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840B1 -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활성미네랄을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활성미네랄을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840B1
KR100718840B1 KR1020060097725A KR20060097725A KR100718840B1 KR 100718840 B1 KR100718840 B1 KR 100718840B1 KR 1020060097725 A KR1020060097725 A KR 1020060097725A KR 20060097725 A KR20060097725 A KR 20060097725A KR 100718840 B1 KR100718840 B1 KR 100718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centrated
sent
mineral
d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6281A (ko
Inventor
서희동
Original Assignee
서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희동 filed Critical 서희동
Priority to KR1020060097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840B1/ko
Publication of KR20070026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7Nan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7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8Devices for applying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2201/483Devices for applying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c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미네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활성미네랄(Activated minerals)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심 200m이하의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를 취수하여 20∼30℃로 가온 처리를 한 후 모래여과, 정밀여과(Micro filter), 한외여과(Ultra filter)와 같은 전처리 여과공정에 의해서 수중의 부유고형물질(SS; Suspended solid)을 제거한 다음에, pH를 4.5∼6.5의 약산성으로 조정하여 나노여과공정으로 보내어 여과된 탈미네랄 염수는 역삼투 여과공정으로 보내어 여과수인 탈 염수는 음용수제조공정으로 보내고, 여과되지 않고 농축된 농축 염수는 식염제조공정으로 보내고, 나노여과공정에서 1가 염인 NaCl, KCl이 여과되어 제거되고, 여과되지 않고 농축된 농축 미네랄수는 중화처리공정으로 보낸다.
중화처리된 농축 미네랄수와 식염제조공정에서 배출되는 간수가 자화 및 활성미네랄 생성반응공정에 공급되면, 미네랄 착염을 생성하는 유기산을 공급하고, 12,000G(Gauss)이상 착자(着磁)된 영구자석이나 정전압도전관자화기(靜電壓導電管磁化器)에 의해서 자화처리를 하여 활성미네랄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활성미네랄은 천연으로 생산되는 활성미네랄에 비해서 품질이 균질 하며,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의 대용품으로 널리 보급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 심층수, 해저 심층암반수, 활성미네랄(Activated minerals), 자화, 나노 여과공정(Nano-filtration), 역삼투여과(逆渗透濾過)

Description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활성미네랄을 제조하는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ctivated minerals from the deep sea water and the deep sea rock floor water}
도 1은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활성미네랄을 제조하는 공정도
도 2는 대기 중의 공기에 의한 증발농축을 하는 공정에 의한 중화·증발농축·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반응·자화처리에 의한 활성미네랄을 제조하는 공정도
도 3은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증발탑으로 증발농축을 하는 공정에 의한 중화·증발농축·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반응·자화처리에 의한 활성미네랄을 제조하는 공정도
도 4는 35℃에서 해수의 비중변화에 따른 각종 염의 석출율도
도 5는 80℃에서 해수의 비중변화에 따른 각종 염의 석출율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중화조 2: 중화조교반기
3: 농축 미네랄수 이송펌프 4: 농축조
5: 농축조 레이크(Rake) 6: 증발탑
7: 증발탑 팬(Fan) 8: 분무노즐(Spray nozzle)
9: 농축 미네랄수 저장조 10: 농축 미네랄수 반송펌프
11: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
12: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 교반기
