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909B1 -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909B1
KR100726909B1 KR1020060011999A KR20060011999A KR100726909B1 KR 100726909 B1 KR100726909 B1 KR 100726909B1 KR 1020060011999 A KR1020060011999 A KR 1020060011999A KR 20060011999 A KR20060011999 A KR 20060011999A KR 100726909 B1 KR100726909 B1 KR 100726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se lens
collet chuck
mold cor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2058A (ko
Inventor
히사오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나텍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나텍
Publication of KR20060092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1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e.g. toric 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028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having an axis of sym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36Remov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B29D11/00442Curing the len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금형 베이스 렌즈 압박 지그로 베이스 렌즈의 주변의 R면을 압박하므로, 베이스 렌즈의 곡률의 차이나 렌즈면의 거칠기에 의해 베이스 렌즈의 센터링에 변동이 생기고, 코어 진동 정밀도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렌즈(7)는 각 공정에서 콜릿 척(1)으로 그 주위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공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렌즈(7)의 코어 진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콜릿 척(1)과 동일 코어에 형성된 금형 코어(2)에 의해 비구면 형상 수지층(8)을 성형하므로, 코어 진동 정밀도가 매우 향상된다.
하이브리드 렌즈, 콜릿 척, 금형 코어, 베이스 렌즈, 디스펜서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HYBRID LENS}
도1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작성된 하이브리드 렌즈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구체화한 제조 장치의 개략도.
도10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11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12는 종래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13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14는 종래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15는 종래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16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17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18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콜릿 척
2 : 금형 코어
3 : 받침부
4 : 가이드 구멍
5d : 디스펜서
6 : 광경화성 수지
7 : 베이스 렌즈
8 : 비구면 형상 수지층
9 : 하이브리드 렌즈
10 : 구동 부분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9-71439호 공보
본 발명은 카메라, 복사기, 레이저 프린터 등에 이용되는 비구면 형상을 갖 는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각종 광학 기기에 이용되는 렌즈에 비구면 렌즈가 이용되어 소형화, 경량화 및 저비용화가 도모되어 왔다. 이와 같은 비구면 렌즈를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구면 글래스 렌즈의 표면에 광경화성 수지에 의한 비구면 수지층을 접합한 수지 접합형 비구면 렌즈(이하 하이브리드 렌즈라 칭함)가 있다.
이 하이브리드 렌즈는 도10 내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되어 있다.
우선,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렌즈 받침 지그(20)를 준비한다. 이 지그(20)는 베이스(21)의 중앙부의 관통 구멍(22)에 UV 조사기(23)를 매립하고, 관통 구멍(22)의 상부에 베이스 렌즈를 장착하는 받침부(24)로 구성되어 있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의 받침부(24)에 구면의 유리제의 베이스 렌즈(25)를 장착한다. 베이스 렌즈(25)는 지그의 관통 구멍(22)으로부터 진공으로 흡인함으로써 지그(20)에 고정된다. 이러한 지그(20)는 다수개 준비되어 각 지그(20)에 하나의 베이스 렌즈(25)를 장착하여 하이브리드 렌즈가 제조된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20)를 디스펜서(26)의 아래까지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펜서(26)를 하강시킨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펜서(26)로부터 적정량의 광경화성 수지(27)를 베이스 렌즈(25) 상에 도포하여 디스펜서(26)를 상승시킨다. 이 지그(20)도 다음 성형 위치에 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 베이스 렌즈 압박 지그(28) 및 반전된 비구면의 금형 코어(29)를 하강시킨다. 금형 베이스 렌즈 압박 지그(28)는 베이스 렌즈 (25)의 주위단부 부분의 몇 점을 압박하여 베이스 렌즈(25)의 센터링을 행한다.
도15에서는 금형 코어(29)가 내려가고, 베이스 렌즈(25) 상에 도포한 광경화성 수지(27)의 성형을 행한다.
