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555A -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555A
KR20110067555A KR1020090124193A KR20090124193A KR20110067555A KR 20110067555 A KR20110067555 A KR 20110067555A KR 1020090124193 A KR1020090124193 A KR 1020090124193A KR 20090124193 A KR20090124193 A KR 20090124193A KR 20110067555 A KR20110067555 A KR 20110067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inflammation
preventing
allevi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식
지경엽
이필
김우정
고은주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90124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7555A/ko
Publication of KR20110067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약 추출물, 작약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염증 반응 과정중에 인체 세포에서 유발되는 프로스타글란딘E2 및 인터루킨-1α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두피 또는 구강등에서 일어나는 염증을 예방 및 완화할 수 있으며, 자극이 적고 인체에 안전하다.
염증, 산약, 작약, 목단피, 프로스타글란딘, 인터루킨

Description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inflammation}
본 발명은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염증 반응 과정중에 인체 세포에서 유발되는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및 인터루킨-1α(IL-1α)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조직, 두피 또는 구강등에서 일어나는 염증을 예방 및 완화할 수 있으며, 인체에 안전한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 반응은 임의의 외부 자극에 대해 인체 조직 또는 기관에서 나타나는 일종의 면역 반응과 같은 방어 기작이지만 과도한 염증 반응이 유도되면 통증을 느끼거나 별도의 약물 치료를 필요로 할 만큼 유해한 질병을 동반하기도 한다.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주요 화학 전달 매개물질은 히스타민 또는 세로토닌과 같은 아민 계열, 키닌(kinin) 계열,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류코트리엔(leukotriene), 사이토카인(cytokine) 등이 있다. 이 중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은 세포 내의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에 의해 불포화 지방산인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대사됨으로써 유발된다. 염증 반응과 가장 관계가 깊은 프로스타글란딘은 PGE2, PGI2(prostacyclin), TXA2, TXB2(thromboxane) 등이며 PGE2 PGI2는 혈관 투과성 항진에 관여하고 트롬복산(thromboxane)은 백혈구 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 전달 매개물질에 의한 염증 반응은 인체 조직 전반에 걸쳐 나타나며 특히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피부, 두피, 구강 등의 조직에서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물질의 자극 정도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반응 양상을 보이게 된다. 예를 들어 구강내 염증 반응의 경우, 프라그(치태)에서 나오는 내독소(endotoxin) 또는 지질 다당체(lipopolysaccharide. LPS)로 대표되는 세균성 항원 물질은 보체계(complement system)를 활성화하고, 이러한 보체계 활성화로 인해 호중구와 대식세포(macrophage)가 모이게 된다. 호중구 또는 대식세포는 PGE2 및 IL-1 으로 대표되는 염증 유발 물질을 방출하고 주위의 치은 섬유아세포를 자극해서 교원질 가수분해 효소 등 매트릭스메탈로프로테아제 생산을 촉진한다. 이들 효소에 의해 기질(교원질 등)은 분해되고 치은 조직의 연화 및 와해, 말초 혈관 확장 및 지속적인 출혈 등이 나타난다.
