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666B1 - 용기 자동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자동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666B1
KR100720666B1 KR1020060016439A KR20060016439A KR100720666B1 KR 100720666 B1 KR100720666 B1 KR 100720666B1 KR 1020060016439 A KR1020060016439 A KR 1020060016439A KR 20060016439 A KR20060016439 A KR 20060016439A KR 100720666 B1 KR100720666 B1 KR 100720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lt
conveyor belt
alignment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승
김육만
정성진
Original Assignee
(주)디씨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씨팩 filed Critical (주)디씨팩
Priority to KR1020060016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CB)의 이송능력인 간편성과 신속성을 적극 활용하여 보다 간단 용이하게 용기(10)의 특정부위(10b)를 정렬시킬 수 있으며, 더욱 간소한 구조로서 전력소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비비용 역시 크게 다운시킬 수 있으며, 유지관리를 더욱 용이하게 실행토록 할 수 있는 용기 자동 정열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기 자동 정렬장치{AUTOMATIC APPARATUS FOR ARRANGING BOTTLE}
도 1은 선출원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선출원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중앙 턴테이블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탑재부재 및 정렬지그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탑재부재 및 정렬지그와 정렬유닛의 관계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정렬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일반적인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10a : 입구
10b : 특정부위 CB : 컨베이어 벨트
S : 센서 SB : 사이드 회전벨트
SW : 사이드 휠 SP : 사이드 푸시유닛
SP1 : 접촉면 CR : 컨트롤러
TB : 탑 회전벨트 TW : 탑 휠
M : 모터 MS1 : 수평 샤프트
VG : 베벨기어 MS2 : 수직 샤프트
100 : 용기 자동 정렬장치
본 발명은 용기 자동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능력인 간편성과 신속성을 적극 활용하여 보다 간단 용이하게 용기의 특정부위를 정렬시킬 수 있는 용기 자동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 또는 술과 같은 액체나 세제와 같은 분말 등은 용기(유리용기 또는 PET용기 등) 속에 채워져 보관되고 유통 판매된다.
도 9a 및 도 9b는 일반적인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용기(10) 속에 채워진 액체나 분말 등은 용기의 외면에 표기된 상표나 제원 또는 활자에 의하여 그 특성을 확인할 수 있고 더불어 광고 선전될 수 있다.
상표나 제원 또는 활자 등은 용기의 특정부위에 선택적으로 인쇄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용기(10)는 타원형, 사각형, 원형 또는 비대칭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 중 특정부위(10b)가 인쇄면으로 활용되곤 한다.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면과 오목한 면을 갖는 타원형의 용기(10)일 경우 인쇄글자가 보다 선명하게 표출될 수 있도록 볼록한 면에 각종 광고문구를 인쇄하게 되는데, 이러한 볼록한 면을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특정부위(10b)라 정의하기로 한다.
도 1은 선출원(특허출원 제2004-38247호)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선출원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는 A 방향으로 진입된 용기(10, 11, 12)를 가장자리에 탑재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턴테이블(30)과, 이 턴테이블(30)로 용기(10, 11, 12)를 탑재시키는 인입유닛(20), 그리고 인입유닛(20)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용기(10, 11, 12)를 특정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정렬유닛(50)과, 이 정렬유닛(50)에 의해 특정방향으로 정렬된 용기(10, 11, 12)에 소정의 패턴을 인쇄시키는 인쇄유닛(60), 더불어 인쇄유닛(60)을 화살표 D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유닛(70), 및 소정의 패턴이 인쇄된 용기(10, 11, 12)를 턴테이블(30)에서 제거하여 배출하는 배출유닛(8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1은 상기 모든 유닛들을 결합시키는 프레임을 지시한다.
인입유닛(20)은 타이밍 스크류(timing screw; 21)와 성형피더(star-like feeder; 25)를 구비하여, 이전 공정에서 소정의 처리를 마친 또는 제조된 용기들(10, 11, 12)을 정렬유닛(50)으로 인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용기(10, 11, 12)는 컨베이어에 실려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무방향으로) 그리고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상태로 들어온다.
이렇게 이송되어 오는 용기(10, 11, 12)들은 본 장치에서 처리하기에 적절한 간격으로 간격을 조정해 주는 타이밍 스크류(21)의 오목부(22)에 하나씩 끼워져 타 이밍 스크류(21)의 회전에 따라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된다.
