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947B1 -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947B1
KR100727947B1 KR1020050062129A KR20050062129A KR100727947B1 KR 100727947 B1 KR100727947 B1 KR 100727947B1 KR 1020050062129 A KR1020050062129 A KR 1020050062129A KR 20050062129 A KR20050062129 A KR 20050062129A KR 100727947 B1 KR100727947 B1 KR 100727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ticular lens
lens sheet
elastic member
image
transparen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7486A (ko
Inventor
세르게이 세스닥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2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947B1/ko
Priority to US11/361,961 priority patent/US20070008620A1/en
Priority to NL1032142A priority patent/NL1032142C/nl
Priority to CNA2006101030705A priority patent/CN1896799A/zh
Publication of KR20070007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2D 모드와 3D 모드 사이를 스위칭하는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한 유형에 따른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제공된 영상을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분리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편평한 투명기판; 및 상기 투명기판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와 대향하는 투명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탄성부재의 굴절률과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굴절률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2D-3D switchable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3차원 모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2차원 모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3차원 모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2차원 모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31.....디스플레이 패널
32.....렌티큘러 시트 33.....투명탄성부재
34.....투명기판 36.....힌지부재
본 발명은 2차원(2D)/3차원(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한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2D 모드와 3D 모드 사이의 스위칭이 간편한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가지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분리하여 보여주는 장치이다. 사용자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되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두 눈의 망막을 통하여 각각 인지함으로써 입체감 있는 3차원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게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parallax barrier)과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이 있다. 일반적으로, 렌티큘러 방식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우안용 및 좌안용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전방에 설치되어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시역분리하는 렌티큘러 소자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2D 모드와 3D 모드 사이의 스위칭 동작이 가능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미국특허 제5,500,765호는 렌티큘러 시트와 상기 렌티큘러 시트에 대해 상보적인(complementary) 렌즈 시트를 갖는 자동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미국특허 제5,500,765호에 개시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2D 모드에서는 상보성 렌즈 시트를 렌티큘러 시트 위에 위치시켜 상기 렌티큘러 시트의 광굴절 특성을 제거하며, 3D 모드에서는 상기 상보성 렌즈 시트를 상기 렌티큘러 시트로부터 제거하여 입사광이 굴절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3D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렌티큘러 시트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상보성 렌즈 시트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상보성 렌즈 시트가 완전히 제거되어야 한다. 만약, 상보성 렌즈 시트가 힌지부재에 탑재되는 경우, 상기 상보성 렌즈 시트는 힌지부재에 의해 90°이상의 각도로 젖혀져야 한다. 따라서, 충격이나 진동에 약하고 고장이 가능성이 크다.
또한, 미국특허 제6,069,650호는 전기-광학 매질(electro-optical medium)의 굴절률 변화를 이용하여 2D 모드와 3D 모드와 사이를 스위칭하는 자동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특허 제6,069,650호의 경우, 이상광선(extraordinary ray)으로서 편광된 광에 대해서만 전기-광학 매질의 굴절률이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LCD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이 편광 광을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 패널에만 적용할 수 있고, CRT, PDP, OLED, FED 등과 같이 무편광 광을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미국특허공개 제2003-0085850호는 저수조 내에 굴절률 매칭 유체를 유입/배출함으로써 2D 모드와 3D 모드와 사이를 스위칭하 는 자동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상기 미국특허공개에 개시된 종래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백라이트 유닛(11), 다수의 화소를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2) 및 2D 모드에서 입사광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3D 모드에서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시역분리하는 스위칭 수단(20)을 구비한다. 상기 스위칭 수단(20)은 투명한 재질의 저수조(21)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저수조(21)의 바닥(22)의 내면 위에 렌티큘러 렌즈(2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저수조(21) 상면의 가장자리는 영상이 방출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블랙 마스크(24)가 도포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드에서는 상기 저수조(21) 내부가 빈공간(26)으로 남아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12)에서 방출된 영상은 렌티큘러 렌즈(23)에 의해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분리된다. 반면, 2D 모드에서는,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티큘러 렌즈(23)의 굴절률과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유체(25)를 저수조(21) 내에 유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렌티큘러 렌즈(23)는 더 이상 렌즈로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2)에서 방출된 영상은 굴절되지 않고 그대로 저수조(21)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체를 유입/배출하는 방식의 경우, 일단 저수조(21) 내에 유입된 유체는 저수조(21)로부터 배출되더라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저수조(21)의 내면에 남아있게 된다. 특히, 유체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기포로 인하여 렌티큘러 렌즈(23)들 사이의 공간이 완전히 채워지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유체를 배출하더라도 렌티큘러 렌즈(23)들 사이의 홈에 유체가 남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이 왜곡되거나 좌우영상의 정확한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유체를 유입/배출하는 데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2D/3D 스위칭 시간이 길어진다. 