도16에서는 UV 조사기(23)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며 이 광경화성 수지(27)의 경화를 행하여 비구면 수지층(30)을 갖는 하이브리드 렌즈를 완성시킨다.
그 후, 도17에서는 금형 코어(29)를 상승시켜 비구면 수지층(30)으로부터 금형 코어(29)를 형 분리시킨다. 이때에는, 베이스 렌즈(25)는 진공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금형 코어(29)의 형 분리를 할 수 있다.
도18에서는 금형 베이스 렌즈 압박 지그(28) 및 금형 코어(29)를 상승시켜 진공화를 멈추고 하이브리드 렌즈(31)를 베이스 렌즈 받침 지그(24)로부터 취출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9-71439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에서는 금형 베이스 렌즈 압박 지그(28)로 베이스 렌즈(25)의 주변의 R면을 압박하므로, 베이스 렌즈(25)의 곡률의 차이나 렌즈면의 거칠기에 의해 베이스 렌즈(25)의 센터링에 변동이 생기고, 코어 진동 정밀도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베이스 렌즈 받침 지그(24)가 디스펜서(26)에 의한 광경화성 수지(27)의 도포 위치와 금형 베이스 렌즈 압박 지그(28) 및 반전된 비구면의 금형 코어(29)에 의한 비구면 수지층(30)의 성형 위치를 횡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동작을 하 기 때문에, 베이스 렌즈(25)의 센터 위치 결정에도 변동이 생기고 코어 진동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베이스 렌즈(25)는 진공에 의해 베이스 렌즈 받침 지그(24)에 고정되어 있지만, 진공 척력이 약하기 때문에, 형 분리 시에 하이브리드 렌즈(31)가 금형 코어(29)에 부착되어 상승하여, 금형 코어(29)의 파손이나 하이브리드 렌즈(31)의 불량의 원인이 되고 있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렌즈(31)의 코어 두께도 베이스 렌즈(25)의 코어 두께의 변동에 의해 변동, 베이스 렌즈(25)의 코어 두께를 변동별로 층 구별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경화 시에 자외선은 베이스 렌즈 받침 지그(20)의 관통 구멍(22)으로부터 조사되므로, 받침부(24)가 방해되어 조사 범위가 축소되어 수지 경도가 변동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지고, 콜릿 척과 그 하측으로 상하 이동하는 선단부에 비구면과 반전된 형상을 갖는 금형 코어를 준비하는 공정과, 디스펜서를 이동시켜 상기 금형 코어에 광경화 수지를 적하하는 공정과, 상기 콜릿 척에 베이스 렌즈를 넣어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금형 코어를 상승시켜 상기 베이스 렌즈에 비구면 형상 수지층을 성형하는 공정과, 광조사기를 이동시켜 상기 베이스 렌즈를 통해 광조사를 행하여 상기 비구면 형상 수지층을 경화시켜 하이브리드 렌즈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금형 코어를 하강시켜 상기 금형 코어를 상 기 비구면 형상 수지층으로부터 형 분리시키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 렌즈를 상기 콜릿 척으로부터 취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 렌즈는 각 공정 중 계속 동일 위치에 있고, 콜릿 척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콜릿 척은 상기 베이스 렌즈를 장착한 후에는 각 공정 중에 상기 베이스 렌즈의 주위로부터 기계적으로 계속해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조사기는 원형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비구면 형상 수지층을 상기 베이스 렌즈측으로부터 광조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금형 코어를 모터 구동함으로써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 렌즈의 코어 두께를 미세 조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콜릿 척 및 금형 코어를 전기 광조사기의 원형의 이동 라인 상에 복수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의 최선의 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콜릿 척과 그 하측에 상하 이동하는 선단부에 소정의 비구면과 반전된 형상을 갖는 금형 코어를 준비하는 공정과, 디스펜서를 이동시켜 상기 금형 코어에 광경화 수지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콜릿 척에 베이스 렌즈를 넣어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금형 코어를 상승시켜 상기 베이스 렌즈에 비구면 형상 수지층을 성형하는 공정과, 광조사기를 이동시켜 상기 베이스 렌즈를 통해 광조사를 행하 여 상기 비구면 형상 수지층을 경화시켜 하이브리드 렌즈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금형 코어를 하강시켜 상기 금형 코어를 상기 비구면 형상 수지층으로부터 형 분리시키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 렌즈를 상기 콜릿 척으로부터 취출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최초의 공정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릿 척(1)과 그 하측에 상하 슬라이드하는 선단부에 소정의 비구면과 반전된 형상을 갖는 금형 코어(2)를 준비하는 데 있다.
