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578B1 -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의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스토퍼미리 열림방법 - Google Patents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의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스토퍼미리 열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578B1
KR100726578B1 KR1020050121205A KR20050121205A KR100726578B1 KR 100726578 B1 KR100726578 B1 KR 100726578B1 KR 1020050121205 A KR1020050121205 A KR 1020050121205A KR 20050121205 A KR20050121205 A KR 20050121205A KR 100726578 B1 KR100726578 B1 KR 100726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stopper
lifting body
main body
low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훈
Original Assignee
신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훈 filed Critical 신정훈
Priority to KR1020050121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9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a change in orientation, a movement or an accel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e.g. a tilt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7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indoor are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하강체 하강단계에서 작동하는 최종출력측의 회전값을 마이컴이 저장 연산하고 승하강체 상승단계에서 승하강체가 상승 할 때 마이컴이 연산하여 저장하고 있던 회전값을 바탕으로 최종출력측의 회전수를 센서로 체크하여 마이컴에 입력되게 하고 센서에 체크된 회전수가 마이컴에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은 하강시 저장하였던 회전값이 미리 설정된 회전값의 위치에 도달하면 승하강체를 일시 정지시켜 와이어 꼬임상태를 체크함과 동시에 와이어가 꼬임 상태이면 꼬임이 풀어질 수 있는 시간을 수초간 부여하는 와이어 꼬임상태 체크 및 풀림 단계와; 상기 와이어 꼬임상태 체크 및 풀림 단계를 거친 승하강체에 상승신호가 입력되어 승하강체가 상승하면 이 승하강체가 본체와 결합되기 전에 회전 카운터 값에 의해 스토퍼에 전원이 인가되어 미리 스토퍼가 열리게 하는 스토퍼 미리 열림단계를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의 자동 승하강방법에 더 포함하여 와이어의 꼬임 현상을 해소하고 승하강체가 본체와 결합되기 전에 미리 스토퍼가 열리게 함으로써 승하강체가 본체와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체, 승하강체, 센서, 마이컴, 드럼

Description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의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스토퍼 미리 열림방법{high place lighting lam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조명 승하강체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조명 승하강체 자동 승하강 방법에 따른 고소 조명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조명 승하강체 자동 승하강 방법의 하강신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조명의 승하강체 자동 승하강 방법에 따른 하강상태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조명의 승하강체 자동 승하강 방법에 있어, 스토퍼의 이탈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조명의 승하강체 자동 승하강 방법의 상승신호 블록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조명의 승하강체 자동 승하강 방법에 따른 상승상태의 작동 상태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 미리 열림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승하강체
40 ; 드럼 46 ; 스토퍼
100 ; 센서 200 ; 마이컴
본 발명은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의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스토퍼 미리 열림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하강체 상승도중 와이어의 꼬임현상을 해소함은 물론 승하강체가 본체와 결합되기 전에 미리 스토퍼가 열리게 하여 본체와 스토퍼와 충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원활하게 승하강체가 본체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의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스토퍼 미리 열림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로비, 공장의 천장, 체육관 및 도로의 가로등에는 일명 고소 조명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소 조명은 전구의 제한된 수명에 의하여 주기적 또는 고장에 의하여 수시로 전구를 교환함께 아울러 호텔로비 등에 설치되는 고소조명은 주기적으로 청소작업도 해 주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고소조명은 전구가 높은 곳에 배치되어 있는 그 설치 특징상 전구의 청소 및 교환을 위해서는 고소 작업용 크레인이나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작업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지상에서의 작업보다 불편하며, 더욱이 작업자의 감 전 및 추락 등의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고, 