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759B1 - 안전분사노즐 - Google Patents

안전분사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759B1
KR100719759B1 KR1020050103618A KR20050103618A KR100719759B1 KR 100719759 B1 KR100719759 B1 KR 100719759B1 KR 1020050103618 A KR1020050103618 A KR 1020050103618A KR 20050103618 A KR20050103618 A KR 20050103618A KR 100719759 B1 KR100719759 B1 KR 100719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ire
housing
nozzle body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000A (ko
Inventor
김봉기
Original Assignee
김봉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기 filed Critical 김봉기
Priority to KR1020050103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759B1/ko
Publication of KR20070047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방용수의 분사노즐이 화재 및 비상시에만 돌출 분사됨으로써 작업자와의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 및 그 자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방관로용 안전분사노즐은 소방관로 상에 수밀적으로 결합되며, 내측에 걸림턱(11)이 형성되는 중공형 노즐하우징(1)과 노즐하우징의 타단도 수밀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전면측에 걸림턱(41)이 형성되는 링형 캡(4) 그리고 노즐하우징 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노즐본체(2)는 캡과 노즐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소방용수에 의한 수압이 자체 탄성력을 초과할 경우 상기 노즐본체가 상기 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3)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집니다.
안전분사, 노즐, 분사, 화재, 소화

Description

안전분사노즐{Safety Injection Nozzle}
도 1은 종래의 산업현장에 설치된 분사노즐의 작동 전(평상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산업현장에 설치된 분사노즐의 동작(물 분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분사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분사노즐의 작동 전(평상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분사노즐의 동작(물 분사)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노즐하우징 2: 노즐본체
3: 탄성스프링 4: 링형 캡
5: 소방관로 11. 41 : 걸림턱
111. 112: 나사산
본 발명은 소방관로용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 소방용수에 의한 수압이 자체 탄성력을 초과할 경우에만 노즐이 돌출 분사됨으로써 작업자와의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 및 그 자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소방관로용 안전분사노즐을 제공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종래의 산업현장에는 화재 및 비상시를 대비하여 소방관로(5)를 설치하고, 신속한 소화(消火)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사노즐을 설치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분사노즐의 일반예를 나타내고 있다.
소방관로(5)에 노즐 본체(2)가 결합되어 있고, 평상시에는 도 1과 같이 물이 비어 있는 상태로 있다가, 사용시에 물이 공급되어 분사되는 도 2의 사용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분사노즐은 화재 및 비상시 외에 평상시(Stand-by)에도 분사노즐이 상시 돌출되어있어 작업자와의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 및 그 자체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및 비상시에만 분사노즐이 돌출 분사되어 소화기능을 수행하고 평상시(Stand-by)에는 하우징에 노즐이 내재되어 있어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분사노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3의 본 발명의 분사노즐의 분해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분사노즐은, 소방관로(5)에 수밀적으로 결합된 중공형 노즐하우징(1)에 노즐본 체(2)와 탄성스프링(3) 그리고 링형 캡(4)이 수밀적으로 결합된다.
중공형 노즐하우징(1)의 내측에 걸림턱(11)이 형성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노즐 본체가 도 4와 같이 이 걸림턱(11)에 의해 하우징(1) 내에 안착된다. 또한 전면측에 걸림턱(41)이 형성되는 링형 캡(4)이 있어, 소방관로(5)에 물이 차는 경우 도 5와 같이, 수압에 의해 노즐본체(2)를 밀게 되고, 탄성스프링(3)이 캡(4)과 노즐본체(2)사이에 개재되어 소방용수에 의한 수압이 자체 탄성력을 초과할 경우 상기 노즐본체가 상기 캡으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중공형 노즐하우징(1)은 소방관로(5) 및 캡(4)과 수밀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나사산(111,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본체(2)의 내측면(A 축 방향)은 수압을 받아 탄성스프링(4)을 밀수있는 면적을 제공한다.
이러한 원리는 다음 식을 통해 증명될 수 있을 것이다.
식: P(압력)= F(힘)/A(단면적)
위의 식에서와 같이 단면적(A)에 수압을 받아 스프링 탄성을 이기고 돌출하게 되며 수압이 형성되면 자동적으로 노즐이 돌출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안전분사노즐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 게시되어 있다. 사용 전에는 도 4와 같이 노즐하우징(1) 내의 탄성스프링(3)이 풀려 있어서 노즐본체(2)가 하우징(1)의 링형 캡(4) 안에 있다가, 물이 차서 일정한 압력 이상이 되면, 탄성스프링(3)이 압축되면서 노즐본체(2)를 링형 캡(4) 밖으로 밀어 내게 되고, 노즐본체(2)가 하우징(1) 밖으로 돌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관로용 안전분사노즐은 평상시(Stand-by)에는 노즐하우징 내에 내재되어 안전사고 및 그 자체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화재 및 비상시에는 노즐이 돌출 분사됨으로써 신속한 소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사람과 설비(장비)를 모두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하부에 걸림턱(11)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 평상시에 하우징의 걸림턱에 안착되는 노즐본체(2), 노즐본체의 상부에 위치한 탄성스프링(3), 및 탄성스프링을 밖으로 돌출시키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41)을 포함하는 링형 캡(4)로 구성되고, 평상시에는 상기 노즐본체(2)가 하우징(1) 내부에 안착되어 있고, 소방관로에 물이 차서 일정 이상의 압력이 되는 경우에만 상기 탄성스프링(3)이 압축되면서 노즐본체(2)가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분사노즐.
KR1020050103618A 2005-11-01 2005-11-01 안전분사노즐 KR100719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618A KR100719759B1 (ko) 2005-11-01 2005-11-01 안전분사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618A KR100719759B1 (ko) 2005-11-01 2005-11-01 안전분사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000A KR20070047000A (ko) 2007-05-04
KR100719759B1 true KR100719759B1 (ko) 2007-05-17

