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203B1 -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203B1
KR100728203B1 KR1020010015954A KR20010015954A KR100728203B1 KR 100728203 B1 KR100728203 B1 KR 100728203B1 KR 1020010015954 A KR1020010015954 A KR 1020010015954A KR 20010015954 A KR20010015954 A KR 20010015954A KR 100728203 B1 KR100728203 B1 KR 100728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electron
electron gun
electron beam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6010A (ko
Inventor
이장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5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203B1/ko
Publication of KR20020076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8Electrodes intimately associated with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up, converted or stored, e.g. backing-plates for storage tubes or collecting secondary electr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Landscapes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두 개의 전자총을 이용하여 좌ㆍ우안 화상을 구분 표시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벌브를 이루는 펀넬에 제공되는 두 개의 넥크와; 상기 넥크의 내부에 장착되는 좌안용 전자총 및 우안용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수단과; 상기 펀넬에 봉착된 패널 내면에 제공되는 형광막 스크린과; 상기 전자빔을 색선별하는 섀도우 마스크와; 좌안 및 우안 영상 신호 중에서 해당 신호에 따라 상기 좌안용 및 우안용 전자총 각각이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 주사선을 구분하여 형광막 스크린의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주사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형광막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이 좌안 및 우안에 결상되도록 하는 결상 수단;을 포함한다.
입체, 음극선관, CRT, 더블넥, 렌티큘러, 수직주사, 좌안, 우안,

Description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3-DIMENSION IMAGE DISPLAY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 주사 방식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 주사 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변형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변형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변형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음극선관을 이용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전자총을 이용하여 좌ㆍ우안 화상을 구분 표시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미지 촬상은 좌안 화상을 촬영하는 좌안용 카메라와 우안 화상을 촬영하는 우안용 카메라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음극선관(CRT)에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는 렌티큘러 렌즈 등의 광학계 분리 수단을 이용한 오토스테레오스코픽(autostereoscopic) 디스플레이 방식과, 시분할 방식이 있다.
상기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방식은 하나의 전자총을 수평 주사 방식으로 주사하는 것에 의해 패널 내면에 형성된 스크린에서 좌안 화상과 우안 화상을 수평방향으로 반복 디스플레이하고, 이들 영상이 상기 패널의 전면에 부착된 렌티큘라 렌즈를 통하여 좌안 화상은 시청자의 좌안에만, 우안 화상은 시청자의 우안에만 보이게 함으로써 입체 영상으로 인식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시분할 방식은 하나의 전자총을 수평 주사 방식으로 주사하는 것에 의해 패널 내면에 형성된 스크린에서 좌안 화상과 우안 화상을 전체 화면에 번갈아 수평방향으로 반복 디스플레이하고, 시청자가 착용하고 있는 셔터 안경을 이들 영상과 동기화시켜 좌안 화상은 좌안에만, 우안 화상은 우안에만 상이 맺히도록 함으로써 입체 영상으로 인식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위에서 언급한 종래의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방식과 시분 할 방식은 하나의 전자총만을 사용하므로 두 개의 영상 데이터, 즉 좌안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3차원 영상 표시 방식에 맞게 새로운 입체 영상 데이터로 합성하는 알고리즘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두 개의 전자총을 이용하여 좌ㆍ우안 화상을 구분 표시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벌브를 이루는 펀넬에 제공되는 두 개의 넥크와;
상기 넥크의 내부에 장착되는 좌안용 전자총 및 우안용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수단과;
상기 펀넬에 봉착된 패널 내면에 제공되는 형광막 스크린과;
상기 전자빔을 색선별하는 섀도우 마스크와;
좌안 및 우안 영상 신호 중에서 해당 신호에 따라 상기 좌안용 및 우안용 전자총 각각이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 주사선을 구분하여 형광막 스크린의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주사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형광막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이 좌안 및 우안에 결상되도록 하는 결상 수단;
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벌브를 이루는 펀넬(10)에는 두 개의 넥크(12,14)가 봉착되고, 넥크(12,14)의 내부에는 영상 신호에 따라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16,18)이 소정의 경사각(θ1)으로 각각 장착되며, 넥크(12,14)의 외면에는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요크(20)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펀넬(12)에 봉착된 패널(22)의 내면에는 전자빔에 의해 여기되어 발광하는 적ㆍ녹ㆍ청색의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막 스크린(24)이 제공되고, 스크린(24)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는 전자총(16,18)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색 선별하는 섀도우 마스크(26)가 설치되며, 패널(22)의 외면에는 렌티큘러 렌즈(28)가 부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형광막 스크린(24)에는 섀도우 마스크(26)상의 한 홀과 대응되는 적ㆍ녹ㆍ청색 형광체(RㆍGㆍB)로 이루어진 화소(30)가 복수개 제공되며, 렌티큘러 렌즈(28)는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볼록 렌즈 요소(28')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볼록 렌즈 요소(28')는 한 프레임의 수직 주사선과 동일한 넓이를 갖는다.
