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737B1 -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 - Google Patents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737B1
KR100728737B1 KR1020050072670A KR20050072670A KR100728737B1 KR 100728737 B1 KR100728737 B1 KR 100728737B1 KR 1020050072670 A KR1020050072670 A KR 1020050072670A KR 20050072670 A KR20050072670 A KR 20050072670A KR 100728737 B1 KR100728737 B1 KR 100728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timing pulley
sprocket
fixed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8222A (ko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이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1020050072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737B1/ko
Publication of KR20070018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23Q16/022Indexing equipment in which only the indexing movement is of importance
    • B23Q16/025Indexing equipment in which only the indexing movement is of importance by converting a continuous movement into a rotary index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007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while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013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3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endless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0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면에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측정을 하는 다양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암과 그 내부에 비치된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벨트의 유기적인 결합이나 스프로켓과 체인 간의 유기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아암의 최 끝단에 결합된 작업구는 항상 지면을 수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가공기나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가공기나 측정기 및 계측기에 적용되어 항상 그 작업구를 수평면과 수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기에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지만 어떠한 위치로도 변경이 가능하며, 그러한 위치변경을 하여도 작업구가 항상 수평면과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별도의 위치고정수단이 필요 없다.
더불어 본 발명은 측정이나 가공을 요하는 물품이나 재료를 이동시킬 필요없이 절곡되는 아암을 통해 직접 이동하여 계측이나 가공이 가능하기에 그 작업의 시간도 빠르고, 결과적으로 생산량의 증대와 경비의 절감을 가져온다.
브라켓, 타이밍풀리, 타이밍벨트, 아암, 스프로켓, 체인 등

Description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The unit to keep perpendicularity in machine arms}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수직 수준측정기의 모습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로 그린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2단 아암의 수직유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2단 아암의 수직유지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형태인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벨트로 작동하는 수직유지장치가 아암이 3단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형태인 스프로켓과 체인을 통해 작동하는 수직유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제1타이밍풀리 11; 브라켓
12; 제1아암 13; 축
20; 제2타이밍풀리 30; 제3타이밍풀리
40; 제4타이밍풀리 45; 작업구
61; 제1스프로켓 61; 브라켓
62; 제1아암 63; 축
70; 제2스프로켓 80; 제3스프로켓
81; 제2아암 90; 제4스프로켓
본 발명은 수평면에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측정을 하는 다양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암과 그 내부에 비치된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벨트의 유기적인 결합이나 스프로켓과 체인 간의 유기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아암의 최 끝단에 결합된 작업구는 항상 지면을 수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측정기 또는 기구들 중에서 지면에 수직이 되게 장착되어야만 하는 기구들이 많이 있다.
그럼 이중 도시된 도 1에서 같은 제품의 두께 측정기를 실예로 왜 수직을 이루어야만 하는 것인지를 설명한다.
즉, 종래의 두께 측정기(1)의 경우 선반(2)의 상부로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지지기둥(3)이 부착되며, 상기 지지기둥(3)의 상단에 선반 면에 수평인 수평바(4)를 결합시키고 있다.
따라서 두께를 측정해야만 하는 철판이나 부품(5)의 조건에 따라 상기 지지 기둥(3)을 상부로 뺀 상태로 다시 고정을 하고, 상기 수평바(4)를 뽑거나 집어넣은 상태로 고정을 하여 정확히 수직을 맞춘 상태에서, 끝단에 고정된 게이지(6)에서 방사되는 레이저를 통해 그 두께를 측정한다.
물론 이러한 작동은 상기 도시된 형태의 두께 측정기(1)에 한정된 방식이고, 대다수의 두께 측정기는 그 수직이 정확히 맞춘 상태이어야 만 하기에 상기 지지기둥과 수평바가 연동할 수 없는 상태로 고정된 형태의 것이 대다수이다.
