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610B1 -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610B1
KR100479610B1 KR10-2002-0053967A KR20020053967A KR100479610B1 KR 100479610 B1 KR100479610 B1 KR 100479610B1 KR 20020053967 A KR20020053967 A KR 20020053967A KR 100479610 B1 KR100479610 B1 KR 100479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monitor
image data
mobile monitor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2122A (ko
Inventor
장정우
임수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3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610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대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은, 제 1 GPIO 포트가 채용된 CPU가 구비된 모바일 모니터와; 모바일 모니터가 착탈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 2 GPIO 포트가 채용된 마이컴이 구비된 크래들과; 모바일 모니터와 크래들에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PC 본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모바일 모니터와 크래들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GPIO 포트 간의 신호전달 확인에 의하여, 모바일 모니터와 크래들 간의 도킹 여부가 판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은, 특히 스마트 모니터와 크래들 사이의 도킹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Smart monitor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 모니터와 크래들 사이의 도킹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는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의 사양과 종류가 다양해지고 소형화되는 추세로 연구, 개발이 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의 발달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가 대두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퍼스널 컴퓨터는 모니터(101), PC본체(102),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입력 장치인 키보드(103)와 마우스(10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101)와 상기 PC본체(102)에는 전원케이블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이와 별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신호 케이블이 상기 모니터(101)와 상기 PC본체(10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 케이블로 인하여 상기 모니터(101)를 PC본체(102)에서 원거리로 이격시키지 못함에 따라 일반화된 개인휴대통신에 따른 편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최근 상기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무선으로 모니터와 PC 본체와의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하면서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모바일 모니터가 개발되고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DOCKING) 여부를 판단하는 CPU를 구비한 모바일 모니터(201)와; 도킹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MICOM)을 구비한 크래들 (CRADLE)(202)과; 상기 모바일 모니터(MOBILE MONITOR)(201)와 상기 크래들(202)에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PC 본체(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의 상기 모바일 모니터(201)의 LCD 패널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DSUB을 이용하는 유선전송방식과 WLAN을 이용한 무선 전송방식이 있다.
상기 전송방식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만일 사용자가 유선전송방식을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모니터(201) 블럭을 상기 크래들(202)에 도킹(DOCKING)하여 일반적인 모니터와 같이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크래들(202)에서 상기 모바일 모니터(201)를 떼어내면 무선으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모바일 모니터(201)와 상기 크래들(202)에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PC 본체(203)는 사용자가 상기 크래들(202)에 상기 모바일 모니터(201)를 도킹된 상태로 사용하면 상기 PC 본체(203)로부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유선으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크래들(202)에서 상기 모바일 모니터(201)를 언도킹(UNDOCKING)하여 이동 가능한 상태로 사용하면 상기 PC본체(203)로부터 무선으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아 모바일 모드의 비디오 소스 신호 변환하여 상기 모바일 모니터(201)의 LCD 패널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상기의 모바일 모니터 시스템에서 상기 모바일 모니터(201)와 상기 크래들(202)의 도킹 여부를 정확하고 빠르게 판단하기 위한 장치가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도킹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데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 모니터와 크레들사이의 도킹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는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은,제 1 GPIO 포트가 채용된 CPU가 구비된 모바일 모니터와;상기 모바일 모니터가 착탈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 2 GPIO 포트가 채용된 마이컴이 구비된 크래들과;상기 모바일 모니터와 상기 크래들에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PC 본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모바일 모니터와 상기 크래들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GPIO 포트 간의 신호전달 확인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모니터와 상기 크래들 간의 도킹 여부가 판단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여기서, 특히 상기 모바일 모니터는 GPIO 포트를 이용하여 도킹 여부를 판단하는 CPU와; 상기 CPU에서 출력되는 컨트롤 신호에 의해 영상 데이터 신호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제 1 전환부와; 상기 CPU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크래들의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연산하는 제 2 전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모바일 모니터의 CPU와 크래들의 마이콤에 의해 도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도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도킹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크래들의 마이콤에 의해 백 라이트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백 라이트의 제어 이후, 상기 크래들의 마이콤에 의해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모바일 모니터의 제 1 전환부의 스위칭에 의해 LCD 패널에 영상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특히 상기 모바일 모니터의 CPU와 크래들의 마이콤에 의해 도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언도킹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모니터의 CPU에 의해 백 라이트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백 라이트의 제어 이후, 상기 모바일 모니터의 CPU에 의해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모바일 모니터의 제 1 전환부의 스위칭에 의해 LCD 패널에 영상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스마트 모니터와 크레들사이의 도킹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의 내부적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IO 포트를 이용하여 도킹 여부를 판단하는 CPU(301)를 구비한 모바일 모니터(309)와; GPIO 포트를 이용하여 도킹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306)을 구비한 크래들(310)과;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와 상기 크래들(310)에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PC 본체(3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에는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와 상기 크래들(310)의 도킹 여부에 따라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LCD 패널(305)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의 내부 구성에는 상기 CPU(301)에서 출력되는 컨트롤 신호에 의해 영상 데이터 신호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제 1 전환부(303)와; 상기 CPU(301)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크래들(310)의 마이컴(30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 2 전환부(304)와; 영상 데이터 신호를 상기 LCD 패널(305)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 1 LVDS(30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크래들(310)에는 상기 PC 본체(311)로부터 입력받은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 신호를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의 LCD 패널(305)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포맷의 신호로 컨버팅하는 스케일러(scaler)(308)와; 상기 스케일러(308)에서 전송받은 영상 데이터 신호를 상기 LCD 패널(305)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 2 LVDS(30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GPIO를 이용한 방법을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니터의 도킹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모바일 모니터(309)의 CPU(301)와 크래들(310)의 마이콤(306)에 의해 도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1). 이는 상기 크래들(310)에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를 상기 크래들(310)에 장착하여 사용하면 도킹된 것으로,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를 상기 크래들(310)로부터 착탈하여 사용하면 언도킹된 상태로 판단하게된다.