또한 부대장비 사용에 따른 정비비가 증가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제반 되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승하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조명이 제시되었는데, 이러한 고소 조명은 기본적으로 천정부위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접점되고 하측에는 램프가 고정되는 전등기구가 구비된 승하강체와, 상기 승하강체의 상측부에 일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은 본체부의 일정부분에 부설된 드럼상에 고정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드럼상에서 권취하여 승하강체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소 조명은 지상에 구비된 유선버튼이나 무선 리모콘 등을 사용하여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고, 이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은 드럼이 와이어를 풀어줌으로서 승하강체가 지상으로 하강되어 전구의 교환작업이나 내부 청소 및 수리작업등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고소 조명등은 승하강체를 상승 시킬 경우 승하강체가 본체에 결합되기 전에 미리 스토퍼를 열릴수 있도록 한 별도의 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 승하강체는 본체와 밀착될 때 스토퍼가 열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승하강체 상승시 상기한 승하강체와 스토퍼가 충돌되면서 제품이 파손될 위험이 항상 내포되고 있을 뿐 아니라 이에따라 승하강체와 본체의 결합이 안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승하강장치를 장기간 사용시 승하강체가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와 이어의 꼬임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꼬임 현상에 의해 승하강체가 본체와 용이하게 결합되지 않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하강체 상승도중 와이어의 꼬임현상을 해소함은 물론 승하강체가 본체와 결합되기 전에 미리 스토퍼가 열리게 하여 본체와 스토퍼와 충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원활하게 승하강체가 본체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의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스토퍼 미리 열림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승하강체 하강단계에서 작동하는 최종출력측의 회전값을 마이컴이 저장 연산하고 승하강체 상승단계에서 승하강체가 상승 할 때 마이컴이 연산하여 저장하고 있던 회전값을 바탕으로 최종출력측의 회전수를 센서로 체크하여 마이컴에 입력되게 하고 센서에 체크된 회전수가 마이컴에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은 하강시 저장하였던 회전값이 미리 설정된 회전값의 위치에 도달하면 승하강체를 일시 정지시켜 와이어 꼬임상태를 체크함과 동시에 와이어가 꼬임 상태이면 꼬임이 풀어질 수 있는 시간을 수초간 부여하는 와이어 꼬임상태 체크 및 풀림 단계와;
상기 와이어 꼬임상태 체크 및 풀림 단계를 거친 승하강체에 상승신호가 입력되어 승하강체가 상승하면 이 승하강체가 본체와 결합되기 전에 회전 카운터 값에 의해 스토퍼에 전원이 인가되어 미리 스토퍼가 열리게 하는 스토퍼 미리 열림단 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 미리 열림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출력측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이를 체크하는 센서(100)와, 상기 센서(100)로부터 체크된 회전수를 입력받아 상승하는 승하강체(20)를 일시 정지시키고, 승하강체(20)와 본체(10)가 결합되기 전에 미리 스토퍼(46)가 열릴 수 있도록 이를 제어하는 마이컴(200)이 동원된다.
마이컴(200)에는 승하강체(20)가 상승할 때 일시 정지하여 와이어의 꼬임현상을 체크하고 와이어(50)의 꼬임 현상이 풀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값과, 상기한 승하강체(20)가 본체(10)에 결합되기 전에 미리 스토퍼(46)가 열릴수 있도록 하는 회전값이 셋팅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마이컴(200), 센서(100), 스토퍼(46)와의 전기적인 회로관계는 통상 사용되는 기술 내용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 한다.
여기서 최종출력측은 드럼(40), 구동모터(60)가 이에 해당되나 센서(100)가 회전수를 체크할 수 있다면 드럼(40), 구동모터(60)에 한정되지 않고 감속기등에 센서를 설치한 후, 상기한 센서(100)를 통하여 회전수가 체크되고, 체크된 회전수는 마이컴(200)에 전달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의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스토퍼 미리 열 림방법은 승하강체 하강단계에서 작동하는 최종출력측의 회전값을 마이컴(200)이 저장 연산하고 승하강체 상승단계에서 승하강체(20)가 상승할 때 마이컴(200)이 연산하여 저장하고 있던 회전값을 바탕으로 최종출력측의 회전수를 센서(100)로 체크하여 마이컴에 입력되게 하고 센서(100)에 체크된 회전수가 마이컴(200)에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200)은 하강시 저장하였던 회전값이 미리 설정된 회전값의 위치에 도달하면 승하강체(20)를 일시 정지시켜 와이어(50) 꼬임상태를 체크함과 동시에 와이어(50)가 꼬임 상태이면 꼬임이 풀어질 수 있는 시간을 수초간 부여하는 와이어 꼬임상태 체크 및 풀림 단계와, 상기 와이어 꼬임상태 체크 및 풀림 단계를 거친 승하강체(20)에 상승신호가 입력되어 승하강체(20)가 상승하면 이 승하강체(20)가 본체(10)와 결합되기 전에 회전 카운터 값에 의해 스토퍼(46)에 전원이 인가되어 미리 스토퍼(46)가 열리게 하는 스토퍼 미리 열림단계가 포함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의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스토퍼 미리 열림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소 조명등의 승하강체 자동 승하강방법이 부가적으로 구현된다.