이러한 두께 측정구는 상기 수평바의 끝단에 고정된 게이지에 맞추어 선반 위에 놓인 철판이나 부품을 이리 저리 옮겨가며 그 두께를 측정한다.
따라서 이러한 두께 측정기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지지기둥(3)과 수평바(4)가 연동할 수 있게 구성된 측정기(1)의 경우, 상기 지지기둥(3)과 수평바(4)를 뽑아 사용을 하는 번거로움도 있고, 상기 수평바(4)를 뻗은 상태에서는 그 수직이 정확히 맞지 않아 게이지(6)의 측량에 정확도가 떨어질 소지가 많다.
둘째, 상기 지지기둥(3)과 수평바(4)를 조절하기 위해 연동을 시키기 위해서는 조절구(7)를 풀러 다시 조이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 과정은 측정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비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셋째, 지지기둥과 수평바가 완전히 고정된 형태의 측정기(1)의 경우, 선반 위에 놓여진 철판이나 부품을 이리 저리 옮겨가며 각 부분의 두께를 측정하여야 하기에 계측하기가 번거롭다.
또한 상기 철판이나 부품을 이리 저리 옮기는 과정에서 상기 철판이나 부품 과 선반 사이에 이물질이 낀다면 그 두께의 측정은 정확도 면에서 뒤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리고 전술한 형태의 두께 측정기는 수평면과 수직을 이루어야만 하는 가공기나 측정기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기존에 이렇게 수평면과 항상 수직을 이루어야만 하는 가공기나 측정기는 많은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드릴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는 가공기도 항상 지면과 수직의 상태를 이루어야 하고, 접합을 위한 용접기의 경우도 항상 수직을 이루어야만 하며, 이 밖에 많은 형태의 가공기나 측정기들이 항상 지면과 수직의 상태를 이루어야만 작업이 가능한 형태의 것이 많이 있다.
그러나 연동이 자유로우면서도 그 수직을 별도의 작업을 수행함이 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측정기나 가공기는 전무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은 수평면에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측정을 하는 다양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암과 그 내부에 비치된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벨트의 유기적인 결합이나 스프로켓과 체인 간의 유기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아암의 최 끝단에 결합된 작업구는 항상 지면을 수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의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과 고정된 제1타이밍풀리와; 상기 제1타이밍풀리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1아암과; 상기 제1아암의 끝단에 내장되어 그 축을 통해 회전하는 제2타이밍풀리와 동일 축에 고정된 제3타이밍풀리와; 상기 제3타이밍풀리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2아암과; 상기 제2아암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4타이밍풀리와; 상기 제4타이밍풀리에 수직으로 고정된 작업구가; 상기 제1타이밍풀리와 제2타이밍풀리를 제1타이밍벨트로 연결하고, 상기 제3타이밍풀리와 제4타이밍풀리를 제2타이밍벨트로 연결하여, 상기 제1타이밍풀리는 제1아암의 내부에서 브라켓에 고정되지만, 나머지 타이밍풀리는 벨트의 작용으로 회전하는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구성의 타이밍풀리와 벨트를 스프로켓과 체인을 통해서도 달성할 수 있는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전술된 상기 제2아암의 끝에는, 풀리와 아암 및 스프로켓과 체인을 연결하여 3 내지 7개의 다단 아암으로 구성될 수 있는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수평면에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가공 및 측정을 하는 다양한 장치란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그 목적이 유사하다.
