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412B1 - 제본 천공기의 몰딩튜브 잔량 배출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제본 천공기의 몰딩튜브 잔량 배출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412B1
KR100722412B1 KR1020060086246A KR20060086246A KR100722412B1 KR 100722412 B1 KR100722412 B1 KR 100722412B1 KR 1020060086246 A KR1020060086246 A KR 1020060086246A KR 20060086246 A KR20060086246 A KR 20060086246A KR 100722412 B1 KR100722412 B1 KR 100722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molding tube
remaining amou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옥
Original Assignee
노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옥 filed Critical 노희옥
Priority to KR1020060086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0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interpo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6Perforating by tool or tools of the dril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pillars, posts, rod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08Perforations or slots that can cooperate with filing means as claws, ring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본 천공기에서 몰딩튜브가 제본하기에 부족한 잔량으로 감지됨에 따라 자동 배출 안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공 제본기(1)의 튜브안내관(3)을 통해 삽입 안내되는 몰딩튜브(2)가 제본하기에 부족한 잔량으로 감지되어 가이드핀(8)의 수평이동과 커터(6)의 이동으로 하부로 배출 처리하되; 상기 지지편(9) 및 가이드핀(8)이 삽입되는 요홈부(102) 측방에 수직의 측벽 프레임(110)과 배면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안내프레임(120)을 형성하는 배출유도수단(100)을 구비하여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편(9)은 후방으로 몰딩튜브 잔량을 전방의 안내프레임(120)을 향하여 탄발 안내하도록 상향 절곡된 절곡부(95)와, 상부에 몰딩튜브 잔량을 안내프레임(120)으로 안내하도록 측벽 프레임(110)측에서 안내프레임(120)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96)를 형성하여 몰딩튜브의 잔량을 제본 천공기의 하부 받침서랍(300)으로 일정하게 배출 안내하여 수거하도록 하므로서 종래와 같은 몰딩튜브 잔량이 기타 부품 내부로 낙하되어 장치의 고장이나 오작동 유발함을 방지하면서 제품 신뢰도를 극대화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제본 천공기, 몰딩튜브, 잔량, 배출, 안내장치, 배출유도수단

Description

제본 천공기의 몰딩튜브 잔량 배출 안내장치{GUIDE APPARATUS FOR RESIDUAL MOULDING TUBE DISCHARGE OF FILING MACHINE}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제본 천공기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된 상태의 요부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요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몰딩튜브 3: 튜브안내관
6: 커터 8: 가이드핀
9: 지지핀 9a: 홈부
7: 리미트스위치 100: 배출유도수단
102: 요홈부 110: 측벽 프레임
120: 안내프레임 130: 배면프레임
140: 지지프레임 115: 보강 측벽프레임
95: 절곡부 96: 경사부
본 발명은 적층된 지편에 구멍을 천공하여 몰딩튜브를 삽입 성형하여 제본하는 제본 천공기에서 상기 몰딩튜브의 잔량을 검출하여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잔량의 몰딩튜브가 하부의 받침서랍으로 원활히 안내 배출되는 구조에 의해 장치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는 제본 천공기의 몰딩튜브 잔량 배출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본 천공기는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 또는 서류 등과 같은 지편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 일정 길이로 절단 공급되는 몰딩 튜브를 삽입하여 그 양단을 성형하므로 하나로 묶어 제본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본 천공기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천공 제본기(1)의 튜브안내관(3)을 통해 삽입 안내하여 공급롤(4)에 의해 이송하는 몰딩튜브(2)를 다이(5)하부의 가이드핀(8)에 삽입 공급하여 커터(6)로 절단하는 몰링튜브 공급부(10)와,
베드(21)상에 적층된 지편(15)에 승하강작동하는 드릴(25)에 의해 구멍을 천공하는 천공부(20)와,
상기 몰딩튜브가 삽입 공급된 가이드핀(8)을 베드(21)의 지편 하부로 수평 이동 및 수직 상승시켜 상기 지편의 천공 구멍에 몰딩튜브를 삽입하여 상하단을 성형 제본하도록 하는 캠작동부(30)로 대별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몰딩튜브 공급부(10)에는 가이드핀(8)상에서 몰딩튜브(2)를 지지하되, 적층된 지편(15)의 두께에 비례하여 승하강 이동하여 몰딩튜브(2)의 절단 길이를 조절하는 지지편(9)이 설치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튜브 공급부(10)에는 다이(5) 상부로 리미트스위치(7)를 설치하여 몰딩튜브(2)의 잔량 유무를 검출하여 제어부에서 제본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표시 및 경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장치는 천공부(20)의 드릴(25)이 승하강하여 적층된 지편(15)에 구멍을 천공하는 동안 상기 적층된 지편의 두께에 대응하여 몰딩튜브(2)를 공급 및 절단하게 된다.