13: 자화기 순환펌프 14: 자화기
15: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증발탑 16: 데미스터(Demister)
17: 버너(Burner) 18: 송풍기
19: 필터(Filter) M: 모터(Motor)
N: N극(North Pole) S: S극(South Pole)
pHIS: pH 지시 스위치(pH indicating switch)
BIS: 보메도 비중 지시제어 스위치(Baume indicating switch)
본 발명은 활성미네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심 200m이하의 해양 심층수(海洋深層水)나 해저(海底) 심층암반수(深層巖盤水)를 취수하여 모래여과(sand filter), 정밀여과(Micro filter), 한외여과(Ultra filter) 등에 의해서 수중의 부유고형물질(SS; Suspended solid)을 제거한 다음에, pH를 4.5∼6.5로 조정한 것을 나노여과공정으로 보내어 1가 염인 NaCl, KCl이 여과되어 제거되고, 여과되지 않고 농축된 농축 미네랄수는 중화처리공정으로 보내어 식염제조공정에서 배출되는 간수와 함께 자화 및 활성미네랄 생성반응공정에 공급하여 미네랄 착염을 생성하는 유기산을 공급하고, 12,000G(Gauss)이상 착자(着磁) 된 영구자석이나 정전압도전관자화기(靜電壓導電管磁化器)에 의해서 자화처리를 하여 활성미네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심 200m 이하의 해양 심층수와 표층해수는 표 1의 "해양 심층수와 표층해수의 성분 분석표"에서 보는 봐와 같이 염분(NaCl)의 농도와 대부분의 미네랄 농도는 비슷하나, 영양염류(질산태질소, 인산, 규소), 생균 수, 수온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표 1 해양 심층수와 표층해수의 성분 분석표
항목 해양 심층수 표층 해수
일반항목 수온(℃) 9 16.5~24.0
pH 7.80 8.15
DO 용존산소 (㎎/ℓ) 7.80 8.91
TOC 유기 탄소 (㎎/ℓ) 0.962 1.780
용해성 증발잔류물(㎎/ℓ) 40750 37590
M-알칼리도 (㎎/ℓ) 114.7 110.5
주요원소 Cℓ 염화물이온(wt%) 2.237 2.192
Na 나트륨 (wt%) 1.080 1.030
Mg 마그네슘 (wt%) 0.130 0.131
Ca 칼슘 (㎎/ℓ) 456 441
K 칼륨 (㎎/ℓ) 414 399
Br 취소 (㎎/ℓ) 68.8 68.1
Sr 스트론튬 (㎎/ℓ) 7.77 7.61
B 붕소 (㎎/ℓ) 4.44 4.48
Ba 바륨(㎎/ℓ) 0.044 0.025
F 불소 (㎎/ℓ) 0.53 0.56
SO₄(㎎/ℓ) 2833 2627
영양염류 NH₄ 암모니아태질소 (㎎/ℓ) 0.05 0.03
NO₃ 질산태질소 (㎎/ℓ) 1.158 0.081
PO₄ 인산태인 (㎎/ℓ) 0.177 0.028
Si 규소 (㎎/ℓ) 1.89 0.32
미량원소 Pb 납 (㎍/ℓ) 0.102 0.087
Cd 카드뮴 (㎍/ℓ) 0.028 0.008
Cu 구리 (㎍/ℓ) 0.153 0.272
Fe 철 (㎍/ℓ) 0.217 0.355
Mn 망간 (㎍/ℓ) 0.265 0.313
Ni 니켈 (㎍/ℓ) 0.387 0.496
Zn 아연 (㎍/ℓ) 0.624 0.452
As 비소 (㎍/ℓ) 1.051 0.440
Mo 몰리브덴(㎍/ℓ) 5.095 5.555
균 수 생균수(개/㎖) 10² 10³∼10⁴
※상기 분석표는 일본 고우치현(高知縣)의 무로도 등대(室戶岬) 동쪽 해저 374m의 해양 심층수와 표층해수를 취수하여 분석한 분석치 이다.
해양 심층수의 수온은 계절을 통해서 연중 거의 일정하며, 해면 표층수의 수온은 16℃~28℃이지만, 수심 374m 심층수의 수온은 9℃로 저온 안정성을 나타내는 특성으로 플랑크톤, 미생물, 특히 병원성 세균 등이 적은 청정성(淸淨性)이 있다.
해양 심층수는 일반 세균 외 병원성 대장균과 병원성 바이러스 등 10종류의 세균의 검사에서도 검출되지 않았으며, 총생균수는 표층수의 10분의 1에서 100분의 1 정도로 깨끗한 물이다.
또한, 해양 심층수에는 표층수의 약 5∼10배의 무기영양염류가 포함되어 있으면서 사람에게 필요한 주요원소가 70종류를 넘는 다종다양한 미네랄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면서, 필요하기는 하지만 다량으로 섭취하면 해가 될 수 있는 필수 미량원소인 동, 아연과 같이 사람의 건강에 깊은 관계가 있는 것은 극히 소량 포함되어 있는 미네랄밸런스(Mineral balance)가 좋은 점이 해양 심층수의 특성이다.
그리고 섬지역이나 해안지역의 200m이하의 해저 암반을 굴착하여 취수한 해저 암반수(海底巖盤水, 海洋深層巖盤水 또는 海底深層化石海水라 하기도 함)의 경우는 해수가 암반이나 토양으로 침투되면서 암반과 토양의 성상에 따라서 다소 차이는 있으나 Na+ 이온, Mg2 +이온 등이 암반이나 토양의 칼슘(Ca)과 치환되면서 Na+ 이온과 Mg2 +이온의 농도는 다소 떨어지면서 Ca2 +이온이 증가한 현상 이외에는 해양 심층수와 거의 동일한 특성이 있으며, 부산 영도 해저 260m 해저암수의 무기질함유량의 성분분석은 표 2의 내용과 같다.
표 2 부산 영도 해저 260m 해저암수의 무기질함유량 분석표
성 분 해 저 암 반 수
K(칼륨) (mg/ℓ) 175.5
Ca(칼슘)(mg/ℓ) 11185
Na(나트륨)(mg/ℓ) 1827
Mg(마그네슘)(mg/ℓ) 518.4
일반적으로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의 특성은 저온안전성(低溫安全性), 청정성(淸淨性), 부영양성(富榮養性), 미네랄의 특성, 숙성성(熟成性) 등을 언급하고 있으나, 활성미네랄제조 측면에서 특성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1. 매우 청정(淸淨)하면서 동·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다양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다.
