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810B1 - 덕트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덕트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5810B1 KR100725810B1 KR1020050120020A KR20050120020A KR100725810B1 KR 100725810 B1 KR100725810 B1 KR 100725810B1 KR 1020050120020 A KR1020050120020 A KR 1020050120020A KR 20050120020 A KR20050120020 A KR 20050120020A KR 100725810 B1 KR100725810 B1 KR 1007258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 pan
- casing
- air conditioner
- height adjustment
- heat exchang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40—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내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의 높낮이조절을 통하여 드레인팬의 경사형성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드레인팬에 집수된 응축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과, 상기 드레인팬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드레인팬 승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를 마련하고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측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에서 드레인팬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드레인팬의 측면 높낮이를 조절한 것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2: 드레인팬 40: 드레인팬 승강기구
41: 높이조절기구 42: 높이조절안내기구
43: 조작부
본 발명은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내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에서의 응축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되도록 드레인팬의 경사를 형성하고 경사각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케이싱 전체를 기울일 필요없이 드레인팬의 상하 위치 조절을 통해 그러한 경사를 형성 및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여부에 따라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있으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형상과 위치에 따라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천장매립형 공기조화기, 덕트형 공기조화기등으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은 그 중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가 천장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는 케이싱을 볼 수 없으며, 다만 실내의 천장에 연결된 배출구및 흡입구와 연결된 덕트와 결합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한뒤에 배출하게 된다.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보면 그 외관을 형성하는 사각통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면서 실내 열교환기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드레인팬을 구비하고 있었으며, 실내 열교환기의 전면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뒤 다시 실내로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팬이 설치되어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드레인팬이 케이싱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실내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한뒤에 응축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케이싱 자체를 배출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기울여서 설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위와 같이 드레인팬에 경사를 주도록 케이싱 자체를 기울이는 경우에 배수를 용이하게 할 수는 있으나, 제품자체가 일정각도 기울어져서 설치되기 때문에 송풍팬의 균형이 흐트러져서 진동이 발생하여 소음을 야기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응축수의 배수를 위하여 케이싱 자체를 기울일 필요없이 드레인팬의 상하 위치조절만으로 드레인팬의 경사를 형성하도록 하여 실내기 설치시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덕트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실내기 설치시 평행상태가 유지되게 함으로써 송풍팬의 균형을 도모토록 함으로써 종래의 방식으로 설치되던 실내기에서 발생하는 송풍팬의 진동소음을 제거할 수 있는 덕트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과, 상기 드레인팬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여 상기 드레인팬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드레인팬 승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팬 승강기구는 상기 드레인팬의 바닥면의 양측단에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팬의 양측단의 위치를 독립적으로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팬 승강기구는 상기 드레인팬의 바닥면의 하면과 접하고 상기 케이싱의 하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드레인팬을 상하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높이 조절기구와,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구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높이조절기구를 상기 케이싱과 연결시키는 높이조절 안내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기구는 스크류 형상으로 구성되어 일단부는 상기 드레인팬의 바닥면의 하면과 접촉하고 타단부는 상기 높이조절기구의 회전을 통한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일단부보다 직경이 큰 조작부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안내기구는 상기 높이조절기구가 나사결합이 되도록 그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에는 상기 드레인팬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드레인팬의 바닥면 하면이 접촉하도록 드레인팬 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측벽에는 상기 드레인 팬이 앞뒤로 움직이지 않도록 소정길이만큼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드레인팬의 전면과 접촉하는 드레인팬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3)과, 상기 케이싱(3)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6)와, 상기 케이싱(3)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6)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실내공기와 열교환 하는 실내열교환기(9)와, 상기 실내열교환기(9)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9)가 실내공기와 열교환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1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3) 내부의 상기 드레인팬(12)의 전방에는 실내공기를 흡 입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송풍팬(15)이 위치하는데, 상기 송풍팬(15)은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안내하며 상기 송풍팬(15)을 보호하는 팬 케이싱(18)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팬 케이싱(18)에는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2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3)내부에서 상기 열교환기(9)가 설치되는 부분에는 상기 열교환기(9)의 양측면을 잡아주도록 하는 열교환기 지지부재(27)가 배치되는데,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재(27)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기(9)의 하부는 상기 드레인팬(12)의 바닥면(13)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팬(12)은 상기 열교환기(9)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상기 케이싱(3)의 하면(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드레인팬(12)이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 하면(4)에는 드레인팬 받침대(30)가 배치된다.