이는 상기 천공부 드릴(25) 작동시 커터(6)가 이동하여 몰딩튜브(2)를 가이드핀(8)으로 삽입 공급하면서 지지편(9)상에 지지하고,
상기 천공부 드릴(25)이 천공한 적층 지편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편(9)이 승하강하면서 몰딩튜브(2)의 절단 위치를 조절한 후, 커터(6)의 이동작동으로 몰딩튜브(2)를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터(6)에 의해 상부의 몰딩튜브(2)는 지지된다.
이와 같이 절단된 몰딩튜브(2)는 캠작동부(30)에 의해 수평 및 수직 상승이동하여 적층된 지편(15)의 천공 구멍으로 삽입되어 상하단을 성형하여 적층된 지편을 제본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본 과정에서 상기 몰딩튜브(2)의 잔량 유무를 리미트스위치(7)가 검출하게 되는데, 이때 검출된 몰딩튜브(2)가 제본 불능으로 검출되면 제어부에서 표시 및 경보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서 몰딩튜브(2) 잔량을 표시 및 경보하면, 사용자는 튜브피크를 이용하여 상기 잔량 튜브에 삽입하여 인출 분리하여 제거하게 되는데,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
더우기 상기 잔량튜브의 내부 구멍이 일정하게 성형되지 않기 때문에 튜브피크에 의해 원활히 삽입 고정하여 인출하는 작업이 더욱 불편하였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출원인은 상기한 제본 천공기의 몰딩튜브 잔량을 자동 배출하여 제거하는 장치를 이미 개시한 바 있다.
이는 리미트스위치(7)에 의해 튜브안내관(3)으로 공급되는 몰딩튜브(2)의 잔량을 검출하여 제본 불능으로 검출되면, 상기 가이드핀(8)이 캠작동부(30)에 의해 일정 거리 이동한 후, 상기 커터(6)가 이동하면서 커터에 지지되어 있던 몰딩튜브(2)의 잔량을 하부로 낙하하여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즉, 종래와 같이 별도의 튜브피크를 이용하여 몰딩튜브(2)의 잔량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가이드핀(8)과 커터(6)를 이동시켜 몰딩튜브(2)의 잔량을 하부로 낙하시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본 천공기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개폐가능한 받침서랍이 구비되어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장치는 상기 몰딩튜브(2)의 잔량이 하부로 낙하하면서 별도의 안내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천본 천공기 내부의 캠작동부나 기타 부품속으로 떨어지면서 장치의 고장 및 오작동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A/S요청이 급증함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몰딩튜브의 잔량이 가이드핀과 커터의 이동에 의해 낙하 배출시에 하부의 받침서랍으로 일정하게 배출 안내되어 수거하도록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몰딩튜브 잔량이 기타 부품 내부로 낙하되어 장치의 고장이나 오작동 유발함을 방지하면서 제품 신뢰도를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천공 제본기의 튜브안내관을 통해 삽입 안내되는 몰딩튜브가 제본하기에 부족한 잔량으로 감지되어 가이드핀의 수평이동과 커터의 이동으로 하부로 배출 처리하되;
상기 지지편 및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요홈부 측방에 수직의 측벽 프레임과 배면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안내프레임을 형성하는 배출유도수단을 구비하여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편은 후방로 몰딩튜브 잔량을 전방의 안내프레임을 향하여 탄발 안내하도록 상향 절곡된 절곡부와, 상부에 몰딩튜브 잔량을 안내프레임으로 안내하도 록 측벽 프레임측에서 안내프레임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를 형성한 것에 의해 몰딩튜브의 잔량을 제본 천공기의 하부 받침서랍으로 일정하게 배출 안내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천공 제본기(1)의 튜브안내관(3)을 통해 삽입 안내되는 몰딩튜브(2)를 커터(6) 이동으로 하부의 가이드핀(8)에 삽입되면서 베드(21)상에 적층된 지편의 두께에 비례하여 절단 위치를 승하강 조절되는 지지편(9)에 지지되어 다시 상기 커터(6)의 이동으로 절단된 상태로 가이드핀이 캠작동부(30)에 의해 수평 및 수직으로 캠이동하여 일측 베드(21)상에 적층된 지편(15)의 천공 구멍으로 몰딩튜브를 삽입, 상하 몰딩하므로 적층 지편을 제본하되;
