널 컴퓨터(16), 키오스크 단말(18) 및 정보단말(20)에 공급한다. 퍼스널 컴퓨터(16) 등은 메모리 카드(14)가 삽입 가능한 메모리 카드 슬롯을 가지고 있고, 메모리 카드 슬롯에 메모리 카드(14)가 장착되었을 때에 그 메모리 카드(14)에 갱신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정보 단말장치(10)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14)는, 퍼스널 컴퓨터(16), 키오스크 단말(18), 또는 정보단말(20)을 사용하여 저장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의 기록·겹쳐쓰기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센터(12)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있다. 센터(12)는 정보 단말장치(10)를 구입한 각 사용자의 회원번호와 사용자에게 배신이 끝난 프로그램의 버전을 대응시켜 관리하도록 그 기억부에 사용자 회원번호에 대응한 프로그램 버전을 기억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정보 단말장치(10)를 구입한 시점에서 제조회사측에 의하여 그 정보 단말장치(10)에 버전 "1.0"의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보 단말장치(10)의 첫회 기동시 등에 센터(12)에 대하여 사용자 등록이 행하여지면, 이후 센터(12)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의 버전은 "1.0"이 된다. 또 그후 사용자에 의하여 예를 들면 버전"2.0"에의 프로그램의 버전업처리가 행하여지면, 이후 센터(12)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의 버전은 "2.0"이 된다. 또 센터(12)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의 버전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구입한 프로그램의 버전(이하, 구입버전이라 함)과, 사용자의 정보 단말장치(10)에 실제로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버전(이하, 사용 버전이라 함)이 있다.
또, 정보 단말장치(10)는 데이터 통신 모듈(DCM)(22)을 구비하고 있고, DCM (22)에 의하여 센터(12)와 기존의 통신회선을 거쳐 직접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메모리 카드(14)는, DCM(22)을 동작시키는 데 필요한 DCM 프로그램을 프로그램으로서 기록 가능하게 되어 있다. DCM(22)은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DCM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됨으로써 동작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정보 단말장치(1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10)는 메인 CPU(도시 생략)와, 불휘발성 플래시 ROM(30)과, 차량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전력 공급되는 SDRAM(32)을 가지고 있다. 플래시 ROM(30)에는 정보 단말장치(10)의 전원투입시에 실행되는 부트 로더가 미리 조립되어 있다. 또 SDRAM(32)에는 최초에 아무런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지 않고, 정보 단말장치(10)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10)의 본체에는 구입시, 내비게이션이나 통신 노래방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이 SDRAM(32)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구입 직후 그대로의 상태에서는 정보 단말장치(10)를 이용할 수 없다. 한편, 부속 메모리 카드(14)에는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보 단말장치(10)를 사용할 때는, 먼저 부속 메모리 카드(14)를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할 필요가 있다.
메모리 카드(14)가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상태에서 정보 단말장치(10)가 기동되면 먼저 플래시 ROM(30)에 기억된 부트 로더가 실행된다. 구입후의 첫회(初回) 기동시에 부트 로더가 실행되면, 장착된 메모리 카드(14) 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메모리 카드(14)로부터 다운로드되어 SDRAM(32)에 기억된다. SDRAM (32)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억되면, 이후 정보 단말장치(10)는 그 SDRAM(32)상의 프로그램에 따른 동작을 행하여 내비게이션장치나 노래방장치 등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장착된 메모리 카드(14) 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SDRAM (32)에 대한 기억은, 구입후의 첫회 기동시에 한정하지 않고, 부트 로더의 실행시에 차량 배터리 전원의 절단 등에 기인하여 SDRAM(32)에 일단 기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정상으로 유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정보 단말장치(10)를 동작시키는 데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DCM(22)을 동작시키는 데 필요한 DCM 프로그램은, 통상 그 동작기능의 변경 등에 의하여 버전업된다. 버전업된 프로그램은 센터(12)로부터 키오스크 단말(18) 등을 통하여 유료로 사용자에 제공된다.
즉,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그램의 버전업을 행하기 위한 타임차트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사용자 등록후에 프로그램의 버전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먼저 퍼스널 컴퓨터(16)나 키오스크 단말(18), 정보단말(20)을 이용하여 센터(12)에 사용자 로그인하고, 자기의 버전정보를 문의한다. 센터(12)는 키오스크 단말(18) 등에 의한 버전정보의 문의에 대하여, 현시점에서 기억하고 있는 그 사용자가 보유하는 프로그램의 버전정보를 반송한다.
키오스크 단말(18) 등에는 프로그램이 버전업될 때마다 적절하게 센터(12)로부터 그 새로운 프로그램이 공급된다. 즉, 키오스크 단말(18) 등은 항상 최신 버전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키오스크 단말(18) 등은 센터(12)에의 버전정보의 문의에 대하여 반송된 센터(12)에 있어서 기억되어 있는 현재의 버전정보를 수신한 경우, 센터(12)에 있어서의 버전정보와 저장하는 최신 버전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버전업을 요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센터(12)에 있어서의 버전이 최신 버전이 아닌 경우에는 버전업이 필요한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키오스크 단말(18) 등은, 그 판정결과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사용자는 키오스크 단말(18) 등의 판정결과가 버전업을 요하는 것이고, 프로그램의 버전업을 행할 것을 결정한 경우, 메모리 카드 슬롯에 정보 단말장치(10)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14)를 장착한다. 키오스크 단말(18) 등은 프로그램의 버전업이 필요하다고 판정하고, 또한 메모리 카드 슬롯에 메모리 카드(14)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그 메모리 카드(14)에 정보 단말장치(1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필요 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키오스크 단말(18) 등은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그 메모리 카드(14)가 정보 단말장치(10)에 부속된 메모리 카드,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전에 저장된 시판 메모리 카드라고 판단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최신 버전의 프로그램을 구입하기 위한 요금을 제시한 다음에 그 구입의사의 확인을 행한다. 이때 제시되는 요금은 센터(12)에 있어서의 버전과 최신 버전과의 차액분이며, 예를 들면 최신 버전이 "2.0"인 상황하에서, 센터(12)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의 버전이 "1.0"인 경우에는 "2.0"과 "1.0"과의 차액분이 제시되고, 또 센터(12)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의 버전이 "1.0"을 개량한 "1.1"인 경우에는 "2.0"과 "1.1"의 차액분이 제시된다.
키오스크 단말(18) 등은,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상황하에서 사용자가 최신 프로그램을 구입할 의사가 확인된 경우에는, 저장하는 최신 버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다운로드함과 동시에, 그후 사용자가 구입한 프로그램의 버전정보를 센터(12)에 업로드한다. 이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지면, 키오스크 단말(18) 등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에는 최신 버전의 프로그램이 저장됨과 동시에, 센터(12)에는 사용자의 구입 버전이 갱신 등록되고, 센터(12)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한 차액분의 요금청구가 행하여진다.
