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453B1 - 역타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거푸집, 거푸집 지지기구 - Google Patents

역타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거푸집, 거푸집 지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453B1
KR100719453B1 KR1020050098486A KR20050098486A KR100719453B1 KR 100719453 B1 KR100719453 B1 KR 100719453B1 KR 1020050098486 A KR1020050098486 A KR 1020050098486A KR 20050098486 A KR20050098486 A KR 20050098486A KR 100719453 B1 KR100719453 B1 KR 100719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lab
basement
floo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2640A (ko
Inventor
손영진
김재준
Original Assignee
(주) 콘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콘스텍 filed Critical (주) 콘스텍
Priority to KR1020050098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453B1/ko
Publication of KR20070042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층 슬랩(10)을 시공한 후, 하측으로 터파기를 진행하는 터파기단계와, 지하층의 골조(20)를 형성하는 지하층 골조 형성단계와, 지하층의 골조(20)에 지하층의 슬랩(100)을 형성하는 지하층 슬랩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는 역타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하층 슬랩 형성단계는, 현수장치(30)에 의해 거푸집(200)을 1층으로부터 지하 1층으로 하강하고, 상기 거푸집(200)을 거푸집 지지수단(300)에 의해 상기 지하층의 골조(20)에 설치하는 거푸집 하강 및 설치단계와; 거푸집(200)에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함으로써, 지하 1층의 1차 슬랩(110a)을 형성하는 지하 1층 1차 슬랩 형성단계와; 거푸집(200)을 측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거푸집(200)을 거푸집 지지수단(300)에 의해 지하층의 골조(20)에 설치하는 거푸집 이동설치단계와; 거푸집(200)에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함으로써, 지하 1층의 2차 슬랩(110b)을 형성하는 지하 1층 2차 슬랩 형성단계와; 상기 거푸집 이동단계 및 지하 1층 2차 슬랩 형성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지하 1층 전체의 슬랩(110)을 형성하는 거푸집 반복이동 및 지하 1층 슬랩 반복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제시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안전사고의 우려가 감소하며,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역타 공법, 탑 다운, 거푸집, 슬랩, 현수

Description

역타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거푸집, 거푸집 지지기구{TOP DOWN CONSTRUCTION METHOD AND MOLD FOR THE SAME}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 내지 도 1h는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는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거푸집, 브래킷, 골조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거푸집, 그 지지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초지반 10 : 1층 슬랩
20 : 지하층 골조 30 : 현수장치
100 : 지하층 슬랩
110,110a,110b,110c,110d : 지하 1층 슬랩
120,120a,120b,120c,120d : 지하 2층 슬랩
200 : 거푸집 300 : 거푸집 지지수단
310 : 브래킷 400 : 거푸집 지지기구
410 : 거푸집 이동보조수단 411 : 롤러 장치
420 : 거푸집 분리수단 421 : 신축장치
본 발명은 역타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하층의 슬랩을 보다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역타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거푸집과 거푸집 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역타(逆打) 공법이란, 굴착공사 이전에 지하외부 벽체(지중연속벽)와 지하층 기둥(bored pile)을 선시공한 후, 단계별로 지하층 슬랩과 토공사를 위에서 아래로 반복해 가면서 지하구조물을 형성하는 공법을 말하는 것으로서, 탑 다운(top down) 공법 또는 다운워드(downward) 공법이라고도 한다.
종래에는 슬랩 및 보 하부 구체 레벨을 고려하여 토공 바닥 정지작업을 한 후 바닥면에 직접 슬랩 및 보 하부 거푸집 또는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구체작업을 진행하는 B.O.G.(beam on grade) 공법과 S.O.G.(slab on grade) 공법, 일정 공간을 확보한 후 순타 시공시와 같이 동바리를 설치하고 그 위에 거푸집 등을 설치하는 서포트 공법 등이 적용되어 왔다.
그런데, 이들 공법은 상부층 슬랩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동안 하부층의 굴토작업이 불가능하여 공사기간이 길어진다는 점, 골조 및 굴토작업의 불연속으로 인하여 지하 공사의 장기화 및 공사비의 증대가 초래된다는 점, 거푸집의 조기 탈형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연약지반에서는 별도의 지반 보강 없이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지적됨에 따라, 최근에는 행잉(hanging) 공법이 주로 적용되 는 추세이다.
