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787B1 - 비디오신호압축시스템들을위한양자화회로 - Google Patents

비디오신호압축시스템들을위한양자화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787B1
KR100727787B1 KR1019970001814A KR19970001814A KR100727787B1 KR 100727787 B1 KR100727787 B1 KR 100727787B1 KR 1019970001814 A KR1019970001814 A KR 1019970001814A KR 19970001814 A KR19970001814 A KR 19970001814A KR 100727787 B1 KR100727787 B1 KR 100727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izer
quantization scale
video signal
scale
coeffic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946A (ko
Inventor
노르만 허스트 2세 로베르트
Original Assignee
톰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filed Critical 톰슨
Publication of KR970060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Abstract

양자화 값들의 매트릭스에 따라 계수들의 매트릭스를 양자화하기 위한 양자화기(14)를 포함하고, 속도 버퍼(24) 점유율에 응답하여 양자화 매트릭스를 수정하기 위하여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26)을 제공하기 위한 압축 시스템에 있어서, 양자화 매트릭스에 인가되는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의 최소값들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28)를 포함시킴으로써 영상 품질의 상당한 손실이 없이 상당한 채널 용량이 구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신호 압축 시스템들을 위한 양자화 회로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 압축 처리들에서 사용되는 양자화 제어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MPEG(동화상 전문가 그룹) 또는 MPEG과 유사한 압축 시스템을 사용하여 코딩된 압축된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디지탈 데이터 전송 시스템들은 채널이 압축된 비디오 신호에 의해 완전히 채워지지 않았을 때는 언제나 동일한 채널에서 추가의 데이터를 반송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들은 신호 통계치들에 따라 공통의 채널 상에서 다수의 관련되지 않은 압축된 신호를 시간 다중하는 형태가 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단일의 신호로부터의 관련된 압축 고-저 우선권 데이터를 시간 다중하는 고-저 우선권 형태(high-low priority type)가 될 수 있다.
상기 두 형태의 시스템은 모두, 대역폭 제한 채널 상에 포함될 압축 성분 모두에 대한 적어도 일부 신호 용량이 있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각 압축 신호의 속도 제어의 일부 형태에 의존한다. 그러나, 비디오 압축 장치에서 구현되는 속도 제어 시스템들은, 주관적인 개선이 사용되는 잉여 비트에 거의 또는 전혀 기인하지 않을 때라도, 비디오를 코딩하기 위한 비트를 가능한 많이 소비하도록 보통 설계된다. 전형적으로 속도 제어 알고리즘들은 압축된 비디오 신호에 대해 할당된 최대 데이터 속도를 제한하도록 설계된다. 이 기술은 항상 2 차 신호에 대해 일부 최소 데이터 공간을 예약한다. 이러한 접근 방법의 단점은 인코딩하기 어려운 복합 비디오 영상에 대한 재생 비디오 품질이 손상될 것이라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축 비디오 신호 비트 속도(bit rate)를 직접 제한하기 보다는, MPEG 양자화 스케일 계수(또는 비MPEG 시스템에서는 이와 동등한 것)의 최소값을 제한하기 위해 회로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시킴으로써 MPEG 또는 MPEG과 유사한 압축 시스템에서 상기의 단점을 극복한다.
본 발명은 MPEG 또는 MPEG과 유사한 압축 시스템의 환경에서 설명되지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코딩된 정보를 양자화 계수로 나누는 양자화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비디오 압축 시스템에 적용된다. 즉, 주어진 코드워드에 대한 양자화 결과가 양자화 계수와 역비례하는 시스템이다. 대응하는 유사한 장치는, 주어진 코드워드에 대해 양자화 결과가 양자화 계수에 정비례하는 시스템 즉, 제한된 평가된 코드워드를 생성하기 위해 양자화 계수를 제한하는 시스템을 위하여 조립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점선으로 둘러싸인 요소(10 내지 26)는 MPEG과 유사한 포맷으로 압축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형태의 전형적인 움직임 보상 예측 엔코더를 포함한다. 세 개의 도시된 병렬 처리 경로가 있고, 이들 각각은 휘도와 두 개의 색차 비디오 성분을 처리한다. 움직임 보상 장치(20)는 움직임 벡터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휘도 신호에 대해 작용하고, 이 벡터들은 세 개의 처리 경로에서 사용된다. 공통의 제어기(21)는 각 처리 회로와 통신하고, 엔코더의 일반 동작을 감독한다. 움직임 보상 예측 엔코더의 동작은 공지된 것이고,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요소(12 내지 20 및 26)가 신호 압축을 수행하기 위해서, 요소(22)는 예컨대 MPEG과 유사한 원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압축된 신호 요소를 배열하고, 요소(24)는 포맷터(22)로부터의 데이터 버스트를 일정 속도의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요소(24, 26 및 14)는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은 코딩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도록 협력하고, 이에 의해 각 수신기에서의 속도 버퍼가 오버플로잉(overflowing) 또는 언더플로잉(underflowing) 되지 않게 한다.
