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489B1 - 식별을 위한 아이씨 칩, 데이타를 해독하는 방법 및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식별을 위한 아이씨 칩, 데이타를 해독하는 방법 및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489B1
KR100730489B1 KR1020050046047A KR20050046047A KR100730489B1 KR 100730489 B1 KR100730489 B1 KR 100730489B1 KR 1020050046047 A KR1020050046047 A KR 1020050046047A KR 20050046047 A KR20050046047 A KR 20050046047A KR 100730489 B1 KR100730489 B1 KR 100730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signal
carrier
data
chip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4233A (ko
Inventor
시로 스기무라
히데키 코바야시
슈헤이 다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이시
말레이지아 정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이시, 말레이지아 정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이시
Priority to KR102005004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489B1/ko
Publication of KR20060124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means for minimising adverse effects on the data communication capability of the record carrier, e.g. minimising Eddy currents induced in a proximate metal or otherwise electromagnetically interfering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1Details
    • G06K7/016Synchronisation of sensing process
    • G06K7/0166Synchronisation of sensing process by means of clock-signals derived from the code marks, e.g. self-clocking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외부로부터의 반송파의 주파수 제한을 제거하기 위하여, 식별을 위한 본 IC칩은 외부로부터 반송파를 받고 내부의 전력 공급을 만드는 전력 공급부; 외부로부터 광학적 시그널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에 동조하는 해독을 위한 내부의 클럭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해독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 메모리부; 및 해독을 위한 내부의 클럭 시그널에 따라 메모리부에 있는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해독하고, 이에 기초하여 외부로부터 반송파를 부하 조절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반송파, IC칩

Description

식별을 위한 아이씨 칩, 데이타를 해독하는 방법 및 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IC CHIP FOR IDENTIFICATION, METHOD FOR READING OUT DATA THEREFROM, AND METHOD FOR WRITING DATA THEREIN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식별을 위한 IC 칩의 한 태양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 블록 개요도이다.
도 2는 동일물의 더욱 상세한 시스템 블록 개요도이다.
도 3a는 식별을 위한 IC 칩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선 X-X에 의하여 보여지는 단면도이다.
도 4는 IC칩의 작동을 보여주는 첫번째 차트이다.
도 5는 IC칩의 작동을 보여주는 두번째 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물품 또는 사람 등을 식별하는, 식별을 위한 무선형의 아이씨(이하 IC라한다)칩, IC칩으로부터 데이타를 해독하는 방법 및 IC칩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형태의 물품 또는 사람 등을 식별하기 위하여 다양한 IC카드 또는 IC 태그를 발행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IC카드 또는 IC태그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일 수 있지만, 식별을 위한 무선형의 IC칩이 포함되는 비접촉식이 사용 동안의 편리함의 관점에서 우세하다. IC카드 또는 IC태그에 포함되는 무선형의 IC칩은 산물을 식별하는 작용을 하도록 때때로 다양한 형태의 산물 즉, 지폐와 같은 것을 직접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내부의 전기 회로를 작동하기 위하여, 종래의 식별을 위한 무선형의 IC칩은 외부로부터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였다(예를 들어, 특허 문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10-145443을 참조). 다시 말해서, 외부 리더-라이터로부터의 반송파가 온칩 안테나를 통하여 얻어짐과 동시에 내부의 전력 공급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이 반송파를 정류할 때, 반송파에 중첩된 데이타가 역시 읽혀지고, 그 결과로서 필요한 데이타를 무선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라서, IC칩에 대한 내부 전력 공급의 발생을 위하여 작용하는 외부로부터의 반송파에 더하여, 데이타가 중첩된 반송파를 사용하고, 따라서, 중첩된 데이타를 정확하게 복조하기 위해서 고정된 반송파의 주파수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그로 인하여 그 적용의 범위가 더 제한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시말해서, 반송파의 주파수가 고정될 때, IC칩에 제공되는 온칩 안테나의 특징이 물품의 특성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온칩 안테나의 특징이 IC칩이 조립되는 각각의 형태의 물품에 정확하게 대응하도록 맞추어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종래 기술이 가진 문제점의 관점에서 착상되고, 그 목적은 식별을 위한 IC칩 및 오직 클럭 시그널 펄스가 중첩된 반송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반송파의 주파수에 대한 어떠한 진성의 제한을 제거할 수 있으며, 매우 넓리 적용될 수 있는, 데이타를 읽어내고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 본질적인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양상은 내부 전류 흐름을 만들기 위하여 외부로부터의 반송파를 이용하는 전력 공급부; 외부로부터의 광학 신호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에 동조하는 해독을 위하여 내부의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해독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 메모리부; 및 해독을 위하여 상기 내부 클럭 시그널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서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해독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파를 부하 변조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식별을 위한 IC칩을 제공한다.
