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088B1 -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088B1
KR100729088B1 KR1020050092245A KR20050092245A KR100729088B1 KR 100729088 B1 KR100729088 B1 KR 100729088B1 KR 1020050092245 A KR1020050092245 A KR 1020050092245A KR 20050092245 A KR20050092245 A KR 20050092245A KR 100729088 B1 KR100729088 B1 KR 100729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elt conveyor
fastening hole
support plate
elastic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042A (ko
Inventor
한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092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088B1/ko
Publication of KR20070037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05Cleaning devices comprising vib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agitated containers in which the liquid and articles or material are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12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of shaking devices, i.e. devices for producing movements of low frequency and large ampl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16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of vibrators, i.e. devices for producing movements of high frequency and small amplitude
    • B65G27/18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32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with means for controlling direction, frequency or amplitude of vibration or shak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6Hygienic features, e.g. easy to sanit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소의 선강지역 등에 설치되어 원료탄이나 광석 등을 운반 및 공급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낙탄 및 누적탄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벨트 컨베이어의 프레임 스탠드의 일단 상부에 배치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프레임 스탠드의 대향하는 타단 상부에 배치되는 제2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지지판에 일측에 지지되어 소정의 높이로 탄성수단을 구비하는 탄성수단 장착부; 상기 탄성수단 장착부의 상부에 그 일측이 체결되도록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판에 타 일측이 체결되도록 제2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체결공으로부터 상기 제2체결공까지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 일측에 체결볼트로 체결된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진동을 부가하도록 구비되는 진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작업자가 직접 현장에 가지 않고 자동으로 낙탄을 처리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업무량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누적탄 형성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설비화재 및 설비고장을 방지하며 정비비 절감 및 설비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 누적탄, 낙탄 제거

Description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A belt conveyor with apparatus for automotive-removing falling coal}
도 1은 벨트 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일부측면도,
도 4는 도 2의 분해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프레임 스탠드, 7...벨트,
10...지지부, 20...탄성수단 장착부,
30...경사판, 40...진동부.
본 발명은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철소의 선강지역 등에 설치되어 원료탄이나 광석 등을 운반 및 공급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낙탄 및 누적탄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는 야드에 야적된 원료탄이나 광석 등을 목적된 장치나 설비로 적재운반 또는 저장하는 장치로서, 구동모터에서 동력을 받아 감속기와 헤드풀리로 연결되는 구동부와 헤드 슈트, 이송구간을 결정하는 테일부와 테일슈트, 벨트 컨베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장력장치 및 벨트와 롤러로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의 한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슈트(1)를 통해서 하부로 낙하이송되어질 때, 비산되는 탄은 스커트(3)에 의하여 차단되어지고 롤러스탠드(5) 상부에 안착되어진 벨트(7)에 적재되어 테일풀리(8)에 의한 벨트(7)의 운동 및 리턴롤러(9)에 의한 벨트(7)의 반송에 의하여 운반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벨트 컨베이어는 테일부에 설치된 낙탄방지판(6) 상부에 비산되어지는 낙탄이나 벨트(7) 배면에서 떨어진 탄이 누적되어 테일풀리(8)와 프레임스탠드(4) 또는 롤러스탠드(5)의 연속적인 마찰로 발열이 될 시에 화재발화 요인이 되고, 벨트(7)의 사행상태를 유발시킨다.
특히, 벨트(7) 기동 중에는 협착 등의 위험으로 낙탄이나 누적탄의 제거 및 처리가 불가능하고 작업자가 직접 육안으로 점검하거나 처리하지 않는 이상 벨트 컨베이어 테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낙탄 처리 시기를 놓쳐 누적탄에 의한 화재발생 등 설비관리의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 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직접 현장에 가지 않고 자동으로 낙탄을 처리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업무량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누적탄 형성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설비화재 및 설비고장을 방지하며 정비비 절감 및 설비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된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는, 벨트, 상기 벨트를 가동시키는 테일풀리, 상기 테일풀리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벨트의 반송을 조력하는 리턴 롤러 및 상기 리턴 롤러와 상기 테일풀리를 지지하는 프레임 스탠드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스탠드의 일단 상부에 배치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프레임 스탠드의 대향하는 타단 상부에 배치되는 제2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지지판에 일측에 지지되어 소정의 높이로 탄성수단을 구비하는 탄성수단 장착부; 상기 탄성수단 장착부의 상부에 그 일측이 체결되도록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판에 타 일측이 체결되도록 제2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체결공으로부터 상기 제2체결공까지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 일측에 체결볼트로 체결된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진동을 부가하도록 구비되는 진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탄성수단 장착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지지판에 일 끝이 체결되며, 다른 일 끝은 상기 경사부에 체결되는 체결봉; 상기 체결수단을 환포하며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탄성부재;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제1지지판의 체결을 조력하는 제1받침부; 및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경사부의 체결을 조력하는 제2받침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봉은 상기 경사부의 제2체결공에서부터 체1체결공까지의 높이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체결봉은 볼트이고 상기 제1받침부는 너트이며, 상기 제2받침부는 너트, 체결블록 및 체결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부의 제1체결공을 통하여 상기 경사부의 일면에는 너트가, 타면에는 체결링과 체결블럭이 상기 체결봉으로써 체결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분해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트(7), 벨트(7)를 가동시키는 테일풀리(8), 테일풀리(8)에 의해 반송되는 벨트(7)의 반송을 조력하는 리턴 롤러(9) 및 리턴 롤러(9)와 테일풀리(8)를 지지하는 프레임 스탠드(4)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프레임 스탠드(4)의 일단 상부에 배치되는 제1지지판(11)과 프레임 스탠드(4)의 대향하는 타단 상부에 배치되는 제2지지판(13)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10), 이 지지부(10)의 제1지지판(11)에 일측이 지지되어 소정의 높이로 탄성수단 (27)을 구비하는 탄성수단 장착부(20), 이 탄성수단 장착부(20)의 상부에 그 일측이 체결되도록 제1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제2지지판(13)에 타 일측이 체결되도록 제2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되, 상기 제1체결공으로부터 상기 제2체결공까지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경사판(30) 및 이 경사판(30)의 경사면 일측에 경사판(30)에 진동을 부가하도록 구비되는 진동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벨트 컨베이어의 프레임 스탠드(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되는 벨트(7) 폭의 양측에 구성되어 리턴 롤러(9)와 테일풀리(8) 등을 지지한다.
