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335B1 -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및그것의 화면모드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및그것의 화면모드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335B1
KR100719335B1 KR1020000012771A KR20000012771A KR100719335B1 KR 100719335 B1 KR100719335 B1 KR 100719335B1 KR 1020000012771 A KR1020000012771 A KR 1020000012771A KR 20000012771 A KR20000012771 A KR 20000012771A KR 100719335 B1 KR100719335 B1 KR 100719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resolution
portable information
resolution display
information processing
vide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261A (ko
Inventor
진대제
김두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335B1/ko
Publication of KR20010091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Abstract

여기에 개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모듈에는 확장 메모리가 구비되어,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저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휴대용 정보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저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가 고해상도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및 그것의 화면모드 전환방법{HAND HELD INFORMATION SYSTEM WITH DISPLAY MODE CONVERTING FUNCTION AND DISPLAY MODE CONVERT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정보 시스템 중의 하나인 PDA의 외관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과, 이에 연결되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RAM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A : PDA 110 : 제 1 비디오 메모리
120, 220 : 제 1 LCD 130 , 230: 키패드
200 : 스마트폰 300A, 300B : 유/무선 인터페이스 모듈
310 : 제 2 비디오 메모리 500A-500C :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
540 : 제 2 LCD 580 : 이어폰
590 : 마이크
본 발명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및 그것의 화면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중의 하나인 PDA(10)의 외관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DA(10)는 작은 LCD 스크린(12)과, 간단한 키패드(key pad ; 13) 및 터치 펜(미 도시됨)으로 구성되는 소형 휴대용 정보 단말기이다. 이러한 PDA(10)는, 주머니 또는 지갑에 들어갈 수 있도록 휴대성을 최대화하여 설계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PDA들은 320×200×8 비트 컬러의 낮 은 해상도를 가지는 작은 크기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스크린(12)을 가진다. 일반적인 PDA들은, 간단한 소프트웨어-기반 비트맵 스케일링 기법(software-based bitmap scaling technique)을 사용하는 흑백 디스플레이(monochrome display)를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법을 사용하는 PDA들은, 음영이 있는 영상을 표시할 때 표본화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가장자리 부분이 매끄럽게 나타나지 않고 울퉁불퉁하게 나타나는 엘리어징(ailasing) 현상 등이 발생되어 화질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그래픽 또는 텍스트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LCD(12) 자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자체의 크기도 작을 뿐만 아니라, 낮은 해상도 때문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알아보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arks 등에 의해 1996년 6월에 취득된 U. S. Pat. No. 5,526,481, "DISPLAY SCROLLING SYSTEM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에서는,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없는 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이를 스크롤해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Ong 등에 의해 1999년 9월에 취득된 U. S. Pat. No. 5,952,994, "METHOD FOR SCALING AN IMAGE"에서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들은, 텍스트 또는 그래픽 데이터가 한 화면에 보여질 수 있을 정도로 크지 않거나, 또는 그 크기가 작아서 알아보기 힘들 때, 상기 데이터를 적절한 크기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화면에 보이지 않는 나머 지 부분을 스크롤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불과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PDA(10) 등과 같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구비된 LCD(12) 자체의 크기가 작고, 상기 LCD(12)에 지원되는 해상도 자체가 낮기 때문에, 고품질의 고해상도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텍스트 또는 그래픽 데이터의 단순한 확대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아닌, PDA(1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저해상도의 영상 자체를 고해상도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저해상도의 영상을 고해상도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및 그것의 화면모드 전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휴대용 정보 시스템은: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을 연결하되,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확장 메모리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휴대용 정보 시스템은: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메모리의 일 영역을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변환을 위한 확장 비디오 메모리로 할당하여 사용하기 위한 메인 메모리가 구비된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변환된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휴대용 정보 시스템의 화면 모드 변환 방법은: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판별 결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판별 결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었으면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 및 컬러를 고해상도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지원되는 경우, 상기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터치 스크린의 좌표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상대 좌표로 변환하여 받아들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휴대용 정보 시스템의 화면 모드 변환 방법은: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판별 결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판별 결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었으면,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디오 메모리를 디스에이블 시키고, 시스템 메모리로 사용되던 메인 메모리의 일 영역을 확장 비디오 메모리로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확장 비디오 메모리 사용하여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 및 컬러를 고해상도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지원되는 경우, 상기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터치 스크린의 좌표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상대 좌표로 변환하여 받아들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모듈에는 확장 메모리가 구비되어,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저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휴대용 정보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데이터가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구비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 데이터 입력 장치인 터치 스크린은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절대 좌표 값을 사용한다. 그리고 휴대용 정보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데이터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상대 좌표 값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휴대용 정보 시스템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저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제어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와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에는 PDA(100) 또는 스마트폰(200)등과 같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100/200), 인터페이스 모듈(300)이 포함되며, 이 인터페이스 모듈(300)을 통해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에 연결되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크게 유선 디스플레이 장치(500A)와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500B)로 구 분된다.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00)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300) 또한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300A)과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300B)로 구분된다.