한편, 키오스크 단말(18) 등은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어플리케이션 프로 그램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 라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그 메모리 카드(14)가 새로운 시판 메모리 카드라고 판단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최신 버전의 프로그램을 구입하기 위한 요금을 제시한 다음에 그 구입의사의 확인을 행함과 동시에, 정보 단말장치(10)에서 사용해야 할 메모리 카드(14)가 변경되어도 좋은지의 여부의 확인을 행한다. 또 이 메모리 카드(14)의 변경확인은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정보 단말장치(10)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14)를 단 1개로 한정하기 위하여 행하는 것이다.
키오스크 단말(18) 등은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 라고 판정하는 상황하에서 사용자에 의한 최신 프로그램의 구입의사가 확인되고 또한 메모리 카드(14)의 변경의사가 확인된 경우에는, 저장하는 최신 버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MID 등록 프로그램을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다운로드함과 동시에, 그후 사용자가 구입한 프로그램의 버전정보를 센터(12)에 업로드한다. 이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지면, 키오스크 단말(18) 등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는 최신 버전의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또한 MID 등록 프로그램이 저장됨과 동시에, 센터(12)에는 사용자의 구입 버전이 갱신 등록되고, 센터(12)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한 차액분의 요금청구가 행하여진다.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키오스크 단말(18) 등에 의하여 최신 버전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정보 단말장치(10)에 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시키고자 하는 경우, 그 메모리 카드(14)를 정보 단말장치(10)의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한 상태에서 정보 단말장치(10)를 기동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정보 단말장치(10)가 기동되면, 플래시 ROM(30)에 기억된 부트 로더의 실행에 의하여 장착된 메모리 카드(14) 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메모리 카드(14)로부터 다운로드되어 SDRAM(32)에 기억된다. 이에 의하여 정보 단말장치(10) 내의 프로그램이 최신 버전의 것으로 갱신되고, 이후 정보 단말장치(10)는 그 SDRAM(32)상의 최신 프로그램에 따른 동작을 행하여 내비게이션장치나 노래방장치 등으로서 기능한다.
또, 정보 단말장치(10)의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MID 등록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보 단말장치(10)가 기동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및 DCM 프로그램이 그 메모리 카드(14)로부터 다운로드되기 전에, 그 MID 등록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어 SDRAM(32)에 기억된다. 이에 의하여 정보 단말장치(10)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최신 프로그램에 따른 동작을 행하기 전에 그 MID 등록 프로그램에 따라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를 기억하게 된다.
정보 단말장치(10)는,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DCM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된 후, 자동 교신 기능 등에 의하여 또는 그후의 첫회 기동시나 센터(12)로부터의 요구시에, 정보 단말장치(10)에 실제로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버전정보를 센터(12)에 업로드한다. 이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지면 센터(12)에는 사용자의 사용 버전이 갱신 등록된다. 이후, 버전업시나 정보 단말장치(10)에 시리얼번호(MID)가 기억된 메모리 카드(14)의 분실시 등에, 동일한 처리 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의하면 정보 단말장치(10)에 부속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14) 또는 시판 메모리 카드(14)를 사용하여 정보 단말장치(10)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버전업시킬 수 있어, 정보 단말장치(10)의 동작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버전업에 요하는 요금은, 센터(12)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버전과 최신 버전과의 차액분이기 때문에, 버전업이 행하여질 때마다 항상 초기 버전으로부터의 요금이 청구되는 일은 없다.
또,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구입한 프로그램의 버전정보를 센터(12)가 기억하기 때문에, 가령 사용자가 정보 단말장치(10)에 부속되어 있던 메모리 카드(14)를 분실한 경우에도, 그 사용자가 구입한 버전이 어느 것인지의 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판 메모리 카드(14)에 최신 버전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때에 초기 버전과의 차액분을 지불할 필요는 없고, 분실시의 버전과의 차액분을 지불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와 같이 키오스크 단말(18) 등에 의하여 메모리 카드(14)에 최신 버전의 프로그램이 유료로 다운로드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와 같은 비지니스를 성립시키기 위해서는, 하나의 메모리 카드(14)로부터 복수의 정보 단말장치(10)에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기능을 실현하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14)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유의 시리얼번호(MID)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정보 단말장치(10)에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 (14)의 시리얼번호(MID)를 기억·등록하고, 그후 메모리 카드 슬롯에 메모리 카드(14)가 장착되었을 때에 그 등록된 시리얼번호와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와의 일치·불일치를 판정시켜,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정보 단말장치(10)에의 다운로드를 허가하는 것으로 하면, 정보 단말장치(10)에 등록된 시리얼번호(MID) 이외의 시리얼번호를 가지는 메모리 카드(14)가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되어도 그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정보 단말장치(10)에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10)는 불휘발성 플래시 ROM(30)에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14)[통상은 정보 단말장치(10)에 부속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를 기억시킨다. 그리고 그후 메모리 카드 슬롯에 메모리 카드(14)가 장착된 상태에서 그 등록된 시리얼번호와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정보 단말장치(10)에의 다운로드를 허가한다. 한편 양 시리얼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정보 단말장치(10)에의 다운로드를 금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단말장치(10)에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메모리 카드(14)를 단 1개로 한정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단말장치(10)에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기억·등록될 때에, 그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이미 다른정보 단말장치(10)에 기억·등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의 정보 단말장치(10)에의 그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의 등록이 허가되는 것으로 하면, 1개의 메모리 카드 (14)로부터 복수의 정보 단말장치(10)에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는 사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의 정보 단말장치(10)에의 등록을 1회로만 한정하고, 2회째 이후에는 금지하는 것으로 하면 1개의 메모리 카드(14)로부터 복수의 정보 단말장치(10)에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단말장치(10)의 출하단계에서 정보 단말장치(10)에 부속되는 메모리 카드(14)에, 그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를 정보 단말장치(10)에 등록하기 위한 프로그램(MID 등록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정보 단말장치(10)에 부속된 메모리 카드(14)가 분실된 경우에는 센터(12)로부터 키오스크 단말(18) 등을 거쳐 시판 메모리 카드(14)에 MID 등록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정보 단말장치(10)는, MID 등록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14)를 장착한 상태에서 기동되면 그 메모리 카드(14)로부터 MID 등록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그 후 그 프로그램에 따라 그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를 플래시 ROM(30)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그 기억처리가 완료된 다음에는 메모리 카드(14)로부터 MID 등록 프로그램을 소거하고, 또한 SDRAM(32)상의 도입된 MID 등록 프로그램을 무효로 한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하면, 시리얼번호(MID)가 이미 다른 정보 단말장치(10)에 기억된 메모리 카드(14)에는 MID 등록 프로그램이 저장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 메모리 카드(14)가 자기의 정보 단말장치(10)에 장착되어도 그 메모리 카드(14) 의 시리얼번호(MID)를 자기의 정보 단말장치(10)에 기억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사용해야 할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를 기억한 정보 단말장치(10)는 그후 SDRAM(32)상의 MID 등록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그후 그 정보 단말장치(10)에 메모리 카드(14)가 장착되어도 그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를 자기의 정보 단말장치(10)에 기억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정보 단말장치(10)와 그것에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14)가 1대 1로 대응지어지고, 1개의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복수의 정보 단말장치(10)에 기억되는 것은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1개의 메모리 카드(14)에 의하여 복수의 정보 단말장치(10)에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10)는,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를 기억하여, 그 후,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지 않는 한 동작하지 않으나, 정보 단말장치(10)의 제조단계에 있어서는, 그 동작이 정상으로 행하여지의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동작확인을 시리얼번호(MID)를 플래시 ROM(30)에 기억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행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보 단말장치(10)의 제조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검사용 메모리 카드(14)에, 정보 단말장치(10)의 플래시 ROM(30)에 시리얼번호(MID)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SDRAM(32)에의 다운로드가 허가되는 정보 단말장치(10)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하, 검사용 프로그램이라 함)이 저장된 다. 