타이밍 스크류(21)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되는 용기(10, 11, 12)는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는 성형피더(25)의 오목부(26)에 하나씩 끼워져 가이드 부재(27)의 가이드 면(28)을 따라 회전 이동된다.
성형피더(25)의 오목부(26)와 타이밍 스크류(21)의 오목부(22)는 용기(10, 11, 12)를 개재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위치 및 회전 속도가 조정되어 있고, 성형피더(25)에 의해 이송된 용기(10, 11, 12)는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는 턴테이블(30)의 탑재부재(40)에 하나씩 탑재된다.
성형피더(25)의 오목부(26)와 탑재부재(40)는 각각의 회전에 따라 서로 맞물리도록 간격, 위치 및 회전 속도가 조정되어 있다.
턴테이블(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체인 또는 벨트 등의 동력전달 수단(3, 4)을 개재하여 테이블(2) 아래에 위치한 구동모터(3)의 구동력을 받아 도 1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소정 속도로서 회전한다.
턴테이블(30)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탑재부재(40)가 설치되어 턴테이블(30)의 회전에 따라 원 궤도를 그리며 회전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중앙 턴테이블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탑재부재 및 정렬지그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탑재부재 및 정렬지그와 정렬유닛의 관계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5는 정렬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30)의 가장자리에는 그 위에 용기(10, 11, 12)가 놓여지고 자유로이 회전 가능한 원형의 탑재부재(40)가 고정 설치되고, 각각의 탑재부재(40)에 대하여 가장자리 약간 안쪽으로 고정지그 지지대(41)가 고정 설치된다.
고정지그 지지대(41)는 중공상의 원통형으로서 턴테이블(30)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지그 지지대(41)의 중공에는 스프링(45)에 의해 아래쪽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는 봉(42)이 삽입되고, 이 봉(42)의 상단에는 용기(10, 11, 12)의 윗부분을 가볍게 눌러 잡아주는 상부 고정지그(49)가 마련되며, 봉(42)의 하단에는 자유로이 회전 가능한 바퀴(46)가 부착되고, 봉(42)의 중간부에는 고정지그 지지대(41)의 측면구멍(44)을 통해 돌출되는 캠(43)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지그 지지대(41)의 탑재부재(40) 쪽 측면에는 용기(10, 11, 12)의 직경을 고려하여 설계된 U자형 아암(48)이 설치된다.
고정지그 지지대(41)에는 캠(43)과 그 일단이 접촉하며 힌지 축(47a, 도 3b 참조)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정렬지그(47)가 설치된다. 이 정렬지그(47)에는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 일단이 캠(43)쪽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고, 다른 단부에는 후크 모양의 멈춤부(47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용기(10, 11, 12)에는 정렬지그(47)가 접촉하게 되는 높이의 특정 위치에 정렬지그(47)의 멈춤부(47b)와 대응하는 오목형태의 마킹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10, 11, 12)에 형성된 마킹부(10b)는 용기(10, 11, 12)의 방향 정렬을 위한 기준이 되는 요소로서 정렬유닛(50)의 설명과 함께 상세히 설명된다.
한편, 정렬지그(47)에는 돌출 형태의 멈춤부(47b)가 형성되고 용기(10, 11, 12)에는 오목형태의 마킹부(10b)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용기(10, 11, 12)에 형성된 마킹부(10b)는 별도 형성할 수도 있지만, 용기(10, 11, 12) 자체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돌출부(10a; 이 경우에는 정렬지그(47)가 돌출부(10a)가 형성된 높이에 대응하여 배치되어야 한다)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턴테이블(30)의 하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성형피더(25, 80)가 배치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고정캠(5)이 배치된다.
이 고정캠(5)은 턴테이블(30)의 회전에 따라 고정지그 지지대(41)의 봉(42) 하단에 부착된 바퀴(46)가 그리는 궤적에 일치하여 배치되고, 그 높이가 바퀴(46)의 하단부보다 약간 높게 마련된다.
따라서, 턴테이블(30)이 회전하여 고정지그 지지대(41)가 고정캠(5)에 도달하게 되면 바퀴(46)가 고정캠(5)의 윗면을 따라 주행하게 되고 봉(42)이 위쪽으로 약간 들어 올려진다.
그러면, 용기(10, 11, 12)의 탑재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용기(10, 11, 12)가 성형피더(25)를 따라 회전하며 탑재부재(40)에 도달하였을 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봉(42)의 하단에 부착된 바퀴(46)가 고정캠(5) 위를 주행하고 있으므로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봉(42)이 약간 들어 올려진 상태 이다.