속도 버퍼(24)(또는 MPEG 표준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비디오 버퍼링 확인자(VBV))는 버퍼 점유율의 측정값 및/또는 버퍼 점유율의 변화 속도 측정값을 양자화기 스케일 계수 생성기(26)에 제공한다. 양자화기 스케일 계수 생성기(26)는 양자화 매트릭스에서의 값을 수정하기 위하여 양자화기(14)에서 후속적으로 사용되는 스케일 계수(QS)를 생성한다. 이 수정은 압축 코드워드의 생성 속도를 줄이는 경향이 있다.
양자화기 스케일 계수 생성기들은 비디오 신호 압축 기술에서의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것이다. 이들은 많은 형태가 있고 알고리즘의 종류에 따라서 동작한다. 대표적인 장치와 알고리즘은 미국 특허(5,426,463, 5,144,424, 5,089,888, 5,072,295, 및 4,897,855)에 개시되었다.
양자화기(14)에 인가되는 데이터는 예컨대 계수(ci)의 8× 8 매트릭스 C[v][u]로서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양자화기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양자화 동작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Q(C)는 양자화 매트릭스, C[u][v]는 계수 매트릭스, [v][u]는 매트릭스인덱스, W[w]는 w 양자화 매트릭스중 하나, QS는 요소(28)로부터의 스케일 계수이고 k는 계수의 부호이다. Q(C)에 대한 식으로부터, 값 Q(C)의 크기는 양자화 스케일 계수 QS의 값에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코딩된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된다면, QS의 모든 값은 특정 최소값 위에서 발생하도록 제한되어야만 한다. 양자화 스케일 계수 생성기(26)와 양자화기(14) 사이에 삽입된 제한 장치(28)는 이 기능을 수행한다. 요소(28)는 소정의 최소값 위에서 발생하는 모든 양자화 스케일 계수를 통과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최소값을 통과시킨다. 제한 요소(28)의 포함은 도 5 및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극적으로 코딩된 데이터의 양을 변화시킨다.
빈틈없는 설계자라면, 양자화 스케일 계수는 0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0'보다 큰 값으로 고유하게 제한되어야만 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리미터는 선택적으로 동작하고, '0'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필요한 고유의 제한 위에 부가적인 제한을 수행한다. 예컨대, MPEG2 표준은 허용된 양자화 스케일 계수의 두 개의 대응 대체 세트를 갖는 두 개의 동작 모드에 대한 규정을 갖는다. 이들 모드중 제 1 것(타입 1)에 있어서, 보다 적은 양자화 스케일 계수가 1,2,3,4,5,... 의 값으로 할당되고, 양자화 스케일 계수가 커질수록, 시퀀스는 비선형이 된다. 제 2 모드(타입 0)에 있어서, 보다 작은 양자화 스케일 계수는 2,4,6,8,10,12,....등의 값으로 할당된다. 본 발명의 리미터는 양자화 스케일 계수를 할당된 최소값, 즉 제 1 및 제 2 모드 각각에 대해 적어도 1 및 2보다 큰 값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조건이 설정된다.