그러나 아암을 연동하여 끝단에 고정된 작업구의 위치를 변경시켜도 항상 지평면과 수직을 이루고 있다는 점과, 그에 따라 작업이나 측정이 용이하다는 점 및 그로 인하여 다양하고 많은 측정기와 계측기 및 가공기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시된 도 2 내지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11)의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11)과 고정된 제1타이밍풀리(10)가 있고; 상기 제1타이밍풀리(10)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1아암(12)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아암(12)의 끝단에 내장되어 그 축(13)을 통해 회전하는 제2타이밍풀리(20)와 동일 축(13)에 고정된 제3타이밍풀리(30)가 있고; 상기 제3타이밍풀리(30)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2아암(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아암(31)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4타이밍풀리(40)가 있고; 상기 제4타이밍풀리(40)에 수직으로 고정된 작업구(45)가 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타이밍풀리(10)와 제2타이밍풀리(20)를 제1타이밍벨트(16)로 연결하고, 상기 제3타이밍풀리(30)와 제4타이밍풀리(40)를 제2타이밍벨트(17)로 연결하며, 상기 제1타이밍풀리(10)는 제1아암(12)의 내부에서 브라켓(11)에 고정되지만, 나머지 타이밍풀리는 벨트의 작용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즉, 도 3과 4에서처럼, 상부로 개구된 브라켓(11)에는 제1아암(12)이 힌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제1아암(12)의 내부에 제1타이밍풀리(10)의 축(A)이 상기 브라켓(11)과 체결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 말해서 상기 제1타이밍풀리(10)의 축(A)은 상기 브라켓(11)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상기 제1아암(12)은 상기 제1타이밍풀리(10)의 축(A)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다는 것이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아암(12)의 제1타이밍풀리(10)의 축(A)과의 유기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고정된 축(A)을 힌지로 상기 제1아암(12)의 축공 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베어링을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제1아암(12)의 타측 내부에는 축(13)을 통해 결합된 제2타이밍풀리(20)가 있다.
이 제2타이밍풀리(20)는 전술된 제1타이밍풀리(10)와 동일한 형태이며 같은 크기 및 그 피치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회전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전술된 제1타이밍풀리(10)는 그 축(A)이 브라켓(11)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이지만, 제2타이밍풀리(20)는 제1아암(12)의 타측 축공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다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2타이밍풀리(20)의 축(13)과 제1아암(12)의 축공과의 유기적인 결합을 위해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어링을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 4에서 보이듯 상기 제2타이밍풀리(20)의 축(13)은 제3타이밍풀리(30)의 축과 동일 축인 일체 형상이며, 상기 제2타이밍풀리(20)의 측면에 제3타이밍풀리(30)가 고정되고, 그 제3타이밍풀리(30)를 외부에서 감싼 제2아암(31)이 구성된다.
여기서 제2타이밍풀리(20)와 제3타이밍풀리(30) 및 제2아암(31)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설명하자면, 제2,3타이밍풀리(20,30)는 그 축(13)을 통해 일체로 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제2아암(31)은 그 축공을 통해 상기 제3타이밍풀리(30)와 결합하고 있다.
즉, 제2아암(31)의 축공이 상기 축(13)의 외주 지름보다 넓으며, 축(13)과 상기 제2아암(31) 간의 유기적인 회전가능한 결합을 위해 미도시된 베어링을 장착할 수도 있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2타이밍풀리(20)와 제1아암(12)과의 결합과 제3타이밍풀리(30)와 제2아암(31)과의 결합관계가 동일하게 구성된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아암(31)의 타측 끝단에는 제4타이밍풀리(40)가 결합되어 있고 그 제4타이밍풀리(40)에는 도시된 작업구(45)가 결합되어 있는데, 지면을 수직으로 바라본 상태로 결합하여 있다.
물론 이때 상기 제2아암(31)의 축공과 제4타이밍풀리(40) 간의 결합도 상기 축공이 제4타이밍풀리(40)의 축(B)보다도 그 지름이 다소 크며, 그 내부에 베어링을 장착하여 상기 아암이 용이하게 연동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타이밍풀리(40)는 제1타이밍벨트(16)와 제2타이밍벨트(17)로 연결된다.
아무튼 본 발명의 구성은 전술된 것처럼, 결합되어 있고,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개념적인 것일 수도 있다.
즉, 다양한 구성들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본 발명과 동일한 작용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그 자세한 구성들의 기재를 가급적 피하고 있다.