따라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지그(49)도 용기(10, 11, 12)의 상단부보다 약간 높은 위치까지 들어올려져 있고, 캠(43)도 고정지그 지지대(41) 측면에 형성된 구멍(44)의 상단부까지 들어올려져 있다. 이 캠(43)이 들어올려지면 고정캠(5)에 접촉된 정렬지그(47)의 일단은 도면에서 좌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정렬지그(47)의 멈춤부(47b)가 형성된 쪽의 단부는 U자형 아암(48)보다 더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용기(10, 11, 12)는 정렬지그(47) 및 상부 고정지그(49)의 방해를 받지 않고 탑재부재(40)에 안착하게 된다. 이때 용기(10, 11, 12)는 특정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은 상태이다.
용기(10, 11, 12)가 탑재부재(40)에 안착되고 턴테이블(30)이 계속 회전함에 따라 봉(42)의 하단에 부착된 바퀴(46)는 고정캠(5)을 벗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들어올려졌던 봉(42)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고, 상부 고정지그(49)가 하강하여 용기(10, 11, 12) 상단부를 가볍게 누른다.
또한, 캠(43)도 하강하여 정렬지그(47)는 내장된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 11, 12)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가볍게 누르게 된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정렬유닛(50)의 구조 및 동작 즉, 용기(10)를 특정 방향으로 정렬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정렬유닛(50)은 인입유닛(2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테이블(2) 상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정렬유닛(50)은 탑재부재(40)가 턴테이블(3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면서 접촉하게 되는 마찰부재(51)를 구비한다.
마찰부재(51)는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V 벨트나 타이밍 벨트로 구현될 수 있는데, 탑재부재(40)가 원활하게 정렬유닛(50)이 배치된 영역을 지나면서 탑재부재(40)의 가장자리와 접촉할 수 있는 정도로 근접하게 배치되면 된다.
또한, 마찰부재(51)는 정렬유닛(50)의 탑재부재(40)와의 접촉면에 접촉면의 형상을 따라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점선(51a)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상의 접촉면 양단에만 고정되어 탑재부재(40)가 없다면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마찰부재(51)는 탑재부재(40)의 이동에 따라 정렬유닛(50) 쪽으로 자연스럽게 눌려지면서 탑재부재(40)와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탑재부재(40)와 마찰부재(51)가 접촉하면서 탑재부재(40)가 이동하게 되면 그 마찰력으로 탑재부재(40)는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탑재부재(40)가 회전하게 되면 그 위에 탑재된 용기(10, 11, 12)도 함께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정렬지그(47)와 상부 고정지그(49)는 용기(10, 11, 12)가 탑재부재(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즉 용기(10, 11, 12)가 정렬지그(47)나 상부 고정지그(49)와 미끄럼 운동할 수 있도록 정렬지그(47)에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력이나 마찰 계수 등을 조절하여야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정렬지그(47)가 접촉하게 되는 용기(10, 11, 12)의 외주면에는 정렬지그(47)의 단부에 형성된 멈춤부(47b)에 형합하는 마킹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마킹부(10b)는 용기(10, 11, 12)를 정렬하고자 하는 방향(예를 들어, 용기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동물의 코 부분이 턴테이블(30)의 반경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과 정렬지그(47)의 멈춤부(47b)와의 위치를 고려하여 설계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 11, 12)의 이동방향에서 가장 뒤쪽의 용기(10, 11, 12)는 아직 정렬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용기의 마킹부(10b)가 정렬지그(47)의 멈춤부(47b)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용기(10)는 턴테이블(30)의 회전에 따라 탑재부재(40)와 함께 화살표 G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정렬지그(47)의 멈춤부(47b)와 용기의 마킹부(10b)가 정합하게 된다.
그러면, 이 용기(10, 11, 12)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고 마찰부재(51)와의 마찰력에 의해 계속 회전하고 있는 탑재부재(40) 위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게 된다.
또는, 마찰부재(51)와 탑재부재(40) 사이의 마찰력이 탑재부재(40)와 용기(10)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다면 용기(10, 11, 12)와 탑재부재(40)의 회전이 멈추게 되고 탑재부재(40)가 마찰부재(51)와 미끄럼 운동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용기(10, 11, 12)는 회전하다가 그 마킹부(10b)가 정렬지그(47)의 멈춤부(47b)와 정합함에 따라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는데, 용기(10, 11, 12)의 정렬에 걸리는 시간 및 회전 각도는 마킹부(10b)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된다.
