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745B1 - 밀링 커터 - Google Patents

밀링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745B1
KR100720745B1 KR1020060008441A KR20060008441A KR100720745B1 KR 100720745 B1 KR100720745 B1 KR 100720745B1 KR 1020060008441 A KR1020060008441 A KR 1020060008441A KR 20060008441 A KR20060008441 A KR 20060008441A KR 100720745 B1 KR100720745 B1 KR 100720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ling cutter
head
workpiece
axis
cut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청 첸
Original Assignee
이 트라운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트라운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 트라운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60008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 밀링 커터는 축, 헤드 및 본체를 구비한다. 헤드는 축을 가로질러 뻗어 있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각각의 블레이드는 축에 평행한 절삭면을 가진다. 본체는 헤드에 일체로 형성되어 헤드로부터 뻗어 있고, 상단부 및 다수의 측부 모서리를 가지며, 헤드로부터 상단부 쪽으로 점차 가늘어진다. 본 발명 밀링 커터는, 점차 가늘어지게 형성된 본체가 절삭 작업 중에 가공물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밀링 커터의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키지 않고 가공물 내의 요부 또는 컷아웃을 형성할 수 있다.
밀링 커터, 헤드, 본체, 절삭면, 가공물, 접촉, 온도.

Description

밀링 커터{MILLING CUT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링 커터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밀링 커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밀링 커터의 작동 측면도로서 밀링 커터가 가공물을 절삭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링 커터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아치형 바닥면을 가지는 도 2의 밀링 커터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선행 기술에 따른 종래의 밀링 커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선행 기술에 따른 또 다른 종래의 밀링 커터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a: 밀링 커터 11: 헤드
12: 본체 20: 가공물
80, 80a: 종래의 밀링 커터 90: 가공물
111: 절삭면
A, B: 자유 단부 C: 본체
h: 절삭면의 길이 H: 절삭면(111)의 높이
M: 가공물, 절삭면 X: 축
본 발명은 밀링 커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링 커터가 작동할 때에 항상 가공물의 표면에 접촉하는 헤드와 그러한 헤드로부터 연장되고 점차 가늘어지는 본체를 구비한 밀링 커터에 관한 것이다.
밀링 머신(milling machine)은 일반적으로 가공물을 절삭하는 데에 사용되는 밀링 커터를 구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밀링 커터(80)는 긴 본체, 자유 단부(A), 밀링 머신에 장착된 고정 단부, 단면부 및 측부 절삭면을 구비한다. 측부 절삭면은 길이가 h이고 본체의 단면은 길이 h의 범위에서 일정하다. 따라서, 종래의 밀링 커터(80)가 가공물(90)을 절삭할 때, 측부 절삭면(h)은 계속적으로 가공물(90)의 측면과 맞물리게 되어 작동 중에 밀링 커터(80)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한다. 이러한 고온 때문에 밀링 커터는 손상을 입기 쉽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밀링 커터(80)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개선된 밀링 커터(80a)가 개발되어 시장에 공급되었다. 개선된 밀링 커터(80a)는 본체(C), 자유 단부(B) 및 고정 단부를 가진다. 그러나, 본체(C)는 자유 단부(B)로부터 고정 단부를 향하여 가늘어지며, 이는 자유 단부의 직경이 본체(C)의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밀링 커터(80a)가 가공물(M)을 절삭할 때에 자유 단부는 일 지점에서 가공물의 측면에 접촉하지만, 가늘어지는 본체(C)는 가공물(M)의 측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밀링 커터(80a)의 온도는 자유 단부와 가공물 사이의 점접촉으로 인하여 작동 중에 천천히 상승하므로 내구력이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개선된 밀링 커터(80a)는 사용 수명이 연장된다. 그러나, 밀링 커터(80a)의 가늘어지는 본체로 인하여 밀링 커터의 작업 후에는 톱니형 단면을 가지는 거친 형상이 절삭면(M)에 형성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문제점을 완화하는 개선된 밀링 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밀링 커터가 작동할 때에 가공물의 표면에 항상 접촉하는 헤드와 그 헤드로부터 연장되고 점차 가늘어지는 형태의 본체를 가지는 밀링 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링 커터는 축, 헤드 및 본체를 포함한다.
헤드는 축으로부터 외측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각각의 블레이드는 축에 평행한 절삭면과 곡면으로 된 저부를 가지고 있다.
본체는 헤드와 일체로 형성되어 헤드로부터 연장되고 상단부와 다수의 측부 모서리를 가지며 헤드로부터 상단부까지는 점차 가늘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이점 및 새로운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제공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밀링 커터(10)의 제1 실시예는 축(X), 헤드(11) 및 헤드(11)와 일체로 형성된 본체(12)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5를 또한 참조하면, 헤드(11)는 상부, 저부 및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블레이드들은 축(X)으로부터 외측 횡방향으로 뻗어 있고 각각의 블레이드는 축(X)에 평행한 절삭면(111)과 곡면 저부를 구비한다. 블레이드의 곡면 저부는 밀링 커터(10)가 가공물(20)에 요부 또는 컷아웃을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블레이드의 절삭면(111)은 축(X)과 절삭면(111) 사이의 거리의 5 내지 50% 범위의 높이(H)를 가진다. 밀링 커터(10)가 회전하여 가공물(20)을 절삭할 때에, 헤드(11)의 블레이드의 절삭면(111)은 항상 가공물(20)의 절삭 표면에 접촉되어 있다. 절삭면(111)이 축(X)에 평행하기 때문에 절삭된 표면은 톱니형 단면이 없이 매끄럽게 된다.
본체(12)는 헤드(1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헤드(11)의 상부로부터 뻗어 있으며, 헤드(11)의 상부에 형성된 하단부와 상단부 및 다수의 측부 모서리를 가지고, 헤드(11)로부터 상기 상단부로 점차 가늘어지게 형성된다. 본체(12)의 측부 모서리는 헤드(11)의 절삭면(111)에 대응하고 각각 그와 함께 형성되며, 각각의 측부 모서리는 헤드(11)의 절삭면(111)에 대하여 내측으로 각도 θ만큼 기울어져 있다. 이 각도는 0° 내지 20°의 범위에 있다. 이 각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0° 내지 10°이다. 밀링 커터(10)가 가공물(20)을 절삭할 때에, 점차 가늘어지는 형상의 본체(12)는 가공물(20)과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밀링 커터(10)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마찰이 본체(12)와 가공물(20) 사이에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의하여 밀링 커터(1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밀링 커터(10a)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고 나 선형 본체(12)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밀링 커터(10, 10a)는, 점차 폭이 좁아지는 본체(12)가 절삭 작업 중에 가공물(20)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밀링 커터(10, 10a)의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키지 않는다. 또한, 헤드(11)의 절삭면(111)이 밀링 커터(10, 10a)의 축(X)과 평행하므로 가공물(20)의 절삭된 표면은 톱니형 단면이 없이 매끄럽게 형성된다. 또한, 헤드의 블레이드의 저부는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가공물(20)에 요부 또는 컷아웃을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다.