콜릿 척(1)은 선단부에 베이스 렌즈(7)를 넣은 받침부(3)를 갖고, 선단부에는 6개소에 슬릿을 형성하여 모터로 콜릿 척(1)을 하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베이스 렌즈(7)를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콜릿 척(1)과 동일한 코어로 금형 코어(2)가 상하 슬라이드하도록 콜릿 척(1) 내에 가이드 구멍(4)이 마련되고, 금형 코어(2)가 스텝 모터로 그 위치가 조정되면서 상하 슬라이드된다. 금형 코어(2)의 선단부는 베이스 렌즈(7)에 접합하는 비구면 형상 수지층의 비구면 형상을 반전시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콜릿 척(1)은 취급하는 베이스 렌즈(7)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서 복수 종류 만들어져 있고, 베이스 렌즈(7)의 크기에 따라서 교체되어 사용된다.
다음 공정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펜서(5)를 이동시켜 금형 코어(2)에 광경화 수지(6)를 적하하는 데 있다.
디스펜서(5)에는 탈포 처리한 액상의 UV 자외선 경화 수지(6)를 저장하여 디스펜서(5)를 콜릿 척(1)까지 기울여 이동하고 금형 코어(2) 상에 적량의 UV 자외선 경화 수지(6)를 적하한다. 본 공정에서는 디스펜서(5)의 하강, 상승은 행하지 않고, 직접 디스펜서(5)를 콜릿 척(1)까지 기울여 이동하는 것만으로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공정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릿 척(1)에 베이스 렌즈(7)를 넣어 고정하는 데 있다.
베이스 렌즈(7)는 구면을 갖는 유리제의 렌즈이고, 예를 들어 직경 9.3 ㎜, r1면 유효 직경 7.6 ㎜, r2면 유효 직경 7.5 ㎜, 코어 두께 2.256 ㎜로 한다.
베이스 렌즈(7)는 콜릿 척(1)의 받침부(3)에 넣어지고, 콜릿 척(1)을 하방으로 인장하여 베이스 렌즈(7)의 주위단부가 고정된다. 이에 의해 베이스 렌즈(7)의 코어와 금형 코어(2)의 코어가 일치하여 고정되므로, 이후의 공정에서의 코어 진동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콜릿 척(1)에서의 고정은 종래의 진공 척에 비해 훨씬 강하고, 베이스 렌즈(7)의 주위단부의 고정이므로 베이스 렌즈(7)에 손상 등이 발생할 우려는 없다.
또한, 다음의 공정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 코어(2)를 상승시켜 베이스 렌즈(7)에 비구면 형상 수지층(8)을 성형하는 데 있다.
본 공정에서는 금형 코어(2)를 스텝 모터(도시하지 않음)로 구동하여 상승시켜 베이스 렌즈(7)의 하측에 금형 코어(2) 상에 적하한 UV 자외선 경화 수지(6)를 비구면 형상 수지층(8)에 성형한다. 비구면 형상 수지층(8)의 코어 두께만큼을 남기고 금형 코어(2)는 스텝 모터로 상승된다. 이에 의해 스텝 모터의 제어로 베이스 렌즈(7)의 코어 두께의 변동도 보상하는 형태로 비구면 형상 수지층(8)의 코어 두께를 제어할 수 있는 데 특징이 있다.