이 프레임 스탠드(4)의 일단 상부에는 제1지지판(11)이 배치되고 대향하는 타단 즉, 벨트(7) 폭의 다른 측의 상부에는 제2지지판(13)이 배치되어 지지부(10)를 구성한다.
제1지지판(11)은 탄성수단 장착부(20)를 지지하며, 탄성수단 장착부(20)는 차후 서술될 경사판(3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준다.
경사판(3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주기 위하여, 탄성수단 장착부(20)는 제1지지판(11)에 의해 지지되고 경사판(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27)가 구성되며, 탄성부재(27)는 용수철을 포함한다.
또한, 탄성수단 장착부(20)에는 제1지지판(11)을 관통하여 경사판(30)에 형성된 제1체결공(미도시)까지 관통하는 길이를 가지는 볼트(21)와 이 볼트(21)를 제1지지판(11)에 체결하기 위한 제1받침부(23a) 및 경사판(30)에 체결하기 위한 제2받침부(23b), 체결링(24)과 체결블럭(25)이 구성된다.
제1받침부(23a)는 볼트(21)와 함께 제1지지판(11)에 체결되어, 볼트(21)를 프레임 스탠드(4) 상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제2받침부(23b)는 볼트(21)와 함께 경사판(30)에 체결되고 이때, 경사판(30)을 지지하여 체결된다. 제2받침부(23b)가 경사판(30)을 체결할 시에, 제2받침부(23b)에 대하여 경사판(30)의 반대면에는 체결블럭(25)이 체결되며 이 체결블럭(25)과 경사판(30)의 사이에는 체결링(24)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수단 장착부(20)가 경사판(30)에 원활한 탄성을 부가하여 주기 위하여, 제2받침부(23b), 체결링(24) 및 체결블럭(25)과 볼트(21)와의 체결은 견고히 이루어지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미소공차를 부가하여 체결되어, 경사판(30)이 탄성수단 장착부(20)에 의해 진동 시 이 미소공차만큼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탄성수단 장착부(20)에 체결되는 경사판(30)은 프레임 스탠드(4)의 다른 측 상부 즉, 제2지지판(13)이 체결된 프레임 스탠드(4)의 상부 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어 구성되며, 제2지지판(13)에 체결볼트(33)로써 체결된다.
경사판(30)의 일면, 다시 말하자면, 경사판(30)의 탄성수단 장착부(20)에서 제2지지판(13)까지 하향경사를 이루는 면 중의 하나에는 이 경사판(30)에 진동을 부가하기 위한 진동부(40)가 배치된다.
이 진동부(40)는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을 전원선(45)을 통하여 공급받는 바이브레이터(41)가 경사판(30)에 체결볼트(43)로써 체결되어 이 경사판(30)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벨트 컨베이어의 작동에 따라 진동을 부가하여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벨트 컨베이어가 구동 시 이와 전원작동을 공유하는 진동부(40)의 진동이 개시된다. 벨트 컨베이어에 낙탄이 발생되면 이는 경사판(30) 상부로 낙하된다.
경사판(30)은 제2지지판(13) 측으로 하향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낙하된 낙탄은 하향 즉, 제2지지판(13)과 경사판(30)이 체결된 측으로 유동되며, 이때 진동부(40)에 의한 경사판(30)의 진동은 이를 조력한다.