상기 반송파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에 기초하여 기록하기 위한 내부의 클럭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기록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 및 기록을 위한 상기 내부 클럭 시그널에 따라 상기 광학의 시그널에 중첩된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읽고 상기 메모리부에 그 데이타를 저장하는 기록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기록부는 상기 데이타의 범람을 검파하고 기록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메모리부를 차단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게다가, 기록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는 상기 반송파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를 구별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온칩 안테나 위에 외부 안테나에 연결되는 범프 콘텍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본질적인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두번째 양상은 식별을 위한 IC칩으로부터 데이타를 해독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해독을 위한 내부의 클럭 시그널은 외부로부터의 광학적 시그널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에 동조하여 발생하고;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타는 해독을 위한 상기 내부의 클럭 시그널에 따라 연속적으로 해독되며, 외부로부터의 상기 반송파는 이에 기초하여 부하 변조된다.
이에 더하여, 그 본질적인 특성에 따라서, 본 발명의 세번째 양상은 식별을 위한 IC칩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기록을 위한 내부 클럭 시그널은 외부로부터의 반송파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에 기초하여 발생되고; 외부로부터의 광학적 시그널에 중첩된 데이타는 기록을 위한 상기 내부의 클럭 시그널에 따라 연속적으로 저장되며; 저장된 데이타는 메모리부로 기록되고, 상기 메모리부는 이에 대한 기록이 불가능하도록 차단된다.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첫번째 양상의 구조에 따라서, 전력 공급부는 외부로부터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내부 전력을 발생시키고, 해독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는 외부로부터 광학적인 신호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에 동조하는 해독을 위한 내부의 클럭 시그널을 발생시킨다. 반면에, 출력부는 해독을 위한 내부의 클럭 시그널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타를 해독하고 반송파를 부하 변조한다. 그러므로, 반송파를 발생시키는 외부의 리더-라이터는 반송파를 통하여 메모리부로부터 그 데이타를 읽을 수 있고, 동시에 식별을 위한 IC칩 및 리더-라이터는 어떠한 방법에서 반송파의 주파수에 의존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반송파는 클럭 시그널 펄스가 중첩된 단순한 반송파이고, 내부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의 유일한 공급이므로 그 주파수가 본래 제한되지 않는다.
연속적으로 외부로부터 광학 시그널을 수용하는 데이타를 해독하고 메모리내에 그것을 저장하는 기록부에 의하여, 메모리부로 예정된 데이타를 기록하고 그곳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시에 광학 시그널에 있는 데이타는 반송파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와 동조화되는 것이 가정된다고 이해되어진다. 이는 클럭 시그널 펄스가 기록을 위한 내부의 클럭 시그널의 기초가 되고, 광학 시그널 내에 데이타를 해독하는 표준 시간을 결정한다.
기록부는 부가의 기록을 금지할 수 있고 광학적 시그널에 중첩된 데이타의 유출을 감지하는 것에 의하여 메모리부에서 데이타의 교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를 차단하는 것에 의하여 기록은 더욱 불가능하게 된다. 메모리부에 더이상의 테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에 의하여 예비의 게이트 회로가 광학적인 시그널을 해독하는 이동 레지스터를 위하여 제공될 수 있고, 폐쇄에 의하여 하드웨어 방식으로 그것을 차단하며; 또는 메모리부로서 사용되는 비휘발성 기억장치가 휴즈 메모리의 역할을 수행하고, 이러한 휴즈 메모리는 차단되어 더이상의 기록이 하드웨어 베이스에서 불가능하게 되며; 또는 이러한 수단 모두가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의 방법으로 메모리부에 사용된 비휘발성 기억장 치로써 예를 들어 재기록될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반송파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를 식별하는 것에 의하여, 기록을 위한 클럭 시그널에 대한 발생부는 소음에 대한 내구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럭 시그널 펄스의 이러한 식별은 클럭 시그널 펄스에 대응하는 유일한 주파수 요소를 추출하는 좁은 띠 통과 필터를 사용한다.
