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865B1 -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 패널 - Google Patents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865B1
KR100722865B1 KR1020050085921A KR20050085921A KR100722865B1 KR 100722865 B1 KR100722865 B1 KR 100722865B1 KR 1020050085921 A KR1020050085921 A KR 1020050085921A KR 20050085921 A KR20050085921 A KR 20050085921A KR 100722865 B1 KR100722865 B1 KR 100722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portion
male screw
cover member
horizontal adjustment
prefabricated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180A (ko
Inventor
조규정
Original Assignee
조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정 filed Critical 조규정
Publication of KR2006010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조절이 가능한 수평조절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바닥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 형성된 돌출형 이음매(11)와 타측에 형성된 매입형 이음매(12)를 가지는 바닥패널 본체(10)와; 상기 바닥패널 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쇠 홈(16) 및 고정쇠(17)와, 상기 바닥패널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평조절부재(20)와, 덮개부재(30)와, 충진재(40)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조절부재(20)는 상부 중앙에 형성된 조임쇠구멍(23)을 가지는 수나사부(21)와, 상기 수나사부(21)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22)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재는 조임쇠구멍(33)을 가지는 수나사부(31)와, 상기 수나사부(31)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32)를 가지며, 상기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31, 32)의 직경은 상기 수평조절부재(20)의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21, 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나사부(21)의 상단면과 상기 덮개부재(30)의 하단면과의 사이의 공극에 충진되는 작은 알갱이 형상의 합성수지제 충진재(40)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숙련자라도 손쉽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를 줄이고 시공 즉시 다른 작업이 가능하여 그만큼 공사기간을 단축 할 수 있고 공장에서의 대량생산으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수평조절, 충진재, 진동방지, 조립식 바닥패널

Description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 패널{LEVEL ADJUSTABLE PREFABRICATED FLOOR PANE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 패널의 패널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 패널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 패널의 단면도로서, 도 3a는 덮개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도 3b는 덮개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 패널의 덮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그 단면도이고, 도 4b는 그 평면도이고, 도 4c는 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 패널의 수평조절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그 단면도이고, 도 5b는 그 평면도이고, 도 5c는 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 패널의 덮개부재와 수평조절부재 각각의 암나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 패널의 수평조절부재를 사용하여 수평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패널의 고정쇠와 고정쇠홈을 나타내는 도 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조립식 바닥 패널
2 : 슬라브 바닥
10 : 패널본체
11 : 돌출형 이음매
12 : 매입형 이음매
13 : 상부 진동방지부
14 : 하부 진동방지부
16 : 고정쇠 홈
17 : 고정쇠
20 : 수평조절부재
21 : 수평조절부재의 수나사부
22 : 수평조절부재의 암나사부
23 : 조임쇠구멍
24 : 수평조절부재 진동방지부
30 : 덮개부재
31 : 덮개부재의 수나사부
32 : 덮개부재의 암나사부
33 : 조임쇠구멍
34 : 덮개부재 진동방지부
40 : 충진재
본 발명은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조절이 가능한 수평조절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바닥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은 아무리 시공을 잘 한다고 해도 그 바닥면의 수평 상태가 고르지 못하고 약간의 오차가 거의 다 발생하여 요철이 생긴다. 