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466B1 - 내압기밀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내압기밀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466B1
KR100726466B1 KR1020050128026A KR20050128026A KR100726466B1 KR 100726466 B1 KR100726466 B1 KR 100726466B1 KR 1020050128026 A KR1020050128026 A KR 1020050128026A KR 20050128026 A KR20050128026 A KR 20050128026A KR 100726466 B1 KR100726466 B1 KR 100726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casing
pressure
caging
tes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환
김진한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8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3/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G01B13/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01N2001/242Injectors or ej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3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 케이징의 내압기밀을 시험하는 내압기밀시험장치에 있어서, 시험 대상인 케이징의 일측과 맞닿도록 형성되며 케이징측으로 일정공간을 이루며 케이징의 일측을 밀봉하도록 구비되는 제 1치구와; 시험 대상인 케이징의 타측과 맞닿도록 형성되며 케이징측으로 일정공간을 이루며 케이징의 타측을 밀봉하도록 구비되는 제 2치구와; 제 1치구의 소정부위에 형성되어 케이징 내로 물이나 공기를 투입하는 투입관; 및 제 2치구의 소정부위에 형성되어 케이징내의 물이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기밀시험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내압기밀시험장치에 의하면, 케이징을 플랜지로 직접 부착하여 밀봉하는 대신 치구를 사용하여 케이징을 밀봉함으로써, 내부 압력에 의해 펌프 축 방향의 불필요한 힘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실제 펌프와 같이 반경 방향 팽창력을 주고 받도록 한다. 또한, 고정지지체를 구비함으로써, 치구가 축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운전 조건에서의 압력 조건 그대로를 케이징에 가하여도 케이징 내부에서는 실제 운전 조건과 유사한 응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내압기밀시험장치는 내압기밀시험장치의 가압 조건을 복잡한 계산에 의하여 구하여야 하는 종래의 내압기밀시험장치에 비해 매우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압기밀시험장치는 케이징의 무게나 크기등의 환경이 바뀔 때마다 그 가압 조건을 복잡한 계산을 하지 않고도 실제 운전 조건과 같은 가압 조건으로 케이징을 시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압력, 시험

Description

내압기밀시험장치{Equipment for strength and leak proof tes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내압기밀시험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압기밀시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징 20 : 제 1치구
30 : 제 2치구 40 : 고정지지체
50 : 투입관 60 : 배출관
70 : 어댑터
본 발명은 내압기밀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 케이징의 변형 및 파손 여부를 검사하는 내압기밀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부의 유체를 고압으로 가압하기 위한 케이징은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케이징 제작 후 케이징 내부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케이징의 구조강도와 연결부의 누출 여부를 검증하는 장치가 내압기밀시험장치이다. 수압 테스트와 공압 테스트로 케이징의 구조 강도와 케이징 사이의 연 결부 누출 여부가 검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내압기밀시험장치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내압기밀시험장치는 시험할 케이징(1)의 개방된 부분을 판형상의 플랜지(2)로 밀봉한다. 또한, 물이나 공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관(3)과 상기 투입관(3)으로 투입된 물이나 공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4)이 구비된다. 이러한 내압기밀시험장치는 상기 케이징(1)에 가압하였을 때 상기 판형상의 플랜지(2)가 내부압에 의해 바깥쪽으로 팽창하려는 힘을 받게 되며 이 힘이 케이징(1)에 영향을 주어 실제 운전 환경보다 가혹한 조건이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내압기밀시험장치는 실제 운전시에 발생하는 내부압보다 작은 압력을 케이징(1)에 가하여 시험하여야 한다. 이러한 가압 조건은 형상의 변화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복잡한 계산을 통하여 구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실제 운전시의 가압 조건을 그대로 적용하여 실제 운전 조건과 유사한 응력이 그 내부에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내압기밀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압기밀시험장치는 펌프 케이징의 내압기밀을 시험하는 내압기밀시험장치에 있어서, 시험 대상인 상기 케이징의 일측과 맞닿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징측으로 일정공간을 이루며 상기 케이징의 일측을 밀봉하도록 구비되는 제 1치구와; 시험 대상인 상기 케이징의 타측과 맞닿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징측으로 일정공간을 이루며 상기 케이징의 타측을 밀봉하도록 구비되는 제 2치구와; 상기 제 1치구의 소정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징 내로 물이나 공기를 투입하는 투입관; 및 상기 제 2치구의 소정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징내의 물이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징과 상기 제 1치구, 2치구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일단은 케이징을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제 1치구 또는 제 2치구를 지지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일단은 상기 제 1치구와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치구와 고정되는 고정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체는 상기 제 1치구, 제 2치구의 원주 둘레 방향으로 여러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고정지지체는 상기 제 1치구 또는 제 2치구와 나사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압기밀시험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 내압기밀시험장치는 제 1치구(20), 제 2치구(30), 고정지지체(40), 투입관(50), 배출관(60) 및 어댑터(7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치구(20)와 상기 제 2치구(30)는 시험 대상인 케이징(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맞닿도록 형성되며 일정공간을 이루며 상기 케이징(10)을 밀봉하도록 구비된다. 