범프 콘텍트가 외부 안테나의 연결을 위한 온-칩 안테나에 제공된다면, 외부 안테나와 온-칩 안테나의 특징을 용이하게 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식별을 위한 IC칩의 통신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하여, 더 나아간 레벨에 의하여 적용의 범위를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두번째 양상에 따라서 본 발명의 첫번째 양상의 해독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 메모리부 및 출력부의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세번째 양상에 따라서 본 발명의 첫번째 양상의 기록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 메모리부 및 기록부의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태양이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식별을 위한 IC칩 10은 무선형이며, 전력 공급부 11, 기록 및 해독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 12 및 16, 기록부 13, 메모리부 14 및 출력부 15를 포함한다.
전력 공급부 11, 기록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 12의 입력면 및 출력부 15 의 출력면은 각각 온-칩 안테나 A에 공통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범프 콘텍트 B는 외부 안테나 A0를 온칩 안테나 A에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리더-라이터로부터 반송파 SI는 온칩 안테나 A 및 외부 안테나 A0에 도달한다.
전력 공급부 11의 출력은 IC칩 10내에 있는 다양한 부분에 내부 전력 공급 V로써 공급된다.
기록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 12의 출력은 기록을 위한 내부 클럭 시그널 Sc1으로써 기록부 13에 입력된다. 기록부 13의 출력의 하나는 해독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 16을 통하여 해독을 위한 내부 클럭 시그널 Sc2로써 출력부 15에 입력되고, 그 다른 출력은 메모리부 14를 통하여 출력부 15에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리더-라이터로부터의 광학적인 시그널 S2은 기록부 13에 도달한다.
도 2를 참조하여, 공진을 위한 캐패시터 C는 온칩 안테나 A에 평행으로 연결되고, 온칩 안테나의 한 끝은 접지된다. 외부 안테나 A0를 범프 콘텍트 B, B를 통하여 온칩 안테나 A에 추가하고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공진을 위한 캐패시터 C0는 외부 안테나 A0에 평행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비접지 측면에 있는 온칩 안테나 A 및 외부 안테나 A0의 한쪽 말단은 각각 전력 공급부 11, 기록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 12 및 출력부 15로 이르게 된다.
비접지 측면에 있는 온칩 안테나 A 및 외부 안테나 A0의 한쪽 말단 각각은 정류를 위한 다이오드 D1, D1을 통하여 전력 공급부 11로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스 무딩을 위한 캐패시터 C1은 다이오드 D1, D1의 출력면에 연결되고, 그러므로 내부 전력 공급 V가 출력된다.
비접지 측면에 있는 온칩 안테나 A 및 외부 안테나 A0의 한쪽 말단 각각은 검파를 위한 다이오드 D2, D2를 통하여 기록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 12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클럭 시그널 발생 회로 12a에 이른다. 클럭 시그널 발생 회로 12a의 입력면은 레지스터 R2를 통하여 접지되고, 클럭 시그널 발생 회로 12a의 출력은 기록을 위한 내부의 클럭 시그널 Sc1으로써 기록부 13의 이동 레지스터 13d 및 오버플로우 검파 회로 13e로 전도된다.
기록부 13는 증폭기 13b, 게이트 회로 13c, 이동 레지스터 13d 및 오버플로우 회로 13e를 포함하고, 외부의 리더-라이터로부터 광학적 시그널 S2를 받는 빛 수신 요소 13a에 연결된다. 오버플로우 검파 회로 13e의 출력은 메모리부 14의 메모리 14a 뿐만아니라 게이트 회로 13c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빛 수신 요소 13a는 포토다이오드이다.
이동 레지스터 13d의 다른 출력은 메모리부 14의 메모리 14a에 연결되고, 메모리 14a의 출력은 출력부 15의 레지스터 15a에 연결된다. 레지스터 15a의 출력은 FET와 같은 스위칭 요소 T의 게이트에 연결되고, 이 스위칭 요소 T의 양극면은 접지되나, 그 음극면이 각각의 레지스터 R5, R5를 통하여 온칩 안테나 A 및 외부 안테나 A0의 비접지면의 한 말단에 연결된다.
기록부 13의 증폭기 13b의 출력은 갈라지고, 해독을 위하여 클럭 시그널 발 생부 16에 이르며, 검파를 위한 다이오드 D6을 통하여 클럭 시그널 발생 회로 16a에 연결된다. 이러한 클럭 시그널 발생 회로 16a의 입력면은 레지스터 R6을 통하여 접지되나, 그 출력면은 해독을 위한 내부의 클럭 시그널 Sc2로써 레지스터 16a에 입력된다.