상기 튜브안내관(3)을 통해 삽입 안내공급되는 몰딩튜브(2)를 리미트스위치(7)에 의해 제본하기에 부족한 잔량으로 감지하면, 가이드핀(8)의 수평이동과 커터(6)의 이동으로 하부로 배출 처리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9) 및 가이드핀(8)이 삽입되는 요홈부(102)를 형성하고, 상기 요홈부의 일측에는 전후로 수직의 측벽 프레임(110)과 타측에는 몰딩튜브의 잔량을 분리가능한 하부의 받침서랍(300)으로 일정하게 배출 안내하도록 배면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안내프레임(120)과 절결 형성된 낙하공간부(125)를 일체 형성하는 배출유도수단(100)을 구비하여 제본 천공기(1) 내부의 고정프레임(200)상 에 고정 설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배출유도수단(100)의 안내프레임(120)은 상부로 수직의 배면 프레임(130)을 연장형성하고, 하부로 고정프레임(200)에 설치하기 위한 수직의 지지프레임(140)을 일체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40)에는 체결볼트(146)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145)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편(9)은 가이드핀(8)이 삽입되도록 후방 홈부(9a)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연장편(90)의 단부를 낙하 배출되는 몰딩튜브 잔량을 전방의 안내프레임(120)을 향하여 탄발 안내하도록 상향 절곡된 절곡부(95)를 형성하여 이룬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9)의 상부에는 지지편 상부로 낙하되는 몰딩튜브 잔량을 안내프레임(120)으로 안내하도록 측벽 프레임(110)측에서 안내프레임(120)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96)를 형성하여 이룬다.
또한, 상기 지지편(9)을 지지 설치하는 지지바(50)의 내측면으로도 안내프레임(120)측으로 향하는 경사면(55)을 형성하여 이룬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지지편(9)의 후방에는 몰딩튜브 잔량을 배출하기 위해 수평 이동한 가이드핀(8)이 위치하고, 상기 지지편(9)에는 연장편(90) 단부의 절곡부(95)와 안내프레임(120)을 향하는 경사부(96) 및 지지바(50)상의 경사면(55)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편(9)과 가이드핀(8)이 삽입되는 요홈부(102)의 측방에는 측벽프레임(110)과 경사진 안내프레임(120)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몰딩튜브의 잔량이 지지편(9)과, 배출유도수단(100)을 통해 하부의 받침서랍(300)으로 일정하게 배출 안 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로서, 1a는 제본 천공기(1)의 케이싱 벽면, 91은 탄발 지지스프링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제본 천공기(1)의 제본과정에서 튜브안내관(3)을 통해 안내되는 몰딩튜브(2)의 길이를 리미트스위치(7)에 의해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미트스위치(7)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즉 제본하기에 불능한 짧은 길이의 몰딩튜브(2)의 잔량인 경우에 이를 리미트스위치가 감지하여 제어부가 제본 불능임을 확인하고, 별도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및 경보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몰딩튜브의 잔량을 배출하는 작동을 자동 또는 선택 버튼에 의해 행하면, 상기 가이드핀(8)이 캠작동부(30)에 의해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핀(8)은 지지편(8)의 홈부(9a)에서 후방으로 벗어난 위치로 위치한다.
이와 함께 상기 커터(6)가 이동하면서 커터에 지지되어 있던 몰딩튜브(2)의 잔량을 하부로 낙하하여 배출하게 되다.
이때, 하부로 낙하 배출되는 몰딩튜브(2)의 잔량은 하부의 지지편(9)상에 낙하된다.
즉, 상기 지지편(9)상의 가이드핀(8)에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편(9) 상부로 낙하된다.
