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913B1 - 방화문의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의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913B1
KR102506913B1 KR1020200074156A KR20200074156A KR102506913B1 KR 102506913 B1 KR102506913 B1 KR 102506913B1 KR 1020200074156 A KR1020200074156 A KR 1020200074156A KR 20200074156 A KR20200074156 A KR 20200074156A KR 102506913 B1 KR102506913 B1 KR 102506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fire door
wat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6496A (ko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광도어
김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광도어, 김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광도어
Priority to KR102020007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913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65Physical fire-barriers having as the main closure device materials, whose characteristics undergo an irreversible change under high temperatures, e.g. intum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방화문 내부로 소방수를 저장함과 동시에 그 저장압력으로 방화문 일 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소방수를 직접 분사하여 근거리 위치의 화재를 진화하고, 동시에 피난공간으로의 화염이나 유독가스의 유입 유출을 방지하여 주도록 한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화문의 소화장치{fire extinguishing system of fire doors}
본 발명은 단열기능과 방화기능과 소방기능을 동시에 갖춘 방화문의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이면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출입문 또는 비상문 등의 구조물로 이용하고 있는 방화문은 통상 벽면에 관통설치하는 사각형상의 문틀과, 상기 문틀 내에 끼워 회동장치로 개폐토록 하는 방화문으로 구성되되,
상기 방화문은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직사각형태의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의 양측부로 그 둘레를 시밍하여 상호 결착시키는 전,후면판과, 상기 전,후면판 사이에 게재하는 중간심재(허니컴)로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한 방화문은 화재 발생시 화염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판 등의 금속재로 제작하고 문틀과 방화문 사이에 단열 및 방풍효과를 얻기 위하여 고무패킹을 부설하고 있다.
그러나 이상의 방화문은 문틀과 방화문 사이 및 방화문의 보강프레임과 전,후면판 사이로 틈이나 유격공간이 상당하여 화재발생시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이면(피난경로)으로 쉽게 유출되거나 유입될 수 있는 우려가 컸고, 특히 문틀과 방화문 사이에 게재된 고무패킹이 열에 매우 취약하여 위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금속재의 방화문은 고온의 화염에 장시간 노출시, 전면판 또는 후면판의 열이 그 이면(화재에 노출되지 않은 면)으로 빠르게 전도되어 방화문의 변형은 물론 피난 경로에 고열을 전파하여 피난 경로의 이용과 대피를 불가능케 할 여지가 매우 높았다.
한편, 위 문제를 일소하기 위하여 근래 다방면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대부분, 방화문의 구조변경이나 불열재 등의 적용에 한정되어 있어, 그 실효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002297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문으로 소방장치를 채용하여 화재발생시 방화문의 일 방향 또는 양방향 근거리화재를 방화문이 직접 소방수로 신속 진화하면서 열전도 확산을 차단하여 최상의 방화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방화문과 문틀 사이로 화염 및 유독가스 유출 또는 유입을 확고히 방지하여 피난 경로의 이용과 대피의 안전이 보다 크게 담보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은 방화문으로 단열재와 열선을 부가하여 단열기능과 결로방지기능이 동시에 발휘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화문의 소화장치는, 소방수를 공급받는 방화문의 문틀, 내부에 허니컴이 내장되는 방화문, 상기 방화문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문틀로부터 소방수를 통과하는 여러 개의 