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723B1 -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 - Google Patents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723B1
KR100730723B1 KR1020070020289A KR20070020289A KR100730723B1 KR 100730723 B1 KR100730723 B1 KR 100730723B1 KR 1020070020289 A KR1020070020289 A KR 1020070020289A KR 20070020289 A KR20070020289 A KR 20070020289A KR 100730723 B1 KR100730723 B1 KR 100730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block
drainage
road
drai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려풍국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려풍국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려풍국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020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adapted to be used with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석 내에 손잡이 역할 부분이 있어 운반 등 취급이 용이하며, 길이방향으로 조립되어 연결되고, 부유물로 대기 중에 노출된 배수구가 막히는 경우에도 경계석에 형성된 별도의 배수 통로로 도로 부위의 물을 배수구 내부로 배수시킬 수 있으며, 보도 블럭 측 물을 배수구 내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1100) 상의 도로 배수 부위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도로(1100) 측의 배수를 돕도록 형성되는 경계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경계 블럭 부재는 상기 보도블럭(1200)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도블럭(1200) 측의 배수를 돕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계 블럭 부재의 내부에 배수 통로인 상하 배수 통로부(182)와 전면부 배수 통로부(192)가 형성되는 상기 경계 블럭 부재인 경계 블럭부(100), 상기 경계 블럭부(10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도로 배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도로 배수 부재의 덮개인 그레이팅 부재의 한쪽 부위가 경사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경계 블럭부(100)의 밑으로 연결되어 상기 경계 블럭부(100)의 상기 상하 배수 통로부(182)와 상기 전면부 배수 통로부(192)로 부터 배수되는 물을 상기 도로 배수 부재 내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상기 도로 배수 부재인 도로 배수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에 관한 것이다.
경계 블럭, 배수.

Description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Boundary block combination for architectural and civil work with drainage function on the inside}
도 1은 본 발명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의 수직 단면도로, 구성요소인 상하 배수 통로부(182), 경사 그레이팅부(212)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의 횡단면도로, 구성요소인 전면부 배수 통로부(192)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경계 블럭부 101 : 경계 블럭부 몸체부
110 : 경계 블럭부 상부면 112 : 상부면 망부
120 : 경계 블럭부 측면부 122 : 측면부 오목부
125 : 측면부 볼록부 150 : 경계 블럭부 전면부
152 : 전면부 망부 172 : 하부면 개구부
182 : 상하 배수 통로부 192 : 전면부 배수 통로부
200 : 도로 배수부 210 : 평면 그레이팅부
212 : 경사 그레이팅부 1100 : 도로
1200 : 보도블럭 1500 : 배수부
본 발명은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1100) 상의 도로 배수 부위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도로(1100) 측의 배수를 돕도록 형성되는 경계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경계 블럭 부재는 상기 보도블럭(1200)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도블럭(1200) 측의 배수를 돕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계 블럭 부재의 내부에 배수 통로인 상하 배수 통로부(182)와 전면부 배수 통로부(192)가 형성되는 상기 경계 블럭 부재인 경계 블럭부(100), 상기 경계 블럭부(10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도로 배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도로 배수 부재의 덮개인 그레이팅 부재의 한쪽 부위가 경사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경계 블럭부(100)의 밑으로 연결되어 상기 경계 블럭부(100)의 상기 상하 배수 통로부(182)와 상기 전면부 배수 통로부(192)로 부터 배수되는 물을 상기 도로 배수 부재 내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상기 도로 배수 부재인 도로 배수부(2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경계석 내에 손잡이 역할 부분이 있어 운반 등 취급이 용이하며, 길이방향으로 조립되어 연결되고, 부유물로 대기 중에 노출된 배수구가 막히는 경우에도 경계석에 형성된 별도의 배수 통로로 도로 부위의 물을 배수구 내부로 배수시킬 수 있으며, 보도 블럭 측 물을 배수구 내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에 관한 것이다.
경계석은 도로에서 많이 사용된다.
