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537B1 -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 - Google Patents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537B1
KR100719537B1 KR1020040082087A KR20040082087A KR100719537B1 KR 100719537 B1 KR100719537 B1 KR 100719537B1 KR 1020040082087 A KR1020040082087 A KR 1020040082087A KR 20040082087 A KR20040082087 A KR 20040082087A KR 100719537 B1 KR100719537 B1 KR 100719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s
pixel electrode
electrode pads
pad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129A (ko
Inventor
허세준
채병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2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537B1/ko
Priority to US11/239,397 priority patent/US7466370B2/en
Publication of KR20060033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4Arrangements to prevent high voltage or static electricity fail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공정 등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절연 파괴 등에 의해 화소 쇼트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복수개의 화소 전극들과,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각 화소 전극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화소 전극 패드들과, 상기 각 화소 전극들과 이에 대응되는 화소 전극 패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을 구비한 복수개의 연결 배선부들과,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어 상기 화소 전극 패드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것으로, 상기 화소 전극 패드들의 외측에 위치하는 도전성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바아는 제조 완료 후에는 상기 화소 전극 패드들과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substrate therefor }
도 1 은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일 화소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평판 표시장치를 분리하기 전의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20: 기판 21: 아이콘 표시부
22: 제1아이콘 표시부 23: 제2아이콘 표시부
24: 화상 표시부 25: 제1아이콘 패드부
26: 제1아이콘 패드부 27: 제1 연결 배선부
28: 제2연결 배선부 29: 화상 패드부
30: 화소 전극 33: 연결 배선
35: 유기막 36: 대향 전극
40: 도전성 바아 221: 제1아이콘
222: 제2아이콘 223: 제3아이콘
231: 제4아이콘 232: 제5아이콘
233: 제6아이콘 234: 제7아이콘
251: 제1아이콘 패드 252: 제2아이콘 패드
253: 제3아이콘 패드 261: 제4아이콘 패드
262: 제5아이콘 패드 263: 제6아이콘 패드
264: 제7아이콘 패드 271: 제1연결 배선
272: 제2연결 배선 273: 제3연결 배선
281: 제4연결 배선 282: 제5연결 배선
283: 제6연결 배선 284: 제7연결 배선
401: 제1패턴부 402: 제2패턴부
403: 연결패턴부
본 발명은 평판 표시장치 및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기에 의한 화소 쇼트를 방지할 수 있는 평판 표시장치 및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 소자나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또는 무기 전계 발광 소자 등 평판상의 기판에 화상을 구현하도록 한 표시장치이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소정 패턴의 화소 전극들이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 외측에 이 화소 전극들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극 패드들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전극 패드들과 화소 전극은 전극 배선들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는 제조 과정에서 발생된 정전기에 의해 하전 입자들이 화소 전극들이나 전극 배선들에 축적되어 있어 문제가 된다.
특히, 이러한 정전기 문제는 도 1과 같이, 설계상 필요에 의해 배선(15a)(15b)이 좌우로 나뉘는 경우에 더욱 문제가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기판(10) 상에 아이콘 표시부(11)와, 화상 표시부(12)가 배치되어 있고, 기판(1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상기 아이콘 표시부(11) 및 화상 표시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아이콘 패드부(13a)(13b)와, 화상 패드부(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아이콘 표시부(11)는 설계상 좌우 아이콘 표시부(11a)(11b)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아이콘 패드부(13a)(13b)도 좌우로 분리되어 있고, 아이콘 표시부(11a)(11b)와, 아이콘 패드부(13a)(13b)를 서로 연결하는 배선부(15a)(15b) 도 좌우로 나뉘어 있다.
그런데, 이렇게 좌우로 나뉘어진 구조에서는 나뉘어진 아이콘 표시부(11a)(11b)의 서로 인접한 부분에서 정전기에 의한 절연막 파괴가 자주 발생된다.