도 3a의 평면도에서 본 것처럼, 이 IC칩 10은 예를 들어 약 0.5mm 스퀘어의 실리콘 칩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도 3b는 도 3a에서 선 X-X에 의하여 잘려진 IC칩의 단면도이다.
IC칩 10은 실리콘 베이스 21에 요구되는 내장 회로 22를 형성하고, 실리콘 베이스 21의 상층 표면에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로 만들어진 절연층 23을 제공하며, 절연층 23위에 온칩 안테나 A 및 범프 콘텍트 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여기에서,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이러한 온칩 안테나 A는 3회전을 가진 루프 안테나인 것으로 보이고, 반송파 S1에 대하여 2.45GHz의 대표적인 주파수 밴드에 적절하며, 절연층 23위에 금속제의 판형 층으로 형성된다. 게다가, 컨벡스 렌즈 모양의 빛 전도 부분 24은 절연층 23의 한 부분에 형성되며, 이는 광학적 시그널 S2가 내장 회로 22에서 제공되는 빛 수신 요소 13a에 양호한 효율로 도달하는 것을 허락하기 위함이다.
IC칩 1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데이타가 메모리부 14의 메모리 14a에 기록되지 않고, 클럭 시그널 펄스가 중첩된 반송파 S1이 외부의 리더-라이터로부터 온칩 안테나 A 및 외부 안테나 A0의 한쪽 또는 양쪽에 도달할 때(도 4를 참조), 전력 공급부 11는 다이오드 D1, D1을 통하여 반송파 S1을 정류하는 것에 의하여 내부 전력 공급 V을 만들 수 있다. 반송파 S1는 100% ASK 모듈레이션에 의하여 10MHz 내지 70GHz 주변의 주파수이고, 예를 들어, 클럭 시그널 주파수 fc1=1/Tc1=100kHz의 클럭 시그널 펄스를 중첩하고 있다. 여기에서 Tc1은 클럭 시그널 펄스의 주기이고; ASK 모듈레이션 대신에 FSK 모듈레이션, PSK 모듈레이션 등에 의하여 반송파 S1를 중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기록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 12의 클럭 시그널 발생 회로 12a는 다이오드 D2, D2를 통하여 반송파 S1을 검파하며, 반송파 S1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에 기초하여 기록을 위한 내부의 클럭 시그널 Sc1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타 D가 중첩된 광학적인 시그널 S2는 외부 리더-라이터로부터 기록부 13의 광학적인 수신 요소 13a로 입력된다. 여기에서, 광학적 시그널 S2는 부반송 주파수 500kHz 또는 그 이상의 적외선이 바람직하고, 광학적 시그널 S2에 중첩된 데이타 D는 반송파 S1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와 동조화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데이타 D는 기록을 위한 내부 클럭 시그널 Sc1에 따라서 증폭기 13b 및 기록부 13의 게이트 회로 13c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이동 레지스터 13d로 해독되고 저장된다. 이는 이동 레지스터 13d가 기록을 위한 내부 클럭 시그널 Sc1에 따라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동 레지스터 13d가 데이타 D의 미리 결정된 양을 저장할 때, 오버플로우 시그널 Sf를 발생시킨다. 이때, 오버플로우 검파 회로 13e는 메모리부 14의 메모리 14a로 기록 시그널 Sw을 발송하고, 메모리 14a에 기록되고 저장된 이동 레지스터 13d내 데이타 D를 따라서, 게이트 시그널 Sg는 게이트 회로 13c에 발송되고, 게이트 회로 13c가 폐쇄되는데 그 결과로서, 데이타 D의 통과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게이트 회로 13c를 통하여, 메모리부 14의 메모리 14a는 차단 작용을 수행하고, 그 결과 더 이상의 기록은 불가능하다. 메모리 14a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고 그 결과 내부 데이타 D는 마치 외부로부터의 반송파 S1가 차단되고, 내부 전력 공급 V이 차단된 것과 마찬가지로 유지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외부로부터의 반송파 S1가 온칩 안테나 A 및/또는 외부 안테나 A0에 도달할 때, 그리고 동시에 클럭 시그널 주파수 fc2=1/Tc2의 클럭 시그널 펄스에 중첩된 광학적 시그널 S2는 기록부 13의 빛 수신 요소 13a에 도달하고, 그리고 나서, 출력부 15의 레지스터 15a는 클럭 시그널 발생 회로 16a로부터 해독을 위한 내부 클럭 시그널 Sc2에 따라서 메모리 14a에 있는 데이타 D를 연속적으로 해독하고, 이 데이타 D에 따라서 스위칭 요소 T를 개방하고 폐쇄한다. 여기에서, Tc2는 클럭 시그널 펄스의 주기이고, 클럭 시그널 발생 회로 16a는 광학적 시그널 S2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에 동조한 해독을 위하여 내부의 클럭 시그널 Sc2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반면에, 스위칭 요소 T는 레지스터 R5, R5를 통하여 온칩 안테나 A 및 외부 안테나 A0의 부하 임피던스를 변화시키고, 데이타 D에 따라서 반송파 S1를 부하 변조한다(도 5의 최하단을 참조). 그러므로, 반송파 S1및 광학적 시그널 S2를 발생시키는 리더-라이터는 반송파 S1을 통하여 메모리 14a의 데이타 D를 해독할 수 있다.