발명에 제공된 리미터는 선택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상기하자. 보조 데이터를 위하여 초과 채널 공값을 분할하는 것이 필요할 때, 리미터는 동작한다. 그렇지 않으면,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전형적인 비디오 신호가 일정한 비트 속도, CBR 알고리즘에 따라 압축된다면, 다른 정보를 운송하기 위하여 이용가능한 채널 용량의 백분율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데이터는 초당 60 필드로 1920× 1080 비월 시퀀스 코딩하는 Grand Alliance 기본 엔코더로부터 취해졌다. 도 5는 14 Mbps, 17 Mbps 및 18 Mbps의 세개의 상이한 일정한 비트 속도를 생성하기 위하여 조정된 압축 장치에 의해 이용가능한 유효 용량을 도시한다.
도 6에서의 데이터는 18 Mbps를 생성하도록 조정된 압축 장치에 의해 동일한 조건 세트이 취해졌다. 그러나, 이 예에서 QS의 최소값은 10,8 및 1의 값으로 제한된다. 즉, 요소(28)와 유사한 요소가 도 5의 결과를 생성한 장치에 삽입된다. '1'로 제한된 QS의 최소값으로, 이 회로 내의 리미터는 단일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도 6에서의 바닥 곡선은 도 5의 바닥 곡선과 동일한 것으로 보여진다.
압축 데이터의 두 세트 사이의 재생 영상의 질에서의 중요한 차이는 없다. 그러나 양자화 스케일 계수 리미터의 포함은 상당한 양의 채널 용량을 자유롭게 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예시적인의 양자화 처리가 도 2를 참조로 설명된다. 도 2에 있어서, 블록(33)은 DCT 요소(13)(도 1)로부터 출력되는 계수 데이터의 블록 또는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각 계수 C[v][u] 또는 ci(예컨대 이산 코사인 변환 계수에 대응)는 소정의 순서로 배열된다. 30으로 나타낸 블록은 양자화 값(qj)의 매트릭스 W[v][u]를 나타낸다. 이들 양자화 값들은, 영상의 재생에 대해 각각 보다 적거나 보다 큰 중요도인 블록(33)에서의 계수에 대해 보다 적거나 보다 큰 양자화를 제공하도록, 결정되었다. 이와 같이, 계수(c1, c2, ... c8 등)가 양자화기(31)에 인가될 때, 양자화 값(q1,q2, .... q8 등)은 동시에 억세스되고 양자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인가된다. 그러나 값(qi)은 가변 스케일링 회로(32)를 통해 간접적으로 양자화기(31)에 인가된다. 각 양자화 값은 요소(34)로부터 제공된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QS)에 의해 스케일링된다.
계수(33)의 블록이 양자화기(31)에 인가됨에 따라, 요소(34)로부터의 양자화 스케일 계수는 양자화기(31)에 연결되는 양자화 값( QS(qi) 또는 (QS)W[w][v][u] )을 생성하기 위하여 스케일링 회로(32)에 인가된다. 양자화기(31)는 상기 식(1)에 의해 또는 다른 방법으로는 다음의 함수에 따라 나타내어지는 각 계수를 그 양을 정하거나 양자화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Q(C)= (16C[v][u]+8)//(2*(QS)W[w][v][u]), C[v][u] > 0 (2)
Q(C)= (16C[v][u]-8)//(2*(QS)W[w][v][u]); C[v][u] < 0 (3)
Q(C)= 0; C[v][u] = 0 (4)
여기에서 Q(C)는 양자화된 계수 매트릭스이고, (QS)W[w][v][u]는 스케일된 양자화 매트릭스를 나타내고, //는 가장 가까운 정수 및 '0'으로부터 멀리 라운딩(rounding)된 절반값으로 라운딩한 정수 나눗셈을 나타낸다.
