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619B1 -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619B1
KR100726619B1 KR1020050002180A KR20050002180A KR100726619B1 KR 100726619 B1 KR100726619 B1 KR 100726619B1 KR 1020050002180 A KR1020050002180 A KR 1020050002180A KR 20050002180 A KR20050002180 A KR 20050002180A KR 100726619 B1 KR100726619 B1 KR 100726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remote
input
input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772A (ko
Inventor
정구민
김인환
나승원
김영찬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2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61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85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comprising multiple separat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6Material or manufa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움직임입력 및 버튼입력이 가능한 원격입력장치를 통해 이동단말기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움직임입력 및 버튼입력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를 소정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원격입력장치; 및 상기 원격입력장치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구동중인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이동단말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이동단말기의 프로그램/메뉴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를 움직이지 않으면서도 원격입력장치를 통해 움직임입력을 수행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을 똑바로 보면서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움직임입력, 관성장치, 원격입력, 블루투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Remote Control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Mobile Station}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의 배경화면 움직임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2a, 도 2b, 도3a 및 도3b는 종래기술에 따라 관성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의 배경화면 움직임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입력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7은 도6에 도시한 원격제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9는 도8에 도시한 원격제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원격입력장치
200: 이동단말기
400: 무선인터넷 서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응용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움직임입력 및 버튼입력이 가능한 원격입력장치를 통해 이동단말기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컴퓨터, 전자 및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각종 무선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기본적인 무선통신 서비스는 이동단말기의 사용자들이 무선으로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통화 서비스, 사용자들이 서로 문자를 전송하고 받을 수 있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들이 상용화되어 있다.
그 밖에도, 이동단말기의 사용자가 장소의 제약없이 이동 중 무선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동일, 유사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의 가입자들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음성통화 서비스를 통하여 시간 및 장소의 제약없이 자유롭게 상대방과 음성통화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하여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보, 예컨대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교통 정보 또는 문화 정보 등을 문자, 음성 또는 영상 등의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최근에 다음과 같은 서비스가 제안되었다. 즉, 이동단말기에 장착된 관성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단말기를 움직이면, 상기 움직임에 따라 배경화면이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적인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의 배경화면 움직임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움직이면 그에 연동하여 배경화면이 함께 움직이는 모습들이 보여진다. 즉, 이동단말기가 배경화면 움직임 모드로 설정되어, 이동단말기의 방향각 변화에 따라서 관성장치에서 감지된 방향각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고도 정보의 움직임 값에 연동하여 배경화면이 움직인다.
도 2a, 도 2b, 도3a 및 도3b는 상기 관성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의 배경화면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상태도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배경화면 움직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이동단말기를 동쪽으로 움직이면 관성장치가 이동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동쪽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창의 배경화면이 연동하여 동쪽으로 움직인다.
반면, 배경화면 움직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이동단말기를 서쪽으로 움직이면 상기 관성장치가 이동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서쪽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창의 배경화면이 연동하여 서쪽으로 움직이는 모습이 도 2b에서 보여진다.
또한, 도 3a를 참조하면, 배경화면 움직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뒤로 기울이면 상기 관성장치가 이동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위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창에는 모래시계의 모래가 아래에서 위로 움직인다.