입수공, 상기 방화문의 전면판과 저면에 형성되는 여러 개의 분사공, 상기 허니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입수공으로부터 입수되는 소방수를 수급받는 수로공 ,상기 방화문의 문틀로 소방수를 공급받아 방화문으로 유입시키는 소방수공급유닛 및 상부면에 상기 소방수공급유닛이 접속되는 반원의 오목 형상인 접속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연결공이 관통하는 공급컨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소방수공급유닛은 수직 개방된 원통형 관 형태로 상부에 소방수공급배관과 연결된 연결관이 결합되고 하부 내주면 둘레에는 걸림부재가 형성되는 헤드캡, 상기 헤드캡 내에 안치되면서 상부 둘레에 단턱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공급공을 가짐과 함께 하부가 반원의 볼록 형상으로 되어 상기 접속홈에 접속되는 공급헤드 및 상기 헤드캡의 하부 걸림부재와 공급헤드의 상부 단턱 사이에 게재되는 스프링으로 구성하며, 상기 문틀의 테두리 내주면으로 고흡수성수지가 내장된 팽창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 본 발명은 상기 방화문의 입수공(4')으로 방화문(b) 내부에 소방수를 유입시키는 연결공(42)을 가진 하나 이상의 공급컨넥터(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소방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소방수를 방화문을 통해 직접 그 일 방향 또는 양방향 및 하 방향으로 분사하여 방화문 근거리 위치의 화재를 신속히 진화하면서 방화문으로의 열전도 확산을 미연에 차단하여 피난 경로의 이용 또는 대피공간의 안전을 최대한 담보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에 의한 소방수 분사시 문틀과 방화문 사이 및 방화문의 가로,세로프레임과 전,후면판 사이의 결착부에 존재할 수 있는 틈이나 유격공간을 고흡수성수지가 수분흡수를 통해 팽창하면서 메워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이면 즉, 비상공간으로 유출 또는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방화문 내부에 단열재와 열선을 부가하여 일상적 상황에서 단열기능과 결로방지기능이 발휘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화문의 전체 예시도,
도 2는 가 - 가' 선 단면도,
도 3은 나 - 나' 선 단면도,
도 4는 '가'부로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허니컴의 측단면 부분확대도,
도 6,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도.
이하, 위 과제의 해결수단을 뒷받침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도 1의 방향표시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의 소화장치는 방화문의 문틀(a)과;, 내부에 허니컴(21)이 내장되는 방화문(b)과;, 상기 방화문(b)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문틀(a)로부터 소방수를 통과하는 여러 개의 입수공(4')과;, 상기 방화문(b)의 전면판(2) 및 저면에 형성되는 여러 개의 분사공(22)과;, 상기 허니컴(2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입수공(4')으로부터 입수되는 소방수를 수급받는 수로공(21')을 포함 구성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가로프레임(101)(101')과 세로프레임(102)(102')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문틀(a)과;, 가로프레임(201)(201')과 세로프레임(202)(202') 둘레에 시밍하여 결착하는 전,후면판(2)(2')과 상기 전,후면판(2)(2') 사이에 게재하는 허니컴(21)으로 이루어진 방화문(b)에 있어서,
상기 문틀(a)의 상부 가로프레임(101) 길이 선상으로 소방수공급배관(31)과 연결된 하나 이상의 소방수공급유닛(3)을 더 포함하여 방화문을 구성하되,
상기 소방수공급유닛(3)은 수직 개방된 원통형 관 형태로 상부에 소방수공급배관(31)과 연결된 연결관(32)을 결합하고 하부 내주면 둘레에는 걸림부재(33')를 형성한 헤드캡(33)과, 상기 헤드캡(33) 내에 안치하면서 상부 둘레로 단턱(34')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공급공(34")을 가지게 한 공급헤드(34)와, 상기 헤드캡(33)의 하부 걸림부재(33')와 공급헤드(34)의 상부 단턱(34') 사이에 게재하는 스프링(35)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 중 소방수공급배관(31)은 도 2를 참조하였을 때, 건물 등의 천장에 시설된 스프링쿨러(301)의 소방수메인배관(302)과 분기관으로 연결하여 화재감지에 의한 스프링쿨러(301) 작동시 상기 분기관을 통해 소방수공급배관(31)으로 소방수가 동시 유입되는 시스템을 가지게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소방수공급배관(31)을 소방수메인배관(302)과 화재감지센서를 가지는 개폐벨브(도면 미도시)로 직결하여 단독 이용되는 시스템을 가지게 한다.
또 상기 공급헤드(34)는 상부 단턱(34')이 헤드캡(33) 하단의 걸림부재(33')와 상부 결합 된 연결관(32) 일단에 의해 상,하 방향 단속되어 헤드캡(33) 내부에서 유동되도록 한다.