그리고 정보 단말장치(10)는 검사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14)를 장착한 상태에서 기동되면 플래시 ROM(30)에 시리얼번호가 기억되어 있지 않아도 그 메모리 카드(14)로부터 검사용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SDRAM(32)에 기억한다. 이 경우, 정보 단말장치(10)는 SDRAM(32)상의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기 때문에, 정보 단말장치(10)의 제조단계에 있어서도 그 동작확인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방법에 따라 제조공장 등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10)의 동작확인이 완료되면, 정보 단말장치(10)와 차량 배터리 전원이 차단된다. 정보 단말장치(10)와 차량 배터리 전원이 차단되면 SDRAM(32)상의 프로그램이 유지되지 않게 되어 소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10)가 출하되는 시점에서는 SDRAM(32)상에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출하후, 정보 단말장치(10)가 제조단계에서 SDRAM(32)에 저장된 검사용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한 기능을 실현하도록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10)가 실행하는 메인 루틴의 일례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루틴은 정보 단말장치(10)가 기동될 때마다 반복하여 기동되는 루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루틴이 기동되면 먼저 단계 100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도 5에는 각 단계가 실행될 때에 정보 단말장치(10)가 가지는 표시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화면이 적절하게 표시되어 있다.
단계 100에서는 표시 디스플레이에 예를 들면 기동 중이라는 것을 차량 탑승자에 대하여 알리는 초기화면을 표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102에서는 SDRAM(32)에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SDRAM(32)에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는, 이 기동이 구입후의 초기 기동, 또는 차량 배터리 전원 차단후의 초기 기동이라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에 단계 104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SDRAM(32)에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는, 이 기동이 2회째 이후의 기동이라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에 단계 106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104에서는 SDRAM(32)에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하여도 좋은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또 단계 106에서는 SDRAM(32)에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결과 단계 104에 있어서 SDRAM(32)에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하여도 좋다고 판별된 경우 및 단계 106에 있어서 SDRAM(32)에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음에 단계 108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단계 104에 있어서 다운로드를 행할 수 없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음에 단계 116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 단계 106에 있어서 다운로드를 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별된 경우는, 본 루틴의 처리가 종료되고 SDRAM(32)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기동이 시작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10)가 실행하는 서브루틴의 일례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루틴은 상기 도 5에 나타내는 단계 104의 처리가 실행될 때마다 반복하여 기동되는 루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루틴이 기동되면 먼저 단계 200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200에서는 정보 단말장치(10)의 메모리 카드 슬롯에 메모리 카드(14)가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결과, 메모리 카드(14)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운로드를 행할 수 없다고 하고 본 루틴의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메모리 카드(14)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음에 단계 202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202에서는 플래시 ROM(30)에 사용해야 할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결과, 플래시 ROM(30)에 시리얼번호(MID)가 기억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음에 단계 204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플래시 ROM(30)에 시리얼번호(MID)가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음에 단계 226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204에서는 플래시 ROM(30)에 기억된 시리얼번호(MID)와,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결과, 양자가 일치한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음에 단계 206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음에 단계 216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206에서는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체크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본 단계 206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정보 단말장치(10)를 동작시키는 데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결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다운로드를 행할 수 없다고 하고 본 루틴의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다음에 단계 208 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208에서는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정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메모리 카드(14)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파일 전부는 복사방지를 도모하기 위하여 스크램블되어 있다. 그래서 단계 210에서는 단계 208에서 선정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파일을 원래로 되돌리는 디스크램블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212에서는 단계 210에서의 디스크램블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당성을 판단하도록 그 플래그영역을 체크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디스크램블후의 프로그램이 정규의 것이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다운로드를 행할 수 없다고 하고 본 루틴의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디스크램블후의 프로그램이 정규의 것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다음에 단계 214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214에서는 장착된 메모리 카드(14)가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버전업된 것 또는 동일한 버전을 가지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결과, 장착된 메모리 카드(14)가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버전다운된 것이라고 판별된 경우는, 다운로드를 행할 수 없다고 하고 본 루틴의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버전업된 것 또는 동일한 버전을 가진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운로드를 행하여도 좋다고 하고 본 루틴의 처리가 종료된다.
또, 상기 단계 204에 있어서 플래시 ROM(30)에 기억된 시리얼번호(MID)와,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일치한다고 판별되면, 단계 216에 있어서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 램을 체크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본 단계 216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를 정보 단말장치(10)에 기억시키는 데 필요한 MID 등록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결과, MID 등록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운로드를 행할 수 없다고 하고 본 루틴의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MID 등록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음에 단계 218에 있어서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저장된 MID 등록 프로그램을 선정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단계 220에서는 메모리 카드(14)가 기록 방지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결과, 긍정판정이 이루어진 경우는, 다운로드를 행할 수 없다고 하고 본 루틴의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부정판정이 이루어진 경우는 다음에 단계 222의 처리가 실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14)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파일 전부는 복사방지를 도모하기 위하여 스크램블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단계 222에서는 선정된 프로그램의 파일을 원래로 되돌리는 디스크램블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224에서는 단계 222에서의 디스크램블후의 프로그램의 정당성을 판단하도록 그 플래그영역을 체크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디스크램블후의 프로그램이 정규의 것이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다운로드를 행할 수 없다고 하고 본 루틴의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디스크램블후의 프로그램이 정규의 것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다운로드를 행하여도 좋다고 하고 본 루틴의 처리가 종료된다.