이런 바닥면에 조립식 온돌 패널 및 난방용 패널을 설치하면 패널이 움직여서 부러지거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난방용 파이프의 파손으로 누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조립식 온돌 패널 및 난방용 패널 또는 기타 원목 마루 등의 바닥 제품이 설치되는 바닥면의 수평의 오차를 수정하기 위하여, 종래의 방법은 물 수평 및 수평기를 이용하여 수평위치를 체크하고 먹줄을 이용하여 수평선을 긋고 각개목(상승각)을 벽에 붙이고 중간 중간 가리막과 지지대를 세워 수평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고 그 위에 합판을 더욱 설치하거나,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평을 맞추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방법은,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여 많은 인력,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부재와, 수평조절부재에 진동방지부을 구비한 조립식 바닥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숙련자라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고, 공장에서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진동방지부을 폐타이어 고무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소음을 저감하고 폐자재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문제에도 일조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 패널은, 건물의 슬라브 바닥에 설치되는 조립식 바닥 패널에 있어서, 일측에 형성된 돌출형 이음매와 타측에 형성된 매입형 이음매를 가지는 바닥패널 본체와; 상기 바닥패널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평조절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조절부재는 상부 중앙에 형성된 조임쇠구멍을 가지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패널은 돌출형 이음매 및 매입형 이음매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쇠홈과, 상기 고정쇠홈에 끼워넣어지는 고정쇠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패널은, 상기 바닥패널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덮개부재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덮개부재는 상부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조절부재의 조임쇠구멍과 동축으로 형성된 조임쇠구멍을 가지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의 직경은 상기 수평조절부재의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패널은, 높이가 낮은 슬라브 바닥에서 상기 수평조절부재의 수나사부를 풀어서 발생하는 상기 수나사부의 상단면과 상기 덮개부재의 하단면과의 사이의 공극에 충진되는 작은 알갱이 형상의 합성수지제 충진재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패널은, 상기 바닥패널 본체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 진동방지부 및 하부진동방지부와, 상기 덮개부재의 수나사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덮개부재 진동방지부와, 상기 수평조절부재의 수나사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평조절부재 진동방지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 패널의 패널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패널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 패널의 단면도로서, 도 3a는 덮개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도 3b는 덮개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 패널의 덮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 패널의 수평조절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 패널(1)은 바닥 패널 본체(10)와, 수평조절부재(20)와, 덮개부재(30)와, 충진재(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패널 본체(10)는 대략 정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측에는 돌출형 이음매(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매입형 이음매(12)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패널 본체(10)와 인접하는 바닥패널 본체(10)를 조립할 때에, 상기 돌출형 이음매(11)가 인접하는 바닥패널 본체(10)의 매입형 이음매(12)에 끼워넣어져서 인접하는 바닥패널 본체들이 상호 결합된다.
바닥패널 본체(10)의 돌출형 이음매(11)와 매입형 이음매(12)의 위끝단에는 고정쇠 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바닥패널 본체(10)들을 끼워맞춘 후, 상기 고정쇠 홈(16)에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정쇠(17)가 끼워넣어진다.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쇠(17)를 상기 고정쇠 홈(16)을 끼우고 피스못(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함으로써, 바닥패널 본체(10)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돌출형 이음매(11)와 매입형 이음매(12)를 더욱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패널 본체(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진동방지부(13)와 하부 진동방지부(14)를 각각 형성하여, 바닥패널에 가해지는 충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소음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패널 본체(10)는 대략 정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중앙부분 이외의 부분에는 대략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패널 본체(10)의 하부에는 수평조절부재(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조절부재(20)는 수나사부(21)와 암나사부(22)와 조임쇠구멍(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부(21)와 암나사부(22)는 나사결합되어있다. 상기 조립식 바닥패널(1)을 설치하고자 하는 건물의 슬라브 바닥면(2)의 수평이 맞지 않거나 불규칙한 경우에는, 상기 수평조절부재(20)의 상기 수나사부(21)를 회전시켜 상기 바닥패널 본체(10)로부터 하방으로 튀어나오게 하여,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나사부(22)는 상기 바닥패널 본체(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그 상부끝단은 상기 바닥패널 본체(10)에 의해 막혀있는 단턱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부(21)를 상기 암나사부(22)에 완전히 나사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수나사부(21)는 상기 암나사부(22)의 상부 끝단에서 상기 바닥패널 본체(10)에 맞닿는다.