또 소방수공급유닛(3)은 연결관(32)과 문틀(a)의 상부 가로프레임(101) 내에서 구성 및 체결하여 방화문의 외관을 전혀 해치지 않고 또 기존 기성화 된 방화문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방화문(b)의 상부 가로프레임(201) 길이 선상으로 상기 소방수공급유닛(3)과 접속되어 방화문(b) 내부에 소방수를 유입시키는 하나 이상의 공급컨넥터(4)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공급컨넥터(4)은 상부면에 형성하는 접속홈(41)과, 상,하 중심부를 관통하는 연결공(42)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급컨넥터(4)는 상술한 소방수공급유닛(3)과 동일 선상, 동일 갯수로 방화문 (b) 상부의 가로프레임(201) 길이방향에 배치/구성하여 상기 소방수공급유닛(3)의 공급헤드(34)와 접속하면서 방화문(b) 내부로 소방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또 상기 접속홈(41) 내주면으로 실리콘계열의 패킹(43)을 적층하여 공급헤드(34)와의 접속시 기밀 유지성이 보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방화문(b)의 전,후면판(2)(2') 중 어느 하나의 판과 하부 가로프레임(201') 선상으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공(22)를 더 포함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공(22)는 전술한 구성에 의해 방화문(b) 내부로 소방수가 공급되어 일정한 압력을 가졌을 때, 그 압력에 의해 방화문(b) 외부와 하부로 일정 세기의 분사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제작한다.
필요에 의해서는 분사공(22)에 분사노즐(도면 미도시)를 구성하여 분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또 상기 분사공(22)를 방화문(b)의 전,후면판(2)(2')과 가로,세로프레임(201)(201')(202)(202')에 전체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허니컴(21) 수직방향으로 연속해서 여러 개의 수로공(21')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 설명하였고, 다음으로는 상기 구성에 의한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소방수메인배관(302)과 연결된 문틀(a)과 방화문의 상부 입수공(4')을 통해 방화문(b) 내부로 소방수가 공급/저장되고 동시에 방화문(b)의 전면 또는 후면판(2)(2') 및 하부에 형성된 분사공(22)을 통해 그 일 방향 또는 양방향과 하 방향으로 소방수가 직접 분사되어 방화문 근거리 위치의 화재를 신속히 진화하면서 방화문으로의 열전도 확산을 미연에 차단하여 피난 경로의 이용 또는 대피공간의 안전을 최대한 담보하게 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화재발생에 의한 스프링쿨러(301)의 작동 내지는 직결된 화재감지센서(도면 미도시) 작동에 의해 소방수메인배관(302)으로부터 문틀(b) 내의 소방수공급배관(31)과 연결관(32)으로 고압의 소방수가 유입되면,
헤드캡(33) 내의 공급헤드(34)가 소방수의 수압에 의해 하 방향(방화문)으로 밀려 방화문(b) 상부 공급컨넥터(4)와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으로 공급헤드(34)의 공급공(34")과 공급컨넥터(4)의 연결공(42)을 통해 방화문(b) 내부로 소방수가 빠르게 공급/저장된다.
이때, 상기 공급헤드(34)는 그 하부가 반원의 볼록 형상이고 공급컨넥터(4)의 접속홈(41)은 반원의 오목형상으로 되어있어 상기 작용에 의한 양자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 소방수 공급도중 필요에 의해 방화문을 개방할 때, 그 접속의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접속홈(41)으로 실리콘 계열의 패킹(43)을 더 적층하여 공급헤드(34)와의 접속시 기밀 유지성이 더욱 보강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접속홈(41)으로 소방수의 수압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정도의 얇은 박막을 더 적층하여 일상적 상황에서 방화문(b) 내부로 이물질 내지는 공기의 유입을 완전 차단하여 결로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한다.
