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981B1 - 광정보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정보 틸팅방법 - Google Patents

광정보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정보 틸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981B1
KR100721981B1 KR1020060031297A KR20060031297A KR100721981B1 KR 100721981 B1 KR100721981 B1 KR 100721981B1 KR 1020060031297 A KR1020060031297 A KR 1020060031297A KR 20060031297 A KR20060031297 A KR 20060031297A KR 100721981 B1 KR100721981 B1 KR 100721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information
auxiliary
light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31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광정보 틸팅방법은 광정보 기록매체로 보조광을 입사시킨다. 이때 상기 보조광은 기준광과 신호광이 이루는 평면과 소정의 입사각도를 가져 기준광에 의해 재생되는 데이터 이미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보조 이미지를 검출한다. 상기 보조 이미지로부터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의 틸팅 여부를 판단한다.
홀로그램, 광정보, 틸트, 보상

Description

광정보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정보 틸팅방법{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optical information tilt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재생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기준광과 보조광 사이의 배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보조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틸팅 검출기를 통해 보조영역을 검출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틸팅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10 : 광원
170 : 광정보 검출기
180 : 틸팅 검출기
200 : 광정보 기록매체
본 발명은 광정보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정보 틸팅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광정보 기록매체의 틸팅 여부를 판별하는 광정보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정보 틸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전산 산업의 발달이 급속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정보의 저장 및 입출력에 관계되는 정보저장장치는 용량의 대량화, 입출력 속도의 고속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최근에는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볼륨 홀로그램(volume hologram) 원리를 이용한 광정보 처리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홀로그램을 이용한 광정보 처리장치는 광정보 기록매체의 일정 영역에 대량의 면 정보를 저장하는 페이지 지향적인 메모리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병렬 데이터 처리방식을 이용하므로 근본적으로 입출력 속도를 초고속화할 수 있으며, 기계적인 구동부를 최소화한 시스템이 가능하여 데이터 처리 시간을 매우 짧게 할 수 있다.
홀로그램을 이용한 광정보 처리장치의 기본 원리는 두 개의 광, 즉 신호광(signal beam)과 기준광(reference beam) 사이의 간섭(interference) 패턴의 저장과 관련되어 있다. 신호광에는 기록하기 원하는 원본 데이터를 2차원 패턴으로 실어 광정보 기록매체로 조사한다. 기준광을 광정보 기록매체에 신호광과 중첩되게 조사하면, 기준광과 신호광은 홀로그램(간섭 패턴)을 형성하고 이 홀로그램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광정보 기록매체에 기준광을 조사하여 재생되는 홀로그램의 이미지를 검출한다.
홀로그램을 이용한 광정보 처리장치는 다양한 다중화(multiplexing) 기법을 이용하여 광정보 기록매체의 동일 위치에 데이터를 중첩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한 면적을 갖는 광정보 기록매체라도 저장되는 용량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알려진 다중화 기법으로는 각도 다중화(angle multiplexing), 위상-코드 다중화(phase-code multiplexing), 파장 다중화(wavelength multiplexing), 프랙탈 다중화(fractal multiplexing), 쉬프트 다중화(shift multiplexing), 페리스트로픽 다중화(peristrophic multiplexing) 등이 있다.
홀로그램 이미지 즉 데이터 이미지로부터 원본 데이터를 정확히 재생하기 위해서는 기준광이 기록할 때와 정확히 같은 위치와 각도를 갖고 광정보 기록매체에 입사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각도 다중화의 경우 기준광의 입사각이 브래그 각(Bragg angular)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기준광의 회절 효율이 급격히 떨어져 원하는 데이터 이미지가 재생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런데 광정보 기록매체는 일반적으로 회전하는 디스크 형태이므로, 재생시 기준광의 초점이 어긋나거나(defocus), 일그러질 수 있다(distort). 이는 주로 광정보 기록매체의 흔들림(wobbling), 회전축으로부터의 중심 이탈, 디스크 면의 변형 등에 기인한다.