반면, 배경화면 움직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이동단말기를 앞으로 기울이면 상기 관성장치가 이동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창에는 모래시계의 모래가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는 모습이 도 3b에서 보여진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의 배경화면 움직임 방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동단말기를 움직이면 그와 연동하여 이동단말기의 배경화면이 움직인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단말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그에 연동하여 배경화면이 움직이게 되어 배경화면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하여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관성장치의 움직임입력을 위해서는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를 기울여야 한다. 이때, 사용자는 고정된 화면이 아니라, 기울어진 화면이나 움직인 화면을 보게 되므로, 게임이나 배경화면과 같은 서비스의 이용에 많은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버튼을 통한 입력 시, 상기 이동단말기를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이동된 화면을 보면서 눌러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움직임입력 및 버튼입력이 가능한 원격입력장치를 이용하 여 이동단말기의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은, 움직임입력 및 버튼입력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를 소정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원격입력장치; 및 상기 원격입력장치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구동중인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이동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방법은, (a) 이동단말기와 원격입력장치를 초기모드로 각각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이동단말기와 원격입력장치의 연결상태를 액티브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원격입력장치를 통해 원격제어모드 설정을 입력 받는 단계; (d) 상기 이동단말기가 프로그램을 구동하면, 상기 원격입력장치가 움직임입력수단 및 입력버튼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을 원격제어하는 단계; 및 (e) 상기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상기 원격입력장치와 이동단말기의 상태를 초기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방법은, (a) 이동단말기와 원격입력장치를 초기모드로 각각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이동단말기와 원격입력장치의 연결상태를 액티브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원격입력장치를 통해 원격제어모드 설정을 입력 받는 단계; (d)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원격입력장치로부터 움직임입력수단 및 입력버튼을 통해 실행될 컨 텐츠의 메뉴를 선택 받는 단계; (e)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실행한 후, 상기 원격입력장치가 움직임입력수단 및 입력버튼을 통해 상기 컨텐츠를 원격 제어하는 단계; 및 (f) 상기 컨텐츠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원격입력장치와 이동단말기의 상태를 초기모드로 각각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움직임입력 및 버튼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데이터를 전송하는 원격입력장치(100); 및 상기 원격입력장치(100)의 입력데이터를 소정 통신방법을 통해 입력받아 구동중인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이동단말기(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이동통신 망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서버(400)를 더 포함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입력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격입력장치(100)는, 움직임 및 버튼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원격으로 상기 이동단말기(200)로 입력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이동단말기(200)로 입력데이터를 전송하는 수단으로는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적외선통신, RFID통신등과 같은 다른 근거리 통신방법을 통해서도 충분히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입력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60); 입력부(미도시); 움직임을 통해 입력데이터를 상기 무선모듈로 전송하는 관성장치(110); 상기 이동단말기(200)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120); 게임등과 같은 이동단말기 프로그램을 원격제어하면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게임효과를 제공하는 진동장치(130) 및 스피커(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입력수단(170) 및 관성장치를 통한 움직임입력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움직임입력수단을 통한 데이터입력은 종래기술의 도1내지 도3b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나, 상기 움직임입력 도중에 버튼입력수단(150)을 통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상기 원격입력장치(100)는, 상술한 입력데이터 전송 이외에, 상기 이동단말기(200)와 음성 호 연결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원격입력장치(100)는 마이크(150)/스피커(1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즉, 상기 이동단말기(200)와 통화하면서 현재 구동중인 프로그램(예컨대, 게임프로그램)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이동단말기(200)는 상기 원격입력장치(100)의 입력데이터 전송에 대응되는 블루투스 모듈(미도시); 및 상기 움직임에 의한 데이터입력을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하는 뷰어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방법을 첨 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움직임입력이 가능한 원격입력장치(100)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구동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예는 매우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동단말기에서 구동되는 게임프로그램 원격제어 서비스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동단말기에서의 메뉴컨트롤을 통한 컨텐츠 서비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1) 이동단말기에서 구동되는 게임프로그램의 원격제어 서비스.
먼저, 이동단말기(200)와 원격입력장치(100)를 초기모드로 설정한다(S601).
다음으로, 사용자로부터 원격모드로의 실행을 위한 원격입력장치(100)의 버튼을 입력받아 상기 이동단말기(200)와 원격입력장치(100)의 연결상태를 액티브모드로 설정한다(S602). 그런 다음, 사용자로부터 원격입력장치(100)에 의한 이동단말기(200)의 원격제어모드 설정을 입력 받는다(S603).
이후, 이동단말기(200)의 게임프로그램을 구동한 후, 상기 원격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프로그램을 제어한다(S604). 상기 게임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상기 원격입력장치(100)와 이동단말기(200)의 상태를 초기모드로 설정한다(S605).
2) 이동단말기의 메뉴컨트롤을 통한 컨텐츠 서비스
먼저, 이동단말기(200)와 원격입력장치(100)를 초기모드로 설정한다(S801).
다음으로, 사용자로부터 원격모드로의 실행을 위한 원격입력장치(100)의 버튼을 입력받아 상기 이동단말기(200)와 원격입력장치(100)의 연결상태를 액티브모 드로 설정한다(S802). 그런 다음, 사용자로부터 원격입력장치(100)에 의한 이동단말기(200)의 원격제어모드 설정을 입력 받는다(S803).
이어, 관성장치를 통한 움직임입력 및 입력버튼(170)을 통해 실행할 컨텐츠의 메뉴를 선택한다(S804). 이때, 이동단말기(200)에 상기 컨텐츠가 저장되지 않았으면, 무선인터넷을 통해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다.
