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897B1 - River purifica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River purifica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897B1
KR100721897B1 KR1020050104832A KR20050104832A KR100721897B1 KR 100721897 B1 KR100721897 B1 KR 100721897B1 KR 1020050104832 A KR1020050104832 A KR 1020050104832A KR 20050104832 A KR20050104832 A KR 20050104832A KR 100721897 B1 KR100721897 B1 KR 100721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drop
water
sediment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8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47933A (en
Inventor
조남열
Original Assignee
조남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열 filed Critical 조남열
Priority to KR1020050104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897B1/en
Publication of KR20070047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9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8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정화구조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정화 구조물은 상측으로 하천수가 지나가면 낙차를 형성하는 낙차보와, 상기 낙차보의 하류측에 이격 설치되어 오염 부유물이 체류되는 체류구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측으로 심층수가 통과하는 정화수로가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다리 역할을 하는 완충보와, 상기 완충보의 하류측에 이격 설치되어 정화수로를 통해 유입된 하천수가 상측으로 통과되면서 침전물은 가라앉는 침전물 침전구간을 형성하는 수중보와, 상기 낙차보의 상류와 수중보의 하류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위치되며 하천 바닥에 매립 배관되는 직수관 및 상기 직수관의 관로 개방량을 가변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체류구간상에 구비되어 부력을 받는 플로트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밸브로 된 통수량 조절수단과, 상기 침전구간 상의 하천 바닥측과 수중보의 하류측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위치되는 배출관 및 이 배출관에 설치되어 수작업에 의해 선택적으로 관로 개방을 하는 밸브로 된 침전물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tream purification structure. The stream pur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op-water beam forming a drop when the river water passes upward, and the purification water passage through which deep water passes through the bottom by forming a retention section in which a contaminant suspended matter stays at a downstream side of the drop beam. And a submerged beam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 buffer beam serving as a bridge and spaced apart from the downstream side of the buffer beam to form a sediment sediment section where the sediment sinks while the river water flowing through the purified water passage passes upward.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respectively located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submerged beam, and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float receiving the buoyancy buoyant buoyancy by varyingly adjusting the opening amount of the straight pipe and the straight pipe being buried at the bottom of the stream. A flow rate adjusting means comprising a valve, and a downstream side of the stream on the sedimentation section and a downstream of the underwater bea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charge pipe which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and the inlet and outlet are respectively located on the side and the valve is a valve for opening the pipe selectively by manual operation.

하천, 정화, 부유물, 슬러지, 탱크 River, purification, float, sludge, tank

Description

하천 정화 구조물{River purification structure}River purification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정화 구조물의 측면 설치도,1 is a side view of the stream pur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정화 구조물에서 통수량 조절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flow rate adjusting means in the stream pur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정화 구조물에서 침전물 배출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diment discharge means in the stream pur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정화 구조물에서 탱크가 구비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설치도.Figure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provided with a tank in the stream pur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낙차보 20 : 완충보10: free drop 20: buffer

25 : 정화수로 30 : 수중보25: purified water 30: underwater walk

40 : 직수관 41 : 플로트40: water pipe 41: float

50 : 배출관 s1,s2 : 체류구간, 침전구간50: discharge pipe s1, s2: retention section, sedimentation section

t1,t2 : 상/하 탱크t1, t2: Up / down tank

본 발명은 하천 정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수의 흐름저해를 최소화하면서 수면을 부유하는 오염 부유물을 효율적으로 수집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수질을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하천 정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eam purificatio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eam purification structure capable of efficiently purifying water quality by efficiently collecting and removing contaminant floats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while minimizing flow deterioration of running water. will be.

최근 들어 하천오염의 심각성이 대두됨에 따라 하천정화를 위한 각종 규제안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규제안의 대부분은 공장이나 축산 시설물등에서 방류되는 산업폐수 및 오물이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공장이나 축산 시설물에는 산업폐수 및 오물을 하천으로 방류하기전 별도의 하수처리시설을 통해 정화시키도록 강제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 실효를 거두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as the seriousness of river pollution has emerged, various regulations for river purification have been strengthened. Most of these regulations prevent industrial wastewater and sewage discharged from factories or livestock facilities from flowing directly into rivers. To this end, factories and livestock facilities are forced to be purified by separate sewage treatment facilities before they are discharged into the rivers, and they are becoming more effective.