상기 도킹 여부(S401)는 상기 크래들(310)과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사이의 물리적인 스위치 접점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도킹 여부(S401)를 인식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킹 여부(S401)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CPU(301)와 상기 마이콤(306)에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포트를 이용하여 도킹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401).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와 상기 크래들(310)의 스위치 접점이 이루어지면, 전기적으로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는 입력되는 값의 크기가 소정치 이상이면 출력되는 값은 항상 일정하다. 예시적으로, 입력값이 5V, 7V, 또는 10V 이라고 가정한다면 출력은 상기 입력값의 크기와 관계없이 1을 출력하게 되며, 입력값이 0이라면 출력도 0이 된다.
이 때, 상기 GPIO 포트를 이용한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의 CPU(301)와 상기 크래들(310)의 마이콤(306)에서는 도킹 여부에 따라 입력되는 값이 달라지게 됨으로써, 도킹 여부를 인식하여 판단하게 된다(S401).
그리고, 상기 도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1)에서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의 CPU(301)와 상기 크래들(310)의 마이콤(306)에서 도킹된 것으로 판단되면(S402), 상기 크래들(310)의 마이콤(306)에 의해 백 라이트를 제어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3).
여기서,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가 상기 크래들(310)에 도킹되면, 일반적인 모니터와 같이 사용되고, 상기 크래들(310)에 내장된 마이콤(306)에 의해 기능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콤(306)에서 도킹이 판단되면(S402), 백 라이트 제어 신호를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의 상기 제 2 전환부(303)에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제 2 전환부(303)에서는 그 값을 입력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전환부(303)에는 또 다른 하나의 신호는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의 CPU(301)로부터 입력받아 두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2 전환부(304)는 오어 게이트(OR GATE)를 적용하여 상기 입력되는 신호의 값이 같으면 신호는 출력하지 않고, 서로 다른 값을 가지고 입력되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의 CPU(301)로부터 0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크래들(310)의 마이콤(306)에서는 1 신호를 입력받아 1 신호로 출력하게 되어 상기 백 라이트를 제어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백 라이트의 제어 이후, 상기 크래들(310)의 마이콤(306)에 의해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4). 이 때, 상기 크래들(310)의 스케일러(308)에서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 신호를 상기 PC 본체(311)로부터 유선으로 전송받게 되고, 전송받은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크래들(310)의 제 2 LVDS(307)에서는 상기 스케일러(308)에서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의 LCD 패널(305)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포맷의 신호로 컨버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LVDS(307)의 전단에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신호를 증폭하기도 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의 제 1 전환부(303)의 스위칭에 의해 LCD 패널(305)에 영상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5). 여기서, 상기 제 1 전환부(303)에서 스위칭되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 신호는 상기 크래들(310)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 신호로 상기 LCD 패널(305)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의 CPU(301)와 상기 크래들(310)의 마이콤(306)에 의해 도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2)에서 언도킹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의 CPU(301)에 의해 백 라이트를 제어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6).
여기서,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의 상기 CPU(301)에서 도킹 여부를 판단하여 언도킹으로 인식되면(S402), 상기 CPU(301)는 백 라이트 제어 신호를 상기 제 2 전환부(304)에 전송하고, 상기 제 2 전환부(304)는 상기 마이콤(306)에서도 신호를 전송받아 연산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백 라이트의 제어 이후,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의 CPU(301)에 의해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7). 여기서,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에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 신호는 상기 PC 본체(311)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받아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의 제 1 LVDS(302)에서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 신호를 LCD 패널(305)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포맷의 신호로 컨버팅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모바일 모니터(309)의 제 1 전환부(303)의 스위칭에 의해 LCD 패널(305)에 영상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환부(303)는 상기 CPU(301)의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된다.
