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669B1 - 볼 선별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볼 선별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669B1
KR100721669B1 KR1020020067788A KR20020067788A KR100721669B1 KR 100721669 B1 KR100721669 B1 KR 100721669B1 KR 1020020067788 A KR1020020067788 A KR 1020020067788A KR 20020067788 A KR20020067788 A KR 20020067788A KR 100721669 B1 KR100721669 B1 KR 100721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unit
transfer
discharg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9650A (ko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20067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6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39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 선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볼 공급부와, 상기 제1 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볼을 하나씩 검사 위치로 이송시키는 볼 이송부와, 상기 볼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볼의 크기를 검사하는 볼 검사부와, 상기 볼 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볼 중 불량인 볼을 불량회수통으로 배출시키는 불량회수부와, 상기 볼 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볼 중 합격된 볼을 볼 가압부로 공급하는 제2 볼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볼의 크기를 선별하여 일정한 크기의 볼만을 공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볼 선별 공급장치{BALL FEEDER}
도 1은 종래의 볼 공급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선별 공급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선별 공급장치를 도시한 일부절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선별 공급장치를 도시한 일부절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선별 공급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선별 공급장치의 작동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제1 볼 공급부 21 : 볼
22 : 볼 공급관 23 : 탱크
24 : 푸시 플레이트(PUSH PLATE) 25 : 제1실린더
30 ; 볼 이송부 31 : 이송판
32 : 볼 안착홀 33 : 제2실린더
34 : 블래킷 35 : 선형가이드(LINEAR GUIDE)
40 : 볼 검사부 41 : 가압 감지봉
42 : 감지홈 43 : 제3실린더
44 : 센서 50 : 불량회수부
51 : 배출판 52 : 배출홀
53 : 배출통로 54 : 배출관
55 : 불량회수통 56 : 제4실린더
60 : 제2 볼 공급부 61 : 볼 공급관
62 : 볼 공급통로 63 : 제5실린더
64 : 캐리어 65 : 볼 가압부
본 발명은 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의 크기를 선별하여 볼 가압부로 공급하는 볼 선별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BS 블록은 유로 형성을 위해 다수의 가공홀을 형성한 후, 불필요한 가공홀을 볼로 막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불필요한 가공홀을 막기 위한 종래의 볼 공급장치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볼 공급용 파트 피더(PARTS FEEDER : 1)와, 상기 파트 피더(1)로부터 공급되는 볼(2)을 흡착하여 ABS 블록(4)의 불필요한 가공홀로 로딩시키는 흡착기(3)와, 볼(2)이 로딩된 ABS 블록(4)을 볼 가압부(6)로 이동시키는 X-Y 테이블(5)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볼의 크기를 선별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 되어 있지 않으므로, 크기가 다른 볼이 공급되어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볼 공급장치는 1개의 볼을 볼 가압부로 공급하는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약 15초 정도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볼의 크기를 선별하여 일정한 크기의 볼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볼 선별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볼 공급부와, 상기 제1 볼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볼을 하나씩 검사 위치로 이송시키는 볼 이송부와, 상기 볼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볼의 크기를 검사하는 볼 검사부와, 상기 볼 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볼 중 불량인 볼을 불량회수통으로 배출시키는 불량회수부와, 상기 볼 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볼 중 합격된 볼을 볼 가압부로 공급하는 제2 볼 공급부를, 구비하는 볼 