예를 들어 보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기판(10) 상의 버퍼층(10a) 위에 화소 전극(16)이나, 배선(17)이 서로 인접해 있는 데, 이 때, 화소 전극(16)은 통상 투명 전극인 ITO 등의 일함수가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고, 배선(17)은 투명 전극 물질(17a)과 그 위의 Cr과 같은 도전성이 좋은 물질(17b)로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 때, 화소 전극(16)은 정전기에 의해 양전하를 다량 포함하고, 배선(17)은 Cr과 같은 도전성이 좋은 물질(17b)에 음전하를 다량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양전하와 음전하는 그 거리가 서로 가까운 부분에서 절연막(18)에 파열(B)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파열(B) 부분을 통해, 절연막(18) 상부의 대향 전극(19)과 배선(17) 또는 화소 전극(16)이 서로 전기적 단락을 일으키게 되어, 불량을 일으킨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공정 등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절연 파괴 등에 의해 화소 쇼트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평판 표시장치 및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복수개의 화소 전극들과,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각 화소 전극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화소 전극 패드들과, 상기 각 화소 전극들과 이에 대응되는 화소 전극 패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을 구비한 복수개의 연결 배선부들과,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어 상기 화소 전극 패드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것으로, 상기 화소 전극 패드들의 외측에 위치하는 도전성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바아는 제조 완료 후에는 상기 화소 전극 패드들과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복수개의 화소 전극들과,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각 화소 전극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화소 전극 패드들과, 상기 각 화소 전극들과 이에 대응되는 화소 전극 패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을 구비한 복수개의 연결 배선부들과, 상기 기판의 적어도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 전극들, 화소 전극 패드들, 및 연결 배선부들과 연결되지 않은 도전성 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것으로, 복수개의 화소 전극들과, 상기 각 화소 전극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화소 전극 패드들과, 상기 각 화소 전극들과 이에 대응되는 화소 전극 패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을 구비한 복수개의 연결 배선부들을 각각 구비한 복수개의 표시부들과, 상기 각 표시부들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각 표시부 들의 화소 전극 패드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것으로, 상기 각 화소 전극 패드들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도전성 바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글라스 기판(20) 상에 구현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는 기본적으로, 도 1과 같은 배치를 갖는다.
글라스 기판(20)상에는 아이콘 표시부(21)와, 화상 표시부(24)가 배치되어 있다.
기판(20)의 일측에는 각각 아이콘 패드부들(25)(26)과, 화상 패드부(29)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화상 패드부(29) 및 아이콘 패드부들(25)(26)에는 IC 등의 전자소자들이 다수 장착된 회로기판이 장착된다.
이러한 패드부들(25)(26)(29)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아이콘 표시부(21)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아이콘들이 ON/OFF 방식으로 구동하는 영역에 해당하고, 상기 화상 표시부(24)는 패시브 매트릭스 또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으로 구동해, 소정의 화상을 구현하는 영역에 해당된다. 통상의 표시장치에서는 아이콘의 표시를 화상 표시부에서 구현하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고정된 영역에 아이콘 표시부 (21)를 배치해, 이 영역에서 아이콘 표시를 하도록 하였다.
상기 화상 표시부(24)는 액티브 매트릭스 또는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부가 배치되는 데, 이는 통상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라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아이콘 표시부(21) 및 화상 표시부(24)는 별도의 밀봉부재(미도시)에 의해 밀봉되어 외기와의 접촉이 차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 아이콘 표시부(21)는 제1아이콘 표시부(22)와 제2아이콘 표시부(23)의 두 개의 서로 인접한 발광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각 아이콘 표시부들(22)(23)에 배치되어 있는 아이콘들은 다양한 모양으로 구비되는 데, 도 3에서는 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제1아이콘 표시부(22)에 제1아이콘(221), 제2아이콘(222), 및 제3아이콘(223)이 배치되어 있고, 제2아이콘 표시부(23)에 제4아이콘(231), 제5아이콘(232), 제6아이콘(233), 및 제7아이콘(234)이 배치되어 있다. 아이콘 표시부(21)의 분리된 서브 아이콘 표시부의 개수와 각 아이콘 표시부들(22)(23)의 아이콘 개수와 모양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아이콘부(22)의 각 아이콘들은 기판(20) 하단에 위치하는 제1아이콘 패드부(25)에 제1연결 배선부(27)에 의해 연결되고, 제2아이콘부(23)의 각 아이콘들은 기판(20) 하단에 위치하는 제2아이콘 패드부(26)에 제2연결 배선부(28)에 의해 연결된다. 즉, 제1아이콘(221), 제2아이콘(222), 및 제3아이콘(223)은 제1아이콘 패드부(25)의 제1아이콘 패드(251), 제2아이콘 패드(252), 및 제3아이콘 패드(253)에 제1연결 배선(271), 제2연결 배선(272), 및 제3연결 배선(27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아이콘(231), 제5아이콘(232), 제6아이콘(233), 및 제7아이콘(234)은 제2아이콘 패드부(26)의 제4아이콘 패드(261), 제5아이콘 패드(262), 제6아이콘 패드(263), 및 제7아이콘 패드(264)에 제4연결 배선(281), 제5연결 배선(282), 제6연결 배선(283), 및 제7연결 배선(284)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이들 제1 연결배선부(27) 및 제 2 연결배선부(28)는 각각 화상 표시부(24)의 외측 양편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각 아이콘 표시부(22)(23)의 각 아이콘들은 이 아이콘들이 하나의 화소가 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 구조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것은, 아이콘들 중 어느 특정 아이콘에 대한 것으로, 나머지 아이콘들도 모두 동일하다.