다시 돌아가, 상기 작용에 의해 방화문(b) 내로 소방수가 빠르게 공급/저장되어 일정한 저장압력이 발생하면 방화문(b)의 전면 또는 후면판(2)(2')과 하부 가로프레임(201')에 구성된 여러 개의 분사공(22)을 통해 소방수가 외부로 넓게 분사되어 방화문 일 방향 또는 양방향과 하 방향 근거리 위치의 화재를 신속히 진화하고 동시에 방화문 이면(화재반대 방향)으로의 열전도 확산을 차단하여 피난 경로의 이용 또는 대피공간의 안전을 최대한 담보한다.
방화문(b) 내부에는 방화문(b)의 형상유지 및 단열 효과를 위하여 벌집모양의 허니컴(21)이 통상 내장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허니컴(21)의 수직방향으로 여러 개의 수로공(21')을 형성하여 방화문(b) 내부로 소방수가 신속히 저장되도록 한다. (허니컴의 평면을 도시한 도 3 및 허니컴의 측면을 단면 도시한 도 5참조)
또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방화문(b)은 통상적으로 단열과 결로방지 목적으로 가로,세로프레임(201)(210')(202)(202')과 전,후면판(2)(2')의 결착부위로 밀폐패킹이 게재되어 내부 밀폐 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상기 작용에 의해 방화문 내부로 소방수가 일정압력으로 저장되면 그 저장압력에 의해 여러 개의 분사공(22)으로 소방수가 분사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상기 방화문(b)의 가로,세로프레임(201)(201')(202)(202')과 전,후면판(2)(2')의 결착부위에 고흡수성수지(103)를 게재하여 위 밀폐패킹과 동일한 단열과 결로방지 목적을 달성하면서 상기 작용에 의한 소방수공급시 수분흡수로 팽창하여 방화문 내부의 밀폐효과를 더욱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분사공(22)에 분사노즐(도면 미도시)를 더 구성하여 상기에 의한 소방수 분사각도 및 분사력 그리고 분사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방화문(b)의 가로프레임(201)(201')과 세로프레임(202)(202') 길이 선상으로 여러 개의 분사공(22)을 형성하여 방화문(b) 테두리방향으로도 소방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은 소방수공급유닛과 공급컨넥터를 설명함에 있어 문틀과 방화문의 특정 위치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이해 및 구성의 이상적인 위치를 일 예시로 설명한 것이지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방화문의 상,하 또는 좌,우 어느 위치에도 구성가능하고 또 위 설명과 같은 동일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구성에 의한 방화문에 있어서,
소방수공급유닛(3)의 공급헤드(34) 하부 둘레에 하 방향 사선으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분사공(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헤드(34)에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분사공(36)은 공급헤드(34)에서 방화문(b) 내부로 소방수가 공급될 때, 상기 분사공(36)으로 방화문(b) 상부 가로프레임(201)상에 소방수를 동시 분사하여 문틀(a)과 방화문(b) 사이의 틈(공간)으로 소방수가 흘러 소방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구성의 방화문에 있어서, 방화문(b) 내부 중심에 격벽(6)을 설치하여 격벽(6) 일측에는 허니컴(21)을 구성하고 타측에는 소방수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실(61)을 각각 구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일상적 상황에서 상기 저장실(61)로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효과를 발휘하고, 특정 상황 즉, 화재발생시에는 상기 저장실로 소방수가 신속히 저장 및 그 저장압력에 의한 분사공(22)으로의 분사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문틀(a)의 가로프레임(101)(101')과 세로프레임(102)(102') 내측면 길이선상으로 고흡수성수지(103)가 내장된 팽창홈(10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흡수성수지(103)의 일 예로,
고흡수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s-SAP)는 밀 전분을 주원료로 만든 고흡수성 고분자 물질로 인체에는 무해하며 흡수력이 뛰어나 물을 만나면 최대 1000배까지 팽창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고흡수성수지(103)를 문틀(b)의 가로,세로프레임 내주면에 구성하여 상기작용에 의한 소방수 분사시, 수분에 의한 팽창으로 문틀(a)과 방화문(b) 사이의 틈(공간)을 메워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방화문의 이면(비상공간)으로 유출 또는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본 발명은 방화문(b) 내부에 허니컴(21)과 단열재(5')를 샌드위치형태로 설치함과 동시에 단열재(5') 일면으로 열선(5)을 포함구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선(5)은 단열재(5')의 표면 즉, 실내 쪽 방향의 단열재(5') 내면으로 홈을 형성하여 열선(5)이 설치되게 한다.