선별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선별 공급장치를 도시한 일부절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선별 공급장치를 도시한 일부절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선별 공급장치를 도시한 일부절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선별 공급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볼 선별 공급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 공급부(20)와, 제1 볼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된 볼을 하나씩 검사 위치로 이송시키는 볼 이송부(30)와, 볼 이송부(30)에 의해 이송된 볼의 크기를 검사하는 볼 검사부(40)와, 볼 검사부(40)에 의해 검사된 볼 중 불량인 볼을 불량회수통(55)으로 배출시키는 불량회수부(50)와, 볼 검사부(40)에 의해 검사된 볼 중 합격된 볼을 볼 가압부(65)로 공급하는 제2 볼 공급부(6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볼 공급부(20)는,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볼(21)이 수납되며 상부 일측에 볼 공급관(22)이 설치된 탱크(23)와, 상기 탱크(23)의 하부를 관통한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탱크(23) 내의 볼(21)을 상기 볼 공급관(22)으로 공급하는 상부 경사면(24a)을 가지는 푸시 플레이트(24)와, 상기 푸시 플레이트(24)를 승강시키는 제1실린더(2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볼 이송부(30)는, 도 3 내지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 공급부(20)의 볼 공급관(22)을 통해 공급된 볼(21) 중 하나의 볼이 수납되는 볼 안착홀(32)이 형성된 이송판(31)과, 상기 이송판(31)을 직선왕복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33)와, 상기 제2실린더(33)를 직선왕복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래킷(34) 및 선형가이드(LINEAR GUIDE : 3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볼 검사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이송부(30)의 이송판(31)에 형성된 볼 안착홀(32)에 안착된 볼을 가압하며 외면에 감지홈(42)이 형성된 가압 감지봉(41)과, 상기 가압 감지봉(41)을 승강시키는 제3실린더(43)와, 상기 가압 감지봉(41)에 형성된 감지홈(42)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4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불량회수부(50)는, 도 2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이송부(30)의 이송판(31) 하부에 이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판(31)에 형성된 볼 안착홀(32)과 연통되는 배출홀(52)이 형성된 배출판(51)과, 상기 배출판(51)에 형성된 배출홀(52)과 연결되어 불량인 볼을 불량회수통(55)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통로(53) 및 배출관(54)과, 상기 배출판(51)을 구동시키는 제4실린더(5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볼 공급부(6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이송부(30)의 이송판(31)의 진행 방향으로 배출통로(53)의 전방에 형성되며 볼 공급관(61)을 통해 볼 가압부(65)와 연결되는 볼 공급통로(62)와, 상기 볼 이송부(30)의 브래킷(34)과 캐리어(64)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볼 검사부(40)를 통해 합격된 볼을 상기 볼 공급통로(62)로 공급하는 제5실린더(6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볼 선별 공급장치는, 먼저 호퍼(20)의 제1실린더(25)가 작동하여 도 2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 플레이트(24)를 상승시키면, 탱크(23) 내부의 볼(21)이 푸시 플레이트(24)의 경사면(24a)에 올려진 상태로 경사면(24a)을 따라 구르는 방식으로 볼 공급관(22)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볼 공급관(22)으로 공급된 볼(21)들은 볼 공급관(22)을 통해 이송되어 하나의 볼(21)이 볼 이송부(30)의 이송판(31)에 형성된 볼 안착홀(32)에 안착된 다.(도 4 및 도 6a 참조)
그리고 하나의 볼(21)이 이송판(31)에 형성된 볼 안착홀(32)에 안착되면, 볼 이송부(30)의 제2실린더(33)가 이송판(31)을 전진시켜 볼 안착홀(32)에 안착된 볼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위치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검사 위치로 볼이 이송되면, 볼 검사부(40)의 제3실린더(43)가 가압 감지봉(41)을 하강시켜 볼(21)을 가압하게 되고, 센서(44)가 가압 감지봉(41)의 외면에 형성된 감지홈(42)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볼(21)의 크기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볼 검사부(40)를 통해 볼(21)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볼의 크기가 규격을 벗어난 불량인 경우에는, 불량회수부(50)의 제4실린더(56)가 배출판(51)을 전진시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판(51)에 