또한, 상기 수나사부(21)의 상부 중앙에는 조임쇠구멍(23)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조절부재(2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육각조임쇠를 상기 조임쇠구멍(23)에 끼워넣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나사부(21)와 상기 암나사부(22)를 조이거나 풀어서 높낮이를 조절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나사부(21)의 하부에는 수평조절부재 진동방지부(24)를 더욱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수평조절부재 진동방지부(24)는 상기 바닥패널 본체(10)의 하부 진동방지부(14)의 두께와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부(21)와 상기 암나사부(22)가 완전히 나사결합한 때에는 바닥패널의 하부면이 전체적으로 동일하 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패널 본체(10)의 상부에는 덮개부재(30)가 상기 수평조절부재(20)와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재(30)는 수나사부(31)와 암나사부(32)와 조임쇠구멍(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부(31)와 상기 암나사부(32)는, 상기 수나사부(31)를 상부로 분리할 수 있도록 서로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부(31)와 상기 암나사부(32)의 직경은 상기 수평조절부재(20)의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21, 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임쇠구멍(33)의 직경은 상기 수평조절부재(20)의 수나사부(21)의 상부에 형성된 조임쇠구멍(23)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30)의 상기 수나사부(31)의 상부에는 덮개부재 진동방지부(34)를 더욱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 진동방지부(34)의 두께는 상기 상부 진동방지부(13)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부(31)를 상기 암나사부(32)에 완전히 나사결합시킬 때에 상기 덮개부재 진동방지부(34)의 상부면은 상기 상부진동방지부(13)의 상부면과 동일한 면을 이룬다.
상기 수평조절부재(20)와 상기 덮개부재(30)는, 예를 들면 상기 바닥패널 본체(10)의 사각코너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부재(30)의 높이와 상기 수평조절부재(20)의 높이의 합은 상기 바닥패널 본체(10)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조절부재(20)의 수나사부와 암나사부(21, 22) 및 상기 덮개부재(30)의 수나사부와 암나사부(31, 32)를 완전히 나사결합한 때에는, 상기 바닥패널 본체의 상부면은 상기 덮개부재의 상부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고, 상기 바닥패널 본 체의 하부면은 상기 수평조절부재의 하부면과 동일한 면을 이룬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 패널(1)은 충진재(40)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충진재(40)는 작은 알갱이 형상의 합성수지제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조절부재(20)의 수나사부(21) 상부에 충진된다. 슬라브 바닥(2)의 높이가 낮은 부분에서, 상기 수평조절부재(20)의 수나사부(21)를 회전시켜 상기 수평조절부재(20)의 암나사부(22)로부터 수나사부(21)를 상기 바닥패널 본체(10)의 하부로부터 돌출하도록 빼어내면, 상기 암나사부(22) 상부와 상기 수나사부(21)의 상부와의 사이에는 공극이 생성되며, 상기 충진재(40)는 이 공극에 충진된다.
즉, 상기 수평조절부재(20)로 상기 바닥 패널 본체(10)의 수평을 맞추고 상기 덮개부재(30)와 상기 수평조절부재(20)와의 사이의 공간을 충진재(40)로 채우는데, 상기 수평조절부재(20)의 수나사부(21)와 암나사부(22)의 나사선이 잘못되어 상기 수나사부(21)가 밀려 올라오는 것을 조립식 바닥 패널 본체(10)의 상부 몸체로 막아주기 위하여 수평조절부재(20)의 수나사부(21)를 조립식 바닥 패널 본체(10)의 몸체에 매몰시키는 것이다.