상기 기술에서, 요구에 따라, 외부 안테나 A0가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관계에서, 오직 온칩 안테나 A만이 사용된다면, 반송파 S1의 주파수는 온칩 안테나 A의 공진 주파수 근처로 제한될 것이나, 동시에 리더-라이터는 반송파 S1의 주파수를 스위프하고 가장 적절한 주파수에서 데이타 D를 기록하고 해독하도록 한다.
게다가, 클럭 시그널 펄스에 대한 식별 기능을 가진 기록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 12의 클럭 시그널 발생 회로 12a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록을 위한 내부의 클럭 시그널 Sc1은 반송파 S1에 중첩된 특수화된 클럭 시그널 주파수 fc1의 클럭 시그널 펄스를 위하여서만 발생되고 그 결과 견딜 수 있는 소음의 양을 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정확히 같은 방법으로 클럭 시그널 펄스에 대한 식별 기능을 가진 해독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 16의 클럭 시그널 발생 회로 16a를 부여하는 것에 의하여, 클럭 시그널 주파수 fc2의 클럭 시그널 펄스의 해독을 위한 내부 클럭 시그널 Sc2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클럭 시그널 펄스가 ASK모듈레이션에 의하여 반송파 S1에 중첩될 때, 10% 내지 100%의 바람직한 범위내로 반송파 S1의 모듈레이션의 양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상되는 소음 내성을 충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모듈레이션의 낮은 양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게 만들어진 전력 공급부 11의 스무딩을 위한 캐패시터 C1의 용량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게이트 회로 13c는 게이트 시그널 Sg에 의하여 끊어진 휴즈(도면에서 보이지 않음)와 제공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서 게이트 회로 13c는 게이트 시 그널 Sg에 의하여 끊긴 휴즈에 의하여 하드웨어 방식으로 폐쇄되며; 이러한 경우에 그 구조는 게이트 회로 13c가 다시 개방될 수 없을 것이다. 이때, 메모리 14a가 게이트 회로 13c에 의하여 안전하게 차단되기 때문에, 본래 재기록 가능한 플래쉬 메모리로 수용가능하다. 그러나, 메모리 14a에 있어서, 재기록될 수 없는 플래쉬 메모리 또는 휴즈된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결과 저장된 데이타의 변형이 발생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이 위에서 기술되었고,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가, 삭제, 치환 및 다른 변형들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의하여 오직 한정된다.
본 발명은 식별을 위한 IC칩, 클럭 시그널 펄스가 중첩된 반송파를 사용하여 반송파의 주파수에 대한 제한을 제거하고 다양하게 널리 제공될 수 있는 IC칩으로부터 데이타를 해독하는 방법 및 IC칩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7)

  1. 내부 전류를 만들기 위하여 외부로부터의 반송파를 이용하는 전력 공급부;
    외부로부터의 광학적 시그널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에 동조하는 해독을 위한 내부 클럭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해독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
    메모리부; 및
    해독을 위한 상기 내부 클럭 시그널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있는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해독하고, 그에 기초하여 외부로부터의 상기 반송파를 부하 변조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식별을 위한 IC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에 기초한 기록을 위한 내부 클럭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기록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 및 기록을 위한 상기 내부 클럭 시그널에 따른 상기 광학적 시그널에 중첩된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해독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을 위한IC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는 상기 데이타의 오버플로우를 검파하고, 메모리부를 차단하여 그에 대한 기록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을 위한 IC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을 위한 클럭 시그널 발생부는 상기 반송파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을 위한 IC칩.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에 연결되는 온칩 안테나 상에, 외부 안테나에 연결된 범프 콘텍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을 위한 IC칩.