만약, 경계석 내에 손잡이 역할 부분이 있어 운반 등 취급이 용이하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조립되어 연결된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부유물로 대기 중에 노출된 배수구가 막히는 경우에도 경계석에 형성된 별도의 배수 통로로 도로 부위의 물을 배수구 내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보도 블럭 측 물을 배수구 내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계석 내에 손잡이 역할 부분이 있어 운반 등 취급이 용이한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방향으로 조립되어 연결되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물로 대기 중에 노출된 배수구가 막히는 경우에도 경계석에 형성된 별도의 배수 통로로 도로 부위의 물을 배수구 내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도 블럭 측 물을 배수구 내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경계 블럭부(100), 도로 배수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로(1100) 상의 도로 배수 부위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도로(1100) 측의 배수를 돕도록 형성되는 경계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경계 블럭 부재는 상기 보도블럭(1200)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도블럭(1200) 측의 배수를 돕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계 블럭 부재의 내부에 배수 통로인 상하 배수 통로부(182)와 전면부 배수 통로부(192)가 형성되는 상기 경계 블럭 부재인 경계 블럭부(100), 상기 경계 블럭부(10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도로 배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도로 배수 부재의 덮개인 그레이팅 부재의 한쪽 부위가 경사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경계 블럭부(100)의 밑으로 연결되어 상기 경계 블럭부(100)의 상기 상하 배수 통로부(182)와 상기 전면부 배수 통로부(192)로 부터 배수되는 물을 상기 도로 배수 부재 내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상기 도로 배수 부재인 도로 배수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에 관한 것이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 2도는 본 발명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의 수직 단면도로, 구성요소인 상하 배수 통로부(182), 경사 그레이팅부(212)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제 3도는 본 발명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의 횡단면도로, 구성요소인 전면부 배수 통로부(192)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로(1100) 상의 도로 배수 부위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도로(1100) 측의 배수를 돕도록 형성되는 경계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경계 블럭 부재는 상기 보도블럭(1200)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도블럭(1200) 측의 배수를 돕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계 블럭 부재의 내부에 배수 통로인 상하 배수 통로부(182)와 전면부 배수 통로부(192)가 형성되는 상기 경계 블럭 부재인 경계 블럭부(100), 상기 경계 블럭부(10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도로 배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도로 배수 부재의 덮개인 그레이팅 부재의 한쪽 부위가 경사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경계 블럭부(100)의 밑으로 연결되어 상기 경계 블럭부(100)의 상기 상하 배수 통로부(182)와 상기 전면부 배수 통로부(192)로 부터 배수되는 물을 상기 도로 배수 부재 내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상기 도로 배수 부재인 도로 배수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경계 블럭부(100)는 상기 경계 블럭부(100)의 몸체로 형성되는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의 측면인 경계 블럭부 측면부(120)의 중앙 부위가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형상의 타 부재의 돌출부위와 암수결합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측면부 오목부(122), 상기 측면부 오목부(122)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쪽의 경계 블럭부 측면부(120)의 중앙 부위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동일한 형상의 타 부재의 상기 측면부 오목부(122)와 암수결합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측면부 볼록부(125), 상기 도로(1100) 측의 배수를 돕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 내부에 배수 통로로 형성되는 전면부 배수 통로부(19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도로측 배수수단, 상기 보도블럭(1200) 측의 배수를 돕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 내부에 배수 통로로 형성되는 상하 배수 통로부(18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보도 블럭측 배수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측면부 오목부(122), 상기 측면부 볼록부(125)를 잡고 경계석을 운반하거나 다루면, 상기 측면부 오목부(122), 상기 측면부 볼록부(125)가 손잡이 역할을 해주므로, 기존의 밋밋한 경계석을 운반하거나 다루는 것에 비해 취급이 용이하다.