피부 조직의 경우, 과도한 자외선이나 오염 물질 등에 노출되면 홍반, 부종, 따끔거림, 가려움 등의 피부 자극 및 염증 반응이 유발된다. 피부에서의 염증 반응 에서도 혈관 확장, 혈류 변화, 백혈구의 조직 내 침윤과 같은 생리적 현상이 나타나며 이로 인해 발적(redness), 발열(heat), 팽윤(swelling), 통증(pain) 등의 증상 뿐만 아니라, 혈관 투과성의 증가와 함께 항체, 보체 및 대식 세포 등이 염증 부위로 집중되면서 홍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이 피부, 두피 및 구강 조직에서의 염증 반응이 과도한 수준으로 진행될 경우, 여러 종류의 부정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바, 자극을 경감하고 염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소재 및 제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까지의 연구 결과로써, 신경 세포에서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 P(substance P)가 브라디키닌(bradykinin)과 같은 키닌류를 활성화시키거나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 경로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특히 PGE2) 등이 혈관 확장 및 부종 형성에 관여하여 염증과 동통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아스피린, 인도메타신과 같은 종래의 염증 억제 성분들은 그 효과가 널리 인정되고 있으나 위장 장애, 항진성 혈관 확장 등의 부작용이 알려져 있다. 물질 P를 비롯한 신경 펩타이드계 성분에 대한 길항제, 브라디키닌 등 키닌류에 대한 길항제,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 억제제 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현재까지 알려진 항염 성분은 인체에 대한 안전성 측면, 제품내 함유시 안정성의 문제, 사용 함량 제한 등 법규상의 문제들로 인해 그 사용 범위 및 수준이 제한적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염증 반응 과정중에 인체 세포에서 유발되는 프로스타글란딘E2(PGE2) 및 인터루킨-1α(IL-1α)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조직, 두피 또는 구강등에서 일어나는 염증을 예방 및 완화할 수 있으며, 인체에 안전한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산약 추출물, 작약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의 총량은 상기 조성물에 대하여 0.00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 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구강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두피 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스프레이형, 액상, 스틱형, 겔상, 크림형 및 세정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및 인터루킨-1α(IL-1α)의 생성을 억제하여 염증을 완화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식물로부터 유래되는 성분을 포함하여 인체에 안전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두피 또는 구강 점막등에 자극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강용 조성물, 피부 또는 두피용 화장료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은 산약 추출물, 작약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 반응 과정중에 인체 세포에서 유발되는 프로스타글란딘E2(PGE2) 및 인터루킨-1α(IL-1α)의 생성을 억제하여 염증을 억제 또는 완화할 수 있으며 천연유래의 물질로 인체에 안전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다.
상기 산약(Dioscorea villosa)은 마과(Dioscorea)에 속하는 마(Dioscorea batatas Decaisne) 및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erg)의 뿌리 줄기의 껍질을 제거하고 그대로 말리거나 혹은 쪄서 말린 것으로 보통 마의 생약재명으로 통하고 있다. 산약은 비장, 폐를 튼튼히 하고 신장 기능에 도움을 주며 대표적인 강장제로서 유정(遺精), 대하, 소갈, 설사 따위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산약의 근경 부위는 다량의 점액 성분(mucilage), 스테로이드 사포닌(dioscin), 전분, 비타민 C, 3,4-디히드록시페닐에틸아민(dihydroxyphenylethylamine; dopamine) 및 피트산(phytic acid)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작약(Paeonia japonica)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우리나 라 내륙지방의 심산 지역 산지 숲속의 그늘에서 자란다. 작약은 파이오니플로린, 파이오넬, 파이오닌, 안식향산, 정유, 수지, 탄닌, 트리테르페노이드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맛은 쓰고 시며 성질이 차다고 알려져 있다. 작약은 진통, 진경 작용이 있고 진정 효과를 가지며 보음 및 보혈 작용을 한다.
상기 목단피(Paeonia moutan)는 3~5년 정도 성장한 모란을 초봄 또는 종자가 익는 10월에 뿌리를 캐내어 칼로 쪼개거나 두들겨서 심(목질 부분)을 없애고 남은 껍질을 말린 것으로, 굵고 길며 껍질이 두껍고 가루 성분이 있으며 목단피 특유의 신선하고 짙은 향기가 난다. 목단피는 파에놀, 프로치아니딘 B, 아스트라갈린, 펠라고닌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은 근피 뿐만 아니라 목심부에도 함유되어 있다. 목단피는 일반적으로 진정 및 진통 작용, 부종 억제 및 해열 작용, 혈류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다.
상기 산약, 작약 또는 목단피는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화학전달매개물질을 억제하여 염증을 완화 또는 억제하는 작용을 하며, 인체에 무해한 성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약 추출물, 작약 추출물 또는 목단피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승작용으로 인하여 염증 예방 및 완화 효과가 향상된다.