유체의 유입/배출 시간을 빠르게 할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유체 내에 기포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도 유체 내에 기포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방법으로 2D 모드와 3D 모드 사이의 스위칭이 가능하며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영향이 적은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D 모드에서 영상의 왜곡을 최소화하고 3D 모드에서 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광 광을 방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뿐만 아니라 무편광 광을 방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도 사용할 수 있는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제공된 영상을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분리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투명기판; 및 상기 투명기판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와 대향하는 투명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명기판은 편평하며, 상기 투명탄성부재의 굴절률과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굴절률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3D 모드에서는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와 투명탄성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2D 모드에서는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 위로 상기 투명탄성부재가 압착되어 상기 투명탄성부재의 표면이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전체 표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기판은 힌지부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투명기판은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와 투명탄성부재가 이격되도록 하는 제 1 각도와 상기 투명탄성부재의 표면이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전체 표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제 2 각도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각도와 제 2 각도의 차이는 10˚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D 모드에서 상기 투명탄성부재와 렌티큘러 렌즈시트 사이에 기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투명탄성부재는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 상단의 가장자리부터 점차적으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기판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재의 회전축은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구성하는 렌티큘러 렌즈소자에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탄성부재는, 예컨대,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3D 모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며, 도 2b는 2D 모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31),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1) 위에 형성된 렌티큘러 렌즈시트(lenticular lens sheet)(32),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32)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편평한 투명기판(34), 및 상기 투명기판(34)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32)와 대향하는 투명탄성부재(33)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1)은,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발광소자(OLED), 음극선관(CRT), 전계방출소자(FED) 등과 같이 다수의 화소가 행과 열로 배열되어 있는 어떠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사용할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시트(32)는 기다란 실린드리컬 렌즈 형태의 렌티큘러 렌즈소자들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1)의 디스플레이 화면 위에 배치되어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32)는 렌즈의 굴절 작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1)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좌안용 영상 과 우안용 영상으로 시역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투명기판(34)은, 예컨대, 유리(glass)나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평탄한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32)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투명기판(34)의 하면에는 투명탄성부재(33)가 부착되어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32)와 대향하고 있다. 투명탄성부재(33)는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32)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가지며,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투명탄성부재(33)로서 실리콘 수지(silicon resin)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질의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는 투명탄성부재(33)는 평탄하고 매끄러운 표면을 유지하고 있으며, 외력이 작용하면 표면이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의 평탄한 상태로 되돌아오는 성질을 갖는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30)가 3D 모드에 있을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기판(34)과 투명탄성부재(33)가 렌티큘러 렌즈시트(32)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렌티큘러 렌즈시트(32)와 투명탄성부재(33)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1)의 짝수(또는 홀수) 행의 화소에서는 우안용 영상(R)을 디스플레이 하고, 홀수(또는 짝수) 행의 화소에서는 좌안용 영상(L)을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렌티큘러 렌즈시트(32) 내의 하나의 렌즈는 각각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두 행의 화소를 커버하고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패널(3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중 좌안용 영상은 렌티큘러 렌즈시트(32) 내의 렌즈에 의해 굴절된 후, 투명탄성부재(33)와 투명기판(34)을 그대로 통과하여 시청자(35)의 좌 안에 입사한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패널(3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중 우안용 영상은 렌티큘러 렌즈시트(32) 내의 렌즈에 의해 굴절된 후 투명탄성부재(33)와 투명기판(34)을 그대로 통과하여 시청자(35)의 우안에 입사한다. 따라서, 시청자(35)는 3D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30)가 2D 모드에 있을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기판(34)이 렌티큘러 렌즈시트(32)를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32) 위로 투명탄성부재(33)가 압착된다. 만약 투명기판(34)이 렌티큘러 렌즈시트(32)를 향해 충분한 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투명탄성부재(33)의 편평한 표면이 변형되면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32)의 전체 표면과 완전히 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투명탄성부재(33)의 표면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32)의 표면을 반전한 형태가 될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탄성부재(33)의 굴절률은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32)의 굴절률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32)와 투명탄성부재(33)는 광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 하나의 평면 시트로 볼 수 있다. 그 결과, 렌티큘러 렌즈시트(32)의 렌즈면은 더 이상 렌즈로서의 기능을 하지 않으며, 렌티큘러 렌즈시트(32)에 입사하는 광은 굴절되지 않고 그대로 렌티큘러 렌즈시트(32)와 투명탄성부재(33)를 통과하게 될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31)은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1)의 각 행의 화소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은 시청자(35)의 좌안과 우안에 동시에 입사하게 된다. 