먼저, 도 4와 같이, 기판(20) 상에 버퍼층(20a)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20)은 투명한 글라스재가 사용될 수 있는 데, 이 외에도, 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미라르(mylar) 기타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버퍼층(20a)은 불순물 이온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SiO2, SiNx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기판(20)이 플라스틱재일 경우, 수분이나 외기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베리어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버퍼층(20a) 위에 소정 패턴으로 화소 전극(30)이 형성되는 데, 이 화소 전극(30)은 연결 배선(33)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화소 전극(30)은 해당 아이콘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며,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투명전극으로 사용될 때에는 ITO, IZO, ZnO, 또는 In2O3로 구비될 수 있고, 반사형 전극으로 사용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반사막을 형성한 후,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 배선(33)은 상기 화소 전극(30)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화소 전극(30)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하층(31)위에 라인 저항 등을 보완해주기 위해 도전성이 좋은 Cr 등으로 구비된 상층(32)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연결 배선(33)이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화소 전극(30) 및 연결 배선(33)의 상부로는, 아크릴, BCB, 폴리 이미드 등의 유기물, 또는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과 같은 절연물에 의해 절연막(34)이 형성된다. 이 절연막(34)에는 소정의 개구부(34a)(34b)가 형성되어, 화소 전극(30)의 소정 부분을 노출시켜, 화소 정의막(pixel define layer)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 노출된 개구부(34a)(34b)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발광이 일어나게 되어 소정의 아이콘 모양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막(35)이 적어도 화소 전극(30)의 상부로 형성된다. 이 때, 유기막(35)의 발광층은 해당 아이콘의 색상에 대응되는 색상이 된다.
상기 유기막(35)이 형성된 후에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OLED)의 상층 전극인 대향 전극(36)이 형성된다. 이 대향 전극(36)은 도 3에서 아이콘 표시부(21)의 전체 아이콘들을 다 덮도록 형성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터닝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화소 전극(30)과 대향 전극(36)은 상기 유기막(35) 및 절연막(34)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유기막(35)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유기막(35)에서 발광이 이뤄지도록 한다.
한편, 화소 전극(30)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대향 전극(36)은 캐소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30)과 대향 전극(36)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대향 전극(36)도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투명전극으로 사용될 때에는 이 대향 전극(36)이 캐소드 전극으로 사용되므로,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Li, Ca, LiF/Ca, LiF/Al, Al, Mg, 및 이들의 화합물이 유기막(35)의 방향을 향하도록 증착한 후,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 전극 형성용 물질로 보조 전극층이나 버스 전극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형 전극으로 사용될 때에는 위 Li, Ca, LiF/Ca, LiF/Al, Al, Mg, 및 이들의 화합물을 전면 증착하여 형성한다.
상기 유기막(35)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층이 사용될 수 있는 데, 저분자 유기층을 사용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유기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층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고분자 유기층의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홀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하며, 이를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있어,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1아이콘 패드부(25)와 제2아이콘 패드부(26)의 각 아이콘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도록 도전성 바아(40)가 구비된다.