심해에는 동·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다양한 미네랄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햇빛이 투과되지 않으면서 저온·고압상태로 병원성 미생물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면서 생활폐수나 환경호르몬과 같은 오염물질이 없는 청정(淸淨)한 상태의 물이다.
2.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는 육상의 광천수(鑛泉水)나 하천수(河川水)에 비해서 무한한 양이 존재하면서 위생적으로 양질의 활성미네랄을 만들 수 있다.
3. 대식세포(大食細胞; Macrophage)의 증식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4. 대부분의 미네랄성분이 수중에 용해된 상태(수용성 미네랄)로 존재하기 때문에 활성미네랄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5. 표층수에 비해서 심층수에서는 산화-환원반응을 반복하면서 2가-3가철(二價-三價鐵)이 다량 존재하기 때문에 자화처리를 하였을 때 처리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는 염분만 적절히 제거하면 양질의 활 성미네랄을 만들 수 있다.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활성미네랄을 제조하는 종래기술은 조사되지 않았으며, 천연에서 활성미네랄이 출토되는 일본 나가사키현(長崎縣)의 시마하라반도(島原半島)의 운젠화산군(雲仙火山群)의 북서쪽 가라고(唐比) 함몰습지(陷沒濕地)에 해양성 규조류, 플랑크톤(Plankton), 동·식물의 유체(遺體)가 대사이드(Dacite)의 화산분출물, 자화된 2가-3가 철(자철광)이 혼합퇴적되어 pH가 2∼3으로 되면서 부식물질 중에서 풀브산(Fulvic acid)이 유리(遊離)의 상태로 유도되면서 킬레이트(Chelate)성 풀브산미네랄 착염의 형태로 출토되고 있는데, 출토 장소와 위치에 따라서 성능 및 함량의 차이가 심한 문제점이 있으면서, 행정 당국의 습지보호정책으로 채굴이 제한되고 있는 문제점과 국내에서는 이와 같은 활성미네랄이 출토되는 곳이 없어 사료첨가제, 수질개량제, 미생물배양 등에 이를 상당히 고가로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해수의 비중을 나타내는 보메 비중계(Baume's hydrometer)의 보메도(°Be)는 액체의 비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보메 비중계를 액체에 띄웠을 때의 눈금의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물의 비중보다 무거운 중액용(重液用)의 무거운 보메도(중보메도)와 물의 비중보다 가벼운 경액용(輕液用)의 가벼운 보메도(경보메도)가 있으며, 이 중에서 중액용은 순수(純水)를 0°Be로 하고, 15% 식염수를 15°Be로 하여, 그 사이를 15 등분한 눈금을 가지며, 경액용은 10% 식염수를 0°Be로 하고, 순수(純水)를 10°Be로 하여, 그 사이를 15 등분한 눈금을 매기고 있으며, 보메도(°Be)는 해수의 경우 염 농도(wt%)와 근사(近似)하기 때문 에 농도를 표시하는 척도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메도(°Be)와 액체의 비중(d)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액체의 비중이 물의 비중보다 무거운 중보메도의 경우
d = 144.3/(144.3-Be) ………………………………………………①
액체의 비중이 물의 비중보다 가벼운 경보메도의 경우
d = 144.3/(134.3+Be) ………………………………………………②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활성미네랄을 인공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심 200m 이하의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를 취수하여 20∼30℃로 가온하는 단계, 모래여과 - 정밀여과 - 한외여과에 의한 전처리 여과단계, l차 pH를 4.5∼6.5의 약산성으로 조정하는 단계, 나노여과공정에서 1가 염과 2가 이상의 염인 미네랄성분을 분리하는 단계, 나노여과공정에서 농축된 농축 미네랄수를 중화처리를 하는 단계. 중화처리된 농축 미네랄수를 증발·농축하는 단계, 증발·농축된 미네랄수와 식염공장에서 배출되는 간수를 자화 및 활성미네랄을 생성하는 단계, 활성미네랄을 포장 및 검사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활성미네랄(Activated mineral)은 광물 중에서 수 중에 용해될 수 있는 미네 랄을 말하는 학자도 있으나, 일부 학자들은 수중에 용해되어 있는 미네랄이 유기산과 반응하여 킬레이트(Chelate)성 유기산 미네랄 착염(錯鹽)의 상태의 미네랄을 말한다.
200m이하의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는 햇빛이 투과되지 않아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으며 저온성으로 미생물의 농도가 낮은 청정성이 있으면서, 질산염, 인산염, 규소와 같은 영양염류의 농도가 높으며 다종다양한 미네랄(Minerals)성분이 수중에 용해되어 있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쉽게 활성미네랄을 만들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이하 도면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해양 심층수의 취수방법은 선상(船上)에서 해저 200m이하에 배관을 내려 취수하던가, 해저 수심 200m이하까지 배관을 설치하여 펌프(Pump)로 취수하던가, 해저 수심 200m이하까지 배관을 설치하여 취수정을 해수면 이하로 설치하여 사이펀(siphon) 원리에 의해서 취수를 한다.