행잉(hanging) 공법이란, 동바리 없이 현수장치(hanger)에 의해 1층 바닥에서 현수용 강선을 이용하여 거푸집 등을 매달아 시공하는 공법을 말하는 것으로서, N.S.T.D.(Non Supporting Form System) 공법이라고도 한다.
이는 슬랩 상부에 매달린 거푸집 서포트 틀을 활용하기 때문에 하부에 동바리 기타 장애물 없이 지하 굴토공사 등을 진행할 수 있다는 점, 슬랩 양생과는 별도로 지하 굴토공사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동바리, 거푸집 설치 및 철근 조립, 콘크리트 타설, 양생, 거푸집 해체 등의 공정에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점, 슬랩 거푸집을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하부층 굴토작업이 진행되므로 콘크리트의 양생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콘크리트의 품질이 향상된다는 점, 지반의 연약함에 따른 지반의 함몰이나 지하수 분출이 우려되는 현장에서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 등의 장점을 갖는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행잉 공법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첫째, 슬랩 형성을 위한 거푸집 및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이 오로지 이들을 1층 슬랩에 매달아서 지지하는 현수장치에 집중되고, 콘크리트의 양생 중 현수장치 및 현수용 강선에 지속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므로, 현수장치의 파손 우려가 높고 이로 인한 시공중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크다는 점이다.
둘째, 이와 같은 이유로 현수장치에 의한 안전한 현수구조를 이루기 위해서는, 현수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고, 거푸집 및 슬랩에 형성되는 현수 포 인트(현수용 강선과의 결합부)가 많아져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공정이 복잡해지고 공사기간이 장기화한다는 점이다.
셋째, 거푸집이 현수장치에 의해 매달린 상태에서 측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일정 면적의 슬랩을 형성한 후 그 측부의 슬랩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지점에 고정되어 있던 거푸집 및 현수장치를 해체하고 현수장치를 시공지점으로 이동한 후 다시 거푸집을 매달아 설치하는 작업을 반복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 거푸집을 매달아 지지하는 복수의 현수용 강선의 상호간 길이 조정에 오차가 생기는 경우, 거푸집의 수평이 유지되지 않음에 따라 수평도가 확보된 슬랩의 시공이 불가능하므로, 복수의 현수용 강선 상호간 정밀한 길이 조정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공이 간편하고, 안전사고의 우려가 감소하며,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타 공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층 슬랩을 시공한 후, 하측으로 터파기를 진행하는 터파기단계와, 지하층의 골조를 형성하는 지하층 골조 형성단계와, 상기 지하층의 골조에 지하층의 슬랩을 형성하는 지하층 슬랩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는 역타 공법에 있어서, 상기 지하층 슬랩 형성단계는, 현수장치에 의해 거푸집을 상기 1층으로부 터 지하 1층으로 하강하고, 상기 거푸집을 거푸집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지하층의 골조에 설치하는 거푸집 하강 및 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에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함으로써, 상기 지하 1층의 1차 슬랩을 형성하는 지하 1층 1차 슬랩 형성단계와; 상기 거푸집을 측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거푸집을 거푸집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지하층의 골조에 설치하는 거푸집 이동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에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함으로써, 상기 지하 1층의 2차 슬랩을 형성하는 지하 1층 2차 슬랩 형성단계와; 상기 거푸집 이동단계 및 상기 지하 1층 2차 슬랩 형성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지하 1층 전체의 슬랩을 형성하는 거푸집 반복이동 및 지하 1층 슬랩 반복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을 제시한다.