PDA(100) 또는 스마트폰(200)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100/200)는, 휴대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되기 때문에 적은 용량의 비디오 메모리와 저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다. 근래 들어, 휴대용 정보 단말기(100/200)를 통한 어플리케이션이 갈수록 다양해짐에 따라,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가 점점 더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은, 상기와 같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100/200)가 가지고 있는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인터페이스 모듈(300)에 확장 비디오 메모리를 제공한다. 그 결과,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은 확장 비디오 메모리를 이용하여 휴대용 정보 단말기(100/200)로부터 제공되는 저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데이터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제공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A)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휴대용 정보 단말기 중의 하나인 PDA(100)는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300A)과 연결되고, 이 인터페이스 모듈(300A)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와 유선으로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PDA(100)는 터치 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제 1 LCD(120)와, 다수 개의 입력 버튼을 구비한 키패드(130), 그리고 인터페이스 모듈(300A)과 연결되기 위한 제 1 컨넥터(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LCD(120)는 일반적인 PDA에 사용되는 저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320×200×8 비트 컬러(bit color)의 해상도를 가진다. 인터페이스 모듈(300A)에는 PDA(100)와 연결되기 위한 제 2 컨넥터(350) 외에,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와 연결되기 위한 제 3 컨넥터(360)가 포함된다. 그리고,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는 안경상의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좌측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좌측 LCD(520)와 우측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우측 LCD(530)를 포함하는 제 2 LCD(540), 인터페이스 모듈(300A)의 제 3 컨넥터(360)와 연결되기 위한 제 4 컨넥터(560), 상기 제 3 및 제 4 컨넥터들(360, 560)을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라인(550),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장치인 이어폰(580)과 마이크(5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는, 안경상의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 든 것으로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1994년 12월, Suwa 등에 의해 취득된 U. S. Pat. No. 5,371,556, "SPECTACLE TYPE RETINA DIRECT DISPLAY APPARATUS"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1998년 6월 20일 일본의 올림프스사에 의해서 'Eye-Trek FMD011F'라는 모델명으로 개발되어 판매된바 있다. 이 외도, 또 다른 종류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head mounted display ; HMD)가 있는데, 이는 1996년 12월, Kraemer에 의해 취득된 U. S. Pat. No. 5,581,271, "HEAD MOUNTED VISUAL DISPLAY"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예를 들면, 1024×768×24 비트 컬러(bit color) 이상의 해상도를 지원하며, 휴대가 용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기본적인 구성과 역할은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도 3a 내지 도 3d에서는 안경상의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만 예를 들어 설명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를 이용한 시스템의 구성은 이하 생략하고자 한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A)의 동작을 살펴보면,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A)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300A)이 PDA(100)에 접속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한다. 즉,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가 인터페이스 모듈(300A)을 통해 PDA(100)에 접속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한다.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가 인터페이스 모듈(300A)을 통해 PDA(100)와 접속되면, PDA(100)로부터 제공되는 저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는 인터페이스 모듈(300A)에 구비된 확장 비디오 메모리(도 4a 참조)를 사용하여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된 후, 고해상도 LCD인 제 2 LCD(54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상기와 같이 PDA(100)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데이터가 제 2 LCD(540)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은 제 2 LCD(540)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상대 좌표 값을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이 외에도, 상기 PDA(100)에는 필기체 인식 기능이 내장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필기체의 입력을 인식할 수도 있고,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 하여 키 입력을 받아들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PDA(100)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에 구비된 마이크(59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명령에 응답해서 특정 기 능을 수행하는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PDA(100)에 구비된 키패드(130)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응답해서 상기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에 구비된 이어폰(580)은, 상기 PDA(100)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B)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B)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휴대용 정보 단말기 중의 하나인 PDA(100)는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300B)과 연결되고, 이 인터페이스 모듈(300B)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B)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도 3b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B)은, 도 3a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A)과 비교할 때, 인터페이스 모듈(300B)이 PDA(100)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B)로 무선 전송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a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A)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서, 인터페이스 모듈(300B)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B)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370, 570)를 각각 포함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C)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휴대용 정보 단말기 중의 하나인 스마트폰(200)은 유선 인터페이스 모듈(300A)과 연결되고, 이 인터페이스 모듈(300A)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와 유선으로 연결된다.
도 3c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C)은, 도 3a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A)과 비교할 때, PDA(100) 대신 스마트폰(200)이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3a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A)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스마트폰(200)은, 음성 통신 기능 외에도, 웹 브라우징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대한 내용은 Durrett에 의해 1999년 10월에 취득된 U. S. Pat. No. 5,964,830, "USER PORTAL DEVICE FOR THE WORLD WIDE WEB TO COMMUNICATE WITH A WEBSITE SERVER" 등에 개시되어 있다.