상기 수평조절부재(20)로 수평을 맞출 때에, 상기 덮개부재(30)를 먼저 분리하고 상기 덮개부재(30)를 분리한 곳으로 육각 조임쇠를 상기 수평조절부재(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조임쇠 구멍(23)에 끼워넣고, 수평조절부재(20)를 조였다 풀었다 하며 수평을 맞춘 다음, 상기 덮개부재(30)의 하단까지 충진재(40)를 채우고 다시 상기 덮개부재(30)를 조립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위에서 누르는 힘을 덮개부재 진동방지부(34) - 덮개부재(30) - 충진재(40) - 수평조절부재(20)의 수나사부(21) - 수평조절부재 진동방지부(24) - 슬라브 바닥(2)으로 이어지는 하나의 원통형의 형상으로 슬라브 바닥(2)으로 곧바로 전달하여 위에서 누르는 힘을 분산할 수 있다. 또한, 역으로 밑에서 올라오는 힘으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수평조절부재(20)의 수나사부(21)와 암나사부(22) 사이의 나사 파손 등의 이유로 수나사부(21)가 위로 밀려 올라오는 힘을 충진재(40)가 상기 덮개부재(30)와 바닥 패널 본체(10) 상부의 몸체에 사방으로 전달하여 밀려 올라오는 힘을 분산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 진동방지부(13, 14), 덮개부재 진동방지부(34) 및 수평조절부재 진동방지부(24)는, 조립식 바닥 패널(1)이 받는 충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바닥패널 위에 물건을 올렸을 때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방지부(13, 14, 24, 34)는 폐자재, 예를 들면 폐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 패널을 조립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슬라브 바닥(2)의 수평(높낮이)을 먼저 파악한 후, 슬라브 바닥(2)의 수평(높낮이)이 불규칙하면 높은 곳에서 먼저 시공한다. 조립식 바닥 패널 본체(10) 한 장을 벽과 벽이 만나는 한쪽 코너부분에 설치하고, 수평대를 조립식 바닥 패널 본체(10) 위에 올려놓고 조립식 바닥 패널 본체(10)의 네 귀퉁이에 설치된 수평조절부재(20)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춘다. 수평을 맞추는 방식은 육각 조임쇠를 수평조절부재(20)의 수나사부(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조임쇠 구멍(23)에 끼워맞춘 후 육각 조임쇠를 좌우로 돌려가며 수평을 맞추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을 맞춘 후에는 조립식 바닥 패널 본체(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조절부재(20)의 수평을 맞춘 후, 수나사부(21)의 상단면과 덮개부재(30)의 하단 면의 사이를 충진재(40)로 채운다.
충진재(40)를 채운 후 충진재(40)가 바닥패널 외부로 밀리지 않도록 덮개부재(30)를 조립한다. 덮개부재(30)를 조립할 때는 충진재(40)와 맞닿게 단단하게 조일 뿐 아니라 덮개부재 진동방지부(34)의 상부면이 조립식 바닥 패널 본체(10)의 상부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첫 번째 조립식 바닥 패널 본체(10)의 수평 맞추기가 끝나면 인접하는 조립식 바닥 패널 본체(10)를 수평맞추기가 끝난 조립식 바닥패널의 돌출형 이음매나 매입형 이음매(11, 12)에 끼워맞춘후, 고정쇠 홈(16)에 고정쇠(17)를 끼우고, 피스못으로 고정시킨다. 인접하는 바닥패널의 수평 맞추기는 상술한 바와 같다. 슬라브 바닥(2)의 끝단에 도달하게 되거나 기둥이나 튀어 나온 벽 등 기타 절단이 필요한 부분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방형의 바닥 패널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패널에 의하면, 종래의 수평맞추기 방법에서와 같은,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고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숙련자라도 손쉽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를 줄이고 시공 즉시 다른 작업이 가능하여 그만큼 공사기간을 단축 할 수 있고 공장에서의 대량생산으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바닥패널은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폐건축자재로 인한 환경 문제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며, 진동 방지층을 두어 소음을 줄이는 효과와 단열성 부여 및 폐자재 재활용으로 인한 생활환경 문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건물의 슬라브 바닥(2)에 설치되는 조립식 바닥 패널에 있어서,
    일측에 형성된 돌출형 이음매(11)와 타측에 형성된 매입형 이음매(12)를 가지는 바닥패널 본체(10)와;
    상기 바닥패널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평조절부재(20)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조절부재(20)는 상부 중앙에 형성된 조임쇠구멍(23)을 가지는 수평조절부재 수나사부(21)와, 상기 수나사부(21)와 나사결합하는 수평조절부재 암나사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 본체(10)는 돌출형 이음매(11) 및 매입형 이음매(12)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쇠홈(16)과, 상기 고정쇠홈(16)에 끼워넣어지는 고정쇠(17)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패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덮개부재(30)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덮개부재(30)는
    상부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조절부재의 조임쇠구멍(23)과 동축으로 형성된 조임쇠구멍(33)을 가지는 덮개부재 수나사부(31)와,
    상기 수나사부(31)와 나사결합하는 덮개부재 암나사부(32)를 가지며,
    상기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31, 32)의 직경은 상기 수평조절부재(20)의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21, 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부재(20)의 상기 수나사부(21)를 풀어서 조립식 바닥패널의 수평을 맞출 때에 발생하는 상기 수나사부(21)의 상단면과 상기 덮개부재(30)의 하단면과의 사이의 공극에 충진되는 충진재(40)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 본체(10)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 진동방지부(13) 및 하부진동방지부(14)와, 상기 덮개부재(30)의 수나사부(31)의 상부에 형성되는 덮개부재 진동방지부(34)와, 상기 수평조절부재(20)의 수나사부(21)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평조절부재 진동방지부(24)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패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40)는 합성수지제의 작은 알갱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패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방지부(13, 14, 24, 34)은 폐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패널.