진동부(40)의 진동을 조력하기 위하여, 탄성수단 장착부(20)의 스프링(27)은 경사판(30)의 진동을 수용하여 이 힘으로 인장 및 압축을 반복함으로써 진동을 더 부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경사판(30)의 하향경사 끝단의 하부에 낙탄 수용부가 구성되어 낙탄을 포집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도면 상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에 의하여, 작업자가 직접 현장에 가지 않고 자동으로 낙탄을 처리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업무량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누적탄 형성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설비화재 및 설비고장을 방지하며 정비비 절감 및 설비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4)

  1. 벨트, 상기 벨트를 가동시키는 테일풀리, 상기 테일풀리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벨트의 반송을 조력하는 리턴 롤러 및 상기 리턴 롤러와 상기 테일풀리를 지지하는 프레임 스탠드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스탠드의 일단 상부에 배치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프레임 스탠드의 대향하는 타단 상부에 배치되는 제2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지지판에 일측이 지지되어 소정의 높이로 탄성수단을 구비하는 탄성수단 장착부;
    상기 탄성수단 장착부의 상부에 그 일측이 체결되도록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판에 타 일측이 체결되도록 제2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체결공으로부터 상기 제2체결공까지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 일측에 체결볼트로 체결된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진동을 부가하도록 구비되는 진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 장착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지지판에 일 끝이 체결되며, 다른 일 끝은 상기 경사부에 체결되는 체결봉;
    상기 체결봉을 환포하며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탄성부재;
    상기 체결봉과 상기 제1지지판의 체결을 조력하는 제1받침부; 및
    상기 체결봉과 상기 경사부의 체결을 조력하는 제2받침부;
    로 구성되는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은 상기 경사부의 제2체결공에서부터 체1체결공까지의 높이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지는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은 볼트이고 상기 제1받침부는 너트이며, 상기 제2받침부는 너트, 체결블록 및 체결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부의 제1체결공을 통하여 상기 경사부의 일면에는 너트가, 타면에는 체결링과 체결블럭이 상기 체결봉으로써 체결되는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KR1020050092245A 2005-09-30 2005-09-30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KR100729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245A KR100729088B1 (ko) 2005-09-30 2005-09-30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245A KR100729088B1 (ko) 2005-09-30 2005-09-30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042A KR20070037042A (ko) 2007-04-04
KR100729088B1 true KR100729088B1 (ko) 2007-06-14

Family

ID=3815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245A KR100729088B1 (ko) 2005-09-30 2005-09-30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0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521A (ko) * 2020-06-24 2021-12-31 (주)조선내화이엔지 튜브 베어 낙탄 회수 장치
KR20220027340A (ko) 2020-08-26 2022-03-08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회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4499B (zh) * 2021-05-28 2021-12-14 广东汇亿基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落砂回收功能的石英砂提纯用带式输送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5563U (ko) * 1971-07-30 1973-03-27
JPS58179902A (ja) * 1982-04-16 1983-10-21 Hitachi Ltd 良否判定装置
JPH03110024U (ko) * 1990-02-28 1991-11-12
KR19980043347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벨트콘베어용 낙광자동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5563U (ko) * 1971-07-30 1973-03-27
JPS58179902A (ja) * 1982-04-16 1983-10-21 Hitachi Ltd 良否判定装置
JPH03110024U (ko) * 1990-02-28 1991-11-12
KR19980043347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벨트콘베어용 낙광자동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521A (ko) * 2020-06-24 2021-12-31 (주)조선내화이엔지 튜브 베어 낙탄 회수 장치
KR102457887B1 (ko) * 2020-06-24 2022-10-24 (주)조선내화이엔지 튜브 베어 낙탄 회수 장치
KR20220027340A (ko) 2020-08-26 2022-03-08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회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042A (ko)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4236A (en) Inclined vibratory conveyor
CN111565852A (zh) 具有偏心辊式破碎机和指状筛的移动式破碎系统
KR101356720B1 (ko) 데크플레이트 자동 조립장치
RU2625577C2 (ru) Модуль грохота, обрабат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обрабатывающ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минера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0729088B1 (ko) 낙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KR101778362B1 (ko) 절단스크랩 분리수거장치
US2974795A (en) Grizzly feeders
KR101133143B1 (ko) 선별기의 이송장치
JP2007144255A (ja) 破砕機
KR20160031197A (ko) 폐기물 정량 공급장치
US2967316A (en) Apparatus for removing burden from a blast furnace
JP4846379B2 (ja) 連続式熱処理設備のワーク供給装置およびワーク供給方法
US7131527B2 (en) Lumber unscrambler and conveyor
US3220540A (en) Pan conveyor vibrator
CN211937326U (zh) 一种移动式颚破机
CN210922189U (zh) 一种用于锻造加热炉的稳定上料装置
US4565279A (en) Product accumulating conveyor apparatus and method
JP7041395B2 (ja) 穀物乾燥調製施設の荷受装置
MX2007010206A (es) Dispositivo vibratorio para un aparato destinado a transportar carga metalica en una planta de fundicion.
CN219030691U (zh) 一种便于运输物料的输送装置
CN220299526U (zh) 一种采煤运输设备
CN211846838U (zh) 一种振动电机快速安装装置
US4446963A (en) Return chain roller support for en masse conveyor
CN217516013U (zh) 一种煤矿机电运输传动装置
CN212082031U (zh) 一种铜锭加热炉用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