따라서, 시청자(35)는 2D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투명탄성부재(33)를 렌티큘러 렌즈시트(32)에 밀착시키거나 렌티큘러 렌즈시트(32)로부터 이격시키는 동작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으며, 모터와 같은 전기-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30)에서 2D/3D 전환 수단의 한 구현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부재(36)를 통해 투명기판(34)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1)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 힌지부재(36)를 통해 투명기판(34)이 상하로 회전하면서, 상기 투명기판(34)에 부착되어 있는 투명탄성부재(33)가 렌티큘러 렌즈시트(32)에 밀착되거나 또는 렌티큘러 렌즈시트(3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때, 투명기판(34)을 디스플레이 패널(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상기 힌지부재(36)의 회전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시트(32)를 구성하는 렌티큘러 렌즈소자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세로로 긴 실린드리컬 렌즈 형태의 렌티큘러 렌즈소자들이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는 경우, 상기 힌지부재(36)의 회전축은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32) 상부 가장자리 부근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투명탄성부재(33)를 렌티큘러 렌즈시트(32)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투명기판(34)을 회전시킬 때, 상기 투명탄성부재(33)는 렌티큘러 렌즈시트(32) 상단의 가장자리부터 밀착되기 시작한다. 투명기판(34)을 끝까지 회전시키면, 투명탄성부재(33)는 결국 상기 렌티큘러 렌즈 시트(32)의 하단까지 완전히 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투명탄성부재(33)가 렌티큘러 렌즈시트(32)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점차적으로 밀착되면,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32)의 렌즈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모두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투명탄성부재(33)와 렌티큘러 렌즈시트(32)가 완전히 밀착되었을 때, 상기 투명탄성부재(33)와 렌티큘러 렌즈시트(32)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이렇게 힌지부재(36)를 사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30)가 각각 3D 모드와 2D 모드에 있을 때의 상기 투명기판(34)의 위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30)가 3D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투명기판(34)은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32)와 투명탄성부재(33)가 이격되도록 하는 제 1 각도에 위치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30)가 2D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투명기판(34)은 상기 투명탄성부재(33)의 표면이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32)의 전체 표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제 2 각도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기판(34)이 제 1 각도와 제 2 각도 사이에서만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D 모드에서 상기 투명기판(34)과 투명탄성부재(33)가 광의 진행 경로를 변경시키기 않기 때문에, 2D 영상의 감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2D 모드에서 상기 투명기판(34)이 위로 완전히 젖혀질 필요가 없다. 예컨대, 제 1 각도와 제 2 각도의 차이는 10˚를 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영향이 비교적 적다. 또한, 기포의 발생 등으로 인한 영상의 왜곡이나 광손실 등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광 광을 방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뿐만 아니라 무편광 광을 방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2D/3D 스위칭 구조는, 예컨대, 모빌폰(mobile phone)이나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제공된 영상을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분리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투명기판; 및
    상기 투명기판에 부착되어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와 대향하는 투명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3D 모드에서는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와 투명탄성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2D 모드에서는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 위로 상기 투명탄성부재가 압착되어 상기 투명탄성부재의 표면이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전체 표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탄성부재의 굴절률과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굴절률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은 편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은 힌지부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은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와 투명탄성부재가 이격되도록 하는 제 1 각도와 상기 투명탄성부재의 표면이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전체 표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제 2 각도 사이에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각도와 제 2 각도의 차이는 10˚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2D 모드에서 상기 투명탄성부재와 렌티큘러 렌즈시트 사이에 기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투명탄성부재는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 상단의 가장자리부터 점차적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재의 회전축은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구성하는 렌티큘러 렌즈소자에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탄성부재는 실리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3D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PDP, OLED, FED, CRT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2.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제공된 영상을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분리하는 렌티큘러 렌즈시트;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투명기판; 및
    상기 투명기판에 부착되어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와 대향하는 투명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와 투명탄성부재가 서로 이격되거나,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 위로 상기 투명탄성부재가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투명기판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탄성부재의 굴절률과 상기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굴절률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062129A 2005-07-11 2005-07-11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27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129A KR100727947B1 (ko) 2005-07-11 2005-07-11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US11/361,961 US20070008620A1 (en) 2005-07-11 2006-02-27 Switchable autostereoscopic display
NL1032142A NL1032142C (nl) 2005-07-11 2006-07-10 Schakelbaar autostereoscopisch display.