  6. 해독을 위한 내부 클럭 시그널은 외부로부터의 광학적 시그널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에 동조하여 발생되는 단계; 및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타는 해독을 위한 상기 내부 클럭 시그널에 따라 연속적으로 해독되고, 상기 외부로부터의 반송파가 그에 기초하여 부하 변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별을 위한 IC칩으로부터 테이타를 해독하는 방법.
  7. 기록을 위한 내부 클럭 시그널은 외부로부터의 반송파에 중첩된 클럭 시그널 펄스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단계;
    외부로부터의 광학적 시그널에 중첩된 데이타는 기록을 위한 내부 클럭 시그널에 따라 연속적으로 저장되는 단계; 및
    저장된 데이타는 메모리부로 기록되고, 상기 메모리부는 차단되어 기록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별을 위한 IC칩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
KR1020050046047A 2005-05-31 2005-05-31 식별을 위한 아이씨 칩, 데이타를 해독하는 방법 및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 KR100730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047A KR100730489B1 (ko) 2005-05-31 2005-05-31 식별을 위한 아이씨 칩, 데이타를 해독하는 방법 및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047A KR100730489B1 (ko) 2005-05-31 2005-05-31 식별을 위한 아이씨 칩, 데이타를 해독하는 방법 및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233A KR20060124233A (ko) 2006-12-05
KR100730489B1 true KR100730489B1 (ko) 2007-06-20

Family

ID=3772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047A KR100730489B1 (ko) 2005-05-31 2005-05-31 식별을 위한 아이씨 칩, 데이타를 해독하는 방법 및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4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669A (ko) * 2003-04-25 2004-11-04 스팍스컴 주식회사 보안 기능을 구비한 무선인식(rfid) 단말기 및 태그
KR20060042402A (ko) * 2004-03-04 2006-05-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데이터 처리 회로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669A (ko) * 2003-04-25 2004-11-04 스팍스컴 주식회사 보안 기능을 구비한 무선인식(rfid) 단말기 및 태그
KR20060042402A (ko) * 2004-03-04 2006-05-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데이터 처리 회로 및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92669
10-200600424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233A (ko) 200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2068B2 (ja) Icカードおよびicチップモジュール
JP4766437B2 (ja) マルチモードタグとマルチモードタグの作製方法および使用方法
US6742117B1 (en) IC card and method of using IC card
KR101563139B1 (ko) 반도체 장치
US20050186904A1 (en) RFID-UHF integrated circuit
US20070075145A1 (en) Jammer for tags and smart cards
CN101573717A (zh) Rfid设备的扩展功能
US7598864B2 (en) IC chip for identification, method for reading out data therefrom, and method for writing data thereinto
JPH05307655A (ja) 遠隔識別可能な小型カード
KR20050005427A (ko) 접지된 안테나를 이용하는 정류기
JP2006295905A (ja) 情報処理装置
KR100730489B1 (ko) 식별을 위한 아이씨 칩, 데이타를 해독하는 방법 및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
KR100683575B1 (ko) 식별을 위한 집적 회로 칩, 데이터 판독 방법 및 데이터기록 방법
EP1559066B1 (fr) Circuit integre rfid-uhf
EP1727078B1 (en) IC chip for contactless identification system
AU2005202368B2 (en) IC chip for identification, method for reading out data therefrom, and method for writing data thereinto
JP4269317B2 (ja) 識別用のicチップと、そのデータの読出し方法、書込み方法
CN100452088C (zh) 用于识别的ic芯片、从其读取数据和将数据写入其的方法
CA2508617A1 (en) Ic chip for identification, method for reading out data therefrom, and method for writing data thereinto
AU625753B2 (en) Transponder
JPH11184987A (ja) 非接触icカードリーダ・ライタ
KR20030056886A (ko) 휴대용 비접촉식 기록 매체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KR20020057644A (ko) 비접촉형 스마트카드로부터 스마트카드에 독특한 정보를판독하기 위한 판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