그리고 해저 심층암반수를 취수하는 경우는 취수정으로 오염된 해양 표층수가 유입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취수정의 배관을 해저 200m까지는 밀폐되게 설치를 하여 해양 표층수가 유입되지 않게 취수정을 설치하여야 한다.
집수조에 취수된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는 온도가 낮으면서 점도가 높아 여과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20∼30℃로 가온 처리를 한다.
가온 방법은 보일러에서 열을 공급받거나, 여름철에는 해양 표층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
가온 처리된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는 모래여과(Sand filter), 정밀여과(Micro filter ), 한외여과(限外濾過; Ultra filter)를 단독 또는 2가지 이상을 조합한 여과를 하여 후단의 나노여과(Nano filter)와 역삼투여과(Reverse Osmosis filter)에서 막 막힘(Fouling) 현상이 야기될 수 있는 부유고형물(SS; Suspended solid)을 제거하는 전처리 여과공정이다.
이때 여과압력은 운전조건에 따른 여과기의 압력손실과 배관의 압력손실을 고려하여 결정하며, 모래여과의 경우 여과속도는 6∼10m/시간으로 하고, 여과사(濾過砂)의 유효경(有效徑)은 0.3∼0.45㎜, 균등계수(均等係數)는 2.0 이하로 하며, 여층(濾層)의 두께는 0.5∼1.0m로 한다.
그리고 정밀여과와 한외여과는 여과 막의 종류에는 구애받지 않으며, 벤더(Vendor)의 사양에 따라서 여과속도와 압력손실을 고려하여 공급압력을 결정한다.
전처리여과공정에서 수중의 부유고형물질이 제거된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는 pH조정공정으로 보내어 나노여과 막이나 역삼투 여과 막에서 스케일(Scale)이 생성되지 않도록 pH를 4.5∼6.5로 조정하며, 이때 pH조정제로는 무기산(無機酸) 중에서 5∼10wt%의 염산(HCl) 수용액을 사용한다.
pH조정 방법은 교반시간(체류시간)을 15∼30분간, 180∼360RPM(회전속도)의 프로펠러 교반기(Propeller Agitator)로 교반하면서 전처리 여과된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에 pH조정제로 5∼10wt%의 염산(HCl) 수용액을 주입하여 pH를 4.5∼6.5로 조정하여 나노여과공정으로 보낸다.
pH조정공정에서 pH를 4.5∼6.5로 조정한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를 나노여과공정으로 보내어 여과된 탈미네랄 염수는 역삼투 여과공정으로 보내어 여과수인 탈 염수는 음용수제조공정으로 보내고, 여과되지 않고 농축된 농축 염수는 식염제조공정으로 보내고, 나노여과공정에서 여과되지 않고 농축된 농축 미네랄수는 중화처리공정으로 보낸다.
이때 사용하는 나노여과(Nano filter)와 역삼투 여과(Reverse Osmosis filter)의 막 모듈(Module) 형태는 관형(管形; tubular), 중공사형(中空絲形; hollow fiber), 나선형(螺旋形; spiral wound), 평판형(平板形; plate and frame) 등 어떠한 형태를 사용하여도 상관이 없으며, 그리고 막(膜)의 재질(材質)도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는다.
나노여과공정에서 여과된 탈미네랄 염수가 역삼투 여과공정에 공급되면 운전압력을 50∼60기압(atm)으로 여과 막에 공급하며, 나선형여과 막의 경우 막 투과수량은 0.5∼0.8㎥/㎡·일로 운전하면 염분은 99.0 ∼ 99.85wt% 범위로 제거되며, 염분이 탈염(脫鹽)된 탈 염수는 음용수제조공정으로 보내고, 농축된 농축 염수는 식염제조공정으로 보낸다.
나노여과(Nano filter)공정에서는 염수 중의 1가의 염인 NaCl, KCl과 2가 이상의 미네랄성분인 CaCO3, CaSO4, MgCl2, MgSO4가 90wt%이상 분리되도록 공급압력을 15∼25기압(atm)으로 하며, 나선형의 경우 막 투과수량(膜透過水量)은 0.7∼1.4㎥/㎡·일로 하면, 이때 막 투과수량은 유입수량의 80∼90%가 된다.
나노여과공정에서 2가 이상의 미네랄성분인 CaCO3, CaSO4, MgCl2, MgSO4가 농축된 농축 미네랄수는 중화처리공정으로 보내고, 2가 이상의 미네랄성분이 제거된 탈미네랄 염수인 NaCl, KCl을 다량 함유한 염수는 역삼투 여과공정으로 보낸다.
나노여과공정에서 배출하는 농축 미네랄수가 중화처리공정의 중화조(1)에 유입되면 중화제로는 Ca(OH)2, CaO, NaOH, NaHCO3, Na2CO3 중에서 한 종류의 수용액을 공급하면서 중화조 교반기(2)로 교반을 하면서 pH를 6.5∼7.5의 범위로 중화처리를 하여 농축 미네랄수 이송펌프(3)에 의해서 농축 미네랄수 반송수와 함께 증발·농축공정의 증발탑(6) 상부로 보내어 분무노즐(Spray nozzle: 8)을 통해서 분무한다.
