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691B1 - 천연재료 성분을 함유한 샴푸 - Google Patents

천연재료 성분을 함유한 샴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691B1
KR100724691B1 KR1020050125288A KR20050125288A KR100724691B1 KR 100724691 B1 KR100724691 B1 KR 100724691B1 KR 1020050125288 A KR1020050125288 A KR 1020050125288A KR 20050125288 A KR20050125288 A KR 20050125288A KR 100724691 B1 KR100724691 B1 KR 100724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hair
shampoo
red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구
Original Assignee
이창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구 filed Critical 이창구
Priority to KR1020050125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작으면서도 모발이 청결하고, 영양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샴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홍삼 추출액 0.2 중량% 이상, 들깨 추출액 0.40 중량% 이상, 차가버섯 추출액 0.50 중량% 이상과 기타 첨가물이 함유된 샴푸가 개시된다.
홍삼, 차가버섯, 들깨, 양파

Description

천연재료 성분을 함유한 샴푸{shampoo including natural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지성모발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은 모발의 비듬제거효과를 설명하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두피의 각화제거효과를 설명하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발의 습윤효과를 설명하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천연재료 성분을 함유한 샴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홍삼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들깨 추출물을 비롯한 천연재료가 함유된 샴푸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의 완충작용과 자외선 차단, 한냉, 마찰 등 외부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며, 신체에 불필요한 비소, 수은, 아연등의 중금속을 흡수하여 체외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모발은 신체의 중요한 일부로 아름다움을 표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모발을 건강한 상태로 청결히 유지하고자 비듬제거, 가려움방지, 두피 및 모발의 보습효과, 지방질의 포낭방지 효과, 모발의 갈라짐, 결절 방지효 과, 엉킴 방지효과 등을 갖는 기능성 샴푸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샴푸들은 화학적인 요소가 다량 첨가되어 부작용을 유발하였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는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모발의 청결과 모발의 영양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성 샴푸들이 개발되고, 출시되었으나, 기대한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작으면서도 모발을 청결하게 하고, 영양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샴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홍삼 추출액 0.2∼2.0 중량%, 들깨 추출액 0.40 ∼4.0중량%, 차가버섯 추출액 0.5∼2.0 중량% 가 함유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홍삼 추출액 0.2∼2.0 중량%, 들깨 추출액 0.4 ∼4.0중량%, 차가버섯 추출액 0.5∼2.0 중량%, 생강추출액 0.1∼0.5중량%, 양파추출액0.2 ∼1.0중량%, 고추추출액 0.05∼0.10중량%가 함유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재료는 홍삼, 들깨, 차가버섯, 생강, 고추, 양파이며, 홍삼에는 사포닌 중 ginsenoside Rg3, ginsenoside Rg5, ginsenoside Rh2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의 약리 효과는 혈관확장작용, 혈류증대작용, 혈소판 응집억제작용을 한다.
또한, 들깨의 유지는 리놀레닉 엑시드(linolenic acid), 올레익엑시드(oleic acid), 팔미틱엑시드(palmitic acid)를 함유하며,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차가버섯은 다당류, 다당-펩티드, 뉴클레오시드, 테르펜계등의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생강의 뿌리에는 zingiberne, sesquiphellandrene, bisabolene, cadinene, ar-curcumene의 성분을 함유한다.
또한, 양파의 뿌리에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C, 칼슘, 인등을 함유한다.
또한, 고추는 캅사이신, 캅산틴, 캅솔빈과 같은 카르티노이드계 색소와 비타민C를 풍부히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재료는 추출물 형태로 사용된다.
홍삼추출물은 홍삼을 추출탱크에 투입한 후 70%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3회 가압, 가온 추출한다. 추출한 후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얻는다.
또한, 들깨 추출물은 들깨에 7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실온상태에서 3일간 방치한 후 여과하고, 감압하여 얻는다.
또한, 차가버섯 추출물은 파쇄한 후 7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70℃로 가온한 후 감압, 농축시켜 추출한다.
또한, 양파의 추출물은 파쇄한 후 70℃로 가온하여 규조토로 1차 여과한 후 섬유질을 제거한 후 불투명 양파액을 95℃에서 40분간 가열하여 활성탄으로 2차 여과한 후 규조토로 3차 여과하여 추출한다. 이때, 추출물은 투명액상이다.
또한, 생강, 고추의 추출물은 파쇄한 후 70%의 에탄올을 첨가한 후 10시간 70℃로 가온 교반한 후 원심분리기에서 부유물을 제거한 후 감압 농축하여 추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는 증류수 38.66 내지 45.56중량%, 라우레쓰(3) 황산나트륨(Sodium Laureth(3)Sulfate) 35.00 중량%, 코카아미도프로필 베타인( Cocamidopropyl Betain) 10 중량%, 홍삼 추출액 0.2 내지 2.00중량%, 들깨 추출액0.40 내지 4.00 중량%, 차가버섯 추출액 0.50 내지 2.00 중량% 및 디소디윰 EDTA(Disodium EDTA),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베타인(Betain), 로릴 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라우라마이드DEA(Lauramide DEA), 살리실릭산(Salicylic Acid), 트리클로산(Tricolsan), 이소스테아릭산(Isostearic Acid),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hol),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과 메칠이소치아졸리논 혼합액( Methylchloroisothiazolinone and Methylisothiazolinone mixed solution), 멘톨(Mentol), 카라멜(Caramel), 변성향료(Denature Perfume)로 이루어진 기타 첨가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인 성분비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No. 원료명 함량(%)