이어, 상기 컨텐츠를 실행한 후, 움직임입력 및 입력버튼을 통해 상기 컨텐츠를 제어한다(S805). 그런 다음, 상기 컨텐츠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원격입력장치(100)와 이동단말기(200)의 상태를 초기모드로 설정한다(S806).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입력장치를 통해 음성통화 기능을 수행하고, 이동단말기의 프로그램/메뉴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단말기를 움직이지 않으면서도 원격입력장치를 통해 움직임입력을 수행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을 똑바로 보면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움직임입력 및 버튼입력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를 소정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원격입력장치; 및 상기 원격입력장치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구동중인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이동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입력장치는,
    상기 이동단말기와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는 제1 블루투스 모듈;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입력수단;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로 움직임입력을 제공하는 관성장치;
    상기 이동단말기 프로그램을 원격제어하면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프로그램 효과를 제공하는 진동장치; 및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를 매개로 하여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음성통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원격입력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블루투스 모듈에 대응되는 제2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움직임에 의한 데이터입력을 상기 이동단말기에 화면에 표시하는 뷰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
  4. (a) 이동단말기와 원격입력장치를 초기모드로 각각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이동단말기와 원격입력장치의 연결상태를 액티브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원격입력장치를 통해 원격 음성통화모드 설정 또는 원격제어모드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
    (d) 상기 이동단말기가 원격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원격입력장치로부터 움직임입력수단 및 입력버튼을 통해 실행될 컨텐츠의 메뉴를 선택받는 단계;
    (e)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실행한 후, 상기 원격입력장치가 움직임입력수단 및 입력버튼을 통해 상기 컨텐츠를 원격 제어하는 단계; 및
    (f) 상기 컨텐츠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원격입력장치와 이동단말기의 상태를 초기모드로 각각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상기 컨텐츠가 저장되지 않았으면, 무선인터넷을 통해 상 기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움직임입력수단을 통해 방향데이터를 발생시켜 방향감을 만드는 단계;
    (e-2) 상기 방향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이동단말기의 입력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e-3) 상기 입력데이터를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방법.
KR1020050002180A 2005-01-10 2005-01-10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26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180A KR100726619B1 (ko) 2005-01-10 2005-01-10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180A KR100726619B1 (ko) 2005-01-10 2005-01-10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772A KR20060081772A (ko) 2006-07-13
KR100726619B1 true KR100726619B1 (ko) 2007-06-11

Family

ID=3717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180A KR100726619B1 (ko) 2005-01-10 2005-01-10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6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577A (ko) * 2001-06-27 2003-02-05 (주)이에스비컨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3차원 공간상의 입력 장치
KR20030037406A (ko) * 2001-11-05 2003-05-1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펜 마우스와 적외선 무선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103089A (ko) * 2003-05-30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게임동작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470553B1 (ko) 2002-11-22 2005-02-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방위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향이동방법
KR100556931B1 (ko) 2004-06-19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3차원 게임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이미지 게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577A (ko) * 2001-06-27 2003-02-05 (주)이에스비컨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3차원 공간상의 입력 장치
KR20030037406A (ko) * 2001-11-05 2003-05-1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펜 마우스와 적외선 무선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70553B1 (ko) 2002-11-22 2005-02-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방위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향이동방법
KR20040103089A (ko) * 2003-05-30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게임동작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556931B1 (ko) 2004-06-19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3차원 게임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이미지 게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772A (ko)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7999B2 (en) Dynamically adjustable communications services and communications links
KR100816286B1 (ko) 휴대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방법
KR101328950B1 (ko) 화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화상통신용단말기
JP4443181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80201751A1 (en) Wireless Media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CN100394824C (zh) 一种具有远程控制功能的移动通信终端及其动作方法
JP2008079038A (ja) 情報処理装置
CN104093077A (zh) 多终端互联的方法、装置及系统
WO2002056168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informations
US8520837B2 (en) Mobile device display implementation
JP2009124243A (ja) 情報処理装置
US20120173744A1 (en) Wireless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image recogni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601058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wireless internet services
WO2010113579A1 (ja) 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被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EP1653423A1 (en) Remote control in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6054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이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아바타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6523070A (ja) 携帯端末におけるマルチメディア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26619B1 (ko) 이동단말기의 원격제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23400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backgroud picture during communication
JP4006619B2 (ja) サーバ装置、番組情報提供方法、番組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番組情報提供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情報処理端末装置、並びに番組情報報知システム及び番組情報報知方法
CN108419110A (zh) 遥控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080254828A1 (en)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282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vod 데이터 전송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4447B1 (ko) 외부 상황 주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CN113660451B (zh) 多平台视频会议方法、视频会议装置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