상기 지하층 슬랩 형성단계는, 상기 현수장치에 의해 상기 거푸집을 상기 지하 1층으로부터 지하 2층으로 하강하고, 상기 거푸집을 상기 거푸집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지하층의 골조에 설치하는 거푸집 2차 하강 및 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에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함으로써, 상기 지하 2층의 1차 슬랩을 형성하는 지하 2층 1차 슬랩 형성단계와; 상기 거푸집을 측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거푸집을 거푸집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지하층의 골조에 설치하는 거푸집 이동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에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함으로써, 상기 지하 2층의 2차 슬랩을 형성하는 지하 2층 2차 슬랩 형성단계와; 상기 거푸집 이동단계 및 상기 지하 2층 2차 슬랩 형성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지하 2층 전체의 슬랩을 형성하는 거푸집 반복이동 및 지하 2층 슬랩 반복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푸집 2차 하강 및 설치단계는, 상기 거푸집 반복이동 및 지하 1층 슬랩 반복형성단계에 의해 최후에 형성된 지하 1층의 슬랩의 상측에 상기 현수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최후에 형성된 지하 1층의 슬랩의 하측으로 상기 거푸집을 하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수장치는 상기 1층 슬랩 또는 상기 지하층의 슬랩에 설치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지지수단은 상기 지하층 골조에 설치된 브래킷이고, 상기 거푸집 하강 및 설치단계는 상기 거푸집이 복수의 상기 지하층 골조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브래킷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푸집 하강 및 설치단계는 상기 지하층 골조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브래킷을 상기 골조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브래킷이 장착되었던 위치 하측으로 상기 거푸집을 하강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푸집 및 브래킷은 상기 거푸집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거푸집의 길이가 상기 복수의 브래킷 사이의 간격의 2배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 이동설치단계는 상기 거푸집이 상기 복수의 브래킷의 상면을 슬라이딩 구동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의 하부에는 상기 브래킷의 상면과의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거푸집 이동보조수단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푸집 이동보조수단은 상기 거푸집의 하부에 장착된 롤러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지하층 슬랩 형성단계는 상기 거푸집의 하부에 형성된 거푸집 분리수단에 의해 상기 거푸집을 양생된 콘크리트의 하측으로 분리하는 거푸집 분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푸집 분리수단은 유압에 의해 상기 거푸집을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신축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 즉, 상기 역타 공법에 사용되는 거푸집 지지기구로서, 상기 거푸집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거푸집을 상기 브래킷의 상측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거푸집 이동보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기구를 제시한다.
상기 거푸집 이동보조수단은 상기 거푸집의 하부에 장착된 롤러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을 양생된 콘크리트의 하측으로 분리하기 위한 거푸집 분리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푸집 분리수단은 유압에 의해 상기 거푸집을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신축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상기 거푸집 지지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1층 슬랩(10)을 시공한 후, 하측으로 터파기를 진행 하는 터파기단계와, 지하층의 골조(20)를 형성하는 지하층 골조 형성단계와, 상기 지하층의 골조(20)에 지하층의 슬랩(100)을 형성하는 지하층 슬랩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는 역타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하층 슬랩 형성단계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현수장치(30)에 의해 거푸집(200)을 1층으로부터 지하 1층으로 하강하고, 거푸집(200)을 거푸집 지지수단(300)에 의해 지하층의 골조(20)에 설치한다.(도 1a : 거푸집 하강 및 설치단계)
여기서, 거푸집 지지수단(300)은 거푸집(200)의 하중을 지하층의 골조(2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도 1의 경우 상기 거푸집 지지수단(300)으로서 복수의 브래킷(310)이 장착되고, 거푸집(200)이 복수의 상기 지하층 골조(20)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브래킷(31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후, 거푸집(200)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지하 1층의 1차 슬랩(110a)을 형성한다.(도 1b : 지하 1층 1차 슬랩 형성단계)
1차 슬랩(110a)의 인접부에 2차 슬랩(110b)을 형성하기 위하여, 거푸집(200)을 측방으로 이동하고, 브래킷(310) 기타 거푸집 지지수단(300)에 의해 그 거푸집(200)을 지하층의 골조(20)에 설치한다.(도 1c, 도 2 : 거푸집 이동설치단계)
이동한 위치의 거푸집(200)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지하 1층의 2차 슬랩(110b)을 형성한다.(도 1c : 지하 1층 2차 슬랩 형성단계)
상기 거푸집 이동단계 및 상기 지하 1층 2차 슬랩 형성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지하 1층 전체의 슬랩(110)을 형성한다.(도 1d : 거푸집 반복이동 및 지하 1층 슬랩 반복형성단계)
기초지반(1)의 터파기 작업은 거푸집(200)의 하강 및 이동 작업에 맞추어 진행하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역타 공법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취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첫째, 슬랩 형성을 위한 거푸집 및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이 현수장치에 집중되어 지지되는 방식이 아니라, 별도의 거푸집 지지수단(300)을 통해 지하층의 골조(20)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을 취하므로, 현수장치 및 현수용 강선에 지속적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현수장치의 파손 우려가 낮고, 이에 따라 시공 중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대폭 감소한다.