따라서, 근래에는 하천을 오염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주로 각종 오물투척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오염물들 대부분은 수면에 부유된 상태로 하천의 유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연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주거환경과 자연환경을 심각하게 훼손시키는 원인을 제공한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 main cause of polluting rivers is mainly by throwing various kinds of soils, and most of these pollutants float along the river's incense while floating on the water, not only adversely affecting the natural ecosystem but also living environment and Provide a cause for serious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또한, 수질오염으로 인한 자연 정화 작용을 약화시켜 결과적으로 하천의 부영양화가 심화되어 녹조현상 등의 2차 오염을 야기시키면서 각종 병충해 및 전염병 유발을 촉진하는 원인을 제공하였으며, 오염물이 강과 바다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오염범위를 확산시켜 결과적으로 인공적으로 이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복구비와 시간이 소요되는 폐단을 초래하였다.It also weakens the natural purification action due to water pollution, and consequently, the eutrophication of the river is intensified, causing secondary pollution such as green algae, and promoting the cause of various pests and infectious diseases. In some cases, the spread of contamination and consequent restoration of artificially resulted in huge recovery costs and time-consuming closures.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하천 주변경관 및 생태 구역 등 을 고려하여 친환경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여과식 하천정화 공법과, 물을 가두기 위한 보(러버보)나 둔치 등 하천 주변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하천정화를 실시하는 공법이 제안되었으나, 전자의 여과식 하천정화 공법은 하천의 유수가 통과하는 하도가 아니고 한쪽으로 치우친 하천 변으로 국한되어 적용되므로 전체 하천 통수량의 정화가 불가능하여 그 실효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으며, 후자의 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전체 하천 통수량에 대한 정화가 가능하나 수위에 따라 적절한 정화가 불가능하여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시켜야 하는 단점과 더불어 홍수시에는 통수량을 방해하여 하천 범람의 위험성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conventionally, a filter-type river purification method for removing pollutants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the ecological zone, a beam (rubber) or a blunt to trap water, etc. The method of cleaning the stream by installing the structure around the stream has been proposed. However, the former filtration type of the river cleaning method is limited to the side of the river that is biased to one side and not to the flow of the river. There was a drawback of low effectiveness due to the impossibility.In case of installing the latter beam,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total water volume of the river, but it is impossible to properly purify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There wa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risk of river flooding by impeding the quantity of wat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천 통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오염 부유물에 대한 효율적인 수집을 가능하게 하여 수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하천 정화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eam purification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water quality by enabling the efficient collection of contaminant suspended matter while minimizing the impact on the amount of river water flow. There is a purpose.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 정화 구조물은, 상측으로 하천수가 지나가면 낙차를 형성하는 낙차보와; 상기 낙차보의 하류측에 이격 설치되어 오염 부유물이 체류되는 체류구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측으로 심층수가 통과하는 정화수로가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다리 역할을 하는 완충보와; 상기 완충보의 하류측에 이격 설치되어 정화수로를 통해 유입된 하천수가 상측으로 통과되면서 침전물은 가라앉는 침전물 침전구간을 형성하는 수중보와; 상기 낙차보의 상류와 수중보의 하류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위치되며 하천 바닥에 매립 배관되는 직수관 및 상기 직수관의 관로 개방량을 가변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체류구간상에 구비되어 부력을 받는 플로트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밸브로 된 통수량 조절수단과; 상기 침전구간 상의 하천 바닥측과 수중보의 하류측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위치되는 배출관 및 이 배출관에 설치되어 수작업에 의해 선택적으로 관로 개방을 하는 밸브로 된 침전물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River purify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nd the drop beam to form a drop when the river water flows upward; A buffer beam which is installed at a downstream side of the drop beam to form a retention section in which contaminant suspended matters stay, and a purifying water passage through which deep water passes, and serves as a bridge to the upper side; An underwater beam installed at a downstream side of the buffer beam to form a sediment sediment section in which the sediment sinks while the river water flowing through the purification channel flows upward; Inlet and outlet are respectively located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submersible beam, and the direct pipe which is buried in the bottom of the stream and the variable opening of the straight pipe are variably controlled and connected to the float receiving buoyancy on the retention section. A water flow rate adjusting means that is connected to the valv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pipe which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and the discharge pipe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and the discharge pipe is located in the bottom of the river bottom and the downstream of the submerged beam on the sediment section, respectively, by manual operation.