요소(34)는 설정된 제한 이상의 양자화 스케일 계수 생성기(26)(도1)로부터의 모든 양자화 스케일 계수를 통과시키고, 양자화 스케일 계수의 보다 작은 값에 대해서 양자화 스케일 계수로서 제한 값을 제공한다. 제한값들은 유효 양자화 스케일 계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억제된다. 함수는 블록(34)에서 실선 그래프로 도시되었다. 점선은 요소(34)가 다른 제한값들의 사용을 허용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포함되었다. 예컨대 크고 편평한 필드 영역과 예리한 특징 천이(sharp feature transition)를 갖는 컴퓨터 생성 영상이 압축된다면, 예리한 특성의 천이의 믿을 수 있는 재생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한값은 상대적으로 적게 생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매우 중요한 움직임을 갖는 매우 비지(busy) 영상이 압축된다면, 제한값은 비교적 크게 생성될 수 있다. 제한값은 예컨대 인트라 또는 I-프레임 압축 또는 P 또는 B-프레임 예측 압축과 같은 수행되는 압축의 형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I, P, B 프레임 압축에 대한 제한 값(LI,LP,LB) 의 상대적인 크기는 각각 LI < LP < LB 의 순서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 6 내지 12 의 범위에서의 MFEG 양자화 스케일 계수에 대한 대표적인 제한값이 제한되지 않은 스케일 계수에 대한 개선된 성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압축되는 소스 재료에 따라서, 다른 제한값이 보다 만족스러운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1 및 2보다 큰 임의의 제한값이 상기한 각 MPEG 타입 1 및 타입 2 에서 스케일 계수 값에 대한 양자화 스케일 계수의 제한을 제공할 것이다.
MPEG 시스템에 있어서, 양자화 스케일 계수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압축된 데이터의 매크로블록과 함께 전송된다.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은 직접 보내지지 않고,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로 나타낸 코드 버전(coded version)으로 보내진다. 요소(34)는 제한된 양자화 스케일 계수를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 값들로 코드 변환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MPEG 시스템을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는 제한된 양자화 스케일 계수에 의해 어드레스 지정되고 각 어드레스 위치에 적절한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 값들로 프로그램 되는 판독 전용 메모리이다.
도 3은 양자화 스케일 계수를 제한하기 위한 예시적인 장치를 도시한다. 이는 요소(26)로부터 비교기(42)가 제 1 또는 제 2 출력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지의 여부에 따라 제한 값 또는 양자화 스케일 계수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비교기(42)에 의해 조정되는 멀티플렉서(44)를 포함한다. 조작자에 의해 소스(40)로부터 제공되는 제한값은 비교기의 한 입력 단자와 멀티플렉서(44)의 한 입력에 접속된다. 요소(26)로부터의 양자화 스케일 계수는 멀티플렉서(44)의 제 2 입력 단자와 비교기(42)의 제 2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비교기는, 제한 값보다 각각 적거나 큰 양자화 스케일 계수를 위하여 제 1 및 제 2 출력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양자화 스케일 계수를 제한하기 위한 다른 장치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한 장치는 메모리 내의 다수의 표로 구성된다. 요소(26)로부터의 양자화 스케일 계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 입력 포트에 접속된다. 덧붙여, 조작자에 의해 제공되는 표 선택 값은 예컨대 어드레스 입력 포트에 접속된다. 메모리 출력포트는 제한된 양자화 스케일 계수를 제공한다.
다른 표는 다른 제한값들에 대응된다. 각 표는, 제한값보다 작거나 같은 어드레스값을 갖는 어드레스 위치들을 제외하고는, 그 각각의 어드레스값을 갖는 각 어드레스 위치에 프로그램 된다. 이들 각 어드레스의 위치는 제한값으로 프로그램된다. 각 메모리 위치는 또한, 압축된 데이터의 각 매크로블록에 포함시키기 위하여 동시에 양자화 스케일 계수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적절한 대응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로 프로그램될 수 있다. 다른 선택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내에 다수의 표를 포함하기보다는 장치는 예컨대 시스템 제어기(21)에 의해 압축 시퀀스의 시작에서 적절한 어드레스값으로 프로그램 되는 단일의 판독/기록 메모리 표를 포함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시스템 제어기가 충분한 계산 능력을 가지면, 제한 기능은 제한값 또는 양자화 스케일 계수를 비교하여 출력하는 단순한 루틴을 사용하여 제어기내에서 소프트웨어로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양자화 스케일 계수 제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7에 있어서, 도 2에서의 요소와 동일한 번호로 나타낸 요소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 생성기(38)는 속도 버퍼(24)에 접속되고, 예컨대 정상 동작 과정에서 예를 들면 MPEG2,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 값들을 생성한다. 이들 값들은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 값을 유효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 값으로 억제되는 어떤 최소값으로 제한하도록 조건 지워지는 리미터(27)에 인가된다. 제한된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의 코드워드는 압축된 비디오 신호에 포함시키기 위하여 포맷터(22)에 연결되며, 이들은 코드 변환기(36)에도 인가된다. 판독 전용 메모리일 수 있는 코드 변환기(36)는, 가중 회로(32)에 적용하기 위하여,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 값들을 그들의 대응 양자화 스케일 계수 값들(QS)로 변환한다. 변환기(36)에 인가되는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 값들이 제한되기 때문에, 변환기(36)로부터 출력되는 QS 값 또한 제한된다.