도 2에 나타낸 상기 제 1치구(20)와 상기 제 2치구(30)의 형태는 일시적인 예로 다양한 형태로 변동이 가능하다. 종래 케이징의 좌우측에 판형태의 플랜지를 직접 부착하여 상기 케이징을 밀봉하는 대신 내부에 상기 케이징(10)측으로 일정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상기 제 1치구(20)와 제 2치구(30)를 부착하여 상기 케이징(10)을 밀봉한다. 상기 제 1치구(20)와 상기 제 2치구(30)는 내부에 상기 케이징(10)측으로 일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징(10)을 밀봉하여 내부 압력에 의해 케이징(10) 축 방향의 불필요한 힘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실제 펌프와 같이 케이징(10)이 반경 방향 팽창력을 주로 받게 한다.
상기 고정지지체(40)의 일단은 상기 제 1치구(20)에 의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제 2치구(30)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지지체(40)는 상기 제 1치구(20)와 상기 제 2치구(30)의 원주 둘레 방향으로 여러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징(10)이 압력을 받을 때 상기 제 1치구(20)와 상기 제 2치구(30)는 내부압에 의해 바깥쪽으로 팽창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내부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제 1치구(20)와 상기 제 2치구(30)가 바깥쪽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고정 지지체(40)를 제 1치구(20)와 제 2치구(30)에 고정하여 제 1치구(20)와 제 2치구(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고정지지체(40)는 상기 제 1치구(20), 제 2치구(30)와 나사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관(50)과 배출관(60)은 상기 제 1치구(20)와 제 2치구(30)의 소정 부위에 형성되며 가압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물이나 공기가 상기 케이징(10) 내부로 투입되거나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어댑터(70)는 상기 케이징(10)과 상기 제 1치구(20), 제 2치구(30)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어댑터(70)의 일단은 케이징(10)을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제 1치구(20) 또는 제 2치구(30)를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70)는 상기 케이징(10)과 상기 제 1치구(20) 또는 상기 제 2치구(30)를 연결할 때 그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압기밀시험장치에 의하면, 케이징을 플랜지로 직접 부착하여 밀봉하는 대신 치구를 사용하여 상기 케이징을 밀봉함으로써, 내부 압력에 의해 펌프 축 방향의 불필요한 힘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실제 펌프와 같이 반경 방향 팽창력을 주고 받도록 한다. 또한, 고정지지체를 구비함으로써, 치구가 축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운전 조건에서의 압력 조건 그대로를 상기 케이징에 가하여도 상기 케이징 내부에서는 실제 운전 조건과 유사한 응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내압기밀시험장치는 내압기밀시험장치의 가압 조건을 복잡한 계산에 의하여 구하여야 하는 종래의 내압기밀시험장치에 비해 매우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압기밀시험장치는 케이징의 무게나 크기등의 환경이 바뀔 때마다 그 가압 조건을 복잡한 계산을 하지 않고도 실제 운전 조건과 같은 가압 조건으로 케이징을 시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펌프 케이징의 내압기밀을 시험하는 내압기밀시험장치에 있어서,
    시험 대상인 상기 케이징의 일측과 맞닿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징측으로 일정공간을 이루며 상기 케이징의 일측을 밀봉하도록 구비되는 제 1치구와;
    시험 대상인 상기 케이징의 타측과 맞닿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징측으로 일정공간을 이루며 상기 케이징의 타측을 밀봉하도록 구비되는 제 2치구와;
    상기 제 1치구의 소정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징 내로 물이나 공기를 투입하는 투입관; 및
    상기 제 2치구의 소정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징내의 물이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기밀시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징과 상기 제 1치구, 2치구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일단은 케이징을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제 1치구 또는 제 2치구를 지지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기밀시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 1치구와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치구와 고정되는 고정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기밀시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체는 상기 제 1치구, 제 2치구의 원주 둘레 방향으로 여러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기밀시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체는 상기 제 1치구 또는 제 2치구와 나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기밀시험장치.