또, 상기 단계 202에 있어서 플래시 ROM(30)에 시리얼번호(MID)가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되면 단계 226에 있어서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체크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본 단계 226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MID 등록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결과 MID 등록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음에 단계 218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MID 등록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음에 단계 228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228에서는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체크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본 단계 228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정보 단말장치(10)의 플래시 ROM(30)에 시리얼번호(MID)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SDRAM(32)으로의 다운로드가 허가되는 정보 단말장치(10)를 동작시키기 위한 검사용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결과 검사용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운로드를 행할 수 없다고 하고 본 루틴의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검사용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음에 단계 230에 있어서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저장된 검사용 프로그램을 선정하는 처리가 행하여지고, 이후 상기 단계 222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루틴에 의하면, SDRAM(32)에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MID 등록 프로그램 및 검사용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다운로드하여도 좋은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10)가 실행하는 서브루틴의 일례 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루틴은 상기 도 5에 나타내는 단계 106의 처리가 실행될 때마다 반복하여 기동되는 루틴이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상기 도 6에 나타내는 루틴 중의 단계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루틴에 있어서는 단계 200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14)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 단계 206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메모리 카드(14)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 단계 212, 224에 있어서 디스크램블후의 프로그램이 정규의 것이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 단계 216에 있어서 MID 등록 프로그램이 메모리 카드(14)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 단계 220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14)가 기록 방지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 및 단계 228에 있어서 검사용 프로그램이 메모리 카드(14)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다운로드를 행할 필요가 없다고 하고 본 루틴의 처리가 종료된다.
또, 단계 212에 있어서 디스크램블후의 프로그램이 정규의 것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다음에 단계 250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250에서는 장착된 메모리 카드(14)가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SDRAM(32)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버전업된 것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결과, 장착된 메모리 카드(14)가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버전업 이외의 것이라고 판별된 경우는, 다운로드를 행할 필요가 없다고 하고 본 루틴의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버전업된 것이라고 판별된 경우는, 다운로드를 행할 필요가 있다고 하고 본 루틴의 처리가 종료된다.
상기 도 7에 나타내는 루틴에 의하면, SDRAM(32)에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MID 등록 프로그램 및 검사용 프로그램의 어느 하나를 다운로드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도 5에 나타내는 단계 104에 있어서 SDRAM(32)에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하여도 좋다고 판별된 경우 및 단계 106에 있어서 SDRAM(32)에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별된 경우는, 단계 108에 있어서 표시 디스플레이에 예를 들면 다운로드 중이라는 것을 차량 탑승자에게 알리는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110에서는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MID 등록 프로그램, 또는 검사용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다운로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본 단계 110의 처리가 실행되면 이후 도입된 프로그램이 SDRAM (32)에 기억되게 된다.
단계 112에서는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정상으로 종료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결과, 다운로드가 정상으로 종료하였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음에 단계 114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다운로드가 이상 종료하였다고 판별된 경우 및 상기 단계 104에 있어서 다운로드를 행할 수 없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음에 단계 116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114에서는 표시 디스플레이에 초기화면을 표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본 단계 114의 처리가 종료된 경우 및 단계 106에 있어서 다운로드를 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별된 경우는, SDRAM(32)에 기억된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본 루틴의 처리가 종료된다.
단계 116에서는 표시 디스플레이에 에러 종료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본 단계 116의 처리가 실행되면, 이후 정보 단말장치(10)는 리세트 기동 대기상태가 된다.
상기 도 5에 나타내는 루틴에 의하면, 정보 단말장치(10)의 기동에 의하여 부트 로더가 실행될 때에 필요에 따라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MID 등록 프로그램, 또는 검사용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SDRAM(32)에 기억시킬 수 있고, 그 SDRAM(3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기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트 로더 실행시에 플래시 ROM(30)에 사용해야 할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황하 및 플래시 ROM(30)에 시리얼번호(MID)가 기억되어 있고 또한 그 시리얼번호(MID)와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일치하지 않는 상황하,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MID 등록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우선 MID 등록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SDRAM(32)에 기억시키고, 그후 그 MID 등록 프로그램을 기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정보 단말장치(10)에 있어서 MID 등록프로그램이 기동되었을 때에 실행되는 제어루틴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루틴은 MID 등록 프로그램이 기동될 때마다 반복하여 기동되는 루틴이다. 도 8에 나타내 는 루틴이 기동되면, 먼저 단계 300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300에서는 정보 단말장치(10)의 메모리 카드 슬롯에 메모리 카드(14)가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결과, 메모리 카드(14)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음에 단계 316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메모리 카드(14)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음에 단계 302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302에서는 메모리 카드(14)가 기록 방지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결과 긍정판정이 이루어진 경우는, 다음에 단계 316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부정판정이 이루어진 경우는 다음에 단계 304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304에서는 표시 디스플레이에,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를 정보 단말장치(10)의 불휘발성 플래시 ROM(30)에 등록·기억하려 하고 있다는 취지의 표시를 행함과 동시에, 그 등록·기억의 시비를 묻는 표시를 행한 다음에, 차량 탑승자에 의한 터치 디스플레이에의 조작에 의하여 등록이 허가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결과, 등록이 허가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다음에 단계 306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등록이 허가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다음에 단계 316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306에서는 표시 디스플레이에 예를 들면 시리얼번호(MID)의 등록실행 중이라는 것을 차량 탑승자에게 알리는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308에서는 단계 306에 의한 표시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예를 들면 10초간 행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310에서는 이 MID 등록 프로그램에 의하여 플래시 ROM(30)에 기억시켜야 할 시리얼번호(MID)를 실제로 플래시 ROM(30)에 기억시키는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312에서는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MID 등록 프로그램을 소거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본 단계 312의 처리가 실행되면 이후 그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는 MID 등록 프로그램이 저장되지 않게 된다.
단계 314에서는 SDRAM(32)에 기억된 MID 등록 프로그램을, 다음회 기동시에 무효로 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본 단계 314의 처리가 실행되면 이후 정보 단말장치 (10)가 기동되어도 SDRAM(32) 내의 MID 등록 프로그램이 기동되는 일은 없다. 본 단계 314의 처리가 종료되면 정보 단말장치(10)는 내부 리세트되어 사용해야 할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등록된 상태에서 기동되게 되고, 본 루틴의 처리가 종료된다.