1 Purified Water 38.66∼45.56
2 Disodium EDTA 0.05
3 Polyquaternium-10 0.15
4 Sodium Laureth(3)Sulfate 35.00
5 Betain 0.50
6 Cocamidopropyl Betain 10.00
7 Sodium Lauryl Sulfate 2.00
8 Lauramide DEA 3.00
9 Salicylic Acid 0.40
10 Triclosan 0.10
11 Isostearic Acid 0.30
12 Behenyl Alcohol 1.00
13 Methylchloroisothiazolinone & Methylisothiazolinone 0.04
14 Mentol 0.30
15 Caramel 0.40
16 Denature Perfume 0.10
17 홍삼 추출액 0.20∼2.00
18 들깨 추출액 0.40∼4.00
19 차가버섯 추출액 0.50∼2.00
상기 표1과 같이 홍삼 추출액 0.20 중량% 이상, 들깨 추출액 0.40 중량% 이상, 차가버섯 추출액 0.5 중량% 이상으로 샴푸에 함유시키면 두피 및 모발의 보습효과, 지방질의 포낭방지 효과, 모발의 갈라짐, 결절 방지효과, 엉킴 방지효과 등이 우수하게 나타난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는 증류수 37.06 내지 45.21중량%, 라우레쓰(3)황산나트륨(Sodium Laureth(3)Sulfate) 35.00 중량%, 코카아미도프로필 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 10 중량%, 홍삼 추출액 0.2 내지 2.00중량%, 들깨 추출액0.40 내지 4.00 중량%, 차가버섯 추출액 0.50 내지 2.00 중량%, 생강추출액 0.10 내지 0.50 중량%, 양파추출액 0.20 내지 1.00 중량%, 고추추출액 0.05 내지 0.10 중량% 및 디소디윰 EDTA(Disodium EDTA),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베타인(Betain), 로릴 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라우라마이드DEA(Lauramide DEA), 살리실릭산(Salicylic Acid), 트리클로산(Tricolsan), 이소스테아릭산(Isostearic Acid),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hol),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과 메칠이소치아졸리논 혼합액( Methylchloroisothiazolinone and Methylisothiazolinone mixed solution), 멘톨(Mentol), 카라멜(Caramel), 변성향료(Denature Perfume)로 이루어진 기타 첨가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인 성분비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No. 원료명 함량(%)
1 Purified Water 나머지
2 Disodium EDTA 0.05
3 Polyquaternium-10 0.15
4 Sodium Laureth(3)Sulfate 35.00
5 Betain 0.50
6 Cocamidopropyl Betain 10.00
7 Sodium Lauryl Sulfate 2.00
8 Lauramide DEA 3.00
9 Salicylic Acid 0.40
10 Triclosan 0.10
11 Isostearic Acid 0.30
12 Behenyl Alcohol 1.00
13 Methylchloroisothiazolinone and Methylisothiazolinone 0.04
14 Mentol 0.30
15 Caramel 0.40
16 Denature Perfume 0.10
17 홍삼 추출액 0.20∼2.00
18 들깨 추출액 0.40∼4.00
19 차가버섯 추출액 0.50∼2.00
20 생강 추출액 0.10∼0.50
21 양파 추출액 0.20∼1.00
22 고추 추출액 0.05∼0.10
실시예2는 실시예1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이외에도 비듬제거, 각화두피가 제거되고, 두피의 지성이 제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샴푸로 매일 아침 일주일동안 머리를 감았을 때의 지성모발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사진으로, 제 2 실시예의 샴푸로 감은 경우에 지성모발이 제거되어 두피가 청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샴푸로 매일 아침 일주일동안 머리를 감았을 때의 비듬 모발의 사용 전, 후를 비교하기 위한 사진으로, 제 2 실시예의 샴푸로 감은 경우, 비듬이 없어지고 모발이 청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샴푸로 매일 아침 일주일 동안 머리를 감았을 때 각화된 두피의 사용 전, 후를 비교하기 위한 사진으로, 제 2 실시예의 샴푸로 감은 경우, 각화된 두피가 제거되어 청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샴푸로 매일 아침 일주일 동안 머리를 감았을 때 모발의 수분함량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5명씩 3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전의 모발과 실시후의 모발의 수분함량을 컴퓨터 시스템의 스킨&조사(computer system skin & check)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제 2 실시예의 샴푸를 사용하여 감은 경우에 모발의 수분함량이 높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모발개선제의 독성실험은 25±5g의 ICR계 마우스(대한실험동물)와 235±10g의 특정병원부재(SPF) 스프라그-도올리(Sprague Dawley, Biogenomics사) 래트를 각각 3마리씩 36군으로 나누어 각각 20mg/㎏, 10mg/㎏, 1mg/㎏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36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고, 체중 증가, 사료 섭취량 등에서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는 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상기에서 열거된 비듬 제거효과, 모발보호, 청결상태의 유지는 물론이고, 모발의 모발생성 촉진효과, 탈모예방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홍삼 추출액 0.2∼2.0 중량%, 들깨 추출액 0.40 ∼4.0중량%, 차가버섯 추출액 0.5∼2.0 중량% 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재료 성분을 함유한 샴푸.
  2. 홍삼 추출액 0.2∼2.0 중량%, 들깨 추출액 0.4 ∼4.0중량%, 차가버섯 추출액 0.5∼2.0 중량%, 생강추출액 0.1∼0.5중량%, 양파추출액0.2 ∼1.0중량%, 고추추출액 0.05∼0.10중량%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재료 성분을 함유한 샴푸.
  3. 삭제
KR1020050125288A 2005-12-19 2005-12-19 천연재료 성분을 함유한 샴푸 KR100724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288A KR100724691B1 (ko) 2005-12-19 2005-12-19 천연재료 성분을 함유한 샴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288A KR100724691B1 (ko) 2005-12-19 2005-12-19 천연재료 성분을 함유한 샴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691B1 true KR100724691B1 (ko) 2007-06-04