또 다른 예시로, 본 발명은 방화문(b) 내로 허니컴(21)과 단열재(5')를 샌드위치 형태로 설치하되, 상기 단열재(5')는 방화문(b)의 전,후면판(2)(2') 중 어느 하나의 판과 접하는 일측면으로 일측에 열선(5)과 여러 개의 돌출편(51)이 형성된 격판(52)을 게재하여 상기 격판(52)의 표면과 전,후면판(2)(2') 중 어느 하나의 판 사이로 상기 돌출편(51)에 의한 일정한 공간(53)이 강제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구성은 단열재(5') 및 열선(5)의 발열기능을 통해 방화문으로 단열기능을 제공하여 결로를 확고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나아가 단열재(5')와 방화문 사이로 열선(5)에 의한 가열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53)을 제공하여 상기 효과의 증대를 더욱 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고로 상기 열선은 방화문의 회동장치(힌지구성)를 통해 전원부와 배선연결 하거나 또는 회동장치의 문틀 힌지와 방화문 힌지에 각각 전원접속단자를 설치하여 문틀로 방화문이 닫힘 되었을 때, 힌지의 전원접속단자가 상호 접속하면서 열선의 발열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도면 미도시)
또 상기 열선으로 인가되는 전원은 화재발생시 화재감지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단락되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도면 미도시)
이상의 여럿 실시 예를 제시하는 본 발명은 일상적 상황에서 방화문으로 단열효과를 제공하여 결로 등의 문제를 예방하고 특정상황 즉, 화재발생시에는 소방기능을 제공하여 인명안전이 최대한 보장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방화문을 제공하는 특허이다.
마지막으로 이 발명은 이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이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이며, 이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이 발명은 위에서 기재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이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이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이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권리범위가 넓은 순서대로 청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이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이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도시는 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작용효과는 도면을 통해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다. 이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a : 문틀 b : 방화문
101, 101' : 가로프레임 102, 102' : 세로프레임
103 : 고흡수성수지 103' : 평창홈
201, 201' : 가로프레임 202, 202' : 세로프레임
301 : 스프링쿨러 302 : 소방수메인배관
2 : 전면판 2' : 후면판
21 : 허니컴 21' : 수로공
2 : 분사공 3 : 소방수공급유닛
31 : 소방수공급배관 32 : 연결관
33 : 헤드캡 33' : 걸림부재
34 : 공급헤드 34' : 단턱
34" : 공급공 35 : 스프링
36 : 분사공 4 : 공급컨넥터
4' 입수공 41 : 접속홈
42 : 연결공 43 : 패킹
5 : 열선 5' : 단열재
51 : 돌출편 52 : 격판
53 : 공간 6 : 격벽
61 : 저장실

Claims (4)

  1. 소방수를 공급받는 방화문의 문틀(a), 내부에 허니컴(21)이 내장되는 방화문(b), 상기 방화문(b)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문틀(a)로부터 소방수를 통과하는 여러 개의 입수공(4'), 상기 방화문(b)의 전면판(2)과 저면에 형성되는 여러 개의 분사공(22), 상기 허니컴(2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입수공(4')으로부터 입수되는 소방수를 수급받는 수로공(21') ,상기 방화문의 문틀(a)로 소방수를 공급받아 방화문(b)으로 유입시키는 소방수공급유닛(3) 및 상부면에 상기 소방수공급유닛(3)이 접속되는 반원의 오목 형상인 접속홈(41)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연결공(42)이 관통하는 공급컨넥터(4)를 포함하되,
    상기 소방수공급유닛(3)은 수직 개방된 원통형 관 형태로 상부에 소방수공급배관(31)과 연결된 연결관(32)이 결합되고 하부 내주면 둘레에는 걸림부재(33')가 형성되는 헤드캡(33), 상기 헤드캡(33) 내에 안치되면서 상부 둘레에 단턱(34')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공급공(34")을 가짐과 함께 하부가 반원의 볼록 형상으로 되어 상기 접속홈(41)에 접속되는 공급헤드(34) 및 상기 헤드캡(33)의 하부 걸림부재(33')와 공급헤드(34)의 상부 단턱(34') 사이에 게재되는 스프링(35)으로 구성하며,
    상기 문틀(a)의 테두리 내주면으로 고흡수성수지(103)가 내장된 팽창홈(10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소화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b)의 입수공(4')으로 방화문(b) 내부에 소방수를 유입시키는 연결공(42)을 가진 하나 이상의 공급컨넥터(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소화장치.