또, 단계 316에서는 차량 탑승자에게 리세트 기동을 촉구하도록 표시 디스플레이에 정확한 메모리 카드(14)를 삽입하고 MUTE/RESET 버튼을 누를 것을 지시하는 취지를 표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본 단계 316의 처리가 실행되면 이후 정보 단말장치(10)는 리세트 기동 대기상태가 된다.
상기 도 8에 나타내는 루틴에 의하면, 정보 단말장치(10)는 MID 등록 프로그램에 따라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를 플래시 ROM(30)에 기억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기억처리가 완료된 후에는 그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MID 등록 프로그램을 소거하고, 또 SDRAM(32)상의 도입된 MID 등록 프로그램을 무효로 할 수 있다.
즉, 메모리 카드(14)는 MID 등록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어도 일단 자기의 시리얼번호(MID)가 정보 단말장치(10)에 기억된 다음에는 그 MID 등록 프로그램을 보유하지 않게 된다.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는 MID 등록 프로그램에 따라 정보 단말장치(10)에 기억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리얼번호(MID)가 이미 정보 단말장치(10)에 기억된 메모리 카드(14)가 그후에 다른 정보 단말장치(10)에 장착되어도 그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를 그 밖의 정보 단말장치(10)에 기억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정보 단말장치(10)는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MID 등록 프로그램을 도입하여도 그후 그 MID 등록프로그램에 따라 시리얼번호(MID)를 기억시킨 다음에는 그 MID 등록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정보 단말장치(10)는 MID 등록 프로그램에 따라 시리얼번호(MID)를 기억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해야 할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를 기억한 정보 단말장치(10)에 다른 메모리 카드(14)가 장착되어도 그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를 그 정보 단말장치(10)에 기억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1개의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복수의 정보 단말장치(10)에 기억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내는 루틴은, 플래시 ROM(30)에 사용해야 할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황하 및 플래시 ROM(30)에 시리얼번호(MID)가 기억되어 있고, 또한 그 시리얼번호(MID)와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일치하지 않는 상황하,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MID 등록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실행된다.
따라서 정보 단말장치(10)의 플래시 ROM(30)에 시리얼번호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MID 등록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플래시 ROM(30)에 사용해야 할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를 기억할 수 있다. 또 플래시 ROM(30)에 시리얼번호가 이미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시리얼번호(MID)와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일치하지 않고 또한 그 메모리 카드(14)에 MID 등록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다시 플래시 ROM(30)에 사용해야 할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를 기억할 수 있다. 즉, 플래시 ROM(30)에 시리얼번호가 이미 기억된 후는, 그 시리얼번호(MID)와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일치하지 않고 또한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MID 등록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그 후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플래시 ROM(30)에 기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10)에의 사용해야 할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의 기억은,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기 전에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단말장치(10)에 사용해야 할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기억되면, 이후 정보 단말장치(10)는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가 그 시리얼번호(MID)인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허가하고,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가 그 시리얼번호(MID)가 아닌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금지한다. 이 경우 각 정보 단말장치(10)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메모리 카드(14)는 단 1개로 한정된다. 즉, 각 정보 단말장치(10)는 특정한 메모리 카드(14)로부터만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1개의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복수의 정보 단말장치(10)에 기억되는 것은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의하면 정보 단말장치(10)와 메모리 카드(14)을 1대 1로 대응지을 수 있어, 1개의 메모리 카드(14)에 의하여 복수의 정보 단말장치(10)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의하면, 버전업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메모리 카드(14)를 거쳐 정보 단말장치(10)에 유료로 제공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 정보 단말장치(10)의 사용자는, 그 버전업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자기의 메모리 카드(14)를 사용하여 자기의 정보 단말장치(10)에 다운로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버전업 비지니스를 성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가령 정보 단말장치(10)에, 다른 정보 단말장치(10)에 대응하는 메모리 카드(14)가 장착되고, 그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는 것으로 하면, 다른 메모리 카드(14)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버전이 자기의 메모리 카드(14)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버전보다도 새로운 것인 경우에는 불편이 생긴다. 구체적으로는 이와 같은 상황하, SDRAM(32)으로부터 다른 메모리 카드(14)에 관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휘발되었을 때에, 자기의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정보 단말장치(10)에 다운로 드되면, 정보 단말장치(1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버전다운되고, 그 결과, 데이터의 호환성이 확보되지 않게 되는 등의 장해가 발생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정보 단말장치(10)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상기한 장해의 발생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10)는 사용해야 할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를 기억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 있어서도,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검사용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메모리 카드(14)로부터 검사용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SDRAM(32)에 기억한 후, 그 검사용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검사용 프로그램은 제조공장 등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10)의 동작확인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그 검사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메모리 카드(14)는 제조공장 등에 있어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의하면 정보 단말장치(10)의 플래시 ROM(30)에 사용해야 할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황하에도 검사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메모리 카드(14)가 정보 단말장치(10)의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경우에는 그 메모리 카드(14)로부터 정보 단말장치(10)의 SDRAM(32)에 그 검사용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어, 정보 단말장치(10)에 검사용 프로그램에 따른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보 단말장치(10)의 제조단계에 있어서도 그 동작확인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10)는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된 후, SDRAM(32)에 실제로 기억된 프로그램의 버전정보를 센터(12)에 업로드한다. 센터(12)는 정보 단말장치(10)로부터 그 SDRAM(32)에 실제로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버전정보를 수신한 경우, 그 버전정보를 그 정보 단말장치(10)의 사용자의 회원번호와 대응시켜 기억부에 기억한다.