따라서, 광정보 처리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재생시 광정보 기록매체의 틸팅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틸팅 에러가 발생한 경우 이를 보상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광정보 기록매체의 틸트 에러를 검출하는 광정보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광정보 기록매체의 틸트 에러를 검출하는 광정보 틸팅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광정보 틸팅방법은 광정보 기록매체로 보조광을 입사시킨다. 이때 상기 보조광은 기준광과 신호광이 이루는 평면과 소정의 입사각도를 가져 기준광에 의해 재생되는 데이터 이미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보조 이미지를 검출한다. 상기 보조 이미지로부터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의 틸팅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이미지와 상기 보조 이미지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광정보 재생장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기준광과 보조광으로 분리하는 광 분리기, 상기 기준광이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로 입사되어 재생되는 데이터 이미지를 검출하는 기준광 검출기, 및 상기 보조광을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로 상기 기준광과 신호광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입사시켜 재생되는 보조 이미지를 검출하는 틸팅 검출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이미지와 상기 보조 이미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기준광과 상기 보조광은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 상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점에 입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이미지는 메인영역과 보조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틸 팅 검출기는 상기 보조영역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의 틸팅 여부를 판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재생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정보 재생장치(100)는 광원(110), 광 분리기(120), 광정보 검출기(170) 및 틸팅 검출기(180)를 포함한다.
광원(110)은 소정 파장의 광을 발생시킨다. 광원(110)은 높은 파장 안정성을 갖는 고체 레이저나 가스 레이저가 사용된다. 광원(110)에 방출된 광은 광 분리기(120)를 통해 기준광(R)과 보조광(A)으로 분리된다.
기준광(R)의 경로 상에는 기준광(R)의 입사각도(θr)를 바꾸는 광 다중화기(130)가 배치된다. 광 다중화기(130)는 갈바노 미러와 같은 회전 미러일 수 있다. 기준광(R)이 광정보 기록매체(200)로 입사되는 각도(θr)가 변함에 따라 재생되는 데이터 이미지가 달라져 다중화된 광정보를 차례로 재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각도 다중화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파장 다중화, 쉬프트 다중화 등 광정보 기록 매체(200)의 저장 밀도를 늘이기 위한 기타 다른 다중화 기법에도 본 발명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기준광(R)은 기록시 사용된 입사 각도와 동일한 입사 각도를 갖고 광정보 기록매체(200)로 입사된다. 기준광(R)이 광정보 기록매체(200)로 입사되면 그 반대편 측으로 재생광이 발생된다. 재생광에는 기록된 광정보 즉 홀로그램이 담겨져 메인 역변환 렌즈(175)를 거쳐 데이터 이미지로 변환되고, 이 데이터 이미지가 광정보 검출기(170)에 의해 검출된다. 메인 역변환 렌즈(175)는 푸리에 역변환(Fourier inverse-transformation) 렌즈이다.
광정보 기록매체(200)는 디스크 형태로 투명한 재질의 광 반응성(photosensitive) 매체이다. 광정보 기록매체(200)는 포토폴리머(photopolymers), 무기 크리스탈(inorgarnic crystal), 포토그라픽 필름(photographic film) 등이 채택될 수 있다.
광정보 검출기(170)는 데이터 이미지를 검출한다. 검출된 데이터 이미지는 디코딩부(미도시)에 의해 이진 데이터로 변환되어 원본 데이터로 디코딩된다. 광정보 검출기(170)는 CCD(charge-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또는 그 외의 광검출이 가능한 광학 소자일 수 있다.
한편, 보조광(A)은 광학계(140)를 지나 광정보 기록매체(200)로 입사된다. 기준광(R)과 보조광(A)은 광정보 기록매체(200) 상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점으로 입사된다. 이때, 보조광(A)이 광정보 기록매체(200)로 입사되는 각도(ψ)는 광정보를 기록할 때 사용된 기준광(R)과 신호광(S)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이하, 기준면) 에 대해 소정의 크기를 갖는다. 즉 보조광(A)은 상기 기준면에 평행하지 않게 입사된다.
보조광(A)이 기준광(R)과 동일한 지점으로 입사되면 광정보 기록매체(200)로 입사되면 기준광(R)에 의해 재생되는 재생광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보조 재생광이 광정보 기록매체(200)의 반대편으로 재생된다. 이때 보조 재생광이 재생되는 방향은 재생광의 방향과 다르며, 보조광(A)의 입사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재생광과 보조 재생광에 의해 검출되는 이미지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광정보 기록매체(200)에는 기준광(R)과 신호광(S)에 의한 간섭 패턴 즉 홀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재생시 기준광(R)만을 입사시키면 신호광(S)과 동일한 재생광이 형성되어 이로 인한 데이터 이미지가 광정보 검출기(170)를 통해 검출된다. 만약 기준광(R)을 기준면을 따라 입사 각도를 바꾸면서 조사하면 다중화된 광정보가 검출된다. 기준면에 평행하지 않게 또 다른 기준광 즉 보조광(A)을 입사시키면 상기 재생광과 동일하지만 다른 각도를 갖고 보조 재생광이 형성된다. 보조 재생광이 통과하는 보조 역변환 렌즈(185)는 메인 역변환 렌즈(175)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보조 재생광이 보조 역변환 렌즈(185)를 거치면서 형성된 보조 이미지는 기준광(R)을 통해 재생되는 데이터 이미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틸팅 검출기(180)에서 보조 이미지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보조 이미지가 데이터 이미지와 겹쳐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누화(漏話; cross talk)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보조광(A)과 기준면 사이에는 소정 각도(ψ)를 만족해야 한다.