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낙차보와 완충보 그리고 완충보와 수중보 사이에는 각각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상/하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상 탱크는 일측면에 완충보의 정화수로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 탱크는 바닥측에 배출관의 유입구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에 있다.As a preferabl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p beam and the buffer beam and the buffer beam and the submersible beam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anks having a corresponding size, respectively, the upper tank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urified water passage of the buffer beam on one side A drainage hole is formed, and the lower tank has a hole in which an inlet of the discharge pipe communicates with the bottom sid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정화 구조물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ream pur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정화 구조물의 측면 설치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정화 구조물에서 통수량 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정화 구조물에서 침전물 배출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the stream pur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ater flow rate adjusting means in the stream pur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diment discharge means in the river pur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정화 구조물은 하천을 가로질러 낙차보(10)와 완충보(20)와 수중보(30)가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고, 하천의 유량에 따라 적절한 정화 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수량 조절수단 및 모여진 침전물(b)을 배출하기 위한 침전물 배출수단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am pur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spaced apart beams 10, buffer beams 20, and underwater beams 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and the flow rate of the str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water flow rate adjusting means for maintaining a proper purification performance and sediment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llected precipitate (b).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정화 구조물은 하천을 가로질러 낙차보(10)와 완충보(20) 그리고 수중보(30)가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이들 보들이 형성하는 구간에서 부유 상태의 오염 부유물(a)과 침전물(b)이 순차적으로 걸러지도록 하여 하천수 수질을 개선시키며, 하천을 통과하는 유량에 따라 적절한 정화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수량 조절수단과 모여진 침전물(b)을 배출하기 위한 침전물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이다.As shown therein, the stream pur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rop beam 10, a buffer beam 20, and an underwater beam 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cross the stream, and in the section in which these beams are formed. Suspended contaminants (a) and sediments (b) in the suspended state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stream, and to maintain the proper purific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flow rate through the stream and the aggregated sediment (b) It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ediment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상기 낙차보(10)는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보로서 콘크리트나 고무재 또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측으로 하천수가 흘러가는 것에 의해 유속이 감소되고 낙차에 의해 난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낙차보(10)는 하천수가 용이하 게 흘러갈 수 있도록 하면서 낙차에 의한 난류 형성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류측을 바라보는 일측면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소정각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반대측면은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drop beam 10 may be formed of a concrete, rubber or wood as a beam installed across the river, the flow rate is reduced by the flow of the river to the upper side and the turbulence is formed by the drop. The drop beam 10 is preferably provided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turbulence by the drop while allowing the river water to flow easily, for this purpose, one side facing the upstream side has a predetermined angle of inclination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and the opposite side thereof may be formed at a right angl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낙차보(10)는 그 후측으로 즉, 하류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완충보(20)와 함께 부유 상태의 오염 부유물(a)을 수집하기 위한 체류구간(s1)을 형성하게 된다.The drop beam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orms a retention section s1 for collecting contaminant floats a in a floating state together with the buffer beam 2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rear side, that is, the downstream side. .