이유는 본 발명의 개념을 추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요건 간의 결합은 많기 때문이다.
단지 본 발명에서는 그 기술적 사상을 달성할 수 있는 필수 구성요소만을 전부 기재하는 방식으로만 기술하며, 추후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이 창안될 것이다.
아무튼 본 발명의 작용을 도 2의 예시 작동도를 통해 제1타이밍풀리(10)와 제2타이밍풀리(20) 및 제1아암(12)의 작동모습을 살펴본다.
먼저 도시된 도 2의 제1아암(12)을 잡고, 하부로 내려가게 되면, 도시된 것처럼 제1타이밍풀리(10)의 축(A)은 브라켓(11)에 고정된 상태이기에 제1아암(12)의 축공이 제1타이밍풀리(10)의 축(A)을 고정된 힌지로 삼아 외주면을 타고 회전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작용은 제1아암(12)의 상하 연동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아암(12)의 타단에는 제2타이밍풀리(20)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제2타이밍풀리(20)의 회전과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작업구(45)가 고정되어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아암(12)의 연동은 제1타이밍풀리(10)와 제2타이밍풀리(20)를 연결하는 제1타이밍벨트(16)를 좌우로 이동시키게 되어 그 길이만큼 제2타이밍풀리(20)를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제1아암(12)이 연동하여도 그 연동각도 만큼 제2타이밍풀리(20)는 회전하여 상기 제2타이밍풀리(20)에 결합된 작업구(45)는 수평면과 직각의 방향을 유지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작용은 상기 제1아암(12)을 역방향인 상부로 올려도 같은 작용을 한다.
즉, 제2타이밍풀리(20)가 도시된 도 2의 화살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결합된 작업구(45)를 수평면과 직각의 방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도 3처럼 제2아암(31)이 상기 제1아암(12)과 겹쳐 결합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은 수직유지 유니트를 작동시켜 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제2아암(31)의 내부에는 제2타이밍풀리(20)의 축(13)과 동일한 축(13)을 사용하는 제3타이밍풀리(30)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1아암(12)을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제2아암(31) 만을 상하로 연동시켜보면, 도 3에서처럼 제2아암(31)은 하부로 내려가며 연동을 한다.
이때 제2아암(31)의 축공은 상기 제2,3타이밍풀리(20,30)의 축(13)보다 지름이 크기에 축(13)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아암(31) 만이 연동을 한다.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제2아암(31)과 제1아암(12)에 내장된 제2,3타이밍풀리(20,30)는 고정된 제1타이밍풀리(10)에 제1타이밍벨트(16)로 연결되어 있기에 회전이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아암(31) 만이 상하 연동을 하고 그 연동이 가져오는 거리만큼 상기 제2타이밍벨트(17)는 좌우 연동을 한다.
물론 상기 제2타이밍벨트(17)의 좌우 연동은 그 연동 길이만큼을 보상받기 위해 제4타이밍풀리(40)를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밖에 없다.
이유는 제2와 3타이밍풀리(20,30)는 고정된 제1타이밍풀리(10)와 제1타이밍벨트(16)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에 그 회전이 중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4타이밍풀리(40)는 제2아암(31)의 연동 각도만큼 도시된 도면 의 화살표 방향으로 역으로 회전하여 제4타이밍풀리(40)에 고정된 작업구(45)를 항상 수평면과 직각의 방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만일 제1아암(12)과 제2아암(31)이 같이 상하 연동을 하고, 서로 다른 각도와 방향으로 연동을 한다 할지라도, 서로 그 풀리와 벨트를 통해 보상시켜 작업구를 항상 수평면과 수직의 방향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직유지 유니트는 도 4에서 보이듯,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11)에는, 그 내부에 수평회전 힌지(38)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직유지 유니트는 수평방향으로도 회전가능하여 어떠한 물품이나 철판을 가공하고 측정할 수 있으며 수평상태의 선반 위에 어떠한 위치에 올려 져 있다 할지라도 가공이나 측정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개념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2아암(31)의 끝에, 풀리와 아암을 연결하여 3 내지 7개의 다단 아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아무리 많은 단수의 아암을 연결하여도 본 발명의 작용을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기에 그 끝단의 작업구는 항상 수평면과 수직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된 제1실시예와는 달리 도시된 도 6에서처럼, 모든 구성을 동일하게 유지하되, 상기 타이밍풀리를 스프로켓으로 상기 타이밍풀리를 대응하는 체인으로 대체하여 제작해도 무방하다.