이때, 드레인팬(12)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게 바람직하며, 상기 드레인팬 받침대(30)는 상기 드레인팬(12)의 네 귀퉁이를 받칠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팬(12)의 바닥면(13)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팬(12)이 상기 팬케이싱(18)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3)의 내부 측벽에는 상기 드레인팬(12)의 일면과 접촉하여 이를 고정하는 드레인팬 지지부재(33)가 상기 케이싱(3)의 내부측벽으로부터 내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 하면(4) 중 상기 드레인팬 받침대(30)가 설치된 곳의 사이에는 상기 드레인팬(12)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여 상기 드레인팬(12)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드레인팬 승강기구(40)가 설치되는데, 상기 드레인팬 승강기구(40)는 상기 드레인팬(12)의 바닥면(13)의 양 단부를 승강시켜서 상기 드레인팬(12)이 경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2)의 양 측면에는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관 모양으로 형성된 배출관(14)이 배치되며, 상기 배출관(14)이 외부로 돌출되어 배수호스(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3)의 양 측면에는 배수공(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공(5)은 상기 드레인팬(12)이 상하로 움직일때 상기 배수관(14)도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감안하여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9)는 상기 열교환기지지부재(27)에 의하여 지지되어 고정되며, 상기 열교환기(9)하부에는 상기 드레인팬(12)이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열교환기(9)의 하부는 상기 드레인팬 바닥면(13)과 접촉하지 아니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바, 이는 상기 드레인팬 승강기구(40)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드레인팬(12)이 상하로 움직이는 경우 그러한 동작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응축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상기 드레인팬(12)의 일단을 어느정도 상승시키다고 하더라도 상기 실내열교환기(9)의 하부에 의하여 그 움직임이 제한받지는 아니하며, 상기 드레인팬(12)이 평행상태에서 작은경사각만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집수된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팬(12)의 측단 중 낮은 부분으로 흘러가서 상기 배수관(14)을 통하여 배수되므로, 상기 드레인팬(12)의 바닥면(13)과 상기 실 내열교환기(9) 사이의 간격이 넓게 형성될 필요까지는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그 간격이 상기 배수관(14)의 지름에 해당하는 간격 정도만 확보되면 된다.
상기 드레인팬 승강기구(40)는 상기 드레인팬(12)과 접촉하여 승강시키켜서 그 위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기구(41)와, 상기 케이싱(3)의 바닥면(4)에 용접등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높이 조절기구(41)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높이 조절기구(41)를 상기 케이싱(3)의 바닥면(4)을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3)과 연결시키는 높이조절안내기구(42)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기구(41)는 그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일단부는 상기 드레인팬의 바닥면(13)의 하면과 접촉하며 그 타단부에는 상기 높이조절기구(41)의 회전을 통한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그 일단부보다 직경이 큰 조작부(4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안내기구(42)는 상기 높이 조절기구(41)가 나사결합이 되도록 그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구조로 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높이조절기구(41)가 상기 높이 조절안내기구(42)에 나사결합이 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높이조절기구(41)를 회전시키면 상기 높이조절안내기구(42)의 안내를 받아서 상하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높이조절기구(41)가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높이조절기구(41)의 일단부에 접촉하고 있는 상기 드레인팬(12)의 일측단 또한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2와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호스(100)가 왼편에 위치하여 있는 경우에는 상기 드레인팬(12)의 오른편 측단을 들어올려서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9)로부터 흘러나오는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팬(12)의 왼편에 위치하는 배수관(14)로 흘러가게 해야한다.
따라서, 실내기를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은 천장에 평행상태로 설치한 뒤에, 상기 드레인팬(12)의 오른편 측단이 들어올려지도록 오른편에 위치한 상기 높이 조절기구(41)를 회전시켜서 상승시킴으로써 최초에 평행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상기 드레인팬(12)을 경사지게 한다.