스마트폰(200)에는 터치 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제 1 LCD(220)와, 다수 개의 입력 버튼을 구비한 키패드(230), 그리고 인터페이스 모듈(300A)과 연결되기 위한 컨넥터(25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C)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A)과 마찬가지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300A)이 스마트폰(200)에 연결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한다. 즉,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가 인터페이스 모듈(300A)을 통해 스마트폰(200)에 연결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한다.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가 인터페이스 모듈(300A)을 통해 스마트폰(200)과 연결되면,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저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는 인터페이스 모듈(300A)에 구비된 확장 비디오 메모리(도 4c 참조)를 사용하여 고해상도로 변환되어 고해상도 LCD인 제 2 LCD(54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데이터가 제 2 LCD(540)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200)에 구비되어 있는 터 치 스크린은 제 2 LCD(540)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상대 좌표 값을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이 외에도, 상기 스마트폰(200)에는 필기체 인식 기능이 내장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필기체의 입력을 인식할 수도 있고,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 하여 키 입력을 받아들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200)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에 구비된 마이크(59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명령에 응답해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200)에 구비된 키패드(230)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응답해서 상기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에 구비된 이어폰(580)은,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d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D)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B)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휴대용 정보 단말기 중의 하나인 스마트폰(200)은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300B)과 연결되고, 이 인터페이스 모듈(300B)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B)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도 3d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D)은, 도 3c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C)과 비교할 때, 인터페이스 모듈(300B)이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B)로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C)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서, 인터페이스 모듈(300B) 및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B)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370, 570)를 각각 포함한다.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A)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A)은 크게 PDA(100)와 인터페이스 모듈(300A)로 구성된다.
먼저, PDA(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DA(100)에는 범용 입/출력 버스(general purpose input/output bus ; 90)가 포함되며, 상기 버스(90)에는 CPU(101), BIOS(102), RAM(103), IO 프로세서(input output processor ; 104) 및 비디오 컨트롤러(video controller ; 105)가 연결된다. 그리고, PDA(100)에는 PDA(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V)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40)와, 다수 개의 핀들을 통해 인터페이스 모듈(300A)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 1 컨넥터(150)가 구비된다. 상기 IO 프로세서(104)에는 키패드(130)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들을 받아들인다.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105)에는 PDA(100)의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인 제 1 LCD(120)와, 사용되는 비디오 메모리 장치에 따라서 데이터 버스의 경로를 변환시키기 위한 버스 변환기(106),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스위칭 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107)가 연결된다. 상기 버스 변환기(106)에는, 화면에 나타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비디오 램(video RAM ; VRAM)으로 사용되는 제 1 비디오 메모리(110)가 버스 'A'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컨넥터(150)에는 다수 개의 인터페이스 핀들이 구비되어, PDA(100)와 인터페이스 모듈(300A)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 모듈(300A)에는, PDA(100)에 구비된 제 1 컨넥터(150)와 연결되기 위한 제 2 컨넥터(350)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와 연결되기 위한 제 3 컨넥터(360), 그리고 확장 비디오 메모리인 제 2 비디오 메모리(310)가 구비된다. 제 2 비디오 메모리(310)는 버스 'B'를 통해 PDA(100)에 구비된 버스 변환기(106)에 연결된다.
그리고,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에는, 인터페이스 모듈(300A)에 구비된 제 3 컨넥터(360)와 연결되기 위한 제 4 컨넥터(560),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인 제 2 LCD(540),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장치인 마이크(590)와 이어폰(580)이 구비된다.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V)은 PDA(100)에 구비된 전원 공급부(140)로부터 제공된다.
PDA(100)의 제 1 컨넥터(150)에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가 인터페이스 모듈(300A)을 통해 PDA(100)에 연결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기 위한 제 1 인터페이스 핀(151), IO 프로세서(104)에 연결되어 IO 프로세서(104)로부터 제공되는 입출력(IO) 관련 명령들을 인터페이스 모듈(300A)을 통해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로 제공하고, 그리고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로부터 제공되는 IO 관련 명령들을 PDA(100)의 IO 프로세서(104)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 핀(152), 스위칭 회로(107)에 연결되어 비디오 컨트롤러(105)로부터 제공되는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에 구비된 제 2 LCD(540)로 전송하기 위한 제 3 인터페이스 핀(153), 버스 변환기(106)에 연결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비디오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모듈(300A)에 구비된 제 2 비디오 메모리(310)에 저장하고, 제 2 비디오 메모리(310)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PDA(100)에 구비된 비디오 컨트롤러(105)로 전송하기 위한 제 4 인터페이스 핀(154), 그리고 PDA(100)의 전원 공급부(140)에 연결되어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로 전원(V)을 공급하기 위한 제 5 인터페이스 핀(155)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컨넥터(150)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300A)의 제 2 컨넥터(350)에는 각각의 인터페이스 핀들(151-155)에 대응되는 제 1 내지 제 5 인터페이스 핀들(351-355)이 구비된다. 그리고, 각각의 인터페이스 핀들을 통해 인터페이스 모듈(300A)로 전송된 제어 신호들 및 비디오 데이터들은, 인터페이스 모듈(300A)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를 연결해 주는 제 3 및 제 4 컨넥터들(360, 560)을 통해 유선으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연결 관계를 가지는 PDA(100), 인터페이스 모듈(300A) 및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4a를 참조하면, PDA(100)의 제 1 컨넥터(150)에 구비된 제 1 인터페이스 핀(151)에는 일정 전압(Vcc)이 공급되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핀(151)과 접속되는 인터페이스 모듈(300A)의 제 1 인터페이스 핀(351)에는 접지 전압이 공급된다. 그 결과, 인터페이스 모듈(300A)이 PDA(100)에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전압(Vcc)에 의해 하이 레벨의 전압(즉, Vcc)이 IO 프로세서(104)로 공급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모듈(300A)이 PDA(10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지 전압에 의해서 논리 로우 레벨의 전압(즉, 접지 전압)이 IO 프로세서(104)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IO 프로세서(104)에 공급되는 전압 레벨에 의해서, IO 프로세서(104)는 인터페이스 모듈(300A)이 PDA(100)에 연결 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IO 프로세서(104)에 의해 검출된 인터페이스 모듈(300A)과 PDA(100)와의 연결 상태는 범용 입/출력 버스(90)를 통해 중앙처리장치(CPU ; 101)로 전송된다.