리미터(37)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형태 중 하나를 취할 수 있고, 그 기능은 소프트웨어로 수행될 수 있다. 제한값들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이고 처리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양의 함수로서 시스템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축 비디오 신호 비트 속도를 직접 제한하지 않고, MPEG 양자화 스케일 계수(또는 비MPEG 시스템에서 이와 동등한 것)를 제한하는 회로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시킴으로써 MPEG 또는 MPEG과 유사한 압축 시스템에서 인코딩하기 어려운 복잡한 비디오 영상에 대한 재생 비디오 품질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양자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압축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양자화기에 대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양자화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양자화 스케일 계수 제한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5 및 도 6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압축 장치에 대한, 양자화 스케일 계수 제한 회로가 있을 때와 없을 때의 속도 버퍼 점유율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시스템의 양자화기에 대해 구현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양자화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
*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의 설명 *
13 : DCT 요소 14,31 : 양자화기
21 : 시스템 제어기 22 : 포맷터
24 : 속도 버퍼 32 : 가변 스케일링 회로
42 : 비교기 44 : 멀티플렉서

Claims (12)

  1. 비디오 신호 압축 장치에 있어서,
    양자화기(14)와,
    상기 양자화기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연결된 속도 버퍼(rate buffer; 24)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 버퍼의 점유 레벨들에 응답하여, 상기 양자화기를 제어하기 위해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26)와,
    상기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양자화기에 인가되는 각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의 값들을, 상기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장치에 의해 제공된 양자화 스케일 계수 값들의 범위보다 작은 미리 결정된 범위의 값들로 제한하기 위한 제한 장치(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압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압축될 비디오 신호 소스,
    부분적으로 압축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압축 회로,
    부분적으로 압축된 상기 비디오 신호의 압축을 완료하기 위한 제 2 압축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자화기는 상기 부분적으로 압축된 비디오 신호를 양자화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압축 회로 사이에 연결되고,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제 2 압축 회로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된 데이터의 속도에 따라서 양자화 스케일 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한 장치는 상기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에 응답하여 상기 양자화기 입력 포트에 인가되는 최소값 양자화 스케일 계수를 제한하는, 비디오 신호 압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축 회로는 속도 버퍼를 포함하고,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상기 속도 버퍼의 상대적 충만도(fullness)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압축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최소값 양자화 스케일 계수를 제한하기 위한 회로는 동일한 회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압축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 압축 장치는 MPEG 프로토콜에 따라 압축된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최소값 양자화 스케일 계수를 제한하기 위한 상기 회로는 각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을 2 보다 큰 값들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압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값들과 제한된 상기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 중 하나에 응답하여, 압축된 비디오 신호에 포함시키기 위해 제한된 대응하는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들(quantiser_scale_codes)을 제공하기 위한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압축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압축된 상기 비디오 신호에 포함시키기 위해, 제한된 상기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에 대응하는,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 값들을 제공하기 위한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압축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값들에 응답하여, 압축된 비디오 신호에 포함시키기 위해 제한된 대응하는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들을 제공하기 위한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압축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제한된 상기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에 응답하여, 압축된 비디오 신호에 포함시키기 위해 제한된 대응하는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들을 제공하기 위한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압축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버퍼의 점유 레벨에 응답하여,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상기 속도 버퍼에 연결되어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들을 생성하기 위한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 생성기,
    상기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 생성기에 연결되어 상기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의 값들을 상기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 생성기에 의해 제공된 최소값보다 큰 값들로 제한하기 위한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 리미터,
    상기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 리미터에 연결된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 - 양자화 스케일 계수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압축 장치.