중화처리공정의 운전조건도 pH조정공정에서와 같이 교반시간(체류시간)을 15∼30분간, 180∼360RPM(회전속도)의 프로펠러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중화제를 주입하여 pH를 6.5∼7.5로 조정한다.
중화처리된 농축 미네랄수가 농축 미네랄수 반송수와 함께 도 2의 증발·농축공정의 증발탑(6) 상부의 분무노즐(8)을 통해서 분무하면 증발탑(6) 상부에 설치된 증발탑 팬(7)에 의해서 증발탑(6) 하부로부터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로 배출하면서 농축 미네랄수는 공기와 향류접촉(向流接觸)을 하면서 수분은 증발한 후 농축조(4)로 떨어진다.
증발탑(6)에서 수분이 증발되어 농축되면서 석출된 고형물(CaCO3, CaSO4 … 등)이 농축조(4) 하부로 침전되면, 농축조 레이크(5)에 의해서 농축조(4) 하부 콘(Cone)으로 모이면 간헐적(間歇的)으로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11)로 배출하고, 농축조(4) 상부로 월류(越流; Over flow)하는 농축 미네랄수는 농축 미네랄수 저장조(9)로 보내어 농축 미네랄수 반송펌프(10)에 의해서 증발탑(6) 상부로 반송하면서 보매도 비중이 도 4와 도 5의 "해수의 비중변화에 따른 각종 염의 석출율도"와 표 3의 "해수의 증발농축에서 석출율"에서 보는 바와 같이 30°Be 이상이 되면 MgSO4, MgCl2, KCl … 등이 대량으로 석출하기 때문에 농축 미네랄수 저장조(9)에 설치된 보메도 비중 지시제어 스위치(Baume indicating switch; BIS)에 의해서 전자변(Solenoid valve)의 작동되도록 하여 자화 및 활성미네랄반응공정의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11)로 보낸다.
증발탑(6)의 형태와 구조는 일반 산업공장의 냉각수를 냉각하는 냉각탑의 구조와 동일하며, 농축조(4)는 하·폐수처리에 사용하는 농축조와 동일한 구조이며, 증발탑(6)의 재질은 내염성 재질을 사용한다.
농축조(4)와 농축 미네랄수 저장조(9)의 재질은 철근 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에 에폭시 코팅을 한 것이나 티타늄이나 SUS-316L 또는 스틸 강판에 FRP수지나 에폭시 수지를 라이닝 또는 코팅을 한 것을 사용한다.
농축조(4)의 직경은 월류수의 표면적 부하가 15∼30㎥/㎥·일의 범위로 하고, 깊이는 3∼4m로, 하부 바닥의 경사는 1.5/10∼2.5/10 범위의 구배(句配)가 되게 설계한다.
표 3 해수의 증발농축에서 석출율(g/ℓ)
비중(°Be) 부피(cc) Fe2O3 CaCO3 CaSO4 MgSO4 MgCℓ2 NaCℓ MgBr2 KCℓ
3.4 1,000
7.1 533 0.0030 0.0642
11.5 316 Trace
14.0 245 Trace
16.75 190 0.0530 0.5600
20.60 145.5 0.5020
22.00 131.0 0.1600
25.00 112.0 0.1508
26.25 95.0 0.1476 0.0040 0.0078 3.2614
27.0 64.0 0.1440 0.0130 0.0356 9.6500
28.50 39.0 0.0700 0.0260 0.0437 7.8960 0.0728
32.30 30.0 0.0144 0.0174 0.0150 2.6240 0.0358
32.40 23.0 0.0254 0.0240 2.2720 0.0518
35.0 16.2 0.5382 0.0274 1.4040 0.0620
전석출량 - 0.0030 0.1172 1.7488 0.6240 0.1535 27.1074 0.2224
간수 중 잔존량 - 1.8548 3.1640 0.5885 0.3300 0.5335
합 계 - 0.0030 0.1172 1.7488 2.4788 3.3175 27.6959 0.5524 0.5335
그리고 농축 미네랄수 저장조(9)는 체류시간이 30∼60분의 용량으로 하며, 농축 미네랄수 반송펌프의 용량은 반송수량이 유입수량(중화처리된 농축 미네랄수의 유량)의 2∼4배의 유량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도 2의" 대기 중의 공기에 의한 증발농축을 하는 공정에 의한 중화·증발농축·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반응·자화처리에 의한 활성미네랄을 제조하는 공정"은 대기온도가 낮은 동절기(冬節期)나 우기(雨期)의 경우에는 증발·농축이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대기 중의 공기를 공급하여 증발하는 증발탑(6) 대신에 도 3의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증발탑(15)으로 증발농축을 하는 공정에 의해서 중화·증발농축·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반응·자화처리에 의한 활성미네랄을 제조하는 공정"에 의해서 수분을 증발농축을 한다.