Family

ID=38272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618A KR100719759B1 (ko) 2005-11-01 2005-11-01 안전분사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496A (ko) * 2020-06-18 2021-12-27 주식회사 대광도어 방화문의 소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991B1 (ko) * 2019-09-17 2021-03-31 정치성 마사지 침대
KR102306063B1 (ko) * 2021-04-15 2021-09-28 (주)하일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용 안전 유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75A (ko) * 2000-10-18 2001-01-05 윤장식 자동차 배출 가스 습식 정화 장치
KR20030000849A (ko) * 2001-06-27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체촬상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88221A (ko) * 2002-05-13 2003-11-19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하이브리드 노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75A (ko) * 2000-10-18 2001-01-05 윤장식 자동차 배출 가스 습식 정화 장치
KR20030000849A (ko) * 2001-06-27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체촬상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88221A (ko) * 2002-05-13 2003-11-19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하이브리드 노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496A (ko) * 2020-06-18 2021-12-27 주식회사 대광도어 방화문의 소화장치
KR102506913B1 (ko) * 2020-06-18 2023-03-07 주식회사 대광도어 방화문의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000A (ko) 200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759B1 (ko) 안전분사노즐
FI19992172A (fi) Palonsammutuslaitteisto, suihkutuspää
US9320927B2 (en) Sprinkler protection system
US9168406B2 (en) Automatic actuation of a general purpose hand extinguisher
KR20090027240A (ko) 소방 방법 및 장치
JP6443923B2 (ja) 水噴霧ヘッド
CN103619419A (zh) 喷头
KR101229517B1 (ko) 타격겸용 소방장치
KR102194180B1 (ko) 가스 어댑터가 구비되는 소화기
CN201127808Y (zh) 自动启闭式喷头
KR20040015847A (ko) 질소가스에 의해 포말액이 방출되는 이동 가능한 긴급화재진압용 소화장치
JP2011025139A (ja) 内容物放出機構,内容物放出機構用ストッパーならびに内容物放出機構または内容物放出機構用ストッパーを備えたポンプ式製品およびエアゾール式製品
CN105727483A (zh) 一种消防用多功能枪头
KR101922816B1 (ko) 소방호스 연결기능을 가지는 방수기구
KR101276383B1 (ko) 소방용 안전 관창
JP2016106731A (ja) 消火設備及び火災時警告表示方法
KR20230064743A (ko) 다수의 소방호스 연결이 가능한 피스톨 소방관창
KR101987083B1 (ko) 소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쇄 작동식 소화설비
KR20180068507A (ko)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KR102135029B1 (ko)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JP4789981B2 (ja) 消火用ミスト放出装置
KR200394676Y1 (ko) 파지형 소방용 관창
CN211798384U (zh) 一种车载水基灭火器
KR200371862Y1 (ko) 전등 겸용 소화기
KR200338177Y1 (ko) 보조손잡이 및 돌기가 부착된 수동식 소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