그리고 그후 센터(12)는 키오스크 단말(18) 등에 의한 버전정보의 문의에 대하여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그 사용자가 보유하는 프로그램의 버전정보를 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에 의하여 키오스크(18) 등을 거쳐 메모리 카드(14)에 최신 버전의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된 경우에는 그 사용자에 대하여 최신 프로그램의 버전과 기억부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의 버전과의 차액을 요금으로서 청구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보 단말장치(10)의 SDRAM(32)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버전정보가 센터(12)에 관리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센터(12) 버전업에 요하는 비용을 적절하게 사용자에 대하여 청구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정보 단말장치(10)의 SDRAM(32)으로부터 프로그램이 소실된 경우 등에는 정보 단말장치(10)가 센터(12)로부터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데에 있어서 사용자가 프로그램 소실시의 버전정보에 따른 요금을 지불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고, 또 센터(12)가 어느 버전의 프로그램이어도 배신하는 것이 가능하면 정보 단말장치(10)가 센터(12)로부터 프로그램 소실시의 버전의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모리 카드(14)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기억매체」에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 한 「특정 정보」에, 불휘발성의 플래시 ROM(30)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제 1 내부 메모리」에, 정보 단말장치(1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소정의 정보」에, 차량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전력 공급되는 SDRAM(32)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제 2 내부 메모리」에, 프로그램의 버전업 정보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소정의 정보의 변경에 관한 정보」에, MID 등록 프로그램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에,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루틴을 행하기 위한 부트 로더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소정 정보 변경 프로그램」에, 검사용 프로그램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단말동작 프로그램」에, 각각 상당하고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보 단말장치(10)의 메인 CPU가 상기 도 8에 나타내는 루틴 중의 단계 310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특정 정보 기억 단계」가,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루틴을 실행함으로써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기억동작 제어수단」 및 「기억동작 제어단계」가,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SDRAM(32)에 기억함으로써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소정의 정보 기억단계」가, 단계 204 내지 단계 214 또는 단계 206 내지 단계 250의 처리를 실행한 후에 메모리 카드(14)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SDRAM(32)에 기억함으로써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기억정보 제어수단」 및 「기억정보 제어단계」가, SDRAM(32)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정보 실행수단」 및 「정보 실행단계」가,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SDRAM(32)에 기억한 후에 그 프로그램의 버전정보를 센터(12)에 업로드함으로써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업로드수단」 및 「업로드 단계」가 각각 실현되어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보 단말장치(10)의 메인 CPU가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그 시리얼번호(MID)를 도입함으로써 청구항 19에 기재한 「제 1 처리」가, 도입된 시리얼번호(MID)를 플래시 ROM(30)에 기억함으로써 청구항 19에 기재한 「제 2 처리」가,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MID 등록 프로그램을 도입함으로써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도입수단」이, 도입된 MID 등록 프로그램을 SDRAM(32)에 기억함으로써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특정 정보 기억수단」이, MID 등록 프로그램에 따라 도입된 시리얼번호(MID)를 플래시 ROM(30)에 기억한 후에 MID 등록 프로그램을 소거함으로써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프로그램 소거수단」이, 각각 실현되어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보 단말장치(10)의 메인 CPU가 단계 204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청구항 24에 기재한 「제 1 처리」가, 단계 204 내지 단계 214 또는 단계 206 내지 단계 250의 처리를 실행한 후에 메모리 카드(14)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SDRAM(32)에 기억함으로써 청구항 24에 기재한 「제 2 처리」가, 단계 202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청구항 25에 기재한 「제 1 처리」가,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 도입된 MID 등록 프로그램 또는 검사용 프로그램을 SDRAM(32)에 기억함으로써 청구항 25에 기재하는 「제 2 처리」가, SDRAM(32)에 기억된 MID 등록 프로그램 또는 검사용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청구항 25에 기재한 「제 3 처리」가 각각 실현되어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센터(12)가 기억부에 정보 단말장치(10)의 SDRAM(32)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버전정보를 기억함으로써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정보관리수단」이, 키오스크 단말(18) 등을 이용한 사용자로부터의 버전정보의 문의에 대하여 그 키오스크 단말(18) 등에 버전정보를 제시함으로써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정보제공수단」이 각각 실현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억매체로서 메모리 카드(14)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때 CD-ROM이나 FD 등의 기억매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보 단말장치(10)의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의 시리얼번호(MID)와 정보 단말장치(10)의 플래시 ROM(30)에 기억된 시리얼번호(M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장착된 메모리 카드(14)로부터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금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그 장착된 메모리 카드(14)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정보나 음악정보 등의 프로그램 이외의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허가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단말장치(10)의 동작 중에 메모리 카드(14)가 그 메모리 카드 슬롯으로부터 인출되어 비장착이 되는 경우 또는 정보 단말장치(10)의 기동시에 메모리 카드(14)가 그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하여 차량 탑승자에 대하여 메모리 카드(14)를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하라는 취지의 경고를 주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또 정보 단말장치(10)의 동작을 정지하고, 차량 탑승자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보 단말장치(10)는 메모리 카드 슬롯에 메모리 카드(14)가 장착된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이 장려되고, 정보 단말장치(10)의 동작시에 메모리 카드(14)의 장착이 촉진되기 때문에, 정보 단말장치(10)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14)의 분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정보 단말장치(10)의 메인 CPU가, 표시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하여 차량 탑승자에 대하여 메모리 카드(14)를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하라는 취지의 경고를 주고, 또 동작을 정지함으로써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장착 환기수단」 및 「장착 환기단계」가 실현된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 차량탑승자에 대하여 메모리 카드(14)를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하라는 취지의 경고가 주어지고, 정보 단말장치(10)의 동작이 정지하였을 때에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카드(14)에 한정하지 않고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다른 메모리 카드(14)가 장착된 경우에 있어서도 정보 단말장치(10)의 동작을 재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지 않는 데이터만을 저장한 메모리 카드(14)를 정보 단말장치(10)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정보 단말장치(10)를 행하는 데에 있어서 편리성이 향상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는, 정보 단말장치(10)의 동작시에 메모리 카드(14)가 비장착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정보 단말장치(10)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내비게이션장치로서의 주행위치나 주행거리의 측 정, 및 정기적인 외부와의 통신 등의 필요한 정보통지 등의 동작을 계속하는 것으로 하고, 정보 단말장치(10)에 있어서 상시 필요한 기능을 유효로 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Claims (27)

  1.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의 기억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버전업정보가 도입되어 내부에 기억된 소정의 정보를 버전업시키고, 상기 기억매체에 일대일 대응되어 하나의 기억매체로부터 복수의 정보단말장치에 상기 버전업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보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매체는,
    상기 정보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버전업정보에 대한 구입 의사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소정의 단말로부터 상기 버전업정보를 도입하여 저장하고,
    상기 정보단말장치는,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도입되는 상기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기억하는 제 1 내부 메모리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기억매체로부터 도입되는 상기 특정정보와 다른 소정의 정보를 기억하는 제 2 내부 메모리와,
    이미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특정정보와, 현 시점에서 장착된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현 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버전업정보로 개변하는 기억정보 제어수단과,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버전업정보가 도입된 상태에서 상기 기억매체가 비장착이 되었을 때, 기억매체의 장착을 촉구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착 환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특정 정보의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의 기억동작을 허가하여,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 후에는 상기 특정 정보의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의 기억동작을 금지·억제하는 기억동작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버전업정보가 도입되기 전,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특정 정보의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의 기억동작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특정정보에 대응되는 기억매체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정보의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의 기억동작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장치.
  5. 삭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정보에 따른 동작을 행하는 정보 실행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억정보 제어수단은,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정보단말장치의 동작이 정상으로 행하여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현 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에 저장된 상기 버전업정보를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장치.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정보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소정의 센터를 향하여 업로드하는 업로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장치.