도 2는 기준광과 보조광 사이의 배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준광(R)과 보조광(A)을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 이미지와 보조 이미지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조광(A)과 기준면 사이의 각도(ψ)는 다음의 수학식 1을 만족해야 한다.
Figure 112006024040741-pat00001
여기서, d는 보조 이미지의 크기, f는 광학계의 초점 거리(focal length), θs는 신호광(S)의 광정보 기록매체(200)로의 입사각도, θr은 기준광(R)의 광정보 기록매체(200)로의 입사각도를 나타낸다. 수학식 1에 대하여는 디미트리 살티(Demetri Psaltis) 등의 "Method for holographic storage using peristrophic multiplexing", Optics Letters, Vol. 19, No. 13, pp. 993-994, 1994 를 참조할 수 있다.
보조광(A)과 기준면 사이의 각도(ψ)가 수학식 1을 만족한다면 보조 이미지와 데이터 이미지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다. 상기 각도(ψ)는 광정보 검출기(170)와 틸팅 검출기(180) 사이의 배치나 기타 광학계의 배치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보조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조 이미지는 메인영역(310)과 보조영역(320a, 320b)을 포함한다. 메인영역(310)에는 재생하기 원하는 원본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담겨져 있다. 메인영역(310)은 온(on)값 또는 오프(off)값을 갖는 다수의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형태를 갖는다.
보조영역(320a, 320b)은 틸팅 검출기(180)에 의해 검출되어 광정보 기록매체(200)의 틸팅 여부를 판단하는 데 이용된다. 여기서 보조영역(320a, 320b)은 별도의 영역으로 광정보 기록매체(200)에 기록되어 질 수 있으나, 기타 광정보 기록매체(200) 상에서 틸팅 검출기(180)에 의해 검출가능한 어떤 영역이라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영역(320a, 320b)은 메인영역(320)을 구분하기 위한 마스크나 서보 데이터를 판별하는 어드레스 영역일 수 있다. 이경우 광정보 기록매체(200)의 다이내믹 레인지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보조영역(320a, 302b)은 서로 이격된 제1 보조영역(320a)과 제2 보조영역(320b)을 포함한다. 틸팅 검출기(180)는 보조 이미지 전체를 검출하여 틸팅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영역(320a, 320b)만을 검출하여 틸팅 여부를 판별한다.
보조 이미지는 데이터 이미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광정보 기록매체(200)에서 틸팅 에러가 발생하면 데이터 이미지가 틀어질 뿐만 아니라 보조 이미지도 틀어진다. 따라서 보조영역(320a, 320b)의 위치를 판별하여 보조 이미지가 틀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광정보 기록매체(200)의 틸팅 여부를 판별한다.
보조 이미지 전체를 검출하여 실시간으로 광정보 기록매체(200)의 틸팅 여부 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응답 속도가 빠른 다수의 포토 다이오드가 필요하고, 이는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보조 이미지에서 그 크기가 비교적 작은 보조영역(320a, 320b)만을 검출하여 틸팅 에러를 판단함으로써 광정보 재생장치(100)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보조 영역(320a, 320b)의 위치를 판별하기 위해 틸팅 검출기(180)는 한 쌍의 보조영역(320a, 320b)에 대응하는 한 쌍의 4분할 포토 다이오드(P1, P2, P3, P4; 도 3 참조)로 형성된다. 제1 틸팅 검출기(180a)는 제1 보조영역(320a)을 검출하고, 제2 틸팅 검출기(180b)는 제2 보조영역(320b)을 검출한다.
도 4는 틸팅 검출기를 통해 보조영역을 검출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1 보조영역(320a)을 검출하는 제1 틸팅 검출기(180a)와 제2 보조영역(320b)을 검출하는 제2 틸팅 검출기(180b)는 그 구성과 원리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틸팅 검출기(180a)가 제1 보조영역(320a)으로부터 광정보 기록매체(200)의 틸팅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틸팅 검출기(180a)는 4개의 포토 다이오드(P1, P2, P3, P4)를 어레이로 배치하여 구비한다. 4개의 포토다이오드(P1, P2, P3, P4)는 사각형 형태로 배치하여 입사되는 광의 세기를 검출한다.