만약 인터페이스 모듈(300A)이 PDA(100)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즉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가 인터페이스 모듈(300A)을 통해 PDA(100)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PDA(100)는 CPU(101)의 제어에 응답해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비디오 데이터를 제 1 비디오 메모리(110)에 저장하고,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 1 LCD(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이를 위해 비디오 컨트롤러(105)는 버스변환기(106)와 스위칭 회로(107)로 제 1 제어신호(CTL1)와 제 2 제어신호(CTL2)를 각각 발생한다. 즉, 버스변환기(106)는 제 1 제어신호(CTL1)에 응답해서, 버스변환기(106)에 연결되어 있는 'A' 및 'B' 버스들 중 'A' 버스를 선택하여 제 1 비디오 메모리(110)를 비디오 메모리로서 사용하고, 스위칭 회로(107)는 제 2 제어신호(CTL2)에 응답해서 비디오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경로를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인 제 1 LCD(120)로 선택한다. 이 때, 데이터 입력 장치로는 키패드(130) 또는 터치 스크린(125)이 사용될 수 있으며, 키패드(130) 또는 터치 스크린(125)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은 IO 프로세서(104)로 입력되어 PDA(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때, 터치 스크린(125)에 사용되는 좌표 값은 제 1 LCD(120)의 좌표 값과 일치하는 절대 좌표 값이 사용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모듈(300A)이 PDA(100)에 연결된 경우, 즉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가 인터페이스 모듈(300A)을 통해 PDA(100)에 연결된 경우, PDA(100)는 CPU(101)의 제어에 응답해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비디오 데이터를 확장 메모리인 제 2 비디오 메모리(110)에 저장하고,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에 구비된 제 2 LCD(54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이를 위해 비디오 컨트롤러(105)는 제 1 제어신호(CTL1)와 제 2 제어신호(CTL2)를 버스변환기(106)와 스위칭 회로(107)로 각각 발생한다. 버스변환기(106)는 제 1 제어신호(CTL1)에 응답해서, 버스변환기(106)에 연결되어 있는 'A' 및 'B' 버스들 중 'B' 버스를 선택하여 제 2 비디오 메모리(310)를 비디오 메모리로서 사용한다. 그리고 스위칭 회로(107)는 제 2 제어신호(CTL2)에 응답해서 비디오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경로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인 제 2 LCD(540)로 선택한다.
이 때, 데이터 입력 장치로는 키패드(130) 또는 터치 스크린(125)이 사용될 수 있으며, 키패드(130) 또는 터치 스크린(125)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은 IO 프로세서(104)로 입력된 PDA(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때, 상기 터치 스크린(125)으로부터 입력되는 좌표 값은, 기존에 사용되던 좌표 값 대신 제 2 LCD(540)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상대 좌표 값이 사용된다. 이 외에도,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에 구비된 마이크(590)는, PDA(100)가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음성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데이터 입력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PDA(100)로부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된 출력 데이터에 음성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에 구비된 스피커(5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4b는 도 3b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B)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B)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B)을 구성하고 있는 PDA(100)는 도 4a에 도시된 PDA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과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PDA(10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300B)은, 도 4a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모듈(300A)과 비교할 때,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와 유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3 컨넥터(360) 대신,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B)와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1 무선 송수신 장치(370)가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4a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모듈(300A)과 동일한 구성과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300B)에 연결되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B)는, 도 4a에 도시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와 비교할 때, 인터페이스 모듈(300A)과 유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4 컨넥터(560) 대신, 인터페이스 모듈(300B)과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2 무선 송수신 장치(570)가 구비된 것과, 전원 공급부(595)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B) 내에 독립적으로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4a에 도시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와 동일한 구성과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도 4b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400B)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B)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c 및 도 4d는 도 3c 내지 도 3d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들(400C, 400D)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들(500A, 500B)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들(400C, 400D)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들(500A, 500B)은 각각,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들(400A, 400B)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 들(500A, 500B)과 비교할 때, PDA(100) 대신 스마트폰(200)이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과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휴대용 정보 시스템들(400C, 400D)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들(500A, 500B)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들(400A-400D)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들(400A-400D)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A, 500B)와 접속되는 방식이 각기 다르고, 휴대용 정보 단말기(100, 200)의 종류 또한 각기 다르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들(400A-400D)이 수행하는 기본적인 동작들은 서로 동일한 특징을 가진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들(400A-400D)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상기 휴대용 정보 시스템들에 구비된 CPU(101)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는 'A' 버스가 선택된다. 