따라서 경계석 내에 손잡이 역할 부분이 있어 운반 등 취급이 용이한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부 오목부(122), 상기 측면부 볼록부(125)는 서로 암수결합되므로, 상기 경계 블럭부(100)는 길이방향으로 조립되어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조립되어 연결되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 용 경계 블럭 조합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도로측 배수수단은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의 면들 중에서 상기 도로(1100) 측으로 노출된 전면인 경계 블럭부 전면부(150)의 가장자리 하부에 개구부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망 부재로 씌워져서 형성되는 전면부 망부(152),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의 하부면의 중앙부위에 개구부로 형성되는 하부면 개구부(172),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 내부에 배수 통로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망부(152)와 상기 하부면 개구부(172)를 연결해주도록 형성되는 전면부 배수 통로부(19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도 블럭측 배수수단은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의 면들 중에서 상기 보도블럭(1200) 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의 상부면인 경계 블럭부 상부면(110)의 중앙 부위에 개구부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망 부재로 씌워져서 형성되는 상부면 망부(112),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의 하부면의 중앙부위에 개구부로 형성되는 하부면 개구부(172),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 내부에 배수 통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면 망부(112)와 상기 하부면 개구부(172)를 연결해주도록 형성되는 상하 배수 통로부(18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도 블럭측 배수수단을 통해 상기 보도블럭(1200) 측의 물이 경계석 내부로 배수된다.
따라서, 보도 블럭 측 물을 배수구 내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도로 배수부(200)는 상기 도로(1100)의 지중에 형성되어 배수관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부(1500)를 덮어주는 그레이팅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그레이팅 부재의 일부로 대기 중에 노출되되 수평하게 설치되는 평면 그레이팅부(210)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평면 그레이팅부(210)와 연속되되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면 개구부(172) 밑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경사 그레이팅부(21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비가 많이 오고, 나뭇가지나 비닐 봉지 등 부유물이 상기 상기 평면 그레이팅부(210)를 덮어버리면, 배수되는 양이 줄어들고 상기 도로 배수부(200) 주위의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이 경우 물은 상기 전면부 망부(152) 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부유물의 영향을 받지않는 상기 경사 그레이팅부(212)로 배수되게 된다.
따라서, 부유물로 대기 중에 노출된 배수구가 막히는 경우에도 경계석에 형성된 별도의 배수 통로로 도로 부위의 물을 배수구 내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경계석 내에 손잡이 역할 부분이 있어 운반 등 취급이 용이한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길이방향으로 조립되어 연결되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부유물로 대기 중에 노출된 배수구가 막히는 경우에도 경 계석에 형성된 별도의 배수 통로로 도로 부위의 물을 배수구 내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보도 블럭 측 물을 배수구 내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3)

  1. 도로(1100) 상의 도로 배수 부위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도로(1100) 측의 배수를 돕도록 형성되는 경계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경계 블럭 부재는 보도블럭(1200)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도블럭(1200) 측의 배수를 돕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계 블럭 부재의 내부에 배수 통로인 상하 배수 통로부(182)와 전면부 배수 통로부(192)가 형성되는 상기 경계 블럭 부재인 경계 블럭부(100),
    상기 경계 블럭부(10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도로 배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도로 배수 부재의 덮개인 그레이팅 부재의 한쪽 부위가 경사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경계 블럭부(100)의 밑으로 연결되어 상기 경계 블럭부(100)의 상기 상하 배수 통로부(182)와 상기 전면부 배수 통로부(192)로 부터 배수되는 물을 상기 도로 배수 부재 내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상기 도로 배수 부재인 도로 배수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경계 블럭부(100)는
    상기 경계 블럭부(100)의 몸체로 형성되는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의 측면인 경계 블럭부 측면부(120)의 중앙 부위가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형상의 타 부재의 돌출부위와 암수결합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측면부 오목부(122),
    상기 측면부 오목부(122)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쪽의 경계 블럭부 측면부(120)의 중앙 부위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동일한 형상의 타 부재의 상기 측면부 오목부(122)와 암수결합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측면부 볼록부(125),
    상기 도로(1100) 측의 배수를 돕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 내부에 배수 통로로 형성되는 전면부 배수 통로부(19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도로측 배수수단,