Claims (3)

  1. 축과,
    상부, 저부, 그리고 상기 축의 외측으로 상기 축을 가로질러 뻗어 있고 각각이 상기 축과 평행한 절삭면과 곡면 저부를 가지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상부로부터 뻗어 있는 본체로서, 상기 헤드의 상부에 형성된 하단부, 상단부 및 다수의 측부 모서리를 가지고 상기 헤드로부터 상기 상단부로 점차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커터(milling cutter).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각각의 블레이드의 상기 절삭면의 높이는 상기 축과 상기 절삭면 사이의 거리의 5% 내지 5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커터.
KR1020060008441A 2006-01-26 2006-01-26 밀링 커터 KR100720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441A KR100720745B1 (ko) 2006-01-26 2006-01-26 밀링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441A KR100720745B1 (ko) 2006-01-26 2006-01-26 밀링 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745B1 true KR100720745B1 (ko) 2007-05-23

Family

ID=3827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441A KR100720745B1 (ko) 2006-01-26 2006-01-26 밀링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7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8099A (en) * 2011-12-27 2013-07-03 Rolls Royce Deutschland Milling cutter and method of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199Y1 (ko) 2001-04-02 2001-10-10 강호연 비철금속 강력절삭용 엔드밀
JP2004209559A (ja) * 2002-12-27 2004-07-29 Sumitomo Electric Ind Ltd バックテーパ付きエンドミ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199Y1 (ko) 2001-04-02 2001-10-10 강호연 비철금속 강력절삭용 엔드밀
JP2004209559A (ja) * 2002-12-27 2004-07-29 Sumitomo Electric Ind Ltd バックテーパ付きエンドミ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8099A (en) * 2011-12-27 2013-07-03 Rolls Royce Deutschland Milling cutter and method of use
GB2498099B (en) * 2011-12-27 2018-05-09 Rolls Royce Deutschland Ltd & Co Kg A tool for making a hole in a workpie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2961B2 (en) Reciprocating saw blade
JP5118198B2 (ja) コーナー凹み部を有する切削インサート
US9662796B2 (en) Ceramic cutting blades
US9731365B2 (en) Saw blade with tooth form projection
KR840001053A (ko) 원형톱날
CN108723487B (zh) 锯链的切割环节、带有切割环节的锯链和锉磨锯链的切割齿用的锉刀
WO2018123421A9 (ja) 切削インサート
KR100720745B1 (ko) 밀링 커터
JP4413208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KR101953386B1 (ko) 소프트 챔퍼 엔드밀
JP4644388B2 (ja) ホールカッター
US8826790B2 (en) Saw blade
EP0478697B1 (en) Improved brush cutting blade
US20070160430A1 (en) Milling cutter
KR950006364B1 (ko) 인서트 팁
EP1808247A1 (en) Milling cutter
US9764396B2 (en) Disposable multi-edge carving blade
KR100555597B1 (ko) 금속 절단용 둥근톱
US20060288837A1 (en) Surgical saw guide
CN209255866U (zh) 燕尾刀结构
CA2534144A1 (en) Milling cutter
JP3159918U (ja) 石膏ボードの加工用工具
JP2006333799A (ja) カッター材および刈込み装置
JP6204071B2 (ja) 電動鋸用鋸刃
JP3177174B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