광정보 기록매체(190)의 위치가 정확하다면, 즉 틸팅 에러가 없다면 제1 틸팅 검출기(180a)에 의해 검출되는 제1 보조영역(320a)은 중심에 위치한다. 이때 4개의 포토다이오드(P1, P2, P3, P4)에서 검출되는 광의 세기는 거의 동일하여 (P1 + P3) - (P2 + P4) = 0 이 된다.
광정보 기록매체(190)에서 틸트 에러가 발생하면, 제1 보조영역(320a)의 위치가 틀어진다. 이 경우 4개의 포토다이오드(P1, P2, P3, P4)에서 검출되는 광의 세기에는 오차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제1 보조영역(320a)이 왼쪽 방향으로 치우쳐져 검출되면 (P1 + P3) - (P2 + P4) > 0 이다. 제1 보조영역(320a)이 오른쪽 방향으로 치우쳐져 검출되면 (P1 + P3) - (P2 + P4) < 0 이다. 제1 보조영역(320a)이 윗쪽 방향으로 치우쳐져 검출되면 (P1 + P2) - (P3 + P4) > 0 이다. 제1 보조영역(320a)이 아랫쪽 방향으로 치우쳐져 검출되면 (P1 + P2) - (P3 + P4) < 0 이다. 이런 식으로 제1 틸팅 검출기(180a)를 통해 제1 보조영역(320a)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광정보 기록매체(190)의 틸트 여부를 판단한다.
제1 보조영역(320a) 외에도 제2 보조영역(320b)을 제2 틸팅 검출기(180b)로 검출한다면, 광 정보 기록매체(190)의 전체적인 기울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광정보 기록매체의 틸팅 에러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영역(320a, 320b)은 2개로 나누어져 있으나, 보조영역(320a, 320b)의 수, 크기 및 배치는 광정보 재생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이나 틸팅 검출기(180)의 배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영역(320a, 320b)의 수는 제한이 없으며, 그 수는 1개 또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보조영역(320a, 320b)은 메인 영역(310) 외부에 배치된 것을 나타내었으나, 메인 영역(31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틸팅 검출기(180)는 보조영역(320a, 320b)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 로 이루어질 수 있다. 4분할 포토다이오드 뿐만 아니라 2분할 포토다이오드가 될 수 있고, 또는 CMOS나 CC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틸팅 검출기(180)는 제1 틸팅 검출기(180a)와 제2 틸팅 검출기(180b)로 별도로 이루어지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틸트 보상기(190)는 광정보 기록매체(200)를 회전 및 이동시켜, 틸트 에러를 보상한다. 즉 틸트 보상기(190)는 틸팅 검출기(180)로부터 틸트 에러를 피드백(feedback)받아 광정보 기록매체(200)를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1의 광정보 재생장치를 이용한 광정보 틸팅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틸팅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원(110)에서 광을 방출하여 기준광(R)과 보조광(A)을 광정보 기록매체(200)로 입사시킨다(S110). 기준광(R)과 보조광(A)은 광정보 기록매체(200) 상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점으로 입사된다.
보조광(A)을 통해 재생된 보조 이미지를 틸팅 검출기(180)를 통해 검출한다(S120). 틸팅 검출기(180)는 보조 이미지에 포함된 보조영역(320a, 320b)을 검출하여 광정보 기록매체(200)의 틸팅 여부를 판단한다(S130). 즉 틸팅 검출기(180)는 보조영역(320a, 320b)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광정보 기록매체(200)에 틸팅 에러를 검출한다.
광정보 기록매체(200)에서 틸팅 에러가 검출되는 경우 틸팅 보상기(190)를 통해 광정보 기록매체(200)를 회전 및 이동시켜 이를 보상한다(S140).
광정보 기록매체(200)의 틸팅 에러가 존재하지 않거나, 틸팅 에러를 보상한 후 기준광(R)을 통해 재생되는 데이터 이미지를 광정보 검출기(170)를 통해 검출한다(S150). 이로써 원본 데이터가 재생된다.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광정보 기록매체의 틸팅 에러를 판별함으로써 광정보 재생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틸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구성없이 보조광을 입사시키는 광학계과 보조 이미지를 검출하기 위한 틸팅 검출기만이 추가되므로 그 구성이 간단하고, 전체적인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8)

  1. 기준광과 신호광이 입사되어 광정보가 기록된 광정보 기록매체의 틸팅 여부를 판단하는 광정보 틸팅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로 상기 기준광과 상기 신호광이 이루는 평면과 소정 각도를 갖도록 보조광을 입사시켜 상기 기준광에 의해 재생되는 데이터 이미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보조 이미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이미지로부터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의 틸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틸팅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이미지와 상기 보조 이미지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틸팅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의 상기 틸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메인영역과 보조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보조 이미지로부터 상기 보조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보조영역의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틸팅방법.