상기 전자총(16,18)은 좌안용 및 우안용 촬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신호에 따라 각각 전자빔을 방출하는 것으로, 편의상 도 1의 좌측에 제공된 전자총(16)을 좌안용 전자총이라 하고, 우측에 제공된 전자총(18)을 우안용 전자총이라 하면, 좌안용 전자총에는 좌안용 촬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신호가 데이터로서 입력되며, 우안용 전자총에는 우안용 촬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신호가 데이터로서 입력된다.
그리고, 입력된 영상 신호에 따라 전자빔을 방출할 때 각각의 전자총(16,18)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주사 방식으로 스크린(24)에 전자빔을 주사하는데, 좌안용 전자총(16)은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24)의 좌측 위부분으로부터 홀수번째(2n+1, n=0,1,2,...) 주사선을 주사하고, 우안용 전자총(18)은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24)의 좌측 위부분으로부터 짝수번째(2n+2, n=0,1,2,...) 주사선을 주사한다.
한편, 상기 좌안용 및 우안용 전자총(16,18)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용 전자총(16)은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24)의 좌측 위부분으로부터 홀수번째 주사선을 주사하고, 우안용 전자총(18)은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24)의 우측 위부분으로부터 짝수번째 주사선을 주사하도록 구동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좌안용 및 우안용 전자총(16,18)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에 의해 스크린(24)에 결상된 좌안 및 우안 영상들은 렌티큘라 렌즈(28)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좌안 영상은 시청자의 좌안으로, 우안 영상은 시청자의 우안으로 입사되며, 시청자는 좌안과 우안이 느끼는 시각 차이로 인하여 상기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을 입체 영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있어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용 및 우안용 전자총(16,18)은 수평방향으로 동일선상에서 평행하게 설치되거나,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서 평행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서 소정의 각도(θ2)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하여 결상 수단을 구성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결상 수단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각이 직각을 이루는 전후측 편광판 사이에 액정 셔터가 개재된 편광 안경(32)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액정 셔터는 영상 신호와 동기화될 수 있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린에 결상된 좌안 및 우안 영상은 영상 신호에 동기화된 신호의 입력에 의해 온/오프되는 좌우 액정 셔터의 작동에 따라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결상되며, 이로 인해 시청자는 상기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을 입체 영상으로 인식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좌안용 카메라의 영상 신호는 좌안용 전자총으로 입력하고, 우안용 카메라의 영상 신호는 우안용 전자총으로 입력하며, 각각의 전자총은 홀수 및 짝수번째 주사선을 구분하여 수직 주사하므로, 좌안 화상과 우안 화상의 데이터를 합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전자총이 수직 주사 방식으로 전자빔을 주사하므로 전자총의 구동 방식을 단순화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벌브를 이루는 펀넬에 제공되는 두 개의 넥크와;
    상기 넥크의 내부에 장착되는 좌안용 전자총 및 우안용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수단과;
    상기 펀넬에 봉착된 패널 내면에 제공되는 형광막 스크린과;
    상기 전자빔을 색선별하는 섀도우 마스크와;
    좌안 및 우안 영상 신호 중에서 해당 신호에 따라 상기 좌안용 및 우안용 전자총 각각이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 주사선을 구분하여 형광막 스크린의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주사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형광막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이 좌안 및 우안에 결상되도록 하는 결상 수단;
    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각각의 전자총은 수평방향으로 동일선상에서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결상 수단은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볼록 렌즈 요소를 갖는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벌브를 이루는 펀넬에 제공되는 두 개의 넥크와;
    상기 넥크의 내부에 장착되는 좌안용 전자총 및 우안용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수단과;
    상기 펀넬에 봉착된 패널 내면에 제공되는 형광막 스크린과;
    상기 전자빔을 색선별하는 섀도우 마스크와;
    좌안 및 우안 영상 신호 중에서 해당 신호에 따라 상기 좌안용 및 우안용 전자총 각각이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 주사선을 구분하여 형광막 스크린의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주사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형광막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이 좌안 및 우안에 결상되도록 하는 결상 수단;