상기 산약 추출물, 작약 추출물 또는 목단피 추출물은 각각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즉, 잎, 꽃, 열매, 줄기, 뿌리, 가지 및 껍질등을 추출하여 얻을 수 있 다. 상기 각 추출물은 유기 용매 추출물,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수 추출물, 초임계 추출물등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 방법으로 얻어진 모든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롤,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에테르,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등의 탄화수소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등의 극성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 추출물이 비극성 용매 추출물보다 염증 예방 및 완화 효과가 우수하며, 제형화시 작업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산약 추출물, 작약 추루물 또는 목단피 추출물은 각각 파쇄 단계; 추출 단계; 여과 단계; 농축 단계; 및 분말화 단계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파쇄 단계는 산약, 작약 또는 목단피등의 생약재를 파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생약재는 그대로 사용하거나 건조후 파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파쇄하여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파쇄 또는 분말화하는 경우 표면적이 커 져 추출용매로 추출시 추출속도 및 추출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생약재의 건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생약재를 깨끗이 세척하고 손질한 후에 열풍 건조, 고온 건조, 자연건조등으로 건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햇빛하에서 자연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단계는 파쇄된 생약재를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이다. 추출 방법은 냉침 추출,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가열 추출등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분말화된 생약재를 5 내지 80 ℃ 에서 추출용매에 1 내지 5 일간 침지하여 추출하며, 2 내지 3 회 반복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추출용매의 양은 하고초 건조중량의 2 내지 10 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 단계는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이다. 상기 여과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획득된 추출물을 거름종이등을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현탁액을 원심분리시키고 상층액을 감압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여과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농축 단계는 상기 생약재 추출액 또는 여과액을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 농축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으로 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여과된 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 에서 감압 농축할 수 있다.
상기 분말화 단계는 상기 농축액을 분말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분말화는 동결건조, 분무 건조등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동결건 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상기와 같이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추출용매에 의한 액체상태의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용매에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산약, 작약 또는 목단피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용매뿐 아니라 다른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면 본 발명에 포함되며, 또한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산약, 작약 또는 목단피 추출물은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추출한 후 정제과정,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으로 컷-오프값을 갖는 여과막을 이용한 막 분리,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한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등의 정제 과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약 추출물, 작약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총 조성물에 대하여 0.00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0.0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염증 예방 및 완화 효과가 미미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제형화가 어려울 수 있으며, 제형의 안정성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은 구강용 조성물로 제조 가능하다. 구강용 조성물로 제형화되어 구강내의 염증 반응을 예방 및 완화할 수 있으며, 구 강내의 점막에 대해 자극이 적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페이스트상, 고형상, 액상 또는 검(Gum) 등 어떠한 형상에도 적용 가능하며, 치약, 치분, 젤리, 카라멜, 캔디, 구강청정제 등의 다양한 구강용 제제로 제형화가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강용 제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 성분, 유성 성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 향료, 색소 등과 함께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은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은 두피의 염증을 완화 또는 예방하는 역할을 하며, 두피나 모발에 자극이 적다.