형성된 배출홀(52)과 이송판(31)에 형성된 볼 안착홀(32)을 연통시킴으로써 불량인 볼이 배출홀(52)과 배출통로(53) 및 배출관(54)을 통해 불량회수통(55)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볼 검사부(40)를 통해 볼(21)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규격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캐리어(64)를 통해 볼 이송부(30)의 브래킷(34)과 연결된 제2 볼 공급부(60)의 제5실린더(63)가 구동되어 볼 이송부(30)를 선형가이드(35)를 따라서 전진시킴에 따라 볼 이송부(30)의 이송판(31)이 전진하여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이송부(30)의 이송판(31)에 형성된 볼 안착홀(32)을 볼 공급통로(62)와 연통시킴으로써 규격과 일치하는 볼이 볼 공급통로(62)와 볼 공급관(61)을 통해 볼 가압부(65)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볼 선별 공급장치는, 일정한 규격의 볼만을 볼 가압부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볼 선별 공급장치는 1개의 볼을 볼 가압부로 공급하는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약 8초 정도로, 종래 방식의 15초에 비하여 작업시간이 대폭 단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볼 선별 공급장치에 의하면, 볼의 크기를 선별하여 일정한 크기의 볼만을 볼 가압부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 방식에서 발생되던 볼의 크기 차이로 인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방식에 비하여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제1 볼 공급부(20)와, 상기 제1 볼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된 볼(21)을 하나씩 검사 위치로 이송시키는 볼 이송부(30)와, 상기 볼 이송부(30)에 의해 이송된 볼의 크기를 검사하는 볼 검사부(40)와, 상기 볼 검사부(40)에 의해 검사된 볼 중 불량인 볼을 불량회수통(55)으로 배출시키는 불량회수부(50)와, 상기 볼 검사부(40)에 의해 검사된 볼 중 합격된 볼을 볼 가압부(65)로 공급하는 제2 볼 공급부(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선별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공급부(20)는, 다수의 볼(21)이 수납되며 상부 일측에 볼 공급관(22)이 설치된 탱크(23)와, 상기 탱크(23)의 하부를 관통한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탱크(23) 내의 볼을 상기 볼 공급관(22)으로 공급하는 상부 경사면(24a)을 가지는 푸시 플레이트(24)와, 상기 푸시 플레이트(24)를 승강시키는 제1실린더(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선별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이송부(30)는, 상기 제1 볼 공급부(20)를 통해 공급된 볼(21) 중 하나의 볼이 수납되는 볼 안착홀(32)이 형성된 이송판(31)과, 상기 이송판(31)을 직선왕복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33)와, 상기 제2실린더(33)를 직선왕복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래킷(34) 및 선형가이드(3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선별 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 검사부(40)는, 상기 볼 이송부(30)의 이송판(31)에 형성된 볼 안착홀(32)에 안착된 볼(21)을 가압하며 외면에 감지홈(42)이 형성된 가압 감지봉(41)과, 상기 가압 감지봉(41)을 승강시키는 제3실린더(43)와, 상기 가압 감지봉(41)에 형성된 감지홈(42)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4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선별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회수부(50)는, 상기 볼 이송부(30)의 이송판(31) 하부에 이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판(31)에 형성된 볼 안착홀(32)과 연통되는 배출홀(52)이 형성된 배출판(51)과, 상기 배출판(51)에 형성된 배출홀(52)과 연결되어 불량인 볼(21)을 불량회수통(55)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통로(53) 및 배출관(54)과, 상기 배출판(51)을 구동시키는 제4실린더(5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선별 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공급부(60)는, 상기 볼 이송부(30)의 이송판(31)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배출통로(53)의 전방에 형성되며 볼 공급관(61)을 통해 볼 가압부(65)와 연결되는 볼 공급통로(62)와, 상기 볼 이송부(30)의 브래킷(34)과 캐리어(64)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볼 이송부(30)의 이송판(31)을 직선왕복 이동시켜 상기 이송판(31)의 볼 안착홀(32)을 상기 볼 공급통로(62)와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볼 검사부(40)를 통해 합격된 볼(21)을 상기 볼 공급통로(62)로 공급하는 제5실린더(6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선별 공급장치.