정렬이 이루어질 때까지 용기(10, 11, 12)의 최대 회전 각도는 360도(1회전)이므로 탑재부재(40)가 마찰부재(51)와 접촉하여 최대 1회전할 수 있도록 마찰부재(51)의 탑재부재(40)와의 접촉길이는 탑재부재(40)의 원주길이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후, 정렬유닛(50)에 의해 특정방향으로 정렬된 용기(11)는 턴테이블(30)의 회전에 따라 인쇄유닛(60) 쪽으로 이동하여 인쇄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선출원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는 턴테이블(30)의 회전력과 마찰력만을 이용한 기계적 방식으로 용기(10, 11, 12)를 자동적으로 정렬시킬 수는 있으나 컨베이어의 간편성과 신속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고 오히려 타이밍 스크류(21) 및 성형피더(25)의 복잡한 구성에 의하여 용기(10, 11, 12)를 턴테이블(30)의 탑재부재(40)에 하나씩 탑재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이동시키면서 정렬유닛(50)을 통한 용기(10, 11, 12)의 정렬을 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전체적으로 속도가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복잡 구성에 따른 설비비용의 상승과 더불어 에너지 소비효율도 떨어지고 그 유지보수 역시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아울러, 용기(10, 11, 12)가 회전하다가 마킹부(10b)가 정렬지그(47)의 멈춤부(47b)와 정합하는 구조로서 특정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용기(10, 11, 12)의 정렬에 걸리는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정확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능력인 간편성과 신속성을 적극 활용하여 보다 간단 용이하게 용기의 특정부위를 신속하게 정렬시킬 수 있으며 더욱 간소한 구조로서 전력소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비비용 역시 크게 다운시킬 수 있으며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실행토록 할 수 있는 용기 자동 정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구를 가지는 용기의 특정부위를 일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위하여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용기의 특정부위가 감지될 경우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센서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 일측 사이드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사이드 회전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 타측 사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특정부위가 일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용기의 입구를 상기 사이드 회전벨트를 향하여 밀어주는 사이드 푸시유닛과, 상기 센서의 시그널에 따라 사이드 푸시유닛의 왕복 직진운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용기 자동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를 하측방향으로 가압하는 탑 회전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100)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100)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100)는 입구(10a)를 갖는 용기(10)를 한 작업공간에서 다른 작업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CB)의 직진 이송기능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게 용기(10)의 특정부위(10b)를 일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100)는 컨베이어 벨트(CB)를 따라 이송되는 용기(10)의 특정부위(10b)가 감지될 경우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센서(S)를 구비하고, 컨베이어 벨트(CB)의 상부 일측 사이드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사이드 회전벨트(SB)를 포함하며, 컨베이어 벨트(CB)의 상부 타측 사이드에 설치되어 사이드 회전벨트(SB)를 향하여 왕복 직진운동을 하는 사이드 푸시유닛(SP), 그리고 센서(S)의 시그널에 따라 용기(10)의 특정부위(10b)가 일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용기(10)의 입구(10a)를 사이드 회전벨트(SB)를 향하여 밀어주는 사이드 푸시유닛 (SP)의 왕복 직진운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R)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100)는 컨베이어 벨트(CB)의 이송능력인 간편성과 신속성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CB)의 직진 이송방향에 맞추어 사이드 회전벨트(SB)와 사이드 푸시유닛(SP)을 각각 설치하고, 컨베이어 벨트(CB)를 따라 이송되는 용기(10)의 특정부위(10b)를 감지하는 센서(S)에 의하여 시그널이 발생할 경우 컨트롤러(CR)에서 사이드 푸시유닛(SP)을 구동시켜 용기(10)의 입구(10a)가 사이드 회전벨트(SB)를 향하여 가압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이때, 사이드 푸시유닛(SP)에 의하여 용기(10)의 입구(10a)가 사이드 회전벨트(SB)에 닿는 순간 사이드 회전벨트(SB)의 회전력에 의하여 용기(10) 자체가 턴하면서 그 특정부위(10b)가 일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사이드 푸시유닛(SP)은 용기(10) 입구(10a)의 반원호 길이에 일치하는 접촉면(SP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CB)에 의하여 이송되는 비정렬된 용기(10)가 유입될 경우 사이드 푸시유닛(SP)의 푸시에 의하여 비정렬된 용기(10)의 입구(10a)가 사이드 푸시유닛(SP)의 접촉면(SP1)과 사이드 회전벨트(SB) 사이에서 맞닿으면서 자연스럽게 사이드 회전벨트(SB)의 회전에 의하여 반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용기(10)의 특정부위(10b)가 신속하게 정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이드 푸시유닛(SP)의 접촉면(SP1)과 사이드 회전벨트(SB)는 가능한 한 실리콘 재질로 제작하여 용기(10)의 입구(10a)를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미끄럼없이 접촉 회전을 신속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100)는 컨베이어 벨트(CB)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10)의 입구(10a)를 하측방향으로 가압하는 탑 회전벨트(TB)를 구비한다.