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증발탑(15)으로 증발농축을 하는 경우는 중화처리된 농축 미네랄수와 농축 미네랄수 반송수를 압축공기와 함께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증발탑(15) 상부로 보내어 분무 노즐(8)을 통해 분무하면서 송풍기(18)에서 공급된 공기를 버너(17)에 의해서 가열한 열풍이 필터(19)를 통해 하부로 공급되면, 열풍공기와 향류접촉(向流接觸)하면서 증발된 수분은 데미스터(Demister; 16)를 통해 대기로 방출되고, 증발·농축된 함수는 농축조(4)로 보내어 석출된 염이 침전되면 염농축조 레이크(5)에 의해서 하부 중앙 콘(Cone) 부분으로 모이면 간헐적으로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11)로 배출하고, 농축조(4) 상부로 월류(越流)하는 농축 미네랄수는 농축 미네랄수 저장조(9)로 보내어 농축 미네랄수 반송펌프(10)에 의해서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증발탑(15)의 상부로 반송하면서 보매도 비중이 도 4와 도 5의 "해수의 비중변화에 따른 각종 염의 석출율도"와 표 3의 "해수의 증발농축에서 석출율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메도 비중이 30°Be 이상이 되면 MgSO4, MgCl2, KCl … 등이 대량으로 석출(析出)하기 때문에 농축 미네랄수 저장조(9)에 설치된 보메도 비중 지시제어 스위치 BIS(Baume indicating switch; BIS)에 의해서 전자변(Solenoid valve)의 작동에 의해서 자화 및 활성미네랄반응공정의 자화 및 활성미네랄 반응조(11)로 보낸다.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증발탑(15)의 재질은 내염성 재질인 티타늄(Titanium)이나 SUS-316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제성을 감안하여 스틸(Steel) 강판에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수지나 에폭시 수지(Epoxy resin)를 라이닝(Lining) 또는 코팅(Coating)을 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증발탑(15)의 분부 노즐(8)에는 분무효율을 향상하기 위해서 압축공기를 입구(Up-stream) 측에 1∼6기압(atm)의 압력으로, 공기와 액체의 질량비가 1.1∼1.2의 비율로 공급한다.
송풍기(18)에서 공급되는 열풍공기의 가열은 버너(17)에서 중유나 경유를 사용하나 천연가스(LNG; Liquid Natural Gas )나 LPG(Liquid Petroleum Gas)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열풍의 온도는 150∼400℃로 하고, 데미스터(16)를 통해서 대기로 배기 되는 습윤공기의 온도는 60∼80℃로 한다.
그리고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증발탑(15)에서 증발은 항율건조(恒率乾燥)만 진행되기 때문에 하부에서 농축조(4)로 배출되는 증발·농축된 농축 미네랄수의 온도는, 열에 약한 성분이 열 분해되지 않도록 80℃ 이하가 되게 탑의 높이를 설계한다.
농축조(4)의 월류수가 농축 미네랄수저장조(9)로 월류되어 농축 미네랄수 반송펌프(10)에 의해서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증발탑(15)로 반송하는 유량은 농축 미네랄수의 유입수량에 2∼4배의 유량으로 한다.
송풍기(18)에서 공급되는 열풍공기의 유량은 장치출입구의 엔탈피(Enthalpy) 및 물질 수지(Material balance)에서 구한 값에 열손실을 10% 감안하여 결정한다.
송풍기(18)에서 공급되는 열풍공기의 유량이 결정되면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증발탑(15)의 탑경(塔徑)은 열풍공기의 유속이 3∼5m/sec의 범위로 설계한다.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증발탑(15)의 하부 콘(Cone)의 각도(α)는 10°≤α≤60°로 하고, 배출 부의 관경(D。)과 증발탑(6)의 관경(D)의 비(比)는 0.3≤D。/D≤0.7의 범위로 설계한다.
농축 미네랄수가 식염제조공정에서 배출하는 간수(苦汁)와 함께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11)에 공급되면 구연산(Citr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호박산(Succinic acid), 사과산(Malic acid), 풀브산(Fulvic acid) …과 같은 유기산 중에서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한 것을 보매도 비중이 30°Be이상 농축된 농축 미네랄수와 식염제조공정에서 배출하는 간수를 증발농축하여 수분을 증발한 후 농축된 고형물질의 양을 기준으로 고형물질/유기기산의 중량비가 0.4∼1.2의 범위로 주입하면서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 교반기(12)로 교반하여 킬레이트(Chelate)성 유기산미네랄 착염이 생성되도록 하면서, 자화기 순환펌프(13)로 자화기(14)의 자계(磁界)를 통하게 하여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11)로 반송하면서 자화처리를 하여 활성미네랄을 제조한다.
활성미네랄은 포장공정으로 보내어 포장한 다음, 검사 후 제품으로 출하한다.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11)의 용량은 체류시간이 40∼120분으로 하며, 재질은 농축 미네랄수 저장조(9)와 동일하게 하며,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 교반기(12)는 180∼360RPM(회전속도)의 프로펠러교반기로 교반한다.