이 도전성 바아(40)는 제1아이콘 패드부(25)와 제2아이콘 패드부(26)의 각 아이콘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해 전체 아이콘 표시부(21)가 등전위가 되도록 해준다. 따라서, 도전성 바아(40)에 의해 아이콘 표시부(21)의 화소 전극과 화소전극 사이 또는 화소 전극과 연결 배선 사이의 정전기에 의한 전위차가 해소되며, 이에 따라, 종래기술란에서 설명된 정전기에 의한 전위차로 인해 절연막이 파열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바아(40)는 도 3과 같이, 기판(20)의 최외곽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바아(40)에 의해 제1아이콘 패드부(25)와 제2아이콘 패드부(26)의 아 이콘 패드들은 모두 전기적으로 쇼트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조가 완료된 후에는 이 도전성 바아(40)는 제거되거나, 제1 및 제2아이콘 패드부(25)(26)와의 연결이 차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전성 바아(40)를 제1 및 제2아이콘 패드부(25)(26)와, 화상 패드부(29) 외측의 기판(20) 가장자리 최외곽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조 후에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절단선(L)을 따라 기판(20)을 절단해, 도전성 바아(40)를 절단해 버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전성 바아(40)는 제1 및 제2아이콘 패드부(25)(26)와, 화상 패드부(29) 등 도전성 패턴부와 동일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제조도 동일 공정에 의해 진행할 수 있어, 추가 공정이 소요되지 않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이 평판 표시장치가 분리되기 전의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바아(40)가 제1 및 제2아이콘 패드부(25)(26)에 대향되는 기판(20)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상기 도전성 바아(40)는 도 6과 같이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에 있어, 절단되기 전의 인접한 평판 표시장치의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도 6에서 절단선(L)에 의해 절단된 후에 남아 있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 도전성 바아(40)는 제1아이콘 패드부(25)에 대향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1패턴부(401)와, 제2아이콘 패드부(26)에 대향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패턴부(402)를 갖는다. 그리고, 또한, 이 제1패턴부(401)와 제2패턴부(402)를 연결하는 연결 패턴부(403)를 가져,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제1패턴부(401)의 너비(W3)는 제1아이콘 패드부(25)의 너비(W1)와 동일하고, 제2패턴부(402)의 너비(W4)는 제2아이콘 패드부(26)의 너비(W2)와 동일하다.
이렇게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100)을 제조한 후, 도전성 바아(40)에 의해 정전기를 제거한 후, 절단선(L)들을 따라 절단해 도 5와 같은 평판 표시장치를 제조함으로써, 간단하게 정전기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바아(40)는 반드시 전술한 아이콘 표시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상 표시부(24)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외에도 액정 표시장치, 무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등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도전성 바아에 의해 화소 전극들 및 배선들이 등전위가 되도록 함으로써 제조과정에서 거의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전위차의 발생을 없애줄 수 있다.
둘째, 정전기에 의한 전위차를 없앰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절연막 파괴를 방지하고, 이에 따라, 정전기에 의한 화소 쇼트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셋째, 도전성 바아를 제조 후에는 간단하게 제거함으로써, 정전기 제거를 위한 추가 공정없이 간단하게 정전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삭제
  2.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복수개의 화소 전극들;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각 화소 전극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화소 전극 패드들;
    상기 각 화소 전극들과 이에 대응되는 화소 전극 패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을 구비한 복수개의 연결 배선부들; 및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어 상기 화소 전극 패드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것으로, 상기 화소 전극 패드들의 외측에 위치하는 도전성 바아;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장치로서,
    상기 도전성 바아는 상기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 완료 후에는 상기 화소 전극 패드들과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화소 전극들은 인접한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발광 영역에 분산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전극 패드들도 상기 각 발광 영역들에 대응되도록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패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배선부들은 상기 각 발광 영역과 각 패드 영역을 연결하는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배선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배선 영역들 중 적어도 두 개의 배선 영역은 서로 이격되며,
    상기 도전성 바아는 상기 서로 다른 적어도 두개의 패드 영역의 화소 전극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도록 된 평판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된 배선 영역들 사이에는 또 다른 발광 영역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바아는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패드 영역과 다른 패드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바아는, 도전성 바아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패드 영역들의 각 화소 전극 패드들을 묶어 한 단위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 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바아는 상기 기판의 최외곽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상기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 완료 후에는 이 도전성 바아가 위치한 기판의 부분과 함께 절단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표시장치는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와, 소정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전극들은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8.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복수개의 화소 전극들;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각 화소 전극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화소 전극 패드들;
    상기 각 화소 전극들과 이에 대응되는 화소 전극 패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을 구비한 복수개의 연결 배선부들; 및
    상기 기판의 적어도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 전극들, 화소 전 극 패드들, 및 연결 배선부들과 연결되지 않은 도전성 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들은 인접한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발광 영역에 분산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전극 패드들도 상기 각 발광 영역들에 대응되도록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패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배선부들은 상기 각 발광 영역과 각 패드 영역을 연결하는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배선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배선 영역들 중 적어도 두 개의 배선 영역은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된 배선 영역들 사이에는 또 다른 발광 영역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바아는, 상기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패드 영역과 다른 패드 영역에 각각 대향된 위치에 구비된 제1패턴부와 제2패턴부를 갖고, 상기 제1패 턴부와 제2패턴부를 연결하는 연결패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와 제2패턴부는 이에 대응되는 각 패드 영역들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13. 제 8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표시장치는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와, 소정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전극들은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4. 삭제