즉, 도 6과 7에서처럼,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61)의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61)과 고정된 제1스프로켓(60)가 있고; 상기 제1스 프로켓(60)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1아암(6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아암(62)의 끝단에 내장되어 그 축(63)을 통해 회전하는 제2스프로켓(70)와 동일 축(63)에 고정된 제3스프로켓(80)가 있고; 상기 제3스프로켓(80)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2아암(8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아암(81)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4스프로켓(90)가 있고; 상기 제4스프로켓(90)에 수평면과 수직으로 고정된 작업구(95)가 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프로켓(60)와 제2스프로켓(70)를 제1체인(66)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3스프로켓(80)와 제4스프로켓(90)를 제2체인(67)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스프로켓(60)는 제1아암(62)의 내부에서 브라켓(61)에 고정되지만, 나머지 스프로켓는 체인의 작용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즉, 전술된 제1실시예와 그 구성이 모두 동일하지만, 풀리와 타이밍벨트를 스프로켓과 체인으로 대체한 점만이 다르고, 그 작동 역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 2실시예의 본 발명 즉,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61)에는, 그 내부에 수평회전 힌지(88)를 구성하여 수평방향으로 360도 회전가능하게 구성한 것도 동일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도, 상기 제2아암(81)의 끝에는, 스프로켓와 아암을 연결하여 3 내지 7개의 다단 아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발명은 다양한 측정기 및 계측기에 적용되어 항상 그 작업구를 수평면과 수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기에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지만 어떠한 위치로도 변경이 가능하며, 그러한 위치변경을 하여도 작업구가 항상 수평면과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별도의 위치고정수단이 필요 없다.
더불어 본 발명은 측정이나 가공을 요하는 물품이나 재료를 이동시킬 필요없이 절곡되는 아암을 통해 직접 이동하여 계측이나 가공이 가능하기에 그 작업의 시간도 빠르고, 결과적으로 생산량의 증대와 경비의 절감을 가져온다.

Claims (6)

  1. 수평면에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측정을 하는 다양한 장치에 있어서,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11)의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11)과 고정된 제1타이밍풀리(10)와;
    상기 제1타이밍풀리(10)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1아암(12)과;
    상기 제1아암(12)의 끝단에 내장되어 그 축(13)을 통해 회전하는 제2타이밍풀리(20)와 동일 축(13)에 고정된 제3타이밍풀리(30)와;
    상기 제3타이밍풀리(30)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2아암(31)과;
    상기 제2아암(31)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4타이밍풀리(40)와;
    상기 제4타이밍풀리(40)에 수평면과 수직으로 고정된 작업구(45)가;
    상기 제1타이밍풀리(10)와 제2타이밍풀리(20)를 제1타이밍벨트(16)로 연결하고, 상기 제3타이밍풀리(30)와 제4타이밍풀리(40)를 제2타이밍벨트(17)로 연결하ㅁ며 상기 제1타이밍풀리(10)는 제1아암(12)의 내부에서 브라켓(11)에 고정되지만, 나머지 타이밍풀리는 벨트의 작용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11)은,
    그 내부에 수평회전 힌지(38)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아암(31)의 끝에는,
    풀리와 아암을 연결하여 3 내지 7개의 다단 아암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
  4. 수평면에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측정을 위한 다양한 장치에 있어서,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61)의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61)과 고정된 제1스프로켓(60)와;
    상기 제1스프로켓(60)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1아암(62)과;
    상기 제1아암(62)의 끝단에 내장되어 그 축(63)을 통해 회전하는 제2스프로켓(70)와 동일 축(63)에 고정된 제3스프로켓(80)와;