이와 같이 지지편(9)상부로 낙하된 몰딩튜브(2)의 잔량은 지지편(9)에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좌우측방이나 전방으로 향하면서 본 발명의 배출유도수단(100)에 배출 안내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상기 지지편(9)에 낙하된 몰딩튜브(2)의 잔량은 지지편(9)에 부딪혀 불규칙하게 튕기면서 좌우측이나 전후방을 향하면서 일측의 측벽프레임(110)에 1차적으로 부딪혀 안내프레임(120)에 안내되거나 바로 안내프레임(120)에 안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몰딩튜브(2)의 잔량이 지지편(9)의 후방으로 튕기는 경우에 지지편을 벗어난 후방위치에는 가이드핀(8)이 위치하고, 상기 지지편(9)의 홈부(9a) 양측으로 형성되는 연장편(90)의 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상향 절곡된 절곡부(95)에 의해 몰딩튜브 잔량을 전방으로 탄발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편(9)의 상부로 낙하되는 경우에 측벽 프레임(110)측에서 안내프레임(120)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96)에 의해 몰딩튜브(2)의 잔량을 안내프레임(120)으로 안내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편을 지지하는 지지바(50)의 내측면으로 경사면(55)을 이루는 것에 의해 몰딩튜브(2)의 잔량을 안내프레임(120)으로 안내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안내프레임(120)으로 몰딩튜브(2)의 잔량이 안내시, 후방으로는 경사면에 의해 튕겨져 나감을 방지하게 되고, 전방으로는 제본 천공기(1)의 벽면(1a)이 위치하여 다시 안내프레임(120)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지지편(9)의 후방에는 몰딩튜브 잔량을 배출하기 위해 수평 이동한 가이드핀(8)이 위치하고, 상기 지지편(9)에는 연장편(90) 단부의 절곡부(95)와 안내프레임(120)을 향하는 경사부(96) 및 지지바(50)상의 경사면(55)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편(9)과 가이드핀(8)이 삽입되는 요홈부(102)의 측방에는 측벽프레임(110)과 경사진 안내프레임(120)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몰딩튜브(2)의 잔량이 지지편(9)과, 배출유도수단(100)의 안내프레임(120) 및 낙하공간부(125)를 통해 일정하게 안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안내프레임(120)에 의해 일정하게 안내 배출되는 몰딩튜브(2)의 잔량은 제본 천공기(1)의 하부에 위치하는 별도의 받침서랍(300)에 일정하게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받침서랍(300)을 정기적으로 비워주기만 하면 몰딩튜브의 잔량 처리를 완벽하게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배출유도수단(100)은 금속재로 절곡 형성하거나 합성수지재로 성형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유도수단(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프레임(120)의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수직의 보강 측벽프레임(115)을 추가 형성하도록 변형 실시 할수도 있음은 물론인데, 이는 상기 안내 프레임(120)으로 낙하 안내 배출되는 몰딩튜브의 잔량이 전방으로 튕기는 것을 보강 측벽프레임(115)이 방지하여 상기 안내 프레임(120)을 따라 낙하공간부(125) 하부로 일정하게 배출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몰딩튜브의 잔량이 가이드핀과 커터의 이동에 의해 낙하 배출시에 상기 지지편 단부의 절곡부와 경사부, 상기 지지편이 삽입되는 요홈부 측방의 측벽프레임과 경사진 안내프레임을 형성하는 배출유도수단을 통해 제본 천공기 하부의 받침서랍으로 일정하게 안내 배출되어 수거하도록 하므로서 종래와 같은 기타 부품내부로 낙하되어 장치의 고장이나 오작동 유발함을 방지하면서 제품 신뢰도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4)

  1. 천공 제본기(1)의 튜브안내관(3)을 통해 삽입 안내되는 몰딩튜브(2)를 커터(6) 이동으로 하부의 가이드핀(8)에 삽입되면서 베드(21)상에 적층된 지편의 두께에 비례하여 절단 위치를 승하강 조절되는 지지편(9)에 지지되어 다시 상기 커터(6)의 이동으로 절단된 상태로 가이드핀이 캠작동부(30)에 의해 수평 및 수직으로 캠이동하여 일측 베드(21)상에 적층된 지편(15)의 천공 구멍으로 몰딩튜브를 삽입, 상하 몰딩하므로 적층 지편을 제본하되;
    상기 튜브안내관(3)을 통해 삽입 안내공급되는 몰딩튜브(2)를 리미트스위치(7)에 의해 제본하기에 부족한 잔량으로 감지하면, 가이드핀(8)의 수평이동과 커터(6)의 이동으로 하부로 배출 처리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9) 및 가이드핀(8)이 삽입되는 요홈부(102)를 형성하고, 상기 요홈부의 일측에는 전후로 수직의 측벽 프레임(110)과 타측에는 몰딩튜브의 잔량을 분리가능한 하부의 받침서랍(300)으로 일정하게 배출 안내하도록 배면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안내프레임(120)과 절결 형성된 낙하공간부(125)를 일체 형성하는 배출유도수단(100)을 구비하여 제본 천공기(1) 내부의 고정프레임(200)상에 고정 설치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천공기의 