  4. 광정보 기록매체에 기록된 광정보를 재생하는 광정보 재생장치에 있어서,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기준광과 보조광으로 분리하는 광 분리기;
    상기 기준광이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로 입사되어 재생되는 데이터 이미지를 검출하는 기준광 검출기; 및
    상기 보조광을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로 상기 기준광과 신호광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입사시켜 재생되는 보조 이미지를 검출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의 틸팅 여부를 판별하는 틸팅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재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이미지와 상기 보조 이미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재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광과 상기 보조광은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 상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점에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재생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이미지는 메인영역과 보조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틸팅 검출기는 상기 보조영역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의 틸팅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재생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영역은 적어도 2개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재생장치.
KR1020060031297A 2006-04-06 2006-04-06 광정보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정보 틸팅방법 KR10072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297A KR100721981B1 (ko) 2006-04-06 2006-04-06 광정보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정보 틸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297A KR100721981B1 (ko) 2006-04-06 2006-04-06 광정보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정보 틸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981B1 true KR100721981B1 (ko) 2007-05-28

Family

ID=38278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297A KR100721981B1 (ko) 2006-04-06 2006-04-06 광정보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정보 틸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987B1 (ko) * 2008-08-05 2015-02-12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광정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틸팅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494A (ko) * 2004-03-08 2005-09-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기록 매체의 틸트 측정이 가능한 홀로그래픽 디지털데이터 저장시스템
KR20050091531A (ko) * 2004-03-12 2005-09-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dds 시스템의 틸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17369A (ko) * 2004-08-20 2006-02-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롬 재생기의 서보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494A (ko) * 2004-03-08 2005-09-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기록 매체의 틸트 측정이 가능한 홀로그래픽 디지털데이터 저장시스템
KR20050091531A (ko) * 2004-03-12 2005-09-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dds 시스템의 틸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17369A (ko) * 2004-08-20 2006-02-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롬 재생기의 서보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987B1 (ko) * 2008-08-05 2015-02-12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광정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틸팅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326897A (ja) ホログラム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JP2003337524A (ja) 角度多重型のホログラム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ホログラム再生装置及び方法
US20080267039A1 (en) Holographic recording apparatus, holographic reproducing apparatus and holograph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4355607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方法、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装置、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再生方法、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再生装置及び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媒体
JP4949101B2 (ja) 光情報再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光情報再生方法
US20090016189A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method of reproducing data, and servo controlling method
JP2004219672A (ja) ホログラム記録方法、ホログラム記録の再生方法、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およびホログラム再生装置
KR100721981B1 (ko) 광정보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정보 틸팅방법
JP2006235261A (ja) ホログラム情報再生装置
US7428206B2 (en) Holographic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KR100727779B1 (ko) 광정보 재생장치, 광정보 기록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광정보 재생방법
JP2007240580A (ja) 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
KR100738978B1 (ko) 홀로그래피를 이용한 광정보 재생장치 및 광정보 기록장치
KR20080099452A (ko) 광정보 기록장치, 광정보 재생장치, 광정보 기록재생장치,광정보 기록방법 및 광정보 재생방법
US20080170479A1 (en) Optical information storage apparatus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US20050002310A1 (en) Holographic data storage apparatus and servo control method thereof
JP4513544B2 (ja) ホログラム再生装置及びホログラム再生方法
JP4680225B2 (ja) 光情報処理装置及び光情報処理方法
KR100750265B1 (ko) 광 정보 기록 장치 및 광 정보 처리 시스템
JP2006154603A (ja) ホログラム記録装置
JP2007226908A (ja) ホログラム記録方法、ホログラム再生方法、ホログラム再生装置
US20070103753A1 (en) Alignment of Holographic Images on Detector
KR100715733B1 (ko) 광정보 재생장치, 광정보 기록장치 및 광 틸팅 방법
JP2008299992A (ja) ホログラフィックメモリ記録装置、ホログラフィック再生装置、又は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再生装置
JP2007042154A (ja) 光記録媒体用対物光学系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