자화기 순환펌프(13)의 토출(吐出) 측에 설치된 자화기(5)는 12,000∼15,000G(Gauss)범위로 착자(着磁)된 영구자석을 설치하던가, 합성수지(PVC, PE, 스티렌 수지 등), 에보나이트 (Ebonite), FRP, 베이클라이트(Bakelite)와 같은 절연성 재료의 원통형 도전관(導電管)에 감은 코일(Coil)에 0.5∼5볼트(Volt) 범위의 교류 또는 직류의 저전압을 인가하여 코일의 내부에 자기장(磁氣場)이 형성하도록 한 정전압도전관자화기(靜電壓導電管磁化器)를 사용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된 활성미네랄은 천연으로 출토되는 활성미네랄을 정제한 것에 비해서 제품의 품질이 균일한 특징이 있기 때문에 천연으로 생산되는 활성미네랄 대체품목으로 널리 보급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2)

1. 수심 200m이하에서 취수한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를 20∼30℃로 가온 처리한 후 모래여과, 정밀여과, 한외여과를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한 전처리여과를 한다.
2. 전처리여과된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는 pH조정공정으로 보내어 pH조정제로 5∼10wt%의 염산(HCl) 수용액을 주입하여 pH를 4.5∼6.5로 조정하여 나노여과공정으로 보낸다.
3. pH조정공정에서 pH를 4.5∼6.5로 조정한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를 나노여과공정으로 보내어 여과된 탈미네랄 염수는 역삼투 여과공정으로 보내어 여과수인 탈 염수는 음용수제조공정으로 보내고, 여과되지 않고 농축된 농축 염수는 식염제조공정으로 보내고, 나노여과공정에서 여과되지 않고 농축된 농축 미네랄수는 중화처리공정으로 보낸다.
4. 중화처리공정에 공급된 농축 미네랄수에 중화제로 Ca(OH)2, CaO, NaOH, NaHCO3, Na2CO3 중에서 한 종류의 수용액을 공급하면서 중화조 교반기(2)로 교반을 하면서 pH를 6.5∼7.5의 범위로 중화처리된 농축 미네랄수는 농축 미네랄수 이송펌프(3)에 의해서 증발탑(6) 상부로 보낸다.
5. 중화처리된 농축 미네랄수는 증발탑(6) 상부로 보내어 분무노즐(8)을 통해서 분무하면서 증발탑(6) 상부에 설치된 증발탑 팬(7)에 의해서 증발탑(6) 하부로부터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로 배출하고, 농축 미네랄수는 공기와 향류접촉(向流接觸)을 하여 수분을 증발한 후 농축조(4)로 떨어져 석출된 고형물이 농축조(4) 하부로 침전되면, 농축조 레이크(5)에 의해서 농축조(4) 하부 콘(Cone) 부분으로 모이면 간헐적(間歇的)으로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11)로 배출하고, 농축조(4) 상부로 월류(Over flow)하는 농축 미네랄수는 농축 미네랄수 저장조(9)로 보내어 농축 미네랄수 반송펌프(10)에 의해서 증발탑(6) 상부로 반송하면서 보매도 비중이 30°Be 이상 되면 농축 미네랄수 저장조(9)에 설치된 보메도 비중 지시제어 스위치(Baume indicating switch; BIS)에 의해 전자변(Solenoid valve)을 작동하여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11)로 보낸다.
6. 보매도 비중이 30°Be이상 농축된 농축 미네랄수가 식염제조공정에서 배출하는 간수(苦汁)와 함께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11)에 공급되면 구연산(Citr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호박산(Succinic acid), 사과산(Malic acid), 풀브산(Fulvic acid) 중에서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한 것을 보매도 비중이 30°Be이상 농축된 농축 미네랄수가 식염제조공정에서 배출하는 간수를 증발농축하여 수분을 증발한 후 농축된 고형물질의 양을 기준으로 고형물질/유기기산의 중량비가 0.4∼1.2의 범위로 주입하면서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 교반기(12)로 교반하여 킬레이트(Chelate)성 유기산 미네랄 착염을 생성 도록 하면서, 자화기 순환펌프(13)로 12,000∼15,000G(Gauss)범위로 착자(着磁)된 영구자석 자화기(14)나 절연성 재료의 원통형 도전관(導電管)에 감은 코일(Coil)에 0.5∼5볼트(Volt) 범위의 교류 또는 직류의 저전압을 인가하여 코일의 내부에 자기장(磁氣場)이 형성하도록 한 정전압도전관자화기(靜電壓導電管磁化器)의 자계(磁界)를 통한 다음,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11)로 반송하면서 자화처리를 하여 활성미네랄을 제조한다.