그 결과, 비디오 메모리로서 제 1 비디오 메모리(110, 210)가 선택되어 제 1 비디오 메모리(110, 210)에 저장된 저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가 'A' 버스를 통해 비디오 컨트롤러(105, 205)로 전송된다. 이어서, 단계 S12에서는 상기 저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를 제 1 LCD(120, 220)로 출력한다. 이 때, PDA(100) 또는 스마트폰(200)의 터치 스크린(125, 225)은 제 1 LCD(120, 220)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절대 좌표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장치로서 사용된다. 단계 S14에서 CPU(101)는 인터페이스 모듈(300A, 300B)의 연결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만약 인터페 이스 모듈(300A, 300B)이 PDA(100) 또는 스마트폰(200)에 연결되지 않았으면, 수순은 단계 S10으로 되돌아가서 상기 제 1 LCD(120, 220)를 통해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계속해서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만약 인터페이스 모듈(300A, 300B)이 PDA(100) 또는 스마트폰(200)에 연결되었으면, 수순은 단계 S16으로 진행하여 'B' 버스를 선택한다. 그 결과, 제 2 비디오 메모리(310)가 비디오 메모리로서 선택된다. 제 2 비디오 메모리(310)는 확장 메모리로서, 제 1 비디오 메모리(110, 210)에 비해 더욱 큰 메모리 용량을 갖는다. 즉, PDA(100) 또는 스마트폰(200)의 휴대성에 의한 제약 때문에 제 1 비디오 메모리(110, 210)가 64KB의 용량을 가지는 반면, 제 2 비디오 메모리(310)는 고해상도의 제 2 LCD(540)를 지원하기 위해 4MB의 용량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확장 메모리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를 제 2 LCD(540)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단계 S18에서는 고해상도의 제 2 LCD(540)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 및 컬러를 변환한다. 그리고, 단계 S20에서는 변환된 고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를 제 2 LCD(540)를 통해 출력한다. 이어서, 단계 S22에서는 PDA(100) 또는 스마트폰(200)에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약, PDA(100) 또는 스마트폰(200)에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이 지원되면, 수순은 단계 S24로 진행하여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을 인에이블 시킨 후, 단계 S26으로 진행하여 터치 스크린(125, 225)의 좌표를 제 2 LCD(540)에 대응되는 상대 좌표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만약 PDA(100) 또는 스마트폰(200)에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 수순은 단계 S26으로 진행하여 터치 스크린(125, 225)의 좌표를 제 2 LCD(540)에 대응되는 상대 좌표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100A)와, 이에 연결되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PDA(100A)는 별도의 인터페이스 모듈 없이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와 직접 연결된다. 도 6에서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일례로서 병렬-직렬 LVDS 송수신기를 구비한 PDA(100A)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PDA(100A)는 병렬-직렬 LVDS 송수신기를 구비한 스마트폰으로 대체 가능하다.
먼저, PDA(100A)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DA(100A)는 범용 입/출력 버스(general purpose input/output bus ; 9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버스(90)에는 CPU(101), BIOS(102), RAM(103), IO 프로세서(input output processor ; 104) 및 비디오 컨트롤러부(video controller unit ; 170)가 연결된다. 그리고, PDA(100A)에는 PDA(100A)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V)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40)와, 다수 개의 핀들을 통해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 1 컨넥터(160)가 구비된다. 상기 IO 프로세서(104)에는 키패드(130)와 터치 스크린(125)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받아들인다. 여기서, 메인 메모리로 사용되는 RAM(103)은, PDA(100A)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와의 연결관계에 따라서 RAM(103) 전체가 시스템 메모리로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메모리의 일부 영역이 확장 비디오 메모리로 할당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LCD(120)에 연결된 터치 스크린(125)은, 제 1 LCD(120)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의 디스플레이가 수행되는 경우, 제 1 LCD(120)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절대 좌표를 입력시키기 위한 데이터 입력 장치로서 사용되고, 제 2 LCD(540)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의 디스플레이가 수행되는 경우, 제 2 LCD(540)의 좌표 값에 대응되는 상대 좌표 값을 입력시키기 위한 데이터 입력 장치로서 사용된다.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부(170)는, 비디오 컨트롤러(172)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비디오 메모리(VRAM ; 174)를 포함하는 단일 보드(one board) 형태로 구성된다. 비디오 컨트롤러(172)에는 병렬-직렬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송수신기(155)와, 터치 스크린(125) 및 버퍼(127)가 연결된 제 1 LCD(120)가 연결된다.
그리고,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의 구성을 살펴보면,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에는, PDA(100A)에 구비된 제 1 컨넥터(160)와 접속되기 위한 제 2 컨넥터(560),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인 제 2 LCD(540),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장치인 마이크(590)와 이어폰(580)이 구비된다.