탑 회전벨트(TB)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CB)를 따라 이송되어온 용기(10)는 사이드 푸시유닛(SP)과 사이드 회전벨트(SB) 사이에서 하측방향으로 균일하게 가압될 수 있게 되어 정렬시 위치변동에 의한 센서(S)의 감지 에러나 정렬 오차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100)는 탑 회전벨트(TB)를 회전시키는 탑 휠(TW)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수평 샤프트(MS1)를 갖는 모터(M)를 구비하고, 모터(M)의 수평 샤프트(MS1)에 베벨기어(VG) 치합되어 사이드 회전벨트(SB)를 회전시키는 사이드 휠(SW)에 결합되는 수직 샤프트(MS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의 모터(M)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탑 회전벨트(TB) 및 사이드 회전벨트(SB)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전력소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비비용 역시 크게 다운시킬 수 있으며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보다 용이한 유지관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베이어 벨트(CB)를 따라 이송되는 비정렬된 용기(10)의 특정부위(10b)가 감지될 경우 센서(S)는 곧바로 시그널을 출력하게 되고, 이 시그널은 컨트 롤러(CR)에 의해 해독되어 사이드 푸시유닛(SP)의 직진운동을 지시하게 된다.
사이드 푸시유닛(SP)이 직진하게 되면 용기(10)의 입구(10a)가 접촉면(SP1)에 맞닿으면서 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사이드 회전벨트(SB) 및 탑 회전벨트(TB) 사이에 끼워지면서 안전하게 반회전되어 정렬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정렬된 용기(10)들은 인쇄공정 등[액체 또는 분말 충진, 용기(10)의 입구(10a)를 실링하는 캡핑공정…; 특정부위(10b)를 기준으로 하여 입구(10)의 정위치를 맞추어 분사노즐로 액체나 분말을 충진하는 공정 또는 알루미늄 호일로 입구(10a)를 실링하는 캡핑 공증…]을 거치면서 하나의 완성된 제품으로 탄생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 정렬장치(100)에 의하면 컨베이어 벨트(CB)의 이송능력인 간편성과 신속성을 적극 활용하여 보다 간단 용이하게 용기(10)의 특정부위(10b)를 바르게 정렬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즉, 컨베이어 벨트(CB)의 이송능력인 간편성과 신속성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CB)의 이송방향에 맞추어 사이드 회전벨트(SB)와 사이드 푸시유닛(SP)을 설치하고, 컨베이어 벨트(CB)를 따라 이송되는 용기(10)의 특정부위(10b)를 감지하는 센서(S)에 의하여 시그널이 발생할 경우 컨트롤러(CR)에서 사이드 푸시유닛(SP)을 구동시켜 용기(10)의 입구(10a)가 사이드 회전벨트(SB)를 향하여 가압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10) 자체를 턴(반회전)시켜 신속하게 정렬 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사이드 푸시유닛(SP)에 의하여 용기(10)의 입구(10a)가 사이드 회전벨트(SB)에 닿는 순간 사이드 회전벨트(SB)의 회전력에 의하여 용기(10) 자체가 턴하면서 그 특정부위(10b)가 일방향으로 신속하게 정렬될 수 있는 유용함이 있고, 아울러 사이드 푸시유닛(SP)의 접촉면(SP1)을 용기(10) 입구(10a)의 반원호 길이에 일치토록 하면서 실리콘 재질로 제작하여 용기(10)의 입구(10a)를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미끄럼없이 접촉 회전을 정확하게 실현시킬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또한, 탑 회전벨트(TB)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CB)를 따라 이송되어온 용기(10)가 사이드 푸시유닛(SP)과 사이드 회전벨트(SB) 사이에서 하측방향으로 균일하게 가압될 수 있게 되어 정렬시 위치변동에 의한 센서(S)의 감지 에러나 정렬 오차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단일의 모터(M)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탑 회전벨트(TB) 및 사이드 회전벨트(SB)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전력소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비비용 역시 다운시킬 수 있으며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작용효과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CB)의 이송능력인 간편성과 신속성을 적극 활용하여 보다 간단 용이하게 용기(10)의 특정부위(10b)를 정렬시킬 수 있으며, 더욱 간소한 구조로서 전력소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비비용 역시 크게 다운시킬 수 있으 며, 유지관리를 더욱 용이하게 실행토록 하는 것을 가장 큰 핵심기술로 하고, 기타 변화 가능한 공정 및 구성들은 다양한 경우의 수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변화 가능한 경우의 수를 모두 포함하며 특허청구범위의 해석 또한 이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Claims (5)