상기 완충보(20)는 상술한 낙차보(10)를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류측에 설치되는 보로서, 하천수의 유속을 감소시켜 부유 상태의 오염 부유물(a)이 체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완충보(20)는 일정 깊이의 하천수 즉, 하천의 심층수가 하류측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하측에는 소정크기를 갖는 관통로 형태의 정화수로(25)가 형성되는 구조이며, 이때 상기 정화수로(25)는 하천의 형태나 유량 등을 고려하여 그 크기 등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The buffer beam 20 is a beam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at regular intervals based on the drop beam 10 described above, and serves to reduce the flow rate of the river water so that the suspended contaminant (a) in the suspended state can be retained. do. The buffer beam 20 is a stream of a predetermined depth, that is, the deep water of the stream to flow to the downstream side for this purpos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of the purified water passage 25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wherein the Purification water channel 25 may be determined in size or the like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and flow rate of the river.

또한, 상기 완충보(20)는 상부가 수면위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교량 역할을 병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필요시에는 안정적인 통행로 확보를 위해 교량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구조물이 부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buffer beam 20 may be in parallel with the role of the bridge because the upper portion is exposed to the water surface, and if necessary, a separate structure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to perform the bridge role to ensure a stable passage. There will b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완충보(20)는 상기 낙차보(10)를 통과한 하천수의 유속을 급격하게 감소시키고 이 과정에서 하천수에 포함된 오염 부유물(a)이 체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정화수로(25)를 통해 오염 부유물이 포함되지 않은 일정한 깊이의 하천수인 심층수를 하류측으로 유동될 수 있게 한다. The buffer beam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rastically reduces the flow velocity of the river water passing through the drop beam 10 and in this process, the contaminant suspended matter (a) contained in the river water can be retained while the purification channel 25 This allows deep water, a stream of constant depth that does not contain contaminant floats, to flow downstream.

상기 수중보(30)는 상술한 완충보(20)를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후측 즉, 하류측에 설치되는 보로서, 상기 완충보(20)의 하측에 형성된 정화수로(25)를 통해 유입된 하천수가 상측을 통해 하류측으로 흘러가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수중보(30)는 상술한 완충보(20)와 함께 침전물(b)이 모일 수 있는 침전물(b) 침전구간(s2)을 형성하게 된다. The underwater beam 30 is a beam installed at the rear side, that is, the downstream side at regular intervals based on the above-described buffer beam 20, flowing through the purified water passage 25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uffer beam 20. Stream water is provided to flow through the upper side to the downstream side. The underwater beam 30 forms a precipitate (b) sedimentation section (s2) in which the precipitate (b) may be collected together with the buffer beam 20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중보(30)는, 상기 완충보(20)의 정화수로(25)를 통해 유입되는 하천수가 수중보(30)에 의해 그 유속흐름이 급격하게 저하되면서 체류하는 과정에서 비중이 큰 침전물(b)은 가라앉고 정수된 하천수는 수중보(30)의 상측을 통과하여 하류로 유동된다.Submerged beam 3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iver water flowing through the purified water passage 25 of the buffer beam 20, the sediment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in the process of staying while the flow velocity of the underwater stream 30 is sharply lowered (b) sinks and the purified river water flows downstream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underwater beam (30).

상기 통수량 조절수단은 하천의 통수량에 따라 적절한 정화성능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하천의 유량 즉, 우천시 통수량 급격하게 증가되는 경우 상술한 낙차보(10)와 완충보(20) 그리고 수중보(30)에 의한 유속흐름 저하로 인한 하천 범람의 위험성을 낮추면서 교량으로 사용되는 완충보(20)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water flow rate adjusting means is to maintain proper purific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water flow rate of the river, when the flow rate of the river, that is, when the water flow rate rapidly during the rain drop 10 and the buffer beam 20 and the underwater beam 30 In order to prevent the flooding of the buffer beam 20 used as a bridge while lowering the risk of flooding the river due to the flow rate decrease by).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통수량 조절수단은 상술한 낙차보(10)를 기준으로 상류측과 상기 수중보(30)를 기준으로 하류측에 각각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직수관 (40)을 배관하며, 이 직수관(40)은 플로트(41)와 밸브(45)에 의해 선택적으로 관로 개방량이 가변 조절되는 구성이다.To this end, the water flow amount adjus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pipes the water pipe 40 form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at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based on the underwater beam 30 based on the drop beam 10 described above. The pipe 4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ipe opening amount is selectively adjusted by the float 41 and the valve 45.