CNA2006101030705A CN1896799A (zh) 2005-07-11 2006-07-11 可切换裸眼式立体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129A KR100727947B1 (ko) 2005-07-11 2005-07-11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486A KR20070007486A (ko) 2007-01-16
KR100727947B1 true KR100727947B1 (ko) 2007-06-14

Family

ID=3760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129A KR100727947B1 (ko) 2005-07-11 2005-07-11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08620A1 (ko)
KR (1) KR100727947B1 (ko)
CN (1) CN1896799A (ko)
NL (1) NL103214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1286B1 (en) 2015-01-15 2016-07-12 Samsung Display Co., Ltd. Stretchable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3127B2 (en) * 2006-10-27 2012-08-14 Zecotek Display Systems Pte. Ltd. Switchable optical imaging system and related 3D/2D image switchable apparatus
KR20100036462A (ko) * 2008-09-30 201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과 3차원 겸용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EP2443507A1 (en) * 2009-06-19 2012-04-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ulti-view device for generating animations or three dimensional images
CN102118553B (zh) * 2009-12-30 2014-1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9247286B2 (en) * 2009-12-31 2016-01-26 Broadcom Corporation Frame formatting supporting mixed two and three dimensional video data communication
US8854531B2 (en) * 2009-12-31 2014-10-07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remote controllers that each simultaneously controls a different visual presentation of a 2D/3D display
US20110157322A1 (en) * 2009-12-31 2011-06-30 Broadcom Corporation Controlling a pixel array to support an adaptable light manipulator
US8823782B2 (en) * 2009-12-31 2014-09-02 Broadcom Corporation Remote control with integrated position, viewer identification and optical and audio test
KR101224460B1 (ko) * 2010-03-08 2013-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WO2012143817A2 (en) * 2011-04-19 2012-10-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 output panel and device having the same
CN102231840A (zh) * 2011-06-03 2011-11-02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oled屏幕的裸眼3d显示方法、装置及显示装置
CN104854499A (zh) * 2012-08-30 2015-08-19 奥崔迪合作公司 用于自动立体显示器的防带化层
WO2014046135A1 (ja) * 2012-09-21 2014-03-27 昌栄印刷株式会社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シート
CN103728820B (zh) * 2012-10-11 2016-09-07 扬明光学股份有限公司 影像显示装置及方法
US9013564B2 (en) * 2013-05-07 2015-04-21 Elwha Llc Controllable lenticular lenslets
KR102143373B1 (ko) * 2013-12-11 2020-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위처블 렌즈 장치와 그를 이용한 2d/3d 영상 표시장치
US9182605B2 (en) 2014-01-29 2015-11-10 Emine Goulanian Front-projection autostereoscopic 3D display system
US9182606B2 (en) 2014-01-29 2015-11-10 Emine Goulanian Rear-projection autostereoscopic 3D display system
KR102210375B1 (ko) * 2014-07-11 2021-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CN105759432B (zh) * 2014-12-16 2019-08-0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裸眼三维图像显示器
CN105805640B (zh) * 2015-01-14 2019-10-18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前光模块及显示模块
CN104950459A (zh) * 2015-05-27 2015-09-30 广东顺德中山大学卡内基梅隆大学国际联合研究院 一种视角增强型指向性背光裸眼立体显示装置
EP3442827A4 (en) 2016-04-14 2019-02-20 Gentex Corporation VEHICLE DISPLAY SYSTEM WITH DEEP INFORMATION
CN105892077B (zh) * 2016-06-15 2018-10-3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悬浮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7247333B (zh) * 2017-06-26 2020-12-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切换显示模式的显示系统