KR1020020067788A 2002-11-04 2002-11-04 볼 선별 공급장치 KR100721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788A KR100721669B1 (ko) 2002-11-04 2002-11-04 볼 선별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788A KR100721669B1 (ko) 2002-11-04 2002-11-04 볼 선별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650A KR20040039650A (ko) 2004-05-12
KR100721669B1 true KR100721669B1 (ko) 2007-05-23

Family

ID=37337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788A KR100721669B1 (ko) 2002-11-04 2002-11-04 볼 선별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6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295B1 (ko) 2016-05-24 2016-10-11 김상헌 볼 선별장치
KR20210026313A (ko) * 2019-08-29 2021-03-10 주식회사 골프존 크랙볼 선별장치, 이를 이용한 볼 공급 시스템 및 볼 공급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0045B (zh) * 2014-12-10 2017-02-22 绥阳县耐环铝业有限公司 用于铝质球体的传送装置
CN105855182B (zh) * 2016-05-30 2018-01-09 杭州沃镭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钢球自动上料筛选定量机构
CN111701877A (zh) * 2020-07-02 2020-09-25 浦江吉树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检测轴承滚珠是否形变的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4191A (ja) * 1992-11-20 1994-06-10 Rohm Co Ltd チップ型部品の選別装置
JPH092643A (ja) * 1995-06-19 1997-01-07 Ntn Corp 振動部品供給装置
KR100349130B1 (ko) * 2000-12-16 2002-08-17 삼성전기주식회사 불량품 선별및 량품 분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4191A (ja) * 1992-11-20 1994-06-10 Rohm Co Ltd チップ型部品の選別装置
JPH092643A (ja) * 1995-06-19 1997-01-07 Ntn Corp 振動部品供給装置
KR100349130B1 (ko) * 2000-12-16 2002-08-17 삼성전기주식회사 불량품 선별및 량품 분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295B1 (ko) 2016-05-24 2016-10-11 김상헌 볼 선별장치
KR20210026313A (ko) * 2019-08-29 2021-03-10 주식회사 골프존 크랙볼 선별장치, 이를 이용한 볼 공급 시스템 및 볼 공급 제어방법
KR102258664B1 (ko) * 2019-08-29 2021-05-31 주식회사 골프존 크랙볼 선별장치, 이를 이용한 볼 공급 시스템 및 볼 공급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650A (ko)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669B1 (ko) 볼 선별 공급장치
JP2000321545A (ja) 液晶パネル検査装置
KR100792679B1 (ko) 안티록브레이크시스템 센서 내장 베어링의 검사 장치
CN111604274B (zh) 摄像头保护玻璃模块检测系统
KR20000063704A (ko) 인쇄회로기판 제조 공정의 로더 장치 및 그 방법
JP2717191B2 (ja) エンジンバルブ検査装置
KR980012392A (ko) 볼 그리드 어레이의 솔더볼 실장장치
KR20070050851A (ko) 전자부품의 외관 검사장치
KR101144769B1 (ko) 스크린 프린팅 시스템
CN215678647U (zh) 一种防漏检测设备
KR101102940B1 (ko) 분별 수취가 가능한 전기검사기용 반도체 인쇄회로기판 투입수취기
KR20170030764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플레이트의 리턴스프링용 홀 가공 및 가공된 홀 깊이 검사장치
KR101328659B1 (ko) 차량용 연료분배관의 연결캡 검사장치
KR100552407B1 (ko) 신발중창의 자동화 검사 시스템
KR101103221B1 (ko) 땜납 볼 탑재방법 및 장치
JP4498894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H1159615A (ja) 電子部品のテーピング装置
KR100273697B1 (ko) Bga반도체패키지용검사시스템의선별부
CN218455771U (zh) 电路板检测系统
KR101146345B1 (ko) 배터리용 필터 조립장치
JP6173140B2 (ja) 部品実装ライン及び部品実装方法
KR200195110Y1 (ko) 반도체 제조용 번인핸들러
KR100363855B1 (ko) Bga 반도체패키지용 로딩장치
KR200313719Y1 (ko) 신발중창의 자동화 검사 장치
KR910007317Y1 (ko) 회로인쇄기판(pcb)의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