상기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용액제, 크림제, 연고제, 페이스트, 에어로솔제, 겔제, 왁스제 등의 두피에 적용시킬 수 있는 두피 국소 도포형과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염모제, 표백제, 헤어 젤, 헤어 컨디셔너, 양모제, 헤어 토닉, 헤어 크림, 헤어 왁스,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스, 퍼머넌트 웨이브용 조성물, 헤어 에센스, 마사지 크림등 모발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은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가 가능하다. 상기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등 피부의 염증에 효과가 있으며, 피부에 자극이 없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부작용이 적다. 상기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어서, 크림, 스킨, 로션, 팩, 화운데이션뿐만 아니라 비누, 세안폼과같은 세안료등 여러가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용성 스킨제, 점도와 경도 조절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보습, 방부제, 향료 및 색소등을 배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 실시예 1> 추출물의 제조
산약, 작약, 목단피를 건조하여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 100 g에 에탄올(95 %) 2 ℓ를 가하여 상온에서 3 내지 4 일간 침적하고 2 회 반복 추출,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 증류하여 농축하여 각각 11.7 g, 24.6 g, 22.7 g의 추출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10% DMSO 용액에 녹여 평가에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내지 11> 구강청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청정제를 하기 표 1 의 조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하기 표 1 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성분명
실 시 예
2 3 4 5 6 7 8 9 10 11
솔비톨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비이온 계면활성제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불화나트륨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삭카린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산약 추출물 1.5 - - 0.5 0.005 1.0 1.0 - 1.0 1.0
작약 추출물 - 1.5 - 0.5 - 1.0 - 1.0 0.5 1.0
목단피 추출물 - - 1.5 0.5 - - 1.0 1.0 0.5 1.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실시예 12> 치약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을 하기 표 2 의 조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하기 표 2 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Figure 112009077189511-PAT00001
< 실시예 13> 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을 하기 표 3 의 조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77189511-PAT00002
< 실시예 14> 로션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션을 하기 표 4 의 조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77189511-PAT00003
< 실시예 15 내지 18> 헤어 에센스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에센스를 하기 표 5 의 조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77189511-PAT00004
< 실시예 19> 샴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샴푸는 하기 표 6 의 조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77189511-PAT00005
< 비교예 1 내지 2> 구강청정제의 제조
하기 표 7 의 조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구강 청정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77189511-PAT00006
< 비교예 3 내지 4> 헤어 에센스의 제조
하기 표 8 의 조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구강 청정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77189511-PAT00007
< 실험예 1> PEG 2 생성 억제 평가
PGE2 생성 억제 평가 시험은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정량 assay kit를 이용하여 수행했다.(美 R&D system社). 각질형성 세포(keratinocyte. HaCaT)를 6-well microplate에 1.0~4.0 ×105 / well 의 농도로 배양한 후, 자극 물질로서 SDS(소듐도데실설페이트)를 0.003% 농도로 처리하고 각 well에 평가 시료를 주입했다. 48시간 경과 후, 각 well로부터 일정량(300 ㎕)의 배양액을 회수하여 assay kit의 사용법에 따라 PGE2 생성량을 450 nm에서 정량 평가했다. 이 때, 대조군(control)은 자극 물질만 처리한 well에서 회수한 배양액을 의미하며 각 생약 추출물을 용해하는데 사용한 10% DMSO 용액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10% DMSO 용액도 정량 평가에 포함했다. 평가 결과는 기존의 항염 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도메타신(10 mg/㎖)을 처리한 well로부터 얻은 배양액의 PGE2 생성량을 기준으로 그 상대적 수치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9 와 같다.