또한, 다음의 공정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조사기(9)를 이동시켜 베이스 렌즈(7)를 통해 광조사를 행하여 비구면 형상 수지층(8)을 경화시켜 하이브리드 렌즈를 형성하는 데 있다.
본 공정에서는 광조사기(9)가 원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콜릿 척(1)의 상부까지 광조사기(9)를 이동시켜 베이스 렌즈(7) 상으로부터 비구면 형상 수지층(8)의 경화를 행한다. 광조사기(9)로서는 UV 스폿 경화 조사기를 이용하여 조사 거리 80 ㎜이고, 자외선 강도가 4000 mW/㎠에서 약 20 내지 30초간 행한다. 베이스 렌즈(7) 상으로부터 비구면 형상 수지층(8)을 자외선으로 조사하는 경우에는 베이스 렌즈(7) 전체에 조사가 가능하고, 조도, 조도 각도, 거리를 미조정함으로써 비구면 형상 수지층(8) 전체를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비구면 형상 수지층(8) 전체면이 균일한 경도를 확보할 수 있고, 비구면 형상 수지층(8)을 금형 코어(2)로부터 쉽게 형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공정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 코어(2)를 하강시켜 금형 코어(2)를 비구면 형상 수지층(8)으로부터 형 분리시키는 데 있다.
본 공정에서는 베이스 렌즈(7)가 콜릿 척(1)으로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받침부(3)의 단차에서 하측으로는 행할 수 없으므로, 금형 코어(2)와 비구면 형상 수지층(8)의 형 분리는 종래보다는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형 분리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처음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거나 충격을 가함으로써 형 분리성을 향상시키면 비구면 형상 수지층(8)의 면정밀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와 같 이 금형 코어에 하이브리드 렌즈가 부착되어 들어 올려지고, 고가의 금형 코어가 파손될 우려는 없어진다.
최후에,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렌즈(9)를 콜릿 척(1)으로부터 취출하는 데 있다.
본 공정에서는 콜릿 척(1)을 상방으로 압박하여 느슨하게 한 후 금형 코어(2)로 완성된 하이브리드 렌즈(9)를 밀어올리면 콜릿 척(1)으로부터 하이브리드 렌즈(9)가 부상하여 취출할 수 있다.
다음에,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작한 하이브리드 렌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콜릿 척(1)의 채용에 의해 베이스 렌즈(7)는 직경이 5.0 ㎜ 내지 30 ㎜까지 제조 가능해진다. 종래에는 진공 척으로 인해 형 분리 시의 고정력이 작고 직경은 20 ㎜가 상한으로 되어 있었으므로, 보다 직경이 큰 하이브리드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하이브리드 렌즈의 코어 두께 정밀도를 금형 코어(2)의 스텝 모터에서의 제어에 의해 0.01 내지 0.02 ㎜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0.03 내지 0.04 ㎜가 한계이고,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렌즈(7)의 코어 두께의 변동도 충분히 보상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렌즈의 투과 편심 정밀도에 대해서는 외형으로부터의 센터와 렌즈로서의 센터의 투과 편심 정밀도가 종래의 140초로부터 본 발명에서는 120초 이하로 억제된다. 이는 콜릿 척(1)과 금형 코어(2)의 센터의 어긋남이 적기 때 문이다.
또한,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구체화한 제조 장치의 개략도를 설명한다.
콜릿 척(1)은 하나라도, 복수라도 배치할 수 있고, 어느 것이나 광조사기(9)가 움직이는 원형으로 배치된다. 디스펜서(5)는 각각의 콜릿 척(1)의 근방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상에 구동하는 구동 부분(10)에 디스펜서(5)가 고정되고, 점선 상을 라이드하여 콜릿 척(1)의 하측에 설치한 금형 코어(2)에 광경화성 수지(6)의 적하를 행한다. 또한, 광조사기(9)는 원형으로 움직여 각 콜릿 척(1) 상에서 UV 조사를 하고 비구면 형상 수지층(8)의 경화를 행한다.