이때, 상기 드레인팬(12)은 상기 드레인팬 지지부재(33)에 의하여 지지되고 그 하부는 상기 드레인팬 받침대(3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므로, 이와같이 그 위치가 경사지게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그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다.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기(9)의 하부와 상기 드레인팬(12)의 바닥면(13)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 즉, 상기 배수관(14)의 지름정도의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팬(12)의 상하 이동공간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드레인팬(12)의 일측단이 상승하여 경사가 형성되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3)이 계속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케이싱(3)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팬케이싱(18)과, 상기 팬케이싱(18)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15)이 균형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덕트형 공기조화기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응축 수의 배수를 위하여 케이싱 자체를 기울일 필요없이 응축수가 배수되어야 하는 방향에 따라서 드레인팬에 경사가 형성되도록 양 측단중 어느 측단에서나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기 설치시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기 설치시 평행상태가 유지되게 하여 송풍팬의 균형을 도모토록 함으로써 케이싱의 불균형 설치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 즉, 팬케이스 내부에서 송풍팬과 팬케이스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 여지를 제거할 수 있다는 점도 그 효과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과, 상기 드레인팬의 바닥면의 양측단에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팬의 양측단의 위치를 독립적으로 상하로 조절하여 상기 드레인팬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는 드레인팬 승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드레인팬 승강기구는 상기 드레인팬의 바닥면의 하면과 접하고 상기 케이싱의 하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드레인팬을 상하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높이 조절기구와,상기 케이싱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구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높이조절기구를 상기 케이싱과 연결시키는 높이조절안내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높이조절기구는 스크류 형상으로 구성되어 일단부는 상기 드레인팬의 바닥면의 하면과 접촉하고 타단부는 상기 높이조절기구의 회전을 통한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일단부보다 직경이 큰 조작부가 형성되며,상기 높이조절안내기구는 상기 높이조절기구가 나사결합이 되도록 그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싱의 바닥면에는 상기 드레인팬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드레인팬의 바닥면 하면이 접촉하도록 드레인팬 받침대가 설치되고,상기 케이싱의 내측벽에는 상기 드레인 팬이 앞뒤로 움직이지 않도록 소정길이만큼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드레인팬의 전면과 접촉하는 드레인팬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0020A KR100725810B1 (ko) | 2005-12-08 | 2005-12-08 | 덕트형 공기조화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0020A KR100725810B1 (ko) | 2005-12-08 | 2005-12-08 | 덕트형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25810B1 true KR100725810B1 (ko) | 2007-06-08 |
Family
ID=3835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0020A KR100725810B1 (ko) | 2005-12-08 | 2005-12-08 | 덕트형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581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66521A (zh) * | 2015-09-01 | 2015-11-18 | 广东芬尼克兹节能设备有限公司 | 换热装置及设有该装置的热泵机组 |
CN109357390A (zh) * | 2018-10-29 | 2019-02-1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接水盘排水系统、冷风机及空调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8276U (ko) * | 1994-11-11 | 1996-06-19 | 실내기의 드레인팬 높이조절장치 | |
KR960017893U (ko) * | 1994-11-11 | 1996-06-19 | 과급기부착 엔진의 콘트롤 밸브 | |
KR19990035958U (ko) * | 1998-02-11 | 1999-09-15 | 구자홍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고정구조 |
KR20000028202A (ko) * | 1998-10-30 | 2000-05-25 | 구자홍 | 에어컨의 실내기 설치장치 |
-
2005
- 2005-12-08 KR KR1020050120020A patent/KR10072581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8276U (ko) * | 1994-11-11 | 1996-06-19 | 실내기의 드레인팬 높이조절장치 | |
KR960017893U (ko) * | 1994-11-11 | 1996-06-19 | 과급기부착 엔진의 콘트롤 밸브 | |
KR19990035958U (ko) * | 1998-02-11 | 1999-09-15 | 구자홍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고정구조 |
KR20000028202A (ko) * | 1998-10-30 | 2000-05-25 | 구자홍 | 에어컨의 실내기 설치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66521A (zh) * | 2015-09-01 | 2015-11-18 | 广东芬尼克兹节能设备有限公司 | 换热装置及设有该装置的热泵机组 |
CN109357390A (zh) * | 2018-10-29 | 2019-02-1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接水盘排水系统、冷风机及空调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20007808B1 (ko) | 클리인 루움(clean room) | |
KR20100051954A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KR20100007259A (ko) | 공기조화기 | |
JP2001208413A (ja) | 浴室暖房乾燥機 | |
KR102348040B1 (ko) |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 |
KR20090078477A (ko) |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 |
KR100725810B1 (ko) | 덕트형 공기조화기 | |
KR100748960B1 (ko) | 공기조화기 | |
KR20200111061A (ko) | 모듈공조기, 및 공조시스템 | |
KR100758958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393587B1 (ko) |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지지구조 | |
JP7248916B2 (ja) | ドレン水排水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 |
JP4852258B2 (ja) | 住宅換気構造 | |
JP4382904B2 (ja) |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装置 | |
US20190368770A1 (en) | Under Cabinet Ventilation System | |
JP3075017B2 (ja) |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 |
KR20050105646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CN216693739U (zh) | 室内机以及空调 | |
KR20050064963A (ko) |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 |
CN211575529U (zh) | 吊顶式热泵机组及热泵热水器 | |
KR102188360B1 (ko) | 위치 조정이 가능한 천장 매립형 냉난방기 세척장치 | |
US20240271799A1 (en) | Air conditioner | |
KR100575305B1 (ko) |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 |
KR20050103707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050054185A (ko) | 디퓨져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