Figure 112009077189511-PAT00008
PGE2와 상보적 결합을 할 수 있는 항체가 각 well에서 회수한 세포 배양액에 함유된 PGE2와 결합하여 PGE2-항체 complex를 생성하고 이 물질을 특정 파장에서 검출하는 원리이므로 O.D.값이 작을수록 PGE2 생성이 억제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상기 표 9 에 의하면, 각 추출물은 종래의 항염 성분인 인도메타신의 PGE2 생성 저해 효과에 근접하는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3종 추출물의 동량 혼합액(각 0.5%)의 경우 단일 성분(각 1.5%)보다 다소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이들 간에 상보적 상승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을 적어도 1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은 PGE2 생성 억제 효과를 통해 구강, 두피, 피부 등 조직의 염증 억제 및 개선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실험예 2> 1L-1α생성 억제 평가
IL-1α 억제 평가 시험 역시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정량 assay kit를 이용하여 수행했다.(美 R&D system社). 각질형성 세포(keratinocyte. HaCaT)를 6-well microplate에 1.0~4.0×105 / well 농도로 배양한 후, 자극 물질로서 SDS(소듐도데실설페이트)를 0.003% 농도로 처리하고 각 well에 평가 시료를 주입했다. 48시간 경과 후, 각 well로부터 일정량(300 ㎕)의 배양액을 회수하여 assay kit의 사용법에 따라 IL-1α 생성량을 450 nm에서 정량 평가했다. 이 때, 비교군(positive control)은 어떤 것도 처리하지 않은 well의 배양액, 대조군(negative control)은 자극 물질만 처리한 well에서 회수한 배양액을 의미하며, 각 추출물을 용해하는데 사용한 10% DMSO 용액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10% DMSO 용액도 정량 평가에 포함했다. IL-1α 평가는 PGE2 평가와는 달리,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억제 성분이 알려져 있지 않은 관계로 450 nm에서 측정된 흡광도 수치 자체를 서로 비교하여 판정했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0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77189511-PAT00009
IL-1α와 상보적 결합을 할 수 있는 항체가 각 well에서 회수한 세포 배양액에 함유된 IL-1α와 결합하여 IL-1α-항체 omplex를 생성하고 이 물질을 특정 파장에서 검출하는 원리이므로 O.D.값이 작을수록 IL-1α 생성이 억제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상기 표 10 에 의하면, 각 추출물은 어떤 성분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비교군에 근접하는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3종 추출물의 동량 혼합액(각 0.5%)의 경우 단일 성분(각 1.5%)보다 다소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이들 간에 상보적 상승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을 적어도 1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은 IL-1α 생성 억제 효과를 통해 구강, 두피, 피부 등 조직의 염증 억제 및 개선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실험예 3> 실시예 비교예의 조성물의 PGE 2 생성 억제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의 PGE2 생성 억제 효과를 상기 실험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각 조성물은 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여 10% 농도로 희석한 후, 평가에 사용했다. 상기 실험예 1 과 동일하게, 비교 시료로 사용한 인도메타신의 PGE2 생성 억제 정도를 기준으로 평가 시료의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1 에 나타내었다.
Test Sample PGE2 생성량 (O.D. value)
: 저해제의 효과 대비 상대적 수치
저해제(control inhibitor. indomethacin) 100.0
완충 용액 839.7±22.7
실시예 2 174.1±4.7
실시예 3 239.0±6.3
실시예 4 251.6±6.4
실시예 5 153.7±4.2
실시예 6 285.4±5.5
실시예 7 209.7±6.3
실시예 8 233.0±6.0
실시예 9 216.9±5.4
실시예 10 162.5±4.8
실시예 11 158.6±5.2
실시예 12 178.6±5.0
실시예 13 243.8±6.2
실시예 14 258.2±6.9
실시예 15 156.3±4.3
비교예 1 840.1±22.5
비교예 2 균일한 용액으로 용해되지 않음(침전 발생)
비교예 3 845.6±23.6
비교예 4 균일한 용액으로 용해되지 않음(침전 발생)
상기 표 11 에 의하면, 산약 추출물, 작약 추출물 또는 목단피 추출물을 1 종 이상 함유한 조성물의 경우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의 조성물보다 염증 억제효과가 우수하였으며, 2 이종 이상 특히 3 종 추출물의 동량 혼합액(각 0.5 중량부)의 경우 단일 성분(각 1.5 중량부)보다 다소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이들 간에 상보적 상승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 실험예 4> 실시예 비교예 조성물의 1L-1α 생성 억제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1L-1α 생성 억제 평가를 상기 실험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각 조성물은 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여 10% 농도로 희석한 후, 평가에 사용하였고, 450 nm에서 측정된 흡광도 수치 자체를 서로 비교하여 판정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2 와 같다.