즉, 상기 직수관(40)은 일종의 관으로서 하천의 크기와 유량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선택되며, 통상 하천의 바닥에 구비되거나 또는 매립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유입구와 배출구는 수중상에 위치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41)는 상기 낙차보(10)와 완충보(20) 사이에 형성되는 체류구간(s1) 상에 구비되어 부력을 받아 수면 위에 떠 있는 것으로서 부력을 받는 공지된 부표 등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밸브(45)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로트(41)의 하측에 위치되는 직수관(40)의 일단에 설치되어 플로트(41)와 강선 또는 파이프(p)로 연결되어 승강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관로 개방을 실시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밸브는 승강력을 받아 관로 개방을 실시하는 특징을 갖는다면 통상의 공지된 다양한 밸브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at is, the straight pipe 40 is a kind of pipe is selected in the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size and flow rate of the stream, is usually provided in the form or buried in the bottom of the river and the inlet and outlet is configured to be located in the water. . In addition, the float 41 is provided on the retention section (s1) formed between the drop beam 10 and the buffer beam 20, even if a buoy is known to be buoyant buoyancy buoyancy buoyancy, etc. It's okay.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valve 45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traight pipe 40 positioned below the float 41 and connected to the float 41 by a steel wire or a pipe p. In order to selectively open the pipeline by receiving the above, such a valve may be used if various valves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as long as the valve has a characteristic of opening the pipeline by lifting force.

이와 같이 구성되는 통수량 조절수단은 하천 전체의 유량 즉, 통수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낙차보(10)를 통과하는 하천수의 유량 역시 비례하게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낙차보(10)와 완충보(20) 사이의 체류구간(s1) 상의 하천수의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flow rate of the entire stream, that is, when the flow rate increases, the flow rate of the river water passing through the drop beam 10 also increases proportionally, resulting in between the drop beam 10 and the buffer beam 20.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water in the retention section (s1) becomes high.

따라서. 체류구간(s1)상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플로트(41)가 부상하면서 밸브(45)를 연동시켜 직수관(40)의 관로 개방량을 증대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직수관(40)을 통과하는 하천수의 양이 증가되므로 낙차수의 상류측 수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류측의 수위가 어느 정도 낮아지면 플로트(41)가 하강하여 직수 관(40)에 설치된 밸브(45)의 관로 개방량이 감소되게 된다.therefore. As the water level on the retention section s1 rises, the float 41 rises and the valve 45 interlocks to increase the pipe opening of the straight pipe 40. As a result, the amount of stream water passing through the straight pipe 40 is increased. As the amount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lower the upstream level of freefall. In addition, when the water level on the upstream side is lowered to some extent, the float 41 is lowered, so that the pipe opening amount of the valve 45 installed in the straight pipe 40 is reduced.

침전물 배출수단은 상술한 완충보(20)와 수중보(30) 사이에 형성되는 침전물 침전구간(s2) 상에 모여진 침전물(b)을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완충보(20)와 수중보(30) 사이의 하천 바닥측에 유입구가 위치되고 상기 수중보(30)의 하류측에 배출구가 위치되는 배출관(50)이 배관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50)의 일단에는 작업자의 조작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관로 개방이 실시되는 밸브(55)가 설치되며, 이때의 밸브(55)는 작업자가 하천의 외부에서 개폐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상의 조작핸들(h)에 연결되는 구성이다.Sediment discharge means for selectively discharge the precipitate (b) collected on the precipitate precipitate section (s2) formed between the above-described buffer beam 20 and the underwater beam 30, for this purpose and An inlet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iver between the underwater beams 30 and the discharge pipe 50 is located in the downstream of the underwater beams 30 is piped. And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50 is provided with a valve 55 to selectively open the pipeline by the operator's operating force, the valve 55 at this time is usually for allowing the operator to open and close the outside of the river It is a configuration connected to the operation handle (h) of.

여기서, 상기 밸브(55)의 구조는 작업자가 조작핸들(h)을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키는 조작력에 연동하여 관로 개폐를 실시하는 공지의 기술이 적용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 the structure of the valve 55 is applied to a well-known techniqu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ip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force for the operator to rotate the operation handle (h) in one direction or reverse direc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배출관(5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입구를 다수개로 분기 형성하여 침전물(b)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관(50)의 배출구는 하천의 종류에 따라 침전물(b)이 토사인 경우에는 하류측으로 방류되어도 무방하므로 수중보(30)의 하류측으로 배관시키고, 침전물(b)이 오염물질이 포함된 슬러지인 경우에는 별도로 수거할 수 있도록 배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pipe 50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precipitate (b) can be easily introduced by forming a plurality of inlets as shown in FIG. 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pipe 50 may be discharged to the downstream side when the sediment (b) is earth or sand, depending on the type of river, the discharge pipe 50 may be pip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underwater beam 30, and the precipitate (b) may contain contaminants. Sludge may be piped for separate collection.