    상기 보도블럭(1200) 측의 배수를 돕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 내부에 배수 통로로 형성되는 상하 배수 통로부(18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보도 블럭측 배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도로 배수부(200)는
    상기 도로(1100)의 지중에 형성되어 배수관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부(1500)를 덮어주는 그레이팅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그레이팅 부재의 일부로 대기 중에 노출되되 수평하게 설치되는 평면 그레이팅부(210)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평면 그레이팅부(210)와 연속되되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경계 블럭부(100)의 몸체 하부면의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개구부인 하부면 개구부(172) 밑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경사 그레이팅부(21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측 배수수단은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의 면들 중에서 상기 도로(1100) 측으로 노출된 전면인 경계 블럭부 전면부(150)의 가장자리 하부에 개구부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망 부재로 씌워져서 형성되는 전면부 망부(152);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의 하부면의 중앙부위에 개구부로 형성되는 하 부면 개구부(172);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 내부에 배수 통로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망부(152)와 상기 하부면 개구부(172)를 연결해주도록 형성되는 전면부 배수 통로부(19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측 배수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도 블럭측 배수수단은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의 면들 중에서 상기 보도블럭(1200) 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의 상부면인 경계 블럭부 상부면(110)의 중앙 부위에 개구부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망 부재로 씌워져서 형성되는 상부면 망부(112);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의 하부면의 중앙부위에 개구부로 형성되는 하부면 개구부(172);
    상기 경계 블럭부 몸체부(101) 내부에 배수 통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면 망부(112)와 상기 하부면 개구부(172)를 연결해주도록 형성되는 상하 배수 통로부(18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도 블럭측 배수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
KR1020070020289A 2007-02-28 2007-02-28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 KR100730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289A KR100730723B1 (ko) 2007-02-28 2007-02-28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289A KR100730723B1 (ko) 2007-02-28 2007-02-28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0723B1 true KR100730723B1 (ko) 2007-06-21

Family

ID=3837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289A KR100730723B1 (ko) 2007-02-28 2007-02-28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7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8425A (ja) * 2001-06-26 2003-01-10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JP2003040205A (ja) * 2001-07-12 2003-02-13 Illinois Tool Works Inc <Itw> 改良型モジュール式ストラ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8425A (ja) * 2001-06-26 2003-01-10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JP2003040205A (ja) * 2001-07-12 2003-02-13 Illinois Tool Works Inc <Itw> 改良型モジュール式ストラップ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 20-0308425호
등록실용 20-0340205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525B1 (ko) 친환경 혼합자재를 이용한 투수성 보도블럭 및 이를 구비한 배수처리시스템
KR20090105791A (ko) 슬렌팅 보호덮개
JP3944518B2 (ja) 境界ブロックを用いた道路の排水構造
KR20080096317A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100730723B1 (ko) 내부로 배수 가능한 건축 토목 공사용 경계 블럭 조합체.
KR101221526B1 (ko) 상하부 분리 가능한 도로경계석
KR20170041412A (ko) 투수 트랜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성 보도블록포장 시공방법
KR100618199B1 (ko) 식생이 가능하며 배선배관부를 가진 도로중앙분리대.
KR20130074721A (ko) 우수관 일체형 경계석
KR100755997B1 (ko) 유입수방지구조를 갖춘 맨홀
KR100519910B1 (ko) 건축단지의 비탈면 방호시설
KR200417100Y1 (ko) 유입수방지구조를 갖춘 맨홀
KR100616245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설치구조
KR20120057938A (ko) 배수통을 갖는 보도블록
KR101226679B1 (ko) 배수관 덮개용 블록
KR101741014B1 (ko)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JP2005344444A (ja) 集水桝、および集水桝のグレーチング枠
KR20090014932A (ko) 배수관용 배수 유도장치
KR200450394Y1 (ko) 가로수 보호덮개
KR20040097041A (ko) 청소용 빗물받이
JP2011089348A (ja) L型側溝ブロック
KR101008194B1 (ko) 가로수 보호대
KR20110005564A (ko) 빗물 배수구 덮개
KR101763557B1 (ko) 보도 블록
KR101083783B1 (ko) 측구일체형 경계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