  15.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것으로, 복수개의 화소 전극들과, 상기 각 화소 전극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화소 전극 패드들과, 상기 각 화소 전극들과 이에 대응되는 화소 전극 패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을 구비한 복수개의 연결 배선부들을 각각 구비한 복수개의 표시부들;
    상기 각 표시부들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각 표시부들의 화소 전극 패드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것으로, 상기 각 화소 전극 패드들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도전성 바아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표시부들의 화소 전극들은 인접한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발광 영역에 분산 배치되고,
    상기 각 표시부들의 화소 전극 패드들도 상기 각 발광 영역들에 대응되도록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패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각 표시부들의 연결 배선부들은 상기 각 발광 영역과 각 패드 영역을 연결하는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배선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각 표시부들의 배선 영역들 중 적어도 두 개의 배선 영역은 서로 이격되며,
    상기 각 도전성 바아들은 상기 서로 다른 적어도 두개의 패드 영역의 화소전극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도록 된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부들의 상기 이격된 배선 영역들 사이에는 또 다른 발광 영역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도전성 바아는 상기 각 표시부들의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패드 영역과 다른 패드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용 기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도전성 바아는, 도전성 바아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패드 영역들의 각 화소 전극 패드들을 묶어 한 단위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
  19. 제 15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부들은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와, 소정의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표시부들의 화소 전극들은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용 기판.
KR1020040082087A 2004-10-14 2004-10-14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 KR100719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087A KR100719537B1 (ko) 2004-10-14 2004-10-14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
US11/239,397 US7466370B2 (en) 2004-10-14 2005-09-30 Flat panel display device with conductive bar at edge of first display panel connected to pixel electrode pads on second display panel during manufactu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087A KR100719537B1 (ko) 2004-10-14 2004-10-14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129A KR20060033129A (ko) 2006-04-19
KR100719537B1 true KR100719537B1 (ko) 2007-05-17

Family

ID=3618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087A KR100719537B1 (ko) 2004-10-14 2004-10-14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장치용 기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66370B2 (ko)
KR (1) KR100719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560B1 (ko) * 2005-09-07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US9076362B2 (en) * 2006-09-22 2015-07-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motherboard for the same
CN101697052B (zh) * 2009-09-18 2011-08-10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主动元件阵列母基板及其制作方法
KR101876234B1 (ko) * 2012-07-25 2018-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라스틱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KR102398677B1 (ko) * 2015-04-06 2022-05-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053A (ko) * 1996-08-07 1998-05-15 김광호 액정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437B1 (ko) * 2001-12-29 2004-11-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리기판의 효율이 향상된 액정표시소자
KR100555301B1 (ko) * 2002-08-13 2006-03-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정전기 방지를 위한 액정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053A (ko) * 1996-08-07 1998-05-15 김광호 액정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66370B2 (en) 2008-12-16
US20060082714A1 (en) 2006-04-20
KR20060033129A (ko)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5254B1 (en) Display device
EP1796171B1 (en)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730152B1 (ko)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KR100581903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4206388B2 (ja) 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
US7973474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including conductive film coupled to connector
KR100822204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2822B1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US798238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opaque electrodes
KR100553745B1 (ko) 평판표시장치
KR20150016784A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84650B1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409482B2 (ja) 平板表示パネル及びこれを備える平板表示装置
US7466370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with conductive bar at edge of first display panel connected to pixel electrode pads on second display panel during manufacturing
US786381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40079080A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2018259A (zh) 显示装置
KR100719599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13838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9740B1 (ko) 평판 표시 장치
KR20060121486A (ko) 양면 평판 표시장치
KR100768234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745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26078B1 (ko) 평판 표시 장치의 단락 부분 검출 및 수리 방법
KR100719560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