이와 같이 구성되는 침전물 배출수단은 침전물 침전구간(s2)에 어느 정도의 침전물(b)이 쌓인 경우에 작업자가 밸브(55)를 개방시키면 배출관(50)의 관로가 개 방된다. 따라서 배출관(50)을 통해 침전물(b)이 하류측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별도로 수거되어 재처리된다.The sediment discharge means configured in this way, when a certain amount of sediment (b) is accumulated in the sediment sedimentation section (s2), when the operator opens the valve 55, the pipeline of the discharge pipe 50 is opened. Therefore, the precipitate (b) is discharged downstream or separately collected and reprocess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50).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낙차보(10)와 완충보(20)간에 형성되는 체류구간(s1)에는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상 탱크(t1)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보(20)와 수중보(30) 사이에 형성되는 침전물 침전구간(s2)에는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하 탱크(t2)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retention section (s1) formed between the drop beam 10 and the buffer beam 20 is provided with an upper tank (t1) having a corresponding size, the buffer beam 20 and the underwater beam Sediment sedimentation section (s2) formed between the 30 may be provided with a lower tank (t2) having a corresponding size.

여기서 상기 상 탱크(t1)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면서 완충보(20)와 접하는 일측면에 배수홀이 형성되며, 이 배수홀은 상기 완충보(20)의 정화수로(25)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 탱크(t2) 역시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며 바닥면측에는 배출관(50)의 유입구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 탱크(t1,t2)는 하천의 자연경관을 훼손하지 않도록 수면위로 노출되지 않는 크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upper tank (t1) is provided in an open form i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drain hole on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buffer beam 20, the drain hole corresponds to the purification channel 25 of the buffer beam (20). It is preferably formed in such a size. In addition, the lower tank (t2) is also provided in the form of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he bottom surface side is formed with a hole in which the inlet of the discharge pipe 50 communicates. Here, the upper and lower tanks t1 and t2 are preferably provided to a size not exposed on the water surface so as not to damage the natural scenery of the riv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하천 정화 구조물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action of the stream purific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하천수는 낙차보(10)를 통과하면서 낙차보(10)와 완충보(20) 사이의 체류구간(s1)에서 비중이 가벼운 오염 부유물(a)은 부상되면서 완충보(20)에 의해 하류측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체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류구간(s1)내의 유입된 하천수 중 일정 깊이의 심층수만이 완충보(20)의 하측에 형성된 정화수로(25)를 통해 하류측으로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보(20)에 의해 오염 부유물(a)이 분리되며 오염 부유물(a)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일정 수심상의 하천수 만이 정화수로(25)를 통해 하류측 즉, 침전물 침전구간(s2)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류구간(s1) 상에 수집된 오염 부유물(a)은 정기적으로 작업자가 수거하여 처리한다. First, while the river water passes through the drop beam 10, the pollutant float (a) having a light specific gravity in the retention section s1 between the drop beam 10 and the buffer beam 20 is floated and moved downstream by the buffer beam 20. It will not be able to stay. At this time, only the deep water of a predetermined depth among the stream water introduced in the retention section s1 flows downstream through the purification channel 25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buffer beam 20. Therefore, the contaminant suspended matter (a) is separated by the buffer beam 20, and only a predetermined depth of river water that does not contain the contaminated suspended matter (a) is passed downstream through the purification water passage (25), that is, the sediment precipitation section (s2). Will move. Here, the contaminant floats (a) collected on the residence section (s1) is periodically collected and processed by the worker.

이어서, 상기 완충보(20)를 통과한 하천수는 상기 완충보(20)와 수중보(30)가 형성하는 침전물 침전구간(s2)으로 이동되는데, 이 과정에서 하천수는 비중이 무거운 침전물(b)은 가라앉고 정수 상태의 하천수는 수중보(30)의 상측을 통과하여 하류로 이동된다.Subsequently, the river water passing through the buffer beam 20 is moved to a precipitate precipitation section s2 formed by the buffer beam 20 and the underwater beam 30. In this process, the river water has a heavy specific gravity (b). The sinking and purified river water passes downstream of the underwater beams 30 and moves downstream.