  11. 양자화기와, 상기 양자화기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된 비디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양자화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압축 장치에서, 상기 비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압축 데이터의 평균 양을 줄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기에 인가되는 각각의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의 값들을,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을 발생하기 위한 상기 회로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양자화 스케일 계수 값들의 범위와는 다른 미리 정해진 범위의 값들로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압축은 MPEG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되고,
    제한된 상기 양자화 스케일 계수들에 대응하는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된 비디오 신호에 상기 양자화기_스케일_코드들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01814A 1995-01-25 1997-01-23 비디오신호압축시스템들을위한양자화회로 KR100727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107595A 1995-01-25 1995-01-25
US591,075 1995-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946A KR970060946A (ko) 1997-08-12
KR100727787B1 true KR100727787B1 (ko) 2007-11-09

Family

ID=6595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814A KR100727787B1 (ko) 1995-01-25 1997-01-23 비디오신호압축시스템들을위한양자화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78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591A (ko) * 1989-08-21 1991-03-30 시기 모리야 적응양자화 부호화 복호화기
JPH03247191A (ja) * 1990-02-26 1991-11-05 Sony Corp 映像信号符号化方法
JPH05176311A (ja) * 1991-12-20 1993-07-13 Sony Corp 画像符号化装置
US5274443A (en) * 1991-02-08 1993-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Moving picture image encoder with continuously changing quantization step size
KR940013233A (ko) * 1992-11-24 1994-06-25 정용문 영상 전화기의 버퍼 제어방법 및 장치
US5426463A (en) * 1993-02-22 1995-06-20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quantizing in a video signal compressor
KR960013079A (ko) * 1994-09-09 1996-04-20 미야하라 아끼라 최소의 압축률 확보와 전송률 제한을 위한 화상정보 부호화/복호화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591A (ko) * 1989-08-21 1991-03-30 시기 모리야 적응양자화 부호화 복호화기
JPH03247191A (ja) * 1990-02-26 1991-11-05 Sony Corp 映像信号符号化方法
US5274443A (en) * 1991-02-08 1993-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Moving picture image encoder with continuously changing quantization step size
JPH05176311A (ja) * 1991-12-20 1993-07-13 Sony Corp 画像符号化装置
KR940013233A (ko) * 1992-11-24 1994-06-25 정용문 영상 전화기의 버퍼 제어방법 및 장치
US5426463A (en) * 1993-02-22 1995-06-20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quantizing in a video signal compressor
KR960013079A (ko) * 1994-09-09 1996-04-20 미야하라 아끼라 최소의 압축률 확보와 전송률 제한을 위한 화상정보 부호화/복호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946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1837A (en) Quantization circuitry as for video signal compression systems
US5870146A (en) Device and method for digital video transcoding
KR970009408B1 (ko) 인터/인트라 테이블 선택 회로
JP3688730B2 (ja) 量子化装置
KR100610520B1 (ko) 비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 비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 비디오데이터 전송 장치 및 비디오 데이터 기록 매체
US8345744B2 (en) Image compression system with coding quantity control
US5638125A (en) Quantization step size control apparatus using neural networks
US5986710A (en) Image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number of bits generated using quantization activities
US56381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iding quantization parameter
EP0861003B1 (en) Code-amount control device and video coding device including the code-amount control device
GB2341031A (en) Adaptively coding video signals
KR0127329B1 (ko) 디씨티기반의 인트라프레임 동영상 압축을 위한 버퍼 제어장치
KR100601615B1 (ko) 네트워크 대역폭에 적응적인 영상 압축 장치
KR100196890B1 (ko) 동영상 압축 시스템과, 비디오 동화상의 압축 방법 및 인코딩 방법
GB2252883A (en) Image signal encoding apparatus with quantization step size controlled by buffer memory occupancy
KR0162203B1 (ko) 양자화스텝사이즈의 가변을 이용한 적응적 부호화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71689A (ko) 화소값을 변경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 회로 및 방법
JP3626779B2 (ja) 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
KR100727787B1 (ko) 비디오신호압축시스템들을위한양자화회로
US78012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ncoding rate and quantization scales
JPH1066077A (ja) 画像データの符号量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9401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moving pictures
Kim et al. A new buffer control strategy for image data compression
JP2900927B2 (ja) 符号化方法及び符号化装置
JP2007116655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325

Effective date: 200702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