PDA(100A)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를 연결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컨넥터들(160, 560)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컨넥터(160)에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가 PDA(100A)에 연결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기 위한 제 1 인터페이스 핀(161), IO 프로세서(104)에 연결되어 IO 프로세서(104)로부터 제공되는 입출력(IO) 관련 명령들을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로 제공하고, 그리고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로부터 제공되는 IO 관련 명령들을 PDA(100A)의 IO 프로세서(104)에 전달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 핀(162), 병렬-직렬 LVDS 송수신기(155)로부터 제공되는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디스플 레이 장치(500C)에 구비된 직렬-병렬 LVDS 송수신기(555)로 전송하기 위한 제 3 인터페이스 핀(163), 그리고 PDA(100A)의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에 전원(V)을 공급하기 위한 제 4 인터페이스 핀(164)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컨넥터(160)와 연결되는 제 2 컨넥터(560)에는 각각의 인터페이스 핀들(161-164)에 대응되는 제 1 내지 제 4 인터페이스 핀들(561-564)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연결 관계를 가지는 PDA(100A) 및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A(100A)의 제 1 컨넥터(160)에 구비된 제 1 인터페이스 핀(161)에는 일정 전압(Vcc)이 공급되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핀(161)에 연결되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의 제 1 인터페이스 핀(561)에는 접지 전압이 공급된다. 그 결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가 PDA(100A)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압(Vcc)에 의해 하이 레벨의 전압(Vcc)이 IO 프로세서(104)로 공급된다. 그리고,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가 PDA(100A)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지 전압에 의해서 논리 로우 레벨의 접지 전압이 IO 프로세서(104)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공급되는 전압 레벨에 의해서 상기 IO 프로세서(104)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가 PDA(100A)에 연결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와 PDA(100A)의 연결 상태 정보는 범용 입/출력 버스(90)를 통해 CPU(101)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PDA(100A)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와의 연결 상태가 감지되면, 비디오 컨트롤러(172)는 CPU(101)의 제어에 응답해서 선택 제어 신호(SEL)를 비디오 메모리(174)와 제 1 LCD(120)의 버퍼(127)로 발생한 다. 만약,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가 PDA(100A)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비디오 컨트롤러부(170)에 구비된 비디오 메모리(164)는 비디오 컨트롤러(172)로부터의 선택 제어 신호(SEL)에 응답해서 인에이블 된다. 그 결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메모리(174)에 저장되고,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는 제 1 LCD(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만약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가 PDA(100A)에 연결된 경우, 비디오 컨트롤러부(170)에 구비된 비디오 메모리(164)는 비디오 컨트롤러(172)로부터의 선택 제어 신호(SEL)에 응답해서 디스에이블 되고, RAM(103)의 일 영역(예를 들면, 4MB)이 확장 비디오 메모리로 사용되는 메모리 공유 상태로 전환된다. 그 결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RAM(103)의 일 영역에 저장되고,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컨트롤러(172)를 통해 병렬-직렬 LVDS 송수신기(155)로 제공된다. 병렬-직렬 LVDS 송수신기(155)는 m 비트의 전송률로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n 비트의 전송률로 변환하여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에 구비된 직렬-병렬 LVDS 송수신기(555)로 전송한다. 그리고 n 비트의 전송률로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받아들인 직렬-병렬 LVDS 송수신기(555)는, 이를 m 비트의 전송률을 갖는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 2 LCD(54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병렬-직렬 및 직렬-병렬 LVDS 송수신기(155, 555)에 사용된 LVDS기술은 TIA/EIA-644와 IEEE 1596.3 표준을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데이터 전송 표준으로서, 초당 최고 655Mbit 속도의 신호율을 제공하며, 적게는 RS-422 드라이버의 1/8초에 해당하는 전력을 소비한다. 이와 같은 LVDS 제품으로는 TI(TEXAS INSTRUMENT)사에서 생산되는 LVDS050, LVDS051 등이 있 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PDA(100A)의 데이터 입력 장치로는 키패드(130) 또는 터치 스크린(125)이 사용될 수 있으며, 키패드(130) 또는 터치 스크린(125)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은 IO 프로세서(104)로 입력되어 PDA(100A)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터치 스크린(125)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가 PDA(100A)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 1 LCD(120)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절대 좌표 값을 받아들이고,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가 PDA(100A)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 2 LCD(540)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상대 좌표 값을 받아들이는데 사용된다. 이 외에도,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에 구비된 마이크(590)는, PDA(100A)가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음성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데이터 입력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PDA(100A)가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에 구비된 이어폰(58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RAM(103)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RAM(103)은, PDA(100A)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와의 연결 관계에 따라서 RAM(103) 전체가 시스템 메모리로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RAM(103)의 일부 영역이 확장 비디오 메모리로 사용되고, 그 나머지 영역이 시스템 메모리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AM(103)의 용량이 16M인 경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가 PDA(100A)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 비디오 컨트롤러부(170)에 구비된 비디오 메모리(174)가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디오 메모리로 서 사용되고, RAM(103)에 구비된 16M의 데이터 저장 영역은 시스템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가 PDA(100A)에 연결된 경우, 비디오 컨트롤러부(170)에 구비된 비디오 메모리(174)는 비디오 컨트롤러(172)로부터 제공되는 선택 제어 신호(SEL)에 의해 디스에이블 되며, RAM(103)에 구비된 16M의 데이터 저장 영역 중 4M의 데이터 저장 영역은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디오 메모리로서 사용되고, 나머지 12M의 데이터 저장 영역은 시스템 메모리로서 사용하는 메모리 공유 상태로 전환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휴대용 정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상기 시스템에 구비된 CPU(101)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30에서는 PDA(100A)에 구비된 제 1 LCD(120)가 구동되어 비디오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 이어서 단계 S32에서는 PDA(100A)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와의 연결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만약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가 PDA(100A)에 연결되지 않았으면, 수순은 단계 S30으로 되돌아가서 제 1 LCD(120)를 통한 저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계속한다. 판별 결과, 만약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가 PDA(100A)에 연결되었으면, 수순은 단계 S34로 진행하여 비디오 컨트롤러부(170)에 구비된 비디오 메모리(174)를 디스에이블 시키고, RAM(103)의 일 영역(예를 들면, 4M)을 확장 비디오 메모리로 사용하는 비디오 공유 상태로 전환한다. 단계 S36에서는, 상기 RAM(103)의 일 영역을 확장 비디오 메모리로 사용하여 기존의 저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 및 컬러를 제 2 LCD(5400)에 적합하도록 변환한다. 그리고, 단계 S38에서는 변환된 고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500C)에 구비된 제 2 LCD(540)를 통해 출력한다. 이어서, 단계 S40에서는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만약 PDA(100A)에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이 지원되면 수순은 단계 S42로 진행하여 음성인식 기능을 인에이블 시킨 후 단계 S44로 진행하여 터치 스크린(125)으로부터 입력되는 좌표를 제 2 LCD(540)에 대응되는 상대 좌표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판별 결과, 만약 PDA(100A)에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이 지원되지 않으면 수순은 단계 S44로 진행하여 터치 스크린(125)으로 입력되는 좌표를 제 2 LCD(540)에 대응되는 상대 좌표로 변환한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보 시스템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저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인 제 1 LCD 뿐만 아니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 가능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제 2 LCD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확장 비디오 메모리는, 외부에서 접속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메인 메모리로 사용되는 RAM의 일부 영역을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되는 LCD 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절대 좌표 또는 상대 좌표 값을 받아들인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정보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되는 저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Claims (16)