JP7129475B2 (ja) 2017-09-27 2022-09-01 ジェンテ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調節補正を備えた全画面表示ミラー
JP2019185169A (ja) * 2018-04-03 2019-10-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2273A (ja) * 1990-09-03 1992-04-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2次元画像3次元画像両用表示装置
JPH09203980A (ja) * 1996-01-25 1997-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次元/3次元画像表示スクリーン
JPH09318911A (ja) * 1996-05-27 1997-12-12 Canon Inc 立体画像表示装置
JPH10268805A (ja) * 1997-03-26 1998-10-09 Shinichi Hirabayashi 2d/3d画像表示装置
JP2000102038A (ja) * 1998-09-18 2000-04-07 Sanyo Electric Co Ltd 2次元映像/3次元映像互換型映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4964A (en) * 1991-12-18 1993-11-23 Sades Faris Multi-mode stereoscopic imaging system
US5500765A (en) * 1994-05-11 1996-03-19 Dimension Technologies Inc. Convertible 2D/3D autostereoscopic display
JP3301415B2 (ja) * 1999-08-19 2002-07-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状電子部品
US7099080B2 (en) * 2000-08-30 2006-08-29 Stereo Graphics Corporation Autostereoscopic lenticular screen
DE60239069D1 (de) * 2001-10-11 2011-03-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2d/3d anzeigevorrichtung
US6985296B2 (en) * 2003-04-15 2006-01-10 Stereographics Corporation Neutralizing device for autostereoscopic lens she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2273A (ja) * 1990-09-03 1992-04-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2次元画像3次元画像両用表示装置
JPH09203980A (ja) * 1996-01-25 1997-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次元/3次元画像表示スクリーン
JPH09318911A (ja) * 1996-05-27 1997-12-12 Canon Inc 立体画像表示装置
JPH10268805A (ja) * 1997-03-26 1998-10-09 Shinichi Hirabayashi 2d/3d画像表示装置
JP2000102038A (ja) * 1998-09-18 2000-04-07 Sanyo Electric Co Ltd 2次元映像/3次元映像互換型映像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1286B1 (en) 2015-01-15 2016-07-12 Samsung Display Co., Ltd. Stretchabl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486A (ko) 2007-01-16
US20070008620A1 (en) 2007-01-11
CN1896799A (zh) 2007-01-17
NL1032142A1 (nl) 2007-01-12
NL1032142C (nl) 201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947B1 (ko)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US8422131B2 (en) Liquid elastic membrane prism and 3 dimension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3980242B2 (ja) 立体的2次元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5454661B2 (ja) 画像表示装置
JP3983953B2 (ja) 立体的2次元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7733296B2 (en) Driving method of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JP2010072626A (ja) 平面映像と立体映像を同時に表現する映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US20060268196A1 (en) Liquid crystal panel, display device having liquid crystal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740387B2 (e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7697208B2 (en) 3D display with an improved pixel structure (pixelsplitting)
JP2009510538A (ja) 光を阻止する特徴を設けることによるレンチキュラーの設計の改善
JP2004151645A (ja) 画像表示装置
CN103513311A (zh) 一种立体光栅和裸眼3d显示装置
KR100586221B1 (ko) 평면 표시 장치를 이용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KR20070001533A (ko) 렌티큘라방식 입체영상표시장치
JPH0868961A (ja) 立体表示装置
JP4284158B2 (ja) 立体的二次元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KR102016054B1 (ko) 2d/3d 영상표시장치
JP2013015711A (ja) 表示装置
JP2007304609A5 (ko)
JP2007304609A (ja) 立体的2次元画像表示装置
KR101180823B1 (ko) 디옵터 안경용 입체 안경 어셈블리
US9971165B2 (en) 3D display apparatus
KR101679733B1 (ko) 영상표시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20110128622A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with lens for splitting light along two ax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