한편, 하천을 통과하는 유량이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되는 경우에는 통수량 조절수단을 구성하는 플로트(41)가 체류구간(s1)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위치 변위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플로트(41)가 유량 증가에 의해 상승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 플로트(41)와 연동되는 밸브(45)가 직수관(40)의 관로 개방량을 증대시키고, 상기 플로트(41)가 유량 감소에 의해 하강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 플로트(41)와 연동되는 밸브(45)가 직수관(40)의 관로 개방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ow rate through the stream is increased or decreased, the float 41 constituting the water flow rate adjusting means has a position displac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retention section (s1). At this time, when the float 41 moves up by the increase in flow rate, the valve 45 interlocked with the float 41 increases the pipe opening of the straight pipe 40, and the float 41 decreases the flow rate. In the case of moving downward by the valve, the valve 45 interlocked with the float 41 reduces the pipe opening amount of the straight pipe 40.

따라서 직수관(40)의 관로 개방량이 증대되는 경우에는 낙차보(10)의 상류측의 하천수가 수중보(30)의 하류측으로 정화 과정없이 직수관(40)을 통해 이동되는 통수량이 많아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직수관(40)의 관로 개방량이 감소되는 경우에는 정화 과정없이 직수관(40)을 통해 이동되는 통수량이 감소되므로 이를 통해 하천의 적절한 수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ipe opening amount of the straight pipe 40 is increased, the amount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straight pipe 40 without the purification process to the downstream of the water stream 30 on the upstream side of the drop beam 10 is increased, On the contrary, when the pipe opening amount of the water pipe 40 is reduced, the amount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pipe 40 is reduced without a purification process, thereby enabling proper water level control of the river.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하천 정화 구조물은, 하천수가 낙차보와 완충보 그리고 수중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하천에 포함된 각종 부유 오염물질과 침전물이 걸러지므로 하류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stream purification structure construct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the downstream because the various suspended pollutants and sediments contained in the stream are filtered in the course of the stream water passing through the freefall, buffer and underwater beams. to provide.

특히, 통수량 조절수단을 통해 하천 유량에 따라 오염 부유물이 없는 일정 깊이의 하천수를 상류에서 하류로 직수시키므로 하천 통수량에 따라 적절한 정화 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급격한 하천 유량 증가시에도 낙차보 등에 의한 유속저하에 따른 하천 범람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충보의 침수 위험성을 낮추어 안정적으로 교량 역할을 유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In particular, through the amount of water flow through the flow of the river water flows directly from the upstream to downstream of a certain depth free of contaminant floats according to the flow rat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proper purific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the river. Therefore, even when a rapid increase in the flow rate of the river can not only minimize the risk of river overflow due to the flow rate drop due to dropping, etc., but also provides a useful effect to stably maintain the bridge role by reducing the risk of flooding of the buffer beam.

Claims (2)