둘째, 실질적으로 현수장치(30)는 거푸집(200)이 1층 슬랩으로부터 상기 거푸집 지지수단(300)의 위치까지 하강하는 동안만 하중을 부담하면 되므로, 현수장치의 구성이나 현수용 강선과 거푸집 사이의 결합구조가 복잡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공사기간의 단축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일단 현수장치(30)에 의해 거푸집(200)을 지하층의 슬랩 형성 위치까지 하강한 후에는, 그 층의 슬랩 형성 작업을 위하여 더 이상 현수장치(30)는 필요없으며, 브래킷(310)의 상면을 통한 거푸집(200)의 이동 공정만이 필요할 뿐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일지점에 고정되어 있던 거푸집 및 현수장치를 해체하고, 현수장치를 시공지점으로 이동한 후, 다시 거푸집을 매달아 설치하는 작업을 반복하여야 하는 공정이 모두 생략된다.
넷째, 종래에는 거푸집의 수평 여부가 현수용 강선의 길이에 의존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므로, 복수의 현수용 강선 상호간 정밀한 길이 조정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거푸집의 수평 여부가 지하층 골조(20)에 설치된 브래킷(310) 등의 거푸집 지지수단(300)에 의해 좌우되는 방식을 취하므로, 거푸집(200)의 수평을 위한 조정이 필요한 경우, 브래킷(310)의 상면과 거푸집(200) 하면의 결합부위에 별도의 부재를 끼워넣는 등의 간단한 방법으로 거푸집(200)의 수평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에 의해 지하 1층의 슬랩 형성 작업을 마친 후에는,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지하 2층의 슬랩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지하 1층의 슬랩 형성 작업을 완료한 후, 현수장치(30)에 의해 거푸집(200)을 상기 지하 1층으로부터 지하 2층으로 하강하고, 거푸집(200)을 브래킷(310) 등의 거푸집 지지수단(300)에 의해 지하층의 골조(20)에 설치한다.(도 1e : 거푸집 2차 하강 및 설치단계)
현수장치(30)에 의한 거푸집(200)의 하강 작업시, 브래킷(310)이 이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브래킷(310)은 지하층의 골조(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거푸집(200)의 하강시 브래킷(310)을 골조(20)로부터 이탈시킨 후, 브 래킷(310)이 장착되었던 위치 하측으로 거푸집(200)을 하강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하 2층 슬랩의 형성 위치에 설치된 거푸집(200)에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함으로써, 지하 2층의 1차 슬랩(120a)을 형성한다.(도 1f : 지하 2층 1차 슬랩 형성단계)
1차 슬랩(120a)의 인접부에 2차 슬랩(120b)을 형성하기 위하여, 거푸집(200)을 측방으로 이동하고, 브래킷(310) 기타 거푸집 지지수단(300)에 의해 그 거푸집(200)을 지하층의 골조(20)에 설치한다.(도 2 : 거푸집 이동설치단계)
이동한 위치의 거푸집(200)에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함으로써, 지하 2층의 2차 슬랩(120b)을 형성한다.(지하 2층 2차 슬랩 형성단계)
상기 거푸집 이동단계 및 상기 지하 2층 2차 슬랩 형성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지하 2층 전체의 슬랩(120)을 형성한다.(도 1g : 거푸집 반복이동 및 지하 2층 슬랩 반복형성단계)
지하 3층 이하의 경우에도 상기 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용이하게 그 지하층의 슬랩을 형성할 수 있다.(도 1h)
지하층의 깊이가 얕은 경우에는 현수장치(30)를 1층 슬랩(30)에 설치하고 역타 공법을 진행해도 무방하지만, 지하층의 깊이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현수장치(30)를 적절한 깊이의 지하층의 슬랩(100)에 옮겨 설치한 후, 그 하부 지하층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역타 공법은 이와 같이, 각 지하층마다 현수장치(30)에 의한 거푸집(200)의 하강 작업과 브래킷(310)의 상면을 통한 거푸집(200)의 이동 작업의 반복에 의해 각 지하층의 슬랩 형성 작업이 매끄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지하 1층의 슬랩 형성 작업 완료 후, 지하 