  8. 삭제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장착 환기수단은,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장치.
  10.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의 기억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버전업정보가 도입되어 내부에 기억된 소정의 정보를 버전업시키고, 상기 기억매체에 일대일 대응되어 하나의 기억매체로부터 복수의 정보단말장치에 상기 버전업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보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버전업정보에 대한 구입 의사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소정의 단말로부터 상기 버전업정보를 도입하여 저장하는 기억매체 저장단계와,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도입되는 상기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상기 정보 단말장치가 가지는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하는 특정 정보 기억단계와,
    정보 단말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기억매체로부터 도입되는 상기 특정정보와 다른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정보 단말장치가 가지는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소정의 정보 기억단계와,
    이미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특정정보와, 현 시점에서 장착된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정보 기억단계에 의하여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현 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에 저장된 상기 버전업정보로 개변하는 기억정보 제어단계와,
    상기 정보 단말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버전업정보가 도입된 상태에서 상기 기억매체가 비장착이 되었을 때, 기억매체의 장착을 촉구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장착 환기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특정 정보 기억단계에 의한 상기 특정 정보의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의 기억동작을 허가하여,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 후에는 상기 특정 정보 기억단계에 의한 상기 특정 정보의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의 기억동작을 금지·억제하는 기억동작 제어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동작 제어단계는,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정보 단말장치에 상기 버전업정보가 도입되기 전,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특정 정보의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의 기억동작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동작 제어단계는, 또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특정정보에 대응되는 기억매체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 정보의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의 기억동작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방법.
  14. 삭제
  15. 제 10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장치의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정보에 따른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정보 실행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정보 제어단계는,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정보단말장치의 동작이 정상으로 행하여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현 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에 저장된 상기 버전업정보를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방법.
  16. 제 10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정보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보 단말장치로부터 소정의 센터를 향하여 업로드하는 업로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방법.
  17. 삭제
  18. 제 10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환기단계는, 상기 정보 단말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방법.
  19.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의 기억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버전업정보가 도입되어 내부에 기억된 소정의 정보를 버전업시키고, 상기 기억매체에 일대일 대응되어 하나의 기억매체로부터 복수의 정보단말장치에 상기 버전업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보 단말장치에,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도입하는 제 1 처리와,
    상기 제 1 처리에 의하여 도입된 상기 특정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제 2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
  20. 제 19항에 기재된 특정 정보 기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매체.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의 기억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버전업정보가 도입되어 내부에 기억된 소정의 정보를 버전업시키고, 상기 기억매체에 일대일 대응되어 하나의 기억매체로부터 복수의 정보단말장치에 상기 버전업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보 단말장치에,
    이미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와, 현 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처리와,
    상기 제 1 처리에 의하여 양 특정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특정 정보와는 다른 소정의 정보를, 현 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에 저장된 상기 버전업정보로 개변하는 제 2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소정정보 버전업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
  25.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의 기억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버전업정보가 도입되어 내부에 기억된 소정의 정보를 버전업시키고, 상기 기억매체에 일대일 대응되어 하나의 기억매체로부터 복수의 정보단말장치에 상기 버전업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보 단말장치에,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매체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처리와,
    상기 제 1 처리에 의하여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제 1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 판별된 경우에도, 상기 정보단말장치의 동작이 정상으로 행하여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현 시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기억매체에 저장된 상기 버전업정보를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제 2 처리와,
    상기 제 2 처리에 의하여 상기 제 2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버전업정보에 따른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 3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단말동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
  26. 제 25항에 기재된 단말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매체.
  27. 삭제
KR1020057006338A 2002-10-18 2003-10-15 정보 단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0732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04813A JP2004139442A (ja) 2002-10-18 2002-10-18 情報端末装置、情報端末装置の動作制御方法、特定情報記憶プログラム、特定情報記憶プログラムを格納する記憶媒体、所定情報変更プログラム、端末動作プログラム、端末動作プログラムを格納する記憶媒体、及びセンタ
JPJP-P-2002-00304813 2002-10-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174A Division KR100812305B1 (ko) 2002-10-18 2003-10-15 정보 단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009A KR20050055009A (ko) 2005-06-10
KR100732219B1 true KR100732219B1 (ko) 2007-06-27

Family

ID=321051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338A KR100732219B1 (ko) 2002-10-18 2003-10-15 정보 단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20077002174A KR100812305B1 (ko) 2002-10-18 2003-10-15 정보 단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174A KR100812305B1 (ko) 2002-10-18 2003-10-15 정보 단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031826A1 (ko)
EP (1) EP1553491A4 (ko)
JP (1) JP2004139442A (ko)
KR (2) KR100732219B1 (ko)
CN (1) CN1705933A (ko)
TW (1) TWI236618B (ko)
WO (1) WO20040364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32906A (en) * 2004-05-13 2006-10-27 Fonterra Co Operative Group Customised nutritional food and beverage dispensing system for dispensing a customised nutritional serving
KR100654446B1 (ko) 2004-12-09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부팅 장치 및 방법
US8799166B1 (en) * 2005-10-11 2014-08-05 Apple Inc. Providing a gift of downloadable digital content
JP2007164243A (ja) * 2005-12-09 2007-06-28 Fuji Xerox Co Ltd コントロール装置および記憶装置の有効利用方法
JP4848190B2 (ja) 2006-02-08 2011-12-28 株式会社リコー 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プログラム
JP4391535B2 (ja) * 2007-02-16 2009-12-24 株式会社沖データ 外部記憶装置、並びに、この外部記憶装置を備える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200923777A (en) * 2007-11-19 2009-06-01 Inventec Corp Automatic updating method
US9298479B2 (en) * 2007-12-31 2016-03-29 Datalogic AD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updating, and booting an alternate operating system on a portable data reader
JP5348502B2 (ja) * 2010-02-19 2013-11-2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9396464B2 (en) * 2010-09-14 2016-07-19 Ncr Corporation Updating multi-media content in a digital download kiosk
US10386827B2 (en) 2013-03-04 2019-08-20 Fisher-Rosemount Systems, Inc. Distributed industri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analytics platform
US9397836B2 (en) 2014-08-11 2016-07-19 Fisher-Rosemount Systems, Inc. Securing devices to process control systems
