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843B1 -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843B1
KR100730843B1 KR1020050129481A KR20050129481A KR100730843B1 KR 100730843 B1 KR100730843 B1 KR 100730843B1 KR 1020050129481 A KR1020050129481 A KR 1020050129481A KR 20050129481 A KR20050129481 A KR 20050129481A KR 100730843 B1 KR100730843 B1 KR 100730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stay
side mirror
coupled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9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캐빈(20); 캐빈(20)에 지지되는 지지브래킷(40); 사이드미러(32)가 장착되는 스테이(50); 지지브래킷(40) 및 스테이(50) 사이에 결합되어, 스테이(50)를 지지브래킷(40)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캐빈의 운반 및 이동시 그 부피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캐빈, 스테이유닛, 사이드미러, 지지브래킷, 스테이, 회동부재

Description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 {CABIN SIDE MIRROR ANGLE CONTROLLER OF CONSTRUCTION MACHINE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의 캐빈에 사이드미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캐빈 30 : 스테이유닛
32 : 사이드미러 40 : 지지브래킷
50 : 스테이 60 : 회동부재
61 : 안착홈 62 : 베이스부
63 : 수용홈 64 : 케이싱부
66 : 탄성지지부 66a : 스프링
66b : 볼베어링 68 : 캡부
70 : 보조브래킷
본 발명은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및 토목공사에서 사용되는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장비는 주행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하부주행체 및 작업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상부선회체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부선회체는 하부주행체에 대해 선회동작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부선회체에는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인 캐빈(운전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캐빈의 내부에서 운전자가 각종 기기를 조작함으로써 굴삭기를 주행시키거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건설장비는 주행시 후방 차량들의 상태를 파악해야 함은 물론이고 작업중 전·후진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됨으로써 후방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 악해야 한다.
이에 따라, 캐빈의 외측부에는 사이드미러가 장착되어 있는 스테이(Stay)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설장비는 스테이가 캐빈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운전자가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스테이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볼트를 풀어 스테이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 후 다시 고정볼트를 체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스테이가 캐빈의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캐빈의 이동 및 운반시 차지하는 공간이 커 운반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물류비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함과 아울러 캐빈의 운반 및 이동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자의 탑승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캐빈; 상기 캐빈의 외측부에 마련되며, 사이드미러가 장착되는 스테이유닛를 포함하는 건설장비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유닛은 상기 캐빈에 지지되는 지지 브래킷; 상기 사이드미러가 장착되는 스테이; 상기 지지브래킷 및 상기 스테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를 상기 지지브래킷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지지브래킷 상에 결합되며,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부; 상기 스테이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홈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케이싱부를 단위스텝 회전 가능하게 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케이싱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수용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안착홈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볼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는 운전자의 탑승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캐빈(Cabin)(20); 캐빈(20)의 외측부에 마련되며, 사이드미러(Side Mirror)(32)가 장착되는 스테이유닛(Stay Unit)(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캐빈(20)은 본체(미도시)의 상부에 마련되며, 스테이유닛(30)은 캐빈(20)의 전방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다.
스테이유닛(30)은 캐빈(20)에 지지되는 지지브래킷(40); 사이드미러(32)가 장착되는 스테이(50); 지지브래킷(40) 및 스테이(50) 사이에 결합되는 회동부재(60)를 포함한다.
지지브래킷(40)은 절곡된 구조를 가지며, 일측은 캐빈(20)에 지지되고 타측은 회동부재(60)와 결합된다. 지지브래킷(40)의 구조는 회동부재(6)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지지브래킷(40)에는 캐빈(20)과의 스크류 결합을 위한 스크류홀(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브래킷(40)의 하부에는 보조브래킷(70)이 마련되어 있으며, 보조브래킷(70)은 지지브래킷(40)과 이격되도록 캐빈(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스테이(50)의 회전동작이 가능하도록 스테이(50)와 힌지 결합된다.
스테이(50)는 상·하부가 절곡된 바아 형상을 가지며, 그 상부는 회동부재(60)에 결합됨과 아울러 그 하부는 보조브래킷(70)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스테이(50)는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상·하부가 회동부재(60) 및 보조브래킷(7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보조브래킷(70)을 제거하고 회동부재(60)에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보조브래킷(70)은 안정성 등과 같은 조건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회동부재(60)는 스테이(50)를 지지브래킷(40)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스테이(50)에 장착되어 있는 사이드미러(32)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회동부재(60)는 지지브래킷(40) 상에 결합되는 베이스부(62); 스테이(50)에 일체로 연결되어, 베이스부(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싱부(64); 케이싱부(64)를 단위스텝 회전 가능하게 하는 탄성지지부(6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62)는 지지브래킷(40)에 볼트(69a)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며, 그 상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안착홈(61)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62)에 형성되는 안착홈(61)의 배치간격은 사이드미러(32)의 각도조절 간격에 따라 적절히 조절 가능하며, 베이스부(62)의 중앙에는 상방향으로 샤프트(62a)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62) 및 지지브래킷(40)의 결합수단은 볼트 외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결합수단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케이싱부(64)는 그 중앙에 베이스부(62)의 샤프트(62a)에 결합되는 샤프트홀(6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샤프트홀(64a)의 외측에는 베이스부(62)의 안착홈(61)과 대응되도록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63)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수용홈(63)은 베이스부(62)의 안착홈(61) 수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적게 형성된다.
케이싱부(64)는 베이스부(62)에 볼트(69b) 결합되며, 그 결합수단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66)는 케이싱부(64)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수용홈(63)에 수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62)의 안착홈(61)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로 인해, 케이싱부(64)를 단위스텝 회전 가능하게 하여 사이드미러(32)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탄성지지부(66)는 케이싱부(64)의 수용홈(63)에 수용되는 스프링(66a); 스프링(66a)에 의해 베이스부(62)의 안착홈(61)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볼베어링(66b)을 포함한다.
케이싱부(64)의 회전동작에 의해 볼베어링(66b)이 베이스부(62)의 판면을 따라 이동될 때에는 볼베어링(66b)이 베이스부(62)의 안착홈(61)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스프링(66a)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볼베어링(66b)이 베이스부(62)의 안착홈(61)에 안착되었을 때에는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볼베어링(66b)이 베이스부(62)의 안착홈(6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66a)이 원상태로 복귀되어 볼베어링(66b)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탄성지지부(66)의 구조는 케이싱부(64)의 회전에 의해 탄력적으로 유동하여, 베이스부(62)의 안착홈(61)에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캡부(68)는 케이싱부(64)의 상측에 결합되어, 케이싱부(64)를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회동부재(60)의 외관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다. 캡부(68)는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 등을 고려하여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설명 참조번호 69c는 볼트(69b)에 개재되는 스페이서(Spacer)를 도 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사이드미러(32)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스테이(50)를 잡아 당기게 되면, 스테이(5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케이싱부(64)가 회전된다.
케이싱부(64)의 회전동작에 따라 그 내부의 수용홈(63)에 수용되어 있는 탄성부재(66)가 탄력적으로 유동되어 베이스부(62)의 판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복수의 안착홈(61)에 선택적으로 안착된다. 즉, 케이싱부(64)의 회전에 의한 스프링(66a)의 탄성력에 의해 볼베어링(66b)이 베이스부(62)의 판면을 따라 이동하여 안착홈(61)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동작의 반복에 의해 운전자 필요한 위치에까지 스테이(50)를 잡아당겨 케이싱부(64)를 단위스텝 회전시킴으로써 스테이(50)에 장착되어 있는 사이드미러(32)의 각도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이유닛을 통해 사이드미러의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건설장비의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테이유닛이 절첩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캐빈의 운반 및 이동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물류비를 상대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Claims (3)