한편, 상기 두 가지 모드를 구분, 판단하기 위해서는 모바일-크래들 양단에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데이터 교환을 위해 A. BUS, USB, RS232C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 장치가 적용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CPU(301)와 마이콤(306)의 양단의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제 1, 2 LVDS(302,307)에 제어 신호가 전달되고, LCD 패널(305)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 신호를 결정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 사양에 의해 어느 한 모드가 인에이블(ENABLE)되어 실제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다른 모드는 디스에이블(DISABLE)되어 파워 세이브 모드가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특히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은, 특히 스마트 모니터와 크레들사이의 도킹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의 내부적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니터의 도킹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 CPU 302 --- 제 1 LVDS
303 --- 제 1 전환부 304 --- 제 2 전환부
305 --- LCD 패널 306 --- 마이콤
307 --- 제 2 LVDS 308 --- 스케일러
309 --- 모바일 모니터 310 --- 크래들

Claims (5)

  1. 제 1 GPIO 포트가 채용된 CPU가 구비된 모바일 모니터와;
    상기 모바일 모니터가 착탈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 2 GPIO 포트가 채용된 마이컴이 구비된 크래들과;
    상기 모바일 모니터와 상기 크래들에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PC 본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모바일 모니터와 상기 크래들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GPIO 포트 간의 신호전달 확인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모니터와 상기 크래들 간의 도킹 여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모니터는,
    상기 제 1 GPIO 포트를 이용하여 도킹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CPU와;
    상기 CPU에서 출력되는 컨트롤 신호에 의해 영상 데이터 신호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제 1 전환부와;
    상기 CPU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크래들의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연산하는 제 2 전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에는 상기 PC본체로부터 입력받은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 신호를 상기 모바일 모니터의 표시패널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포맷의 신호로 컨버팅하는 스케일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4. 모바일 모니터의 CPU와 크래들의 마이콤에 의해 도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도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도킹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크래들의 마이콤에 의해 백 라이트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백 라이트의 제어 이후, 상기 크래들의 마이콤에 의해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모바일 모니터의 제 1 전환부의 스위칭에 의해 표시패널에 영상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구동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모니터의 CPU와 크래들의 마이콤에 의해 도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언도킹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모니터의 CPU에 의해 백 라이트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백 라이트의 제어 이후, 상기 모바일 모니터의 CPU에 의해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모바일 모니터의 제 1 전환부의 스위칭에 의해 표시패널에 영상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구동방법.
KR10-2002-0053967A 2002-09-06 2002-09-06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0479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967A KR100479610B1 (ko) 2002-09-06 2002-09-06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967A KR100479610B1 (ko) 2002-09-06 2002-09-06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122A KR20040022122A (ko) 2004-03-11
KR100479610B1 true KR100479610B1 (ko) 2005-03-30

Family

ID=3732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967A KR100479610B1 (ko) 2002-09-06 2002-09-06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6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122A (ko)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1020B1 (en) Communication interface for an electric device
CN108509166B (zh) 自动切换装置及自动切换方法
KR20040067665A (ko) 휴대용 컴퓨터의 도킹 스테이션
US857024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ata transmitting device using a USB connector and a method thereof
US200901608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1306495A (ja) 携帯通信端末
JP2006501580A (ja) パソコンの無線人間・機械会話装置
KR20070079206A (ko)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US200400013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keyboard
KR20040007056A (ko) 무선모뎀 휴대폰
JP5060979B2 (ja) 携帯情報装置およびそのモード切替方法
KR100479610B1 (ko)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050041008A1 (en) Electronic system having backlight adjustment function and method of adjusting backlight
AU2009266567A1 (en) Terminal apparatus using a peripheral apparatus of another terminal via the control of on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KR20120106480A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KR20040022121A (ko)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의 도킹 장치 및 그 방법
KR100732716B1 (ko)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KR100542015B1 (ko)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 밝기 제어장치 및방법
KR20040022117A (ko)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의 도킹 장치 및 그 방법
KR100516587B1 (ko) Ттl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50006484A (ko) 호환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방법
KR20040022120A (ko)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의 도킹 장치 및 그 방법
KR100494079B1 (ko) Tmds신호를 스위칭하는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40020735A (ko) 스마트 모니터 시스템의 도킹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32257A (ko) 착탈식 무선통신 모듈을 갖는 확장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