2층으로 거푸집(200)을 하강함에 있어서는, 거푸집(200)을 본래 현수장치(30)의 설치 위치까지 이동한 후, 그 위치에서 현수장치(30)에 의해 하강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역타 공법의 경우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역타 공법에 있어서의 현수장치(30)는 그 구조가 복잡하거나 규모가 클 필요가 전혀 없는 것이므로, 거푸집(200)보다는 현수장치(30)를 이동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거푸집 반복이동 및 지하 1층 슬랩 반복형성단계에 의해 최후의 지하 1층의 슬랩(110d)을 형성한 이후, 현수장치(30)를 그 최후의 슬랩(110d) 상측으로 이동하고, 그 위치에서 현수장치(30)에 의해 거푸집(200)을 하강하도록 하는 것이 시공의 편의성 및 공사기간 단축의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바와 같이, 거푸집(200)이 지하층 골조(20)에 설치된 브래킷(310)의 상면을 타고 이동하는 방식를 취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0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거푸집(200)의 길이가 복수의 브래킷(310) 사이의 간격의 2배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거푸집(200)이 복수의 브래킷(310)의 상면을 슬라이딩 구동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시공의 안정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거푸집(200)의 길이가 짧은 경우, 측방으로 이동 중 브래킷(310)과 브래킷(310) 사이로 낙하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이 거푸집(200)이 브래킷(310)의 상면을 슬라이딩 구동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거푸집(2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거푸집 이동보조수단(410)이 더 구비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거푸집 이동보조수단(410)은 거푸집(200)의 이동 중 거푸집(200)의 하부와 브래킷(310)의 상면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며,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거푸집 이동보조수단(410)으로서 거푸집(200)의 하부에 롤러 장치(411)가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거푸집(200)의 상부에서 철근 배근,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거푸집(200)을 탈형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거푸집(200)의 하부에 별도의 거푸집 분리수단(420)을 형성하고, 그 거푸집 분리수단(420)에 의해 거푸집(200)을 양생된 콘크리트의 하측으로 분리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거푸집 분리수단(420)은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형성된 슬랩(100)으로부터 그 하측으로 거푸집(20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며,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거푸집 분리수단(420)으로서 유압 등에 의해 거푸집(200)을 상하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장치(421)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거푸집 이동보조수단(410) 및 거푸집 분리수단(420)은 거푸집(200)의 하부에 직접적으로 설치된 구성을 취할 수도 있고, 이들 기능을 갖도록 별도로 구성된 거푸집 지지기구(40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거푸집 지지기구(400)의 일실시예로서, 거푸집 이동보조수단(410)으로서 롤러 장치(411)가 마련되고, 그 상측에 거푸집 분리수단(420)으로서 신축장치(421)가 결합된 구조를 취한 것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시공이 간편하고, 안전사고의 우려가 감소하며,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타 공법을 제시한다.