이 제조 장치에서는, 콜릿 척(1)은 고정식이고, 모든 제조 공정에서 움직이지 않으므로 이동에 의한 코어 진동은 일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하이브리드 렌즈에서는 형상 정밀도, 코어 진동 정밀도, 코어 두께 정밀도 및 면정밀도가 중요하다.
형상 정밀도라 함은, 하이브리드 렌즈의 비구면 형상 수지층의 형상을 규격대로 할 수 있는지 여부의 정밀도이다.
코어 진동 정밀도라 함은, 하이브리드 렌즈의 베이스 렌즈와 비구면 형상 수지층의 코어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의 정밀도이다.
코어 두께 정밀도라 함은, 하이브리드 렌즈의 코어의 두께 정밀도이고, 베이스 렌즈의 코어 두께의 변동을 비구면 형상 수지층으로 보상한 양자의 코어 두께의 정밀도이다.
면정밀도라 함은, 비구면 형상 수지층이 제거되어 손상, 기포, 경도, 흐림 등이 없는 정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렌즈는 각 공정에서 콜릿 척으로 그 주위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공정이 실시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렌즈의 코어 진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콜릿 척과 동일 코어에 형성된 금형 코어에 의해 비구면 형상 수지층을 성형하므로, 코어 진동 정밀도가 매우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렌즈는 각 공정 중 계속 동일 위치에 있고, 이동은 하지 않으므로, 제조 공정 중의 이동에 의한 코어 진동도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조사기는 원형으로 회전하도록 형성하여 비구면 형상 수지층을 베이스 렌즈측으로부터 광조사를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조도, 조도 각도, 거리를 미세 조정할 수 있고, 또한 비구면 형상 수지층 전체를 조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비구면 형상 수지층 전체면이 균일한 경도를 확보할 수 있고, 비구면 형상 수지층을 금형 코어로부터 쉽게 형 분리할 수 있으므로, 하이브리드 렌즈의 형상 정밀도 및 면정밀도를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콜릿 척으로 베이스 렌즈를 강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비구면 형상 수지층이 금형 코어로부터 형 분리가 용이해져 형상 정밀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금형 코어를 모터 구동함으로써 상하 슬라이드를 미조정할 수 있으므로, 하이브리드 렌즈의 코어 두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콜릿 척 및 금형 코어를 광조사기의 원형의 이동 라인 상에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하이브리드 렌즈의 성형수를 복수로 증가시켜 양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동일 기종 혹은 다른 기종의 동시 생산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6)

  1. 콜릿 척과 그 하측에 상하 이동하는 선단부에 비구면과 반전한 형상을 갖는 금형 코어를 준비하는 공정과,
    디스펜서를 이동시켜 상기 금형 코어에 광경화 수지를 적하하는 공정과,
    상기 콜릿 척에 베이스 렌즈를 넣어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금형 코어를 상승시켜 상기 베이스 렌즈에 비구면 형상 수지층을 성형하는 공정과,
    광조사기를 이동시켜 상기 베이스 렌즈를 통해 광조사를 행하여, 상기 비구면 형상 수지층을 경화시켜 하이브리드 렌즈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금형 코어를 하강시켜 상기 금형 코어를 상기 비구면 형상 수지층으로부터 형 분리시키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 렌즈를 상기 콜릿 척으로부터 취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렌즈는 각 공정 중 계속 동일 위치에 있고, 콜릿 척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릿 척은, 상기 베이스 렌즈를 장착한 후에는 각 공정 중에 상기 베이스 렌즈의 주위로부터 기계적으로 계속해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기는 원형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비구면 형상 수지층을 상기 베이스 렌즈측으로부터 광조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코어를 모터 구동하여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 렌즈의 코어 두께를 미세 조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콜릿 척 및 금형 코어를 상기 광조사기의 원형의 이동 라인 상에 복수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
KR1020060011999A 2005-02-15 2006-02-08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 KR100726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38065A JP2006224342A (ja) 2005-02-15 2005-02-15 ハイブリッドレンズの製造方法