고소 조명등의 승하강체 자동 승하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등에 상측이 고정되는 본체(10)가 있으며, 본체(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접점되고 하부에는 램프(22)가 고정되는 승하강체(20)가 있으며, 승하강체(20)의 상측부에 일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은 본체(10)의 일정부위에 부설된 드럼(40)상에 고정된 와이어(50)가 있다.
그리고, 본체(10)에는 와이어(50)를 드럼(40)상에서 권취시켜 승하강체(20) 가 승하강 될 수 있도록 드럼(4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60)가 구비되어있으며 본체(10)의 내부 하측으로는 하부면에 상측단자(72)가 구비되어 있고, 이와 접촉되도록 승하강체(20)의 상부측에는 하측단자(8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에는 감속 완충부(30)가 구비되어 있는데, 감속 완충부(30)의 기능은 상승하는 승하강체(20)의 상승속도를 감속시켜 본체(10)에 근접시킴에 따라 본체(1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승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 완충부(30)의 구성을 보면, 승하강 하는 승하강체(20)의 배면에 일단이 접촉되는 터치봉(32)이 있다.
이 터치봉(32)의 타단에는 승하강체(20)의 승강 및 하강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터치봉(32)에 삽입되어 이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바(3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바(34)의 외주에는 승하강 하는 터치봉(32)을 탄성지지하도록 스프링(36)이 구비되는데, 이 스프링(36)에 의해서 터치봉(32)은 승하강체(20)가 본체(10)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승하강체(20)의 압박에 의해 수축된 상태가 되며, 승하강체(20)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승하강체(20)에 의해 터치되는 터치봉(32)의 타단에는 승하강체(20)가 상승할 경우 승하강체(20)의 상승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 형태의 슬로우 스위치(4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슬로우 스위치(42)는 승하강체(20)가 상승할 경우, 승하강체(20)가 터치봉(32)을 터치함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 슬로우 스위치(42)의 작동으로 구동모터(60)는 회전속도가 감속되어 승하강체(20)의 상승속도가 감속되게 되는 것이 다.
이렇게, 슬로우 스위치(42)는 상승하는 승하강체(20)가 본체(10)에 근접하였을 경우 작동하게 되어 승하강체(20)가 본체(10)에 결합될 경우 속도를 감속시켜 본체(10) 및 승하강체(2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슬로우 스위치(42)의 작동에 의해 구동모터(60)는 감속에 의한 회전을 하여 승하강체(20)의 상승속도를 감속시키데, 감속을 시키는 하나의 방법으로는 구동모터(60)의 ON/OFF를 짧은 주기로 작동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구동모터(60)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방법이 될 수가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본체로 승하강체(20)가 접근할 경우 구동모터(60)를 정지시키기 위한 상승정지 스위치(44)가 구비되며, 본체(10)에 승하강체(20)가 밀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스토퍼(46)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고소 조명등의 자동 승하강 방법과 스토퍼 미리 열림방법을 승하강체(20)의 하강과 상승의 경우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승하강체(20)를 하강시키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리모콘(92)을 눌러 도3의 하강신호인가단계(110)에 따른 하강신호를 구동모터(60)로 보낸다.
이렇게 보내진 하강신호에 의해 구동모터(60)가 작동하여 승하강체(20)는 도4와 같이 스토퍼(46)에서 일정한 높이로 상승되는 소정폭 상승단계(120)가 실시된다.
승하강체(20)가 상승한 상태에서 본체(10)에 구비된 상승정지스위치가 ON 상 태가 되고, 이때, 스토퍼(46)는 도5에 도시된 것처럼 좌우로 벌어지는 스토퍼 이탈단계(130)가 진행된다.
그리고, 스토퍼(46)가 승하강체(20)로부터 이탈하며, 승하강체(20)는 하강하여 승하강체 하강단계(140)가 진행되어 하강하게 된다.
이후, 하강하는 승하강체(20)는 슬로우 스위치(42)에 접촉되는데,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슬로우 스위치(42)가 OFF 상태가 되면 승하강체(20)는 지면에 대해 일정높이로 위치하도록 승하강체 하강완료 단계(160)로 진행된다.