US9665088B2 (en) 2014-01-31 2017-05-30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anaging big data in process control systems
US9804588B2 (en) 2014-03-14 2017-10-31 Fisher-Rosemount Systems, Inc. Determining associations and alignments of process elements and measurements in a process
US10866952B2 (en) 2013-03-04 2020-12-15 Fisher-Rosemount Systems, Inc. Source-independent queries in distributed industrial system
US10223327B2 (en) 2013-03-14 2019-03-05 Fisher-Rosemount Systems, Inc. Collecting and delivering data to a big data machine in a process control system
US10282676B2 (en) 2014-10-06 2019-05-07 Fisher-Rosemount Systems, Inc. Automatic signal processing-based learning in a process plant
US10678225B2 (en) 2013-03-04 2020-06-09 Fisher-Rosemount Systems, Inc. Data analytic services for distributed industrial performance monitoring
US9823626B2 (en) 2014-10-06 2017-11-21 Fisher-Rosemount Systems, Inc. Regional big data in process control systems
US10649449B2 (en) 2013-03-04 2020-05-12 Fisher-Rosemount Systems, Inc. Distributed industri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analytics
US10649424B2 (en) 2013-03-04 2020-05-12 Fisher-Rosemount Systems, Inc. Distributed industri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analytics
US10909137B2 (en) 2014-10-06 2021-02-02 Fisher-Rosemount Systems, Inc. Streaming data for analytics in process control systems
US9558220B2 (en) 2013-03-04 2017-01-31 Fisher-Rosemount Systems, Inc. Big data in process control systems
EP3200131A1 (en) 2013-03-15 2017-08-02 Fisher-Rosemount Systems, Inc. Data modeling studio
US10691281B2 (en) 2013-03-15 2020-06-23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rocess plant with location aware mobile control devices
US10168691B2 (en) 2014-10-06 2019-01-01 Fisher-Rosemount Systems, Inc. Data pipeline for process control system analytics
JP6679303B2 (ja) * 2015-12-25 2020-04-15 Dynabook株式会社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03483B2 (en) 2016-02-12 2019-12-10 Fisher-Rosemount Systems, Inc. Rule builder in a process control network
DE102020216065A1 (de) * 2019-12-20 2021-06-24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orrichtung mit einer 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Vorrichtung mit einer Schnittstel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4608A (ja) * 1994-08-01 1996-02-16 Canon Inc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管理方法
JP2001211170A (ja) * 2000-01-26 2001-08-03 Casio Comput Co Ltd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及び記憶媒体
KR20010076222A (ko) * 2000-01-13 2001-08-11 가시오 가즈오 휴대단말장치, 서버장치,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기록매체
JP2002223402A (ja) * 2001-01-29 2002-08-09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機器、プログラム更新方法、セットアップファイル作成装置及びそ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9092B2 (ja) * 1989-06-20 1999-11-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5396558A (en) * 1992-09-18 1995-03-07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lement of accounts by IC cards
CA2155593A1 (en) * 1994-08-19 1996-02-20 Takao Fujii Vehicle navigation system with upgradeable navigation software and a flexible memory configuration
US5586304A (en) * 1994-09-08 1996-12-1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Automatic computer upgrading
US5845077A (en) * 1995-11-27 1998-12-0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obtaining computer software from a remote computer
US5826011A (en) * 1995-12-26 1998-10-20 Rainbow Technologies, Inc. Method of metering and protecting computer software
JP2000218044A (ja) * 1999-02-02 2000-08-08 Sony Corp 携帯用電子ゲーム機器
DE19956359A1 (de) * 1999-11-24 2001-05-31 Alcatel Sa Kartenbuchung mittels einer virtuellen Eintrittskarte
JP2001344640A (ja) * 2000-03-29 2001-12-14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運営方法及び自動販売機
US7076467B1 (en) * 2000-08-04 2006-07-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Network-base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to a client computer and charging only for data that is used by the client computer user
JP2002229621A (ja) * 2001-01-31 2002-08-16 Toshiba Corp ハードウェア管理装置
US7093244B2 (en) * 2001-04-18 2006-08-15 Domosys Corporation Method of remotely upgrading firmware in field-deployed devices
US20020188934A1 (en) * 2001-06-12 2002-12-12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upgrading existing firmware on third party hardware
US7320126B2 (en) * 2001-11-06 2008-01-15 Sandisk Corporation Implementation of in system programming to update firmware on memory cards
US6725323B2 (en) * 2001-12-06 2004-04-20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flash ROM in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boards
US20040034861A1 (en) * 2002-08-19 2004-02-19 Ballai Philip 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firmware mainten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4608A (ja) * 1994-08-01 1996-02-16 Canon Inc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管理方法
KR20010076222A (ko) * 2000-01-13 2001-08-11 가시오 가즈오 휴대단말장치, 서버장치,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기록매체
JP2001211170A (ja) * 2000-01-26 2001-08-03 Casio Comput Co Ltd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及び記憶媒体
JP2002223402A (ja) * 2001-01-29 2002-08-09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機器、プログラム更新方法、セットアップファイル作成装置及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39442A (ja) 2004-05-13
KR20050055009A (ko) 2005-06-10
TWI236618B (en) 2005-07-21
KR100812305B1 (ko) 2008-03-10
WO2004036415A1 (ja) 2004-04-29
US20060031826A1 (en) 2006-02-09
TW200422940A (en) 2004-11-01
KR20070027749A (ko) 2007-03-09
EP1553491A1 (en) 2005-07-13
EP1553491A4 (en) 2006-03-29
CN1705933A (zh)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219B1 (ko) 정보 단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20210157567A1 (en) Vehicl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JP7388301B2 (ja) サーバ、管理方法、管理プログラム及びソフトウェア更新装置
KR100547809B1 (ko)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및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법
US10162625B2 (en) Vehicle control storage methods and systems
EP2602157B1 (en) Vehicle program rewriting system
US20210182048A1 (en) Vehicle electronic control system, program update notif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I114602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verkon yksiköllä olevien päivitystietojen ohjelmoimiseksi matkaviestimeen
US20020100037A1 (en) Device and method for downloading software via a network
US7404028B2 (en) ECU identification retention across reprogramming events
GB2256734A (en) Modifying program code.
EP1505476A2 (en) Method of embedding permanent identification code into musical apparatus
JP2002099441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の動作方法
JP2004012319A (ja) 通信によるナビゲーション情報のバージョンアップ方式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210155174A1 (en) Display control device, rewrite progres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7188255B1 (en) Software delivery system
US20230254374A1 (en) Vehicle master device, update data verif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02049436A (ja) ソフトウェア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
CN115454462A (zh) Ota管理器、系统、方法、非暂时性存储介质以及车辆
JP2001136085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1043177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印刷制御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出し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080042502A (ko)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및 그것의 제어 프로그램 설정방법
JP422189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におけるプログラム書き換え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176502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およびチューナーモジュール装置
WO2022163314A1 (ja) 車両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