Test Sample IL-1α 생성량 (O.D. value)
비교군(positive control) 48.6±4.9
대조군(negative control) 209.3±19.2
실시예 2 68.1±6.2
실시예 3 87.4±8.6
실시예 4 89.2±8.7
실시예 5 64.8±5.9
실시예 6 92.0±6.6
실시예 9 83.1±5.5
실시예 10 84.4±6.2
실시예 11 58.3±5.1
실시예 15 67.6±5.9
실시예 16 85.6±8.2
실시예 17 88.9±8.2
실시예 18 61.4±5.2
비교예 1 204.4±18.3
비교예 2 균일한 용액으로 용해되지 않음(침전 발생)
비교예 3 201.4±17.9
비교예 4 균일한 용액으로 용해되지 않음(침전 발생)
상기 표 12 에 의하면, 산약, 작약 및 목단피 추출물중 적어도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1L-1α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2 종 이상, 특히 3 종 이상 포함하는 경우 단일 성분보다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 실험예 5> 세포 독성 평가를 통한 인체 안정성 검증
독성 평가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MTT assay를 통해 각 생약 추출물의 인체 안전성 여부를 판정했다. 상기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각 추출물을 10 % DMSO 용액으로 용해하고 다시 PBS 용액으로 녹인 후, 단계 희석(half dilution)을 통하여 여러 농도의 생약 추출물 시료 용액을 제조했다. 96-well microplate의 각 well에 적정량(1~4×104 cell/㎖)의 각질형성 세포(HaCaT)와 평가 시료를 접종하고 37 ℃, 5 % CO2 조건에서 2 내지 3일간 배양시켰다. 0.1 mg 의 MTT를 모든 well에 가하고 다시 37 ℃ 에서 4시간 정도 배양했다. Plate를 가볍게 원심분리한 후, 각 well 안의 배지를 제거하고 DMSO 용액을 가해 생성된 formazan 결정이 녹을 때까지 10분 동안 가볍게 진탕했다. Microplate reader(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 에 나타내었다. 흡광도는 MTT가 세포에 의해 formazan(blue)으로 분해된 양을 나타내며 각 well에 존재하는 살아 있는 세포수와 비례한다.
도 1 에 의하면, 산약, 작약, 목단피 추출물은 1% 정도의 농도에서 완충용액으로 사용한 PBS 용액에 거의 근접하는 수준의 세포 독성을 나타냈다. 또한 각각의 생약 추출물을 용해하기 위해 사용했던 DMSO 용액의 안전성 수치가 0.125% 농도에서부터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볼 때, 각 생약 추출물 자체의 인체 안전성 수치는 상기의 결과 이상일 것으로 예측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약 추출물, 작약 추출물 또는 목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 반응에서 유발되는 프로스타글란딘E2(PGE2) 및 인터루킨-1α(IL-1α)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두피 또는 구강등에서 일어나는 염증을 억제 및 완화할 수 있으며, 피부나 두피, 구강 점막등에 자극이 없고 인체에 안전하다.
도 1 은 산약 추출물, 작약 추출물 또는 목단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 평가의 MTT assay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8)

  1. 산약 추출물, 작약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총량이 상기 조성물에 대하여 0.00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구강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두피 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스프레이형, 액상, 스틱형, 겔상, 크림형 및 세정제 형태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KR1020090124193A 2009-12-14 2009-12-14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KR20110067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193A KR20110067555A (ko) 2009-12-14 2009-12-14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193A KR20110067555A (ko) 2009-12-14 2009-12-14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555A true KR20110067555A (ko) 2011-06-22

Family

ID=4439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193A KR20110067555A (ko) 2009-12-14 2009-12-14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75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706B1 (ko) * 2011-07-20 2013-03-26 신일제약주식회사 신규한 페닐에스터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2716823A (zh) * 2021-03-06 2021-04-30 科玛化妆品(北京)有限公司 一种高保湿水分啫喱霜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706B1 (ko) * 2011-07-20 2013-03-26 신일제약주식회사 신규한 페닐에스터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2716823A (zh) * 2021-03-06 2021-04-30 科玛化妆品(北京)有限公司 一种高保湿水分啫喱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0880A (ko)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89B1 (ko) 문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407935B2 (ja) 皮膚外用剤
WO2012172199A1 (fr) Composition a base de camellia japonica et polygonum hydropiper pour protection de la peau
KR101319997B1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561780B1 (ko) 탱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0812A (ko) 민감성 피부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3283A (ko) 골쇄보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16853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11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H0138762B2 (ko)
KR20110067555A (ko) 염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KR20200134929A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57337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87976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48897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2778855B2 (ja) 化粧料
KR102561150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38536B1 (ko) 7종 천연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