Family

ID=38358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288A KR100724691B1 (ko) 2005-12-19 2005-12-19 천연재료 성분을 함유한 샴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783A (ko) 2018-10-16 2020-04-24 홍연희 2단계로 추출한 그라비올라 성분이 포함된 탈모방지 샴푸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1122A (ko) * 1999-12-20 2001-11-14 겜마 아키라 피부외용제
KR20040101451A (ko) * 2002-04-12 2004-12-02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안정화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1122A (ko) * 1999-12-20 2001-11-14 겜마 아키라 피부외용제
KR20040101451A (ko) * 2002-04-12 2004-12-02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안정화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783A (ko) 2018-10-16 2020-04-24 홍연희 2단계로 추출한 그라비올라 성분이 포함된 탈모방지 샴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7526A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4495406B2 (ja) センダングサ属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KR20190087863A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모발 및 두피 세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342122A (ja) 皮膚外用剤
KR20100074880A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조성물
JP3447666B2 (ja) 皮膚外用剤
JP2004346045A (ja) 海洋深層水を使用する酒造時に得られる酒粕抽出エキスを有効成分とする化粧料添加剤、入浴剤及び健康食品類
JP2004067634A (ja) 育毛素材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0834108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080412B1 (ko) 그라비올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 개선 및 탈모 억제용 샴푸
KR100724691B1 (ko) 천연재료 성분을 함유한 샴푸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JPH0138762B2 (ko)
KR101904800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9445A (ko)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베시클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모발 성장용 조성물
KR20110002955A (ko) 생약추출액이 함유된 샴푸조성물
CN111686054B (zh) 一种快速舒缓并可持续作用的植物组合物与应用
JP2003063980A (ja) Rantes産生阻害剤
KR101580283B1 (ko) 물냉이 성분이 함유된 발모촉진제 조성물
JP4105498B2 (ja) アトピー性疾患の症状の予防・緩和に有効な組成物
KR100776754B1 (ko) 모발 개선제
JP6971500B1 (ja) ほてり改善剤、化粧料および化粧料の使用方法
KR102222360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9409B1 (ko)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2010215535A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