몰딩튜브 잔량 배출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9)은 가이드핀(8)이 삽입되도록 후방 홈부(9a)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연장편(90)의 단부를 낙하 배출되는 몰딩튜브 잔량을 전방의 안내프레임(120)을 향하여 탄발 안내하도록 상향 절곡된 절곡부(95)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천공기의 몰딩튜브 잔량 배출 안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9)의 상부에는 지지편 상부로 낙하되는 몰딩튜브 잔량을 안내프레임(120)으로 안내하도록 측벽 프레임(110)측에서 안내프레임(120)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96)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천공기의 몰딩튜브 잔량 배출 안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수단(100)은 안내 프레임(120)의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수직의 보강 측벽프레임(115)을 추가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천공기의 몰딩튜브 잔량 배출 안내장치.
KR1020060086246A 2006-09-07 2006-09-07 제본 천공기의 몰딩튜브 잔량 배출 안내장치 KR100722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246A KR100722412B1 (ko) 2006-09-07 2006-09-07 제본 천공기의 몰딩튜브 잔량 배출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246A KR100722412B1 (ko) 2006-09-07 2006-09-07 제본 천공기의 몰딩튜브 잔량 배출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2412B1 true KR100722412B1 (ko) 2007-05-28

Family

ID=3827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246A KR100722412B1 (ko) 2006-09-07 2006-09-07 제본 천공기의 몰딩튜브 잔량 배출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4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047A (ko) * 2021-10-12 2023-04-19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잔여 몰딩튜브 배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590B1 (ko) * 2000-11-21 2004-01-31 노희옥 제본기의 천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590B1 (ko) * 2000-11-21 2004-01-31 노희옥 제본기의 천공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공보 제415590호(2004.1.31.공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047A (ko) * 2021-10-12 2023-04-19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잔여 몰딩튜브 배출장치
KR102539673B1 (ko) 2021-10-12 2023-06-01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잔여 몰딩튜브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9656B1 (en) Packaging machine
JP5779450B2 (ja) 目打ち装置を備える裁断機、およびその目打ち屑除去方法
KR102158728B1 (ko)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KR100619131B1 (ko) 전자동 천공기
KR20190131373A (ko) 제본천공기
KR100722412B1 (ko) 제본 천공기의 몰딩튜브 잔량 배출 안내장치
KR102100170B1 (ko) 제본천공기
CN210061363U (zh) 一种纸板自动裁切装置
US4909893A (en) Perforator
KR200451962Y1 (ko) 천공기 및 제본천공기의 천공장치
KR20120058495A (ko) 신용카드 펀칭기의 시트 조절장치
JP4613602B2 (ja) ステープラーにおける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及びステープル脚切断屑処理装置
KR102194224B1 (ko) 제본천공기용 프레스암 고정부재
KR100613009B1 (ko) 열교환기용 헤더파이프의 튜브삽입홀 천공장치 및 그천공방법
JP2010120027A (ja) プレス成形機及びその送風機構
EP0545724A1 (en) Cigarette hopper vane jam prevention device
KR102081224B1 (ko) 제본천공기용 상부 히터블록 위치 확인장치
KR100623040B1 (ko) 천공 제본기의 잔량 튜브 자동 제거 방법
KR101322098B1 (ko) 지폐 계수 결속기
EP1036637A1 (en) Invalidating device for perforating plane objects
KR101553641B1 (ko) 자동서류발급장치
JP6846296B2 (ja) テープ回収装置および同装置を備えた部品実装装置
JP2004330315A (ja) シート、袋等のシート状被切断物の切断機
KR101519884B1 (ko) 통과형 천공기
KR102539673B1 (ko) 제본천공기용 잔여 몰딩튜브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