KR1020050128026A 2005-12-22 2005-12-22 내압기밀시험장치 KR100726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026A KR100726466B1 (ko) 2005-12-22 2005-12-22 내압기밀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026A KR100726466B1 (ko) 2005-12-22 2005-12-22 내압기밀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6466B1 true KR100726466B1 (ko) 2007-06-11

Family

ID=3835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026A KR100726466B1 (ko) 2005-12-22 2005-12-22 내압기밀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4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4325A (ja) 1981-09-10 1983-03-15 Dainippon Printing Co Ltd 容器の漏れ検査装置
JPS60253831A (ja) 1984-05-30 1985-12-14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避雷器の気密試験方法
JPH07239284A (ja) * 1994-02-28 1995-09-12 Nok Corp リーク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4325A (ja) 1981-09-10 1983-03-15 Dainippon Printing Co Ltd 容器の漏れ検査装置
JPS60253831A (ja) 1984-05-30 1985-12-14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避雷器の気密試験方法
JPH07239284A (ja) * 1994-02-28 1995-09-12 Nok Corp リーク検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8779C1 (ru) Улучшенные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ытания на герметичность трубного лейнера
US8353217B2 (en) Test machine to apply a uniform internal pressure to a tube
US4574618A (en) Leak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726466B1 (ko) 내압기밀시험장치
CN104122042A (zh) 一种大直径焊接结构金属管道的耐压测试方法
CN208155536U (zh) 一种导管气密试验装置
US5767391A (en) Leakage detect tool for vacuum bellows
KR101733626B1 (ko) 고압 터빈의 수압시험장치 및 수압시험방법
CN115325316A (zh) 基于温度应变量补偿的内衬修复管道加速老化系统及方法
CN107941425A (zh) 一种应用于中小口径阀门的打压试验装置及使用方法
US6125693A (en) Test fixture for simultaneous evaluation of steam pipe hydrosealing methods
US10883358B2 (en) Insertion tool for inspection of vessel
CN106768722A (zh) 一种适用于中高压燃气管的封堵试压装置及封堵试压方法
KR101682947B1 (ko) 고압 터빈의 수압시험장치 및 수압시험방법
US7240538B1 (en) Hydro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ammunition
CN111120878A (zh) 一种管道气密性检测装置
KR102655356B1 (ko) 수소 금속배관의 가속수명 시험기
CN211740491U (zh) 一种管道类设备打压装置
CN219714676U (zh) 一种新型打压查漏装置
US9255573B2 (en) Testing apparatus for an outer housing of a pump and method for the testing of an outer housing of a pump
RU181104U1 (ru) Вакуумный ввод для испытаний на герметичность конструкции
RU2811635C1 (ru) Способ испытания изделий, работающих под избыточным давлением
CN218726149U (zh) 一种岩石多场时效变形平行控制实验装置
CN208588513U (zh) 一种管子管板胀接接头密封性单孔检查装置
CN102975329B (zh) 屏蔽筒生产检验用工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