  4. 삭제
KR1020200074156A 2020-06-18 2020-06-18 방화문의 소화장치 KR102506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156A KR102506913B1 (ko) 2020-06-18 2020-06-18 방화문의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156A KR102506913B1 (ko) 2020-06-18 2020-06-18 방화문의 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496A KR20210156496A (ko) 2021-12-27
KR102506913B1 true KR102506913B1 (ko) 2023-03-07

Family

ID=7917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156A KR102506913B1 (ko) 2020-06-18 2020-06-18 방화문의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9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158B1 (ko) * 2022-04-12 2023-02-06 홍주성 수동방화유리문
KR102498827B1 (ko) * 2022-05-10 2023-02-09 한진식 화재 확산 방지용 수동방화유리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469A (ja) 1998-08-28 2000-03-07 Bunka Shutter Co Ltd 板状部材、空間仕切り装置、耐火耐熱シート及び防火システム
KR100719759B1 (ko) * 2005-11-01 2007-05-17 김봉기 안전분사노즐
KR100995224B1 (ko) * 2009-12-15 2010-11-17 박갑환 방화문
CN109681100A (zh) * 2018-12-05 2019-04-26 郑琼华 设消防灭火机构的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975A (ko) 2002-09-10 2004-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패키지
KR20090003213U (ko) * 2007-10-01 2009-04-06 이영배 문과 문틀 내부에 물을채워 열을차단하는 방화문.
KR101146379B1 (ko) * 2009-12-15 2012-05-17 박갑환 방화문틀
KR20190066457A (ko) * 2017-12-05 2019-06-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화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469A (ja) 1998-08-28 2000-03-07 Bunka Shutter Co Ltd 板状部材、空間仕切り装置、耐火耐熱シート及び防火システム
KR100719759B1 (ko) * 2005-11-01 2007-05-17 김봉기 안전분사노즐
KR100995224B1 (ko) * 2009-12-15 2010-11-17 박갑환 방화문
CN109681100A (zh) * 2018-12-05 2019-04-26 郑琼华 设消防灭火机构的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496A (ko)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6913B1 (ko) 방화문의 소화장치
JP4280065B2 (ja) 防火スプリンクラーシステム用ドライパイプ弁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1670360B1 (ko) 화재 확산 방지 장치를 구비한 건물 배수관 설치 구조
CN103437461B (zh) 通透型防火墙系统
CN208511760U (zh) 一种消防自动喷淋灭火系统
CN111520044A (zh) 设消防灭火机构的门
CN109594896A (zh) 一种安全性高的防火门装置
CN207701032U (zh) 一种消防窗
CN105477808A (zh) 一种适用于多种类型火灾的灭火器
KR102608228B1 (ko) 전기차 또는 수소차 배터리 소화 장치
CN209324213U (zh) 一种防火玻璃
CN211115578U (zh) 一种带有灭火装置的智能防火门
CN112267800A (zh) 可控制密封件膨胀的环保防火门
CN211258369U (zh) 一种可控制密封件膨胀的环保防火门
CN211598362U (zh) 一种便于灭火的防火门
CN211500399U (zh) 一种带有灭火装置的防火门
CN208534358U (zh) 一种防火隔音对开门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05451U (ko) 차열문
CN215255818U (zh) 一种避难间防火门
CN217681422U (zh) 一种具有隔音隔热效果的钢质防火门
JP4210821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CN207879200U (zh) 一种绝热阻燃消防安全门
KR102116822B1 (ko)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