KR1020050085921A 2005-03-15 2005-09-14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 패널 KR100722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1403 2005-03-15
KR1020050021403 2005-03-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527U Division KR200403460Y1 (ko) 2005-03-15 2005-09-14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180A KR20060101180A (ko) 2006-09-22
KR100722865B1 true KR100722865B1 (ko) 2007-05-30

Family

ID=37632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921A KR100722865B1 (ko) 2005-03-15 2005-09-14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8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367Y1 (ko) * 1992-10-30 1995-04-27 진금수 온수배관용 판넬의 수평조절장치
KR970055497U (ko) * 1996-03-09 1997-10-13 조립식 난방패널의 수평조절구조
KR970055496U (ko) * 1996-03-09 1997-10-13 조립식 난방패널의 수평조절장치
KR200404328Y1 (ko) * 2005-01-10 2005-12-21 조규정 조립식 온돌 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367Y1 (ko) * 1992-10-30 1995-04-27 진금수 온수배관용 판넬의 수평조절장치
KR970055497U (ko) * 1996-03-09 1997-10-13 조립식 난방패널의 수평조절구조
KR970055496U (ko) * 1996-03-09 1997-10-13 조립식 난방패널의 수평조절장치
KR200404328Y1 (ko) * 2005-01-10 2005-12-21 조규정 조립식 온돌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180A (ko) 200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3460Y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 패널
KR100722865B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바닥 패널
KR200411739Y1 (ko) 조립식 바닥 패널
KR100722867B1 (ko) 조립식 수평 조절 바닥 패널
KR200405610Y1 (ko) 조립식 수평 조절 바닥 패널
KR100586630B1 (ko)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
KR100788742B1 (ko) 협소한 공간을 마무리하기 위한 데크의 결합구조
KR101430179B1 (ko) 마루 받침장치
US11293189B2 (en) Flooring system for use in a sloped floor
KR101821230B1 (ko) 목조 건축물의 높이 조절형 기둥 연결구조
KR100722866B1 (ko) 조립식 온돌 패널
JP2006118343A (ja) 二重床構造及び二重床の施工方法
KR200280824Y1 (ko) 마루바닥 시공장치
JP5189789B2 (ja) ベースブロック及び該ベースブロックを用いた一組の高床構造体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404328Y1 (ko) 조립식 온돌 패널
JPH05311856A (ja) 石貼りフロア
KR100603947B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바닥재의 뜬 구조 시스템
KR100433037B1 (ko) 바닥용 깔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622073B1 (ko) 난방배관의 균일간격 시공이 용이한 층간소음방지 난방배관패널
CN211949395U (zh) 一种板件支撑连接件及由其组成的拼接板
JP2511206Y2 (ja) フリ―アクセスフロア―材用ボ―ダ―
JPH11100976A (ja) 断熱二重床の施工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断熱二重床ユニット及び断熱材付き床パネル
JPH0514991Y2 (ko)
JP2557271Y2 (ja) 二重床
KR20180007846A (ko) 바닥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