JPJP-P-2005-00038065 2005-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058A KR20060092058A (ko) 2006-08-22
KR100726909B1 true KR100726909B1 (ko) 2007-06-12

Family

ID=3692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999A KR100726909B1 (ko) 2005-02-15 2006-02-08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224342A (ko)
KR (1) KR100726909B1 (ko)
CN (1) CN1821814A (ko)
TW (1) TW2006302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099B1 (ko) * 2008-06-09 2010-05-17 주식회사 삼양옵틱스 하이브리드 렌즈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30497B (zh) * 2007-11-09 2011-08-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固定治具
CN106030378A (zh) * 2014-03-18 2016-10-12 埃西勒国际通用光学公司 用于制造配备有插入件的眼科镜片的模具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1305A (ja) * 1990-10-26 1992-06-04 Canon Inc 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3025345A (ja) 2001-07-11 2003-01-29 Sony Corp 光学素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1305A (ja) * 1990-10-26 1992-06-04 Canon Inc 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3025345A (ja) 2001-07-11 2003-01-29 Sony Corp 光学素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099B1 (ko) * 2008-06-09 2010-05-17 주식회사 삼양옵틱스 하이브리드 렌즈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24342A (ja) 2006-08-31
TW200630208A (en) 2006-09-01
KR20060092058A (ko) 2006-08-22
CN1821814A (zh) 200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7608B2 (ja) 造形方法、造形物の製造方法及び造形装置
KR101634353B1 (ko) 마이크로 렌즈, 상기 마이크로 렌즈 제조방법, 상기 마이크로 렌즈 제조 장치, 및 상기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한카메라 모듈
US5292457A (en) Method for molding optical elements
KR20100018458A (ko) 임프린트 장치, 임프린트 방법 및 부품 제조 방법
JP2006337985A (ja) ハイサグレンズの製作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製作されたレンズ
JP2008158200A (ja) 光学レンズ、複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接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26909B1 (ko) 하이브리드 렌즈의 제조 방법
JP5583374B2 (ja) 光硬化樹脂の特性試験装置、その試験装置で使用する保持具、特性試験方法
JP5725042B2 (ja) 成形型、ウェハーレンズ及び光学レンズの製造方法
US9216549B2 (en) Optical part manufacturing method, mold manufacturing method, optical par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ld manufacturing apparatus
WO2009069940A1 (en)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lens
KR100755235B1 (ko) 임프린팅장치
CN108430741B (zh) 三维物体的成形装置及制造方法
KR101828636B1 (ko) 렌즈 웨이퍼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586940B2 (ja) 光学部品の製造方法、光学部品製造装置及びウエハレンズの製造方法
US9151925B2 (en) Image pickup lens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pickup lens unit
JP4467768B2 (ja) 複合レンズ製造装置及び複合レンズ製造方法
JP4443758B2 (ja) 複合レンズ製造装置及び複合レンズ製造方法
KR100958099B1 (ko) 하이브리드 렌즈 제조 방법
JP2007313678A (ja) 複合型光学素子の製造方法
KR20190024702A (ko) 형틀을 사용하여 기판 상의 조성물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 및 물품의 제조 방법
JP2009190318A (ja) 複合型光学素子の成形装置および複合型光学素子の成形方法
JP2004042493A (ja) 成形用型及び光学素子
JP3083836B2 (ja) 複合型光学素子の製造装置
JPH0422609A (ja) 非球面光学素子の成形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