  1. 운전자의 탑승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캐빈(20); 상기 캐빈(20)의 외측부에 마련되며, 사이드미러(32)가 장착되는 스테이유닛(30)을 갖는 건설장비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유닛(30)은,
    상기 캐빈(20)에 지지되는 지지브래킷(40);
    상기 사이드미러(32)가 장착되는 스테이(50);
    상기 지지브래킷(40) 상에 결합되며,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안착홈(61)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부(62);
    상기 스테이(50)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복수의 수용홈(63)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부(64);
    상기 수용홈(63)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홈(61)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케이싱부(64)를 단위스텝 회전 가능하게 하는 탄성지지부(66);
    케이싱부(64)의 상측에 결합되는 캡부(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66)는,
    상기 수용홈(63)의 내부에 수용되는 스프링(66a); 상기 스프링(66a)에 의해 상기 안착홈(61)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볼베어링(66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
KR1020050129481A 2005-12-26 2005-12-26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 KR100730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481A KR100730843B1 (ko) 2005-12-26 2005-12-26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481A KR100730843B1 (ko) 2005-12-26 2005-12-26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0843B1 true KR100730843B1 (ko) 2007-06-20

Family

ID=3837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481A KR100730843B1 (ko) 2005-12-26 2005-12-26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863A (ko) * 2019-01-30 2020-08-10 대동공업주식회사 백미러를 구비한 작업 차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746A (ko) * 2003-02-26 2004-09-03 김충석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회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746A (ko) * 2003-02-26 2004-09-03 김충석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회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863A (ko) * 2019-01-30 2020-08-10 대동공업주식회사 백미러를 구비한 작업 차량
KR102629994B1 (ko) 2019-01-30 2024-01-29 주식회사 대동 백미러를 구비한 작업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4696B2 (ja) 建設機械のリアコンソール取付構造
RU265251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поворотного движения между тандемным или гусеничным мостом и корпусом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а также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WO2013051609A1 (ja) 建設機械
CN102556196A (zh) 一种磁吸附式爬壁机器人
JP3201904U (ja) 太陽光パネルの取付架台
KR100730843B1 (ko) 건설장비의 캐빈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장치
RU2008110952A (ru) Подъемное и/или стабили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одъемная, стабилизирующая и выравнивающая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дъ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помощью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9862322B2 (en) Mirror assembly and adjustment mechanism thereof
CA2846037C (en) Truck mirror positioning device
US20080054150A1 (en) Seat tilting mechanism
US20060017241A1 (en) Trailer stabiliz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18184783A (ja) 電気駆動式作業機械のケーブルブラケット
KR100613591B1 (ko) 고소작업차용 탑승함 수평유지장치
CN108884665B (zh) 小型液压挖掘机
CN210162253U (zh) 无人机及其倾转机构
CN208264431U (zh) 用于摩托车及电动车后视镜镜杆调节结构
CN104385997B (zh) 一种便于调整设备朝向的支撑体
JP4975375B2 (ja) 防霜ファン装置
KR20180040039A (ko) 차량의 현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륙양용 차량
JP2014154820A (ja) 太陽光発電装置
JP2019078119A (ja) 作業機械
CN201890280U (zh) 用于驾驶室翻转机构的微调装置
CN214267410U (zh) 一种座椅减震装置及挖掘机
CN216692362U (zh) 一种执行机构电子支架
CN213776982U (zh) 一种计算机网络安全监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