  1. 휴대용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을 연결하되,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확장 메모리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었으면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은,
    범용 입출력 버스와;
    상기 범용 입출력 버스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출력 명령들을 받아들이고,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과의 연결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입출력 프로세서와;
    상기 범용 입출력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입출력 프로세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연결 상태 정보에 따라서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범용 입출력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응답해서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비디오 컨트롤러와;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될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디오 메모리;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와, 상기 비디오 메모리 및 상기 확장 메모리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비디오 메모리 또는 상기 확장 메모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메모리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로 제공하기 위한 버스 변환기와;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와,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와;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입출력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좌표 값을 상기 입출력 프로세서로 입력시키기 위한 터치 스크린과;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의 각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회로; 그리고
    상기 입출력 프로세서, 상기 스위칭 회로 및 상기 버스 변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의 동작 전원을 상기 인 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공급하기 위한 제 1 컨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제 1 컨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확장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의 상기 버스 변환기를 통해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로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의 상기 스위칭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원을 받아들이기 위한 제 2 컨넥터; 그리고
    상기 제 2 컨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컨넥터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전원을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 3 컨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제 3 컨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 3 컨넥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전원을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제 4 컨넥터와;
    상기 제 4 컨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이 지원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의 상기 입출력 프로세서로 음성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 그리고
    상기 제 4 컨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으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는,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확장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로 입력되는 좌표 값은,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상대 좌표 값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제 1 컨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확장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의 상기 버스 변환기를 통해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로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의 상기 스위칭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받아들이기 위한 제 2 컨넥터; 그리고
    상기 제 2 컨넥터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 1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제 1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제 2 무선 송수신기와;
    상기 제 2 무선 송수신기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이 지원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의 상기 입출력 프로세서로 음성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 그리고
    상기 제 2 무선 송수신기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으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9. 휴대용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메모리의 일 영역을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변환을 위한 확장 비디오 메모리로 할당하여 사용하기 위한 메인 메모리가 구비된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변환된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었으면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은,
    상기 메인 메모리에 연결된 범용 입출력 버스와;
    상기 범용 입출력 버스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출력 명령들을 받아들이고,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과의 연결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입출력 프로세서와;
    상기 범용 입출력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입출력 프로세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연결 상태 정보에 따라서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될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디오 메모리;
    상기 범용 입출력 버스, 상기 비디오 메모리 및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비디오 메모리 및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 시키기 위한 선택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비디오 메모리 또는 상기 메인 메모리에 할당된 상기 확장 비디오 메모리로부터 상기 저해상도 또는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받아들이기 위한 비디오 컨트롤러와;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될 때,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이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 1 데이터 전송 회로와;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입출력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좌표 값을 상기 입출력 프로세서로 입력시키기 위한 터치 스크린과;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의 각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회로; 그리고
    상기 입출력 프로세서, 상기 제 1 데이터 전송 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고해 상도 디스플레이 수단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컨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제 1 컨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컨넥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전원을 받아들이기 위한 제 2 컨넥터와;
    상기 제 2 컨넥터와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데이터 전송 회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받아들이기 위한 제 2 데이터 전송 회로와;
    상기 제 2 컨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이 지원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의 상기 입출력 프로세서로 음성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 그리고
    상기 제 2 컨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으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는,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메인 메모리의 일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로 입력되는 좌표 값은,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상대 좌표 값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전송 회로는 병렬-직렬 LVDS 송수신기이고, 상기 제 2 데이터 전송 회로는 직렬-병렬 LVDS 송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15. 휴대용 정보 시스템의 화면 모드 변환 방법에 있어서: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 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판별 결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판별 결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었으면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 및 컬러를 고해상도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지원되는 경우, 상기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터치 스크린의 좌표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상대 좌표로 변환하여 받아들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의 화면 모드 변환 방법.