Claims (16)

1층 슬랩(10)을 시공한 후, 하측으로 터파기를 진행하는 터파기단계와, 지하층의 골조(20)를 형성하는 지하층 골조 형성단계와, 상기 지하층의 골조(20)에 지하층의 슬랩(100)을 형성하는 지하층 슬랩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는 역타 공법에 있어서,
상기 지하층 슬랩 형성단계는
현수장치(30)에 의해 거푸집(200)을 상기 1층으로부터 지하 1층으로 하강하고, 상기 거푸집(200)을 거푸집 지지수단(300)에 의해 상기 지하층의 골조(20)에 설치하는 거푸집 하강 및 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200)에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함으로써, 상기 지하 1층의 1차 슬랩(110a)을 형성하는 지하 1층 1차 슬랩 형성단계와;
상기 거푸집(200)을 측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거푸집(200)을 거푸집 지지수단(300)에 의해 상기 지하층의 골조(20)에 설치하는 거푸집 이동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200)에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함으로써, 상기 지하 1층의 2차 슬랩(110b)을 형성하는 지하 1층 2차 슬랩 형성단계와;
상기 거푸집 이동단계 및 상기 지하 1층 2차 슬랩 형성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지하 1층 전체의 슬랩(110)을 형성하는 거푸집 반복이동 및 지하 1층 슬랩 반복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층 슬랩 형성단계는
상기 현수장치(30)에 의해 상기 거푸집(200)을 상기 지하 1층으로부터 지하 2층으로 하강하고, 상기 거푸집(200)을 상기 거푸집 지지수단(300)에 의해 상기 지하층의 골조(20)에 설치하는 거푸집 2차 하강 및 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200)에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함으로써, 상기 지하 2층의 1차 슬랩(120a)을 형성하는 지하 2층 1차 슬랩 형성단계와;
상기 거푸집(200)을 측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거푸집(200)을 거푸집 지지수단(300)에 의해 상기 지하층의 골조(20)에 설치하는 거푸집 이동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200)에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함으로써, 상기 지하 2층의 2차 슬랩(120b)을 형성하는 지하 2층 2차 슬랩 형성단계와;
상기 거푸집 이동단계 및 상기 지하 2층 2차 슬랩 형성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지하 2층 전체의 슬랩(120)을 형성하는 거푸집 반복이동 및 지하 2층 슬랩 반복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2차 하강 및 설치단계는
상기 거푸집 반복이동 및 지하 1층 슬랩 반복형성단계에 의해 최후에 형성된 지하 1층의 슬랩(110d)의 상측에 상기 현수장치(3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최후에 형성된 지하 1층의 슬랩(110d)의 하측으로 상기 거푸집(200)을 하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장치(30)는
상기 1층 슬랩(10) 또는 상기 지하층의 슬랩(100)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지지수단(300)은
상기 지하층 골조(20)에 설치된 브래킷(310)이고,
상기 거푸집 하강 및 설치단계는
상기 거푸집(200)이 복수의 상기 지하층 골조(20)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브래킷(31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하강 및 설치단계는
상기 지하층 골조(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브래킷(310)을 상기 골조 (20)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브래킷(310)이 장착되었던 위치 하측으로 상기 거푸집(200)을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200) 및 브래킷(310)은 상기 거푸집(20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거푸집(200)의 길이가 상기 복수의 브래킷(310) 사이의 간격의 2배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 이동설치단계는
상기 거푸집(200)이 상기 복수의 브래킷(310)의 상면을 슬라이딩 구동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200)의 하부에는 상기 브래킷(310)의 상면과의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2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거푸집 이동보조수단(41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이동보조수단(410)은
상기 거푸집(200)의 하부에 장착된 롤러 장치(4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층 슬랩 형성단계는
상기 거푸집(200)의 하부에 형성된 거푸집 분리수단(420)에 의해 상기 거푸집(200)을 양생된 콘크리트의 하측으로 분리하는 거푸집 분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분리수단(420)은 유압에 의해 상기 거푸집(200)을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신축장치(4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제8항의 역타 공법에 사용되는 거푸집 지지기구(400)로서,
상기 거푸집(2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거푸집(200)을 상기 브래킷(310)의 상측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거푸집 이동보조수단(4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기구(40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이동보조수단(410)은
상기 거푸집(200)의 하부에 장착된 롤러 장치(4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기구(40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200)을 양생된 콘크리트의 하측으로 분리하기 위한 거푸집 분리수단(42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기구(40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분리수단(420)은 유압에 의해 상기 거푸집(200)을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신축장치(4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기구(400).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거푸집 지지기구(4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200).