  1. 입구(10a)를 가지는 용기(10)의 특정부위(10b)를 일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위하여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CB)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CB)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용기(10)의 특정부위(10b)가 감지될 경우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센서(S)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CB)의 상부 일측 사이드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사이드 회전벨트(SB)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CB)의 상부 타측 사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10)의 특정부위(10b)가 일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용기(10)의 입구(10a)를 상기 사이드 회전벨트(SB)를 향하여 밀어주는 사이드 푸시유닛(SP)과, 상기 센서(S)의 시그널에 따라 사이드 푸시유닛(SP)의 왕복 직진운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R)를 포함하는 용기 자동 정렬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CB)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10)의 입구(10a)를 하측방향으로 가압하는 탑 회전벨트(T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동 정렬장치(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회전벨트(TB)를 회전시키는 탑 휠(TW)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수평 샤프트(MS1)를 갖는 모터(M)와,
    상기 모터(M)의 수평 샤프트(MS1)에 베벨기어(VG) 치합되며 상기 사이드 회전벨트(SB)를 회전시키는 사이드 휠(SW)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수직 샤프트(MS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동 정렬장치(100).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60016439A 2006-02-20 2006-02-20 용기 자동 정렬장치 KR100720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439A KR100720666B1 (ko) 2006-02-20 2006-02-20 용기 자동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439A KR100720666B1 (ko) 2006-02-20 2006-02-20 용기 자동 정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669U Division KR200416430Y1 (ko) 2006-02-20 2006-02-20 용기 자동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666B1 true KR100720666B1 (ko) 2007-05-23

Family

ID=3827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439A KR100720666B1 (ko) 2006-02-20 2006-02-20 용기 자동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074B1 (ko) 2023-03-02 2023-04-21 주식회사 에스케이팩 용기 방향 전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671U (ja) * 2002-04-30 2002-10-31 株式会社ファインマシナリー 容器の移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671U (ja) * 2002-04-30 2002-10-31 株式会社ファインマシナリー 容器の移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074B1 (ko) 2023-03-02 2023-04-21 주식회사 에스케이팩 용기 방향 전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8696B1 (en) Orienting apparatus and method
AU7519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oriented containers
RU2750565C1 (ru) Машина для нанес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на контейнеры и способ
KR100720666B1 (ko) 용기 자동 정렬장치
KR200416430Y1 (ko) 용기 자동 정렬장치
EP1306307B1 (en) Cover feeder
KR100688781B1 (ko)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대상물들에 소정 패턴을 인쇄하는장치 및 방법
KR100643424B1 (ko) 용기를 특정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장치 및 방법
JP2695946B2 (ja) 物品の受渡し装置
KR200358787Y1 (ko) 용기를 특정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장치
KR200359474Y1 (ko)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대상물들에 소정 패턴을 인쇄하는장치
KR102236662B1 (ko) 라벨 분리 기능이 향상된 라벨 피더
JP5731173B2 (ja) シート挿着装置
US11845617B2 (en) Conveying method and system for a machine to fill bottles, in particular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CN219008909U (zh) 一种自转式瓶体限位机构
US202201347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rking tablet-shaped articles
JP2004115205A (ja) 容器排除装置
JP6553944B2 (ja) 位置合わせ装置、位置合わせシステムおよび位置合わせ方法
JP2006143262A (ja) 容器の方向規制装置、容器の方向規制方法および容器の方向規制装置を備えたロータリ式キャッパ
JP2007168826A (ja) キャッピングシステム及びキャッピング方法
KR20150083360A (ko) 라벨 부착장치
IT1242401B (it) Dispositivo per il trasporto di contenitori da sottoporre a stampa in macchina stampatrice serigraf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