    상기 제3스프로켓(80)를 내장한 중공 형태의 제2아암(81)과;
    상기 제2아암(81)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4스프로켓(90)와;
    상기 제4스프로켓(90)에 수평면과 수직으로 고정된 작업구(95)가;
    상기 제1스프로켓(60)와 제2스프로켓(70)를 제1체인(66)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3스프로켓(80)와 제4스프로켓(90)를 제2체인(67)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1스프로켓(60)는 제1아암(62)의 내부에서 브라켓(61)에 고정되지만, 나머지 스프로켓는 체인의 작용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
  5. 제 4항에 있어서,
    기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61)은,
    그 내부에 수평회전 힌지(88)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아암(81)의 끝에는,
    스프로켓와 아암을 연결하여 3 내지 7개의 다단 아암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
KR1020050072670A 2005-08-09 2005-08-09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 KR100728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670A KR100728737B1 (ko) 2005-08-09 2005-08-09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670A KR100728737B1 (ko) 2005-08-09 2005-08-09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222A KR20070018222A (ko) 2007-02-14
KR100728737B1 true KR100728737B1 (ko) 2007-06-15

Family

ID=4163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670A KR100728737B1 (ko) 2005-08-09 2005-08-09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807B1 (ko) * 2012-10-31 2014-07-17 박성준 파이프 절단 장치의 구동 안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7076U (ko) * 1993-12-29 1995-07-20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공구 보정장치
KR980000773A (ko) * 1998-01-23 1998-03-30 한용희 브라운관 연마장치
KR20040031224A (ko) * 2002-10-04 2004-04-13 한국수자원공사 국내 토착 야초류인 피를 이용한 납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7076U (ko) * 1993-12-29 1995-07-20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공구 보정장치
KR980000773A (ko) * 1998-01-23 1998-03-30 한용희 브라운관 연마장치
KR20040031224A (ko) * 2002-10-04 2004-04-13 한국수자원공사 국내 토착 야초류인 피를 이용한 납 오염 토양의 정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222A (ko)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3807B2 (en) Drive unit
JP2013006238A (ja) 水平多関節ロボット
US20110079120A1 (en) Long shaft inner surface machi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100732009B1 (ko) 진원도 측정장치
KR100728737B1 (ko) 측정기의 아암 수직유지 유니트
CN105865714A (zh) 一种基于光栅尺反馈信号的转子不平衡测量装置
CN108489457A (zh) 一种地质剖面测量装置
CN108007404A (zh) 一种调整工装机构
JP5705092B2 (ja) 真円度測定装置
JP4579839B2 (ja) パレット
JP4722300B2 (ja) 針棒ストローク調整装置
KR101034025B1 (ko) 금속부재 절곡장치
KR101850001B1 (ko) Ims 어셈블리 유격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JP3646067B2 (ja) ミシンの針棒ストローク変更装置
JP7360790B2 (ja) 三次元測定機
WO2003102496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cylindrical articles
KR20180047053A (ko) 복합 형상 측정기
KR200389532Y1 (ko) 다이얼 게이지용 지그
CN114018718B (zh) 一种用于不规则结构件的检测平台
CN111504209A (zh) 高精度扁线测径设备及其测径方法
JPH1078316A (ja) 円筒状スクリーンの壁間距離測定装置
CN206683970U (zh) 钢丝绳旋转度测试装置
JP4651273B2 (ja) スパッド支柱揺動立設装置
JP2008524580A (ja) 座標測定機
CN206563557U (zh) 测量光滑圆柱塞规表面直径的实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