  16. 휴대용 정보 시스템의 화면 모드 변환 방법에 있어서: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 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판별 결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판별 결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단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연결되었으면,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디오 메모리를 디스에이블 시키고, 시스템 메모리로 사용되던 메인 메모리의 일 영역을 확장 비디오 메모리로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확장 비디오 메모리 사용하여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 및 컬러를 고해상도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상기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이 상기 휴대용 정보 처리 수단에 지원되는 경우, 상기 음성 명령 인식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터치 스크린의 좌표를 상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상대 좌표로 변환하여 받아들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의 화면 모드 변환 방법.
KR1020000012771A 2000-03-14 2000-03-14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및그것의 화면모드 전환 방법 KR10071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771A KR100719335B1 (ko) 2000-03-14 2000-03-14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및그것의 화면모드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771A KR100719335B1 (ko) 2000-03-14 2000-03-14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및그것의 화면모드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261A KR20010091261A (ko) 2001-10-23
KR100719335B1 true KR100719335B1 (ko) 2007-05-17

Family

ID=19655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771A KR100719335B1 (ko) 2000-03-14 2000-03-14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및그것의 화면모드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3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724B1 (ko) * 2001-08-04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장치에 외부디스플레이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KR101357459B1 (ko) * 2006-08-23 201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트북 시스템의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확장 디스크 사용장치 및 방법
KR100852874B1 (ko) 2007-01-05 2008-08-19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KR101538803B1 (ko) 2008-09-09 2015-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펜 테이블로서 기능 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장치 및 펜 테이블을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452A (ko) * 1995-07-12 1997-02-24 이문성 제어신호발생장치
KR970009452B1 (ko) * 1994-08-25 1997-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용 익스팬션 박스(Expansion Box)와 앤티에스씨(NTSC) 엔코더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KR19980050670A (ko) * 1996-12-21 1998-09-15 구자홍 디스플레이 장치 분리형 개인 휴대통신(pd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452B1 (ko) * 1994-08-25 1997-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용 익스팬션 박스(Expansion Box)와 앤티에스씨(NTSC) 엔코더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KR970009452A (ko) * 1995-07-12 1997-02-24 이문성 제어신호발생장치
KR19980050670A (ko) * 1996-12-21 1998-09-15 구자홍 디스플레이 장치 분리형 개인 휴대통신(pd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261A (ko)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2571B2 (en) Interchangeable display modules for portable handheld devices
US11810505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CN205645213U (zh) 电子设备
JP5076351B2 (ja) 電子機器、そのデータ転送制御方法、そのデータ転送制御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転送システム
CN102045157A (zh) 用于更新缓冲器的方法和系统
US7058426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US9542721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ata processing system
KR100719335B1 (ko) 화면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정보 시스템 및그것의 화면모드 전환 방법
US20180196765A1 (en) Column Bus Driving Method For Micro Display Device
JP2000172219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KR20090102055A (ko) 듀얼 표시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듀얼 표시장치 및 이를갖는 듀얼표시 핸드폰
EP0752681A2 (en) Coordinate input device
CN114090500B (zh) 一种全通式图像处理soc芯片及图像处理方法
CN110750173A (zh) 终端设备、触控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2009032211A (ja) 携帯電子機器
KR20030093879A (ko)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 가능한 휴대용 정보 기기 및그 제어방법
JPH08152946A (ja) 情報端末装置
KR100917193B1 (ko)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 및그 방법
KR100672346B1 (ko) 폴더형 이동 단말기
KR200800409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edid 제공 방법
KR100513826B1 (ko) 유무선 rdp 통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및 그 제어방법
JP5084132B2 (ja) 画像データ出力装置、及び、画像データ出力方法
KR1007688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그래픽데이터 표시 장치
JP2004252103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100479610B1 (ko)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