상술한 처리단계에 의해서 활성미네랄을 제조하는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대기온도가 낮은 동절기(冬節期)나 우기(雨期)의 경우에는, 4번의 농축 미네랄수는 농축 미네랄수 이송펌프(3)에 의해서 대기 중의 공기에 의한 증발농축을 하는 공정의 증발탑(6) 대신에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증발탑(15) 상부로 보내어 분무 노즐(8)을 통해 분무하면서 송풍기(18)에서 공급된 공기를 버너(17)에 의해서 가열한 열풍이 필터(19)를 통해 하부로 공급되면, 열풍공기와 향류접촉(向流接觸)하면서 증발된 수분은 데미스터(Demister; 16)를 통해 대기로 방출되고, 증발농축된 함수는 농축조(4)로 보내어 석출된 염이 침전되면 염농축조 레이크(5)에 의해서 하부 중앙 콘으로 모이면 간헐적으로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11)로 배출하고, 농축조(4) 상부로 월류(越流)하는 농축 미네랄수는 농축 미네랄수 저장조(9)로 보내어 농축 미네랄수 반송펌프(10)에 의해서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증발탑(15)의 상부로 압축공기와 함께 반송하여 문무 노즐(8)을 통해서 분무하면서 보매도 비중이 30°Be 이상 되면 농축 미네랄수 저장조(9)에 설치된 보메도 비중 지시제어 스위치 BIS(Baume indicating switch; BIS)에 의해 전자변을 작동하여 자화 및 활성미네랄반응공정의 자화 및 활성미네랄생성 반응조(11)로 보내는 공정에 의해서 활성미네랄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60097725A 2006-10-08 2006-10-08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활성미네랄을제조하는 방법 KR100718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725A KR100718840B1 (ko) 2006-10-08 2006-10-08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활성미네랄을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725A KR100718840B1 (ko) 2006-10-08 2006-10-08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활성미네랄을제조하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969A Division KR100688637B1 (ko) 2005-09-03 2005-09-03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활성미네랄을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281A KR20070026281A (ko) 2007-03-08
KR100718840B1 true KR100718840B1 (ko) 2007-05-21

Family

ID=3810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725A KR100718840B1 (ko) 2006-10-08 2006-10-08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활성미네랄을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005B1 (ko) * 2021-10-06 2023-02-06 김병천 새싹작물 재배용 미네랄 나노 액상비료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480A (ko) * 2004-06-30 2005-01-21 서희동 정전유도(靜電誘導) 및 자화(磁化) 처리에 의한 소집단수(小集團水) 제조방법
KR20050030913A (ko) * 2005-02-15 2005-03-31 대한심층수 주식회사 심층해수성 지하수로 제조되는 농작물 미네랄이온수액과 이의 제조방법
KR20050062475A (ko) * 2005-05-17 2005-06-23 서희동 마이너스이온 및 자화처리(磁化處理)에 의한 소집단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480A (ko) * 2004-06-30 2005-01-21 서희동 정전유도(靜電誘導) 및 자화(磁化) 처리에 의한 소집단수(小集團水) 제조방법
KR20050030913A (ko) * 2005-02-15 2005-03-31 대한심층수 주식회사 심층해수성 지하수로 제조되는 농작물 미네랄이온수액과 이의 제조방법
KR20050062475A (ko) * 2005-05-17 2005-06-23 서희동 마이너스이온 및 자화처리(磁化處理)에 의한 소집단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281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210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미네랄조정제를 제조하는 방법
KR100589795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음료수를 생산하는 방법
Ammary Wastewater reuse in Jordan: Present status and future plans
KR101557096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차 음료제조용수를 생산하는 방법과이를 차 음료제조에 이용하는 방법
CN103608296A (zh) 出于工业意图用于处理水的方法和系统
KR100688636B1 (ko)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음료수의 제조방법
KR100697563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청정소금, 조염, 미네랄염 및 간수의제조방법
KR100863892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KR100821383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염장식품에 이용하는 소금의 제조방법과이용방법
KR100840512B1 (ko) 해수나 해양 심층수를 농업용수로 처리하는 방법
KR100686979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고순도 청정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KR100688635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먹는 심층수(음료수)의 제조방법
KR100688637B1 (ko)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활성미네랄을제조하는 방법
KR100718840B1 (ko)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활성미네랄을제조하는 방법
KR101037280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생산된 간수를 이용하여 상토를 만드는방법
KR100688638B1 (ko) 해양 심층수나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부식물질미네랄착염및 이의 펠렛트를 제조하는 방법
KR100821384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미네랄염을 제조하는 방법
KR100665892B1 (ko) 해양 심층수 또는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청정소금을제조하는 방법
KR100878350B1 (ko) 전위차법에 의한 조류 및 영양염류의 연속 제거장치 및방법
KR100686963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미네랄함량이 높은 식염을 생산하는방법
KR100958848B1 (ko) 해양 심층수 또는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사료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0697566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두부제조용 간수를 제조하는 방법
KR100863895B1 (ko) 해양 심층수로부터 음료수를 제조하는 방법
KR20080003248A (ko) 해양 심층수의 담수화방법과 이를 이용한 음료수를생산하는 방법
Farooqi et al. Green Technologies for Saline Water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