    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각각의 전자총은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서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결상 수단은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볼록 렌즈 요소를 갖는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5. 벌브를 이루는 펀넬에 제공되는 두 개의 넥크와;
    상기 넥크의 내부에 장착되는 좌안용 전자총 및 우안용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수단과;
    상기 펀넬에 봉착된 패널 내면에 제공되는 형광막 스크린과;
    상기 전자빔을 색선별하는 섀도우 마스크와;
    좌안 및 우안 영상 신호 중에서 해당 신호에 따라 상기 좌안용 및 우안용 전자총 각각이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 주사선을 구분하여 형광막 스크린의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을 주사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형광막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이 좌안 및 우안에 결상되도록 하는 결상 수단;
    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각각의 전자총은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서 소정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며,
    상기 결상 수단은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볼록 렌즈 요소를 갖는 렌티큘러 렌즈로 이루어지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010015954A 2001-03-27 2001-03-27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28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954A KR100728203B1 (ko) 2001-03-27 2001-03-27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954A KR100728203B1 (ko) 2001-03-27 2001-03-27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010A KR20020076010A (ko) 2002-10-09
KR100728203B1 true KR100728203B1 (ko) 2007-06-13

Family

ID=2769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954A KR100728203B1 (ko) 2001-03-27 2001-03-27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2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960A (ko) * 1998-03-16 1999-10-05 손욱 3차원 음극선관
KR20000015221A (ko) * 1998-08-27 2000-03-15 구자홍 복수개의 전자총을 가지는 평면 음극수상관과 그 제어방법
JP2000181398A (ja) * 1998-02-18 2000-06-30 Park Nam Eun コンピュ―タシステムにおける立体映像の具現のための立体映像の具現装置
JP2000293155A (ja) * 1999-04-12 2000-10-20 Mr System Kenkyusho:Kk 立体視表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1398A (ja) * 1998-02-18 2000-06-30 Park Nam Eun コンピュ―タシステムにおける立体映像の具現のための立体映像の具現装置
KR19990074960A (ko) * 1998-03-16 1999-10-05 손욱 3차원 음극선관
KR20000015221A (ko) * 1998-08-27 2000-03-15 구자홍 복수개의 전자총을 가지는 평면 음극수상관과 그 제어방법
JP2000293155A (ja) * 1999-04-12 2000-10-20 Mr System Kenkyusho:Kk 立体視表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010A (ko) 200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721B1 (ko) 고해상도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US5541642A (en) Stereoscopic imaging systems
JP5185145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立体画像表示方法
CN101883215A (zh) 成像设备
JP2955327B2 (ja) 三次元画像表示装置
US54754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video
JP2002287090A (ja) 三次元映像表示装置及び点状光出射部材及び点状光透過部材
EP0724175B1 (en) Depth image display on a CRT
JPH0340692A (ja) 立体画像表示方法
JPH09311294A (ja) 立体画像表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画像表示装置
JP2953433B2 (ja) 立体表示装置
JPH0996777A (ja) 立体ディスプレイ
KR100728203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US5317393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JP2951232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
JPH0634969A (ja) 液晶テレビジョン装置
JP3634486B2 (ja) 立体映像の表示方法
JP2617465B2 (ja) 立体テレビジヨン装置
JP2994967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
JP3030243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
JP3108351B2 (ja) 投写型立体映像表示装置
JPH0678340A (ja) 立体表示装置
JPH04107086A (ja) 立体テレビ
JPS61144690A (ja) 立体デイスプレイ装置
JP3152571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