만약, 승하강체(20)에 의해서 슬로우 스위치(42)가 OFF 상태가 인식되지 않으면, 하강신호가 제대로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하강 신호인가단계(110)로 되돌아가 반복 수행을 하게된다. 이때 센서(100)는 최종출력측인 드럼(40) 또는 구동모터(60)의 회전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수는 마이컴(200)에 저장 연산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승하강체(20)가 상승할 경우에는, 도6의 상승신호에 의한 상승신호 인가단계(210)가 진행되어 승하강체(20)가 상승하는 승하강체 상승단계(220)가 진행되는데, 이때 상승신호가 인가되면 최종출력측 즉, 드럼(40)의 회전수를 센서(100)가 체크하고, 센서(100)에 체크된 회전수는 실시간으로 마이컴(200)에 저장 연산된다.
승하강체(20) 상승도중 마이컴(200)에 전달된 회전수가 설정된 회전값에 도달하면 상기한 마이컴(200)은 와이어 꼬임상태 체크 및 풀림 단계로 진행된다. 즉, 마이컴(200)은 하강시 저장하였던 회전값이 미리 설정된 회전값의 위치에 도달하면 승하강체(20)를 일시 정지시켜 와이어(50) 꼬임상태를 체크함과 동시에 와이어(50)가 꼬임 상태이면 꼬임이 풀어질 수 있는 시간을 수초간 부여하여 와이어(50)의 꼬임이 풀리게 한다.
이후, 와이어 꼬임상태 체크 및 풀림단계를 거친 승하강체(20)에 상승신호가 입력되어 상승하면, 상기한 승하강체(20)가 본체(10)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거의 상승되었다는 것을 판단하고 스토퍼(46)에 전원을 인가하여 미리 열리게 함으로써 스토퍼 미리 열림 단계를 완료한다. 이때의 스토퍼(46)는 승하강체(20)가 터치봉(32)을 터치하기 전에 미리 열린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 미리 열린 단계가 완료되면 승하강체(2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본체(10)에 접근(상승)하여 슬로우 스위치(42)를 컨택하여 슬로우 스위치 컨택단계(230)로 진행된다.
이후, 슬로우 스위치(40)가 ON 의 상태에서 감속이 이루어져 승하강체(20)가 본체(10)에 밀착되면, 승하강체(20)에 의해 상승정지 스위치 컨택단계(240)로 진행된다.
상승정지 스위치 컨택단계(240)에 의해 상승정지 스위치(44)가 OFF가 된 상태에서 승하강체(20)는 서서히 본체(10)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승정지 스위치(44)가 컨택된 후 본체(10)에 승하강체(20)가 밀착된 상태에서 스토퍼(46)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승하강체(20)를 밀착지지하여 도 9와 같은 상태의 스토퍼 밀착단계(250)가 진행된다.
이후, 승하강체(20)는 소정폭 하강단계(260)에 의해 도 10과 같이 스토퍼 (46)와 밀착되기 때문에 승하강체와 본체와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최종출력측(구동모터, 감속기, 드럼 등)의 회전수를 체크하고, 체크된 회전수는 마이컴에 저장 연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승하강체 상승도중 상기한 마이컴을 통하여 승하강체가 일시 정지되기 때문에 와이어의 꼬임현상을 체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에 따라 와이어의 꼬임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승하강체가 본체와 결합되기 전에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미리 스토퍼가 열리기 때문에 본체와 스토퍼와 충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원활하게 승하강체가 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하강 신호가 인가되면 구동모터가 작동하여 승하강체를 고소 조명등의 본체에서 소정 높이로 상승시키는 소정폭 상승단계; 상기 승하강체에 걸려 있는 스토퍼를 상기 승하강체에서 이탈시키는 스토퍼 이탈단계;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승하강체에서 이탈하면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승하강체를 지면에 대해 일정 높이로 하강시키는 승하강체 하강단계; 하강된 상기 승하강체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가 상승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승하강체를 상기 본체로 상승시키는 승하강체 상승단계; 상기 승하강체가 상기 본체로 진입할 때 상기 본체에 설치된 슬로우 스위치를 컨택하여 슬로우 상승하는 슬로우 상승단계; 상기 승하강체가 상기 본체 내부에 진입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상승정지 스위치를 컨택하는 상승정지 스위치 컨택단계; 상기 상승정지 스위치가 컨택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승하강체에 밀착 접근하여 상기 승하강체를 고정 지지하는 스토퍼 밀착단계를 차례로 거치면서 고소 조명 승하강체를 자동 승하강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체 하강단계에서 작동하는 최종출력측의 회전값을 마이컴이 저장 연산하고 승하강체 상승단계에서 승하강체가 상승 할 때 마이컴이 연산하여 저장하고 있던 회전값을 바탕으로 최종출력측의 회전수를 센서로 체크하여 마이컴에 입력되게 하고 센서에 체크된 회전수가 마이컴에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은 하강시 저장하였던 회전값이 미리 설정된 회전값의 위치에 도달하면 승하강체를 일시 정지시켜 와이어 꼬임상태를 체크함과 동시에 와이어가 꼬임 상태이면 꼬임이 풀어질 수 있는 시간을 수초간 부여하는 와이어 꼬임상태 체크 및 풀림 단계와;
    상기 와이어 꼬임상태 체크 및 풀림 단계를 거친 승하강체에 상승신호가 입력되어 승하강체가 상승하면 이 승하강체가 본체와 결합되기 전에 회전 카운터 값에 의해 스토퍼에 전원이 인가되어 미리 스토퍼가 열리게 하는 스토퍼 미리 열림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의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스토퍼 미리 열림방법.