KR1020050098486A 2005-10-19 2005-10-19 역타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거푸집, 거푸집 지지기구 KR100719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486A KR100719453B1 (ko) 2005-10-19 2005-10-19 역타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거푸집, 거푸집 지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486A KR100719453B1 (ko) 2005-10-19 2005-10-19 역타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거푸집, 거푸집 지지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640A KR20070042640A (ko) 2007-04-24
KR100719453B1 true KR100719453B1 (ko) 2007-05-18

Family

ID=3817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486A KR100719453B1 (ko) 2005-10-19 2005-10-19 역타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거푸집, 거푸집 지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679B1 (ko) 2010-09-30 2013-12-16 (주)바로건설기술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및 공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0846A (ja) * 1992-02-19 1993-09-07 Fujita Corp 逆打工法による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JPH05255943A (ja) * 1991-09-13 1993-10-05 Takenaka Komuten Co Ltd スライドダウン方式による地下躯体の構築工法
JPH084034A (ja) * 1994-06-24 1996-01-09 Takenaka Komuten Co Ltd 建築の逆打ち工事における地下階躯体構築構法
JPH08253946A (ja) * 1995-03-17 1996-10-01 Fujita Corp 路面下における地下構築物の逆打工法
JPH09316900A (ja) * 1996-05-31 1997-12-09 Hazama Gumi Ltd 逆打ち工法
KR200263526Y1 (ko) * 1999-06-24 2002-02-06 박정진 매달아 내려치고 되올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5943A (ja) * 1991-09-13 1993-10-05 Takenaka Komuten Co Ltd スライドダウン方式による地下躯体の構築工法
JPH05230846A (ja) * 1992-02-19 1993-09-07 Fujita Corp 逆打工法による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JPH084034A (ja) * 1994-06-24 1996-01-09 Takenaka Komuten Co Ltd 建築の逆打ち工事における地下階躯体構築構法
JPH08253946A (ja) * 1995-03-17 1996-10-01 Fujita Corp 路面下における地下構築物の逆打工法
JPH09316900A (ja) * 1996-05-31 1997-12-09 Hazama Gumi Ltd 逆打ち工法
KR200263526Y1 (ko) * 1999-06-24 2002-02-06 박정진 매달아 내려치고 되올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679B1 (ko) 2010-09-30 2013-12-16 (주)바로건설기술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및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640A (ko) 200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56023B (zh) 一种地下预应力支护结构的施工方法
KR102115380B1 (ko) 유압식 슬립폼 안전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와 중간슬라브 시공방법
CN107558494A (zh) 一种轨道交通地下车站结构及其建造方法
JP3644605B2 (ja) 路面下における地下構築物の逆打工法
CN106638975B (zh) 建筑物顶升防倾覆施工方法
CN210086295U (zh) 一种复合装配式地下结构
CN104120877B (zh) 一种液压爬模系统及爬模方法
CN105839946A (zh) 砖混结构建筑物提升增层方法
JP2684155B2 (ja) 地下構造物の築造に用いる開削工法
KR20200032316A (ko) 트러스형 지지체를 이용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CN114703861A (zh) 具有共用支护桩的双基坑施工方法
CN114164860A (zh) 沉框基础及其地面预制装备和下沉装置
JP2009228301A (ja) 橋脚の延伸工法
KR100719453B1 (ko) 역타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거푸집, 거푸집 지지기구
KR20200122037A (ko) 기존 지하구조물의 외벽을 흙막이벽으로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CN113153349B (zh) 一种厅台分离式侧式站台屏蔽门安装垂梁结构及施工方法
KR20190066754A (ko) 기둥단위 지지구조를 가진 역타공법용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CN210857277U (zh) 一种装配式地下结构
KR102102593B1 (ko) 수직구 구조물의 수평터널 연결부 성형장치
JPH03100225A (ja) 多機能作業床を用いた逆打ち工法及び多機能作業床
JP2008255636A (ja) Rc大梁の施工方法
KR100593203B1 (ko) 측압지지보 형성용 데크 지지프레임 및 상기 측압지지보형성용 데크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JP6543177B2 (ja) 躯体構築方法
CN110042866A (zh) 全复合装配式逆作地铁车站预制中板运输安装装置及方法
CN104912200B (zh) 一种地下浅层全自动停车库的建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