상측으로 하천수가 지나가면 낙차를 형성하는 낙차보와;A drop drop that forms a drop when the river water passes upward; 상기 낙차보의 하류측에 이격 설치되어 오염 부유물이 체류되는 체류구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측으로 심층수가 통과하는 정화수로가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다리 역할을 하는 완충보와;A buffer beam which is installed at a downstream side of the drop beam to form a retention section in which contaminant suspended matters stay, and a purifying water passage through which deep water passes, and serves as a bridge to the upper side; 상기 완충보의 하류측에 이격 설치되어 정화수로를 통해 유입된 하천수가 상측으로 통과되면서 침전물은 가라앉는 침전물 침전구간을 형성하는 수중보와;An underwater beam installed at a downstream side of the buffer beam to form a sediment sediment section in which the sediment sinks while the river water flowing through the purification channel flows upward; 상기 낙차보의 상류와 수중보의 하류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위치되며 하천 바닥에 매립 배관되는 직수관 및 상기 직수관의 관로 개방량을 가변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체류구간상에 구비되어 부력을 받는 플로트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밸브로 된 통수량 조절수단과;Inlet and outlet are respectively located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submersible beam, and the direct pipe which is buried in the bottom of the stream and the variable opening of the straight pipe are variably controlled and connected to the float receiving buoyancy on the retention section. A water flow rate adjusting means that is connected to the valve; 상기 침전구간 상의 하천 바닥측과 수중보의 하류측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위치되는 배출관 및 이 배출관에 설치되어 수작업에 의해 선택적으로 관로 개방을 하는 밸브로 된 침전물 배출수단;A sediment discharge means comprising a discharge pipe having inlets and outlets respectively located at a river bottom side and a downstream side of the sediment section on the sedimentation section, and a valve installed at the discharge pipe to selectively open the pipeline by manual operation;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정화 구조물.River purific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차보와 완충보 그리고 완충보와 수중보 사이에는 각각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상/하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상 탱크는 일측면에 완충보의 정화수로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 탱크는 바닥측에 배출 관의 유입구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정화 구조물.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op beam and the buffer beam, and between the buffer and submersible beams are provided with upper and lower tanks having a corresponding size, respectively, the upper tank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urification channel of the buffer beam on one side A drainage hole is formed, and the lower tank is a river purific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of the discharge pipe on the bottom side.
KR1020050104832A 2005-11-03 2005-11-03 River purification structure KR1007218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832A KR100721897B1 (en) 2005-11-03 2005-11-03 River purifica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832A KR100721897B1 (en) 2005-11-03 2005-11-03 River purification structu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161U Division KR200406307Y1 (en) 2005-11-03 2005-11-03 River purification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933A KR20070047933A (en) 2007-05-08
KR100721897B1 true KR100721897B1 (en) 2007-05-28

Family

ID=38272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832A KR100721897B1 (en) 2005-11-03 2005-11-03 River purifica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8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691A (en) * 2016-10-25 2018-05-04 민승기 The common enem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8527A (en) * 1993-01-26 1994-08-18 박원곤 Underwater beam with guide pipe
KR19990014433A (en) * 1998-11-09 1999-02-25 김세중 Dam dredging and fountain facility using siphon
KR20020079707A (en) * 2002-09-27 2002-10-19 건양씨앤이 주식회사 The facility of river in the civil center and method restoration of it
KR20040062356A (en) * 2003-01-02 2004-07-07 (주)대호엔지니어링 Discharge pipe for barrage and embankment of reservo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8527A (en) * 1993-01-26 1994-08-18 박원곤 Underwater beam with guide pipe
KR19990014433A (en) * 1998-11-09 1999-02-25 김세중 Dam dredging and fountain facility using siphon
KR20020079707A (en) * 2002-09-27 2002-10-19 건양씨앤이 주식회사 The facility of river in the civil center and method restoration of it
KR20040062356A (en) * 2003-01-02 2004-07-07 (주)대호엔지니어링 Discharge pipe for barrage and embankment of reservo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933A (en) 200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559B1 (en)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cartridge screw type screen
KR100865253B1 (en)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0913315B1 (en) The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KR20070021288A (en) Method to purify polluted water naturally
KR101005589B1 (en) Incipient rainwater ecological treatment system for river slope face
KR101479462B1 (en)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source contaminants
KR101053995B1 (en) Oil / water separator
KR100721897B1 (en) River purification structure
KR101085199B1 (en) Floating removal and filtering system of branch stream
KR200406307Y1 (en) River purification structure
KR100749718B1 (en) Pollutant screening system configured to screen only contaminated river water
KR102507157B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water channel using Storage space
CN110914199A (en) Deposit control system
KR101709908B1 (en) Multipurpose Dam For Eco Friendly
KR101403882B1 (en) Water processing plant and water drainage system
KR100693281B1 (en) System for removing sludge in water
KR100919318B1 (en) Water gate system to purify polluted river water
KR101035493B1 (en) Pollution purifying cleansing device
KR101468197B1 (en) Water quality purification water purifier that cleanses polluted water with clean water while forming an island
KR100913526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eparating Floating Matters
KR100803745B1 (en) Method to purify polluted river water
KR20080111705A (en) Vegetation waterway and building method thereof
RU2151840C1 (en) System for automatic trapping and collecting contaminants floating on water surface
KR200359700Y1 (en) Scum Skimmer
KR200406311Y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fluid flowpas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