KR1020050121205A 2005-12-10 2005-12-10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의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스토퍼미리 열림방법 KR100726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205A KR100726578B1 (ko) 2005-12-10 2005-12-10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의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스토퍼미리 열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205A KR100726578B1 (ko) 2005-12-10 2005-12-10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의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스토퍼미리 열림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6578B1 true KR100726578B1 (ko) 2007-06-11

Family

ID=38358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205A KR100726578B1 (ko) 2005-12-10 2005-12-10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의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스토퍼미리 열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5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314A1 (ko) * 2017-10-27 2019-05-02 주식회사 릴테크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378A (ko) * 2003-06-10 2004-07-07 신정훈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
KR20050027868A (ko) * 2003-09-16 2005-03-21 신정훈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에서의 승하강체 자동 승하강 방법
KR20050103153A (ko) * 2005-04-22 2005-10-27 신정훈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378A (ko) * 2003-06-10 2004-07-07 신정훈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
KR20050027868A (ko) * 2003-09-16 2005-03-21 신정훈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에서의 승하강체 자동 승하강 방법
KR20050103153A (ko) * 2005-04-22 2005-10-27 신정훈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314A1 (ko) * 2017-10-27 2019-05-02 주식회사 릴테크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US11261065B2 (en) 2017-10-27 2022-03-01 Reel Tech Co., Ltd. Lifting apparatus for highly-mounte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762B1 (ko) 무대장비 승강기용 안전장치
KR101658334B1 (ko) 등기구용 승강장치
KR20190047587A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26578B1 (ko)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의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스토퍼미리 열림방법
KR102064170B1 (ko) 인체 감지형 리프팅 구조를 가진 조명기구
KR101789647B1 (ko) 승강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KR101279263B1 (ko) 화재경보장치
KR100537289B1 (ko)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에서의 승하강체 자동 승하강 방법
JP2015231890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280972B1 (ko)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859944B1 (ko) 회전 카운터 값을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그릴 결합방법
KR100642493B1 (ko)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200335498Y1 (ko)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에서의 승하강체 완충장치
KR100516416B1 (ko) 행거용 조명기
JPH0710479A (ja) 昇降装置
CN209758845U (zh) 一种起重配件及塔式起重机
CN213895016U (zh) 一种具有升降制止功能的升降装置
KR101414451B1 (ko) 무대설비의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튼 승강 시스템
JP3231939B2 (ja) ワインダのワイヤ抜け止め装置
CN209009898U (zh) 一种摆杆式电梯下行机械阻止装置
KR20070113554A (ko)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에서의 비접촉식 드럼 회전수감지장치
KR200309704Y1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구동모터 정지장치
JP2014223975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保守用停止スイッチ装置
KR200323691